효조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조슈는 가마쿠라 막부와 무로마치 막부에서 정치 기구로 운영되었다. 가마쿠라 막부에서는 1225년 싯켄 호조 야스토키가 유력 고케닌들로 구성한 정치 합의체로 시작되었으며, 싯켄이 의장을 맡고 호조 씨가 주도했다. 후기에 호조 씨가 권력을 독점하면서 유명무실해졌고, 무로마치 막부에서는 형식적인 기구로 유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마쿠라 막부 효조슈 - 미우라 요시무라
미우라 요시무라는 가마쿠라 막부 초기의 무장으로, 주요 권력 투쟁에서 막부 측에 서서 활약하며 막부 안정에 기여했으나, 와다 요시모리의 난에서 배신, 미나모토노 사네토모 암살 연루설, 쇼큐의 난 진압, 숙로 임명 등 정치적 수완과 교활한 면모를 동시에 보인 인물이다. - 가마쿠라 막부 효조슈 - 미우라 야스무라
미우라 야스무라는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으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를 도와 공을 세우고 조큐의 난에서 활약했으며, 호조 씨와의 갈등으로 반란을 일으켰다가 자결했다. - 가마쿠라 막부의 직제 - 정이대장군
정이대장군은 에미시 정벌을 위해 임명된 일본 열도 태평양 방면 군 통솔 직책으로, 무사 정권의 시작과 함께 쇼군이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며 일본을 통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가마쿠라 막부의 직제 - 사무라이도코로
사무라이도코로는 가마쿠라 막부와 무로마치 막부에 설치되어 사무라이를 통솔하고 군사, 경비, 치안 유지, 죄인 수감 등의 역할을 수행한 기관이다. - 무로마치 막부의 직제 - 정이대장군
정이대장군은 에미시 정벌을 위해 임명된 일본 열도 태평양 방면 군 통솔 직책으로, 무사 정권의 시작과 함께 쇼군이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며 일본을 통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무로마치 막부의 직제 - 사무라이도코로
사무라이도코로는 가마쿠라 막부와 무로마치 막부에 설치되어 사무라이를 통솔하고 군사, 경비, 치안 유지, 죄인 수감 등의 역할을 수행한 기관이다.
효조슈 | |
---|---|
개요 | |
명칭 | 평정중 (評定衆) |
유형 | 막부의 합의제 최고 권력 기관 |
역할 | 정치, 재판 등 중요 국가 정책 결정 |
상세 정보 | |
설치 시기 | 가마쿠라 시대 초기 |
주요 구성원 | 싯켄 렌쇼 오오쿠라쿄 히키츠케슈 |
기능 | 막부의 최고 정책 결정 소송 재판 |
소송 진행 절차 | 소송 관련 서류 접수 담당 히키츠케슈 배정 히키츠케에서 심리 및 판결 초안 작성 평정중 회의에서 최종 판결 결정 |
존속 시기 | 가마쿠라 시대 ~ 무로마치 시대 |
폐지 | 무로마치 막부 멸망과 함께 자연 소멸 |
2. 역사
효조슈는 1199년 가마쿠라 막부에서 십삼인의 합의제로 시작되었다. 1225년 호조 야스토키가 고케닌들을 모아 만든 정치적 합의체가 효조슈의 원형이 되었으며, 싯켄이 의장을 맡고 호조 씨가 이 지위를 독점했다. 그러나 가마쿠라 막부 후기에 도쿠소 중심으로 권력이 넘어가면서 효조슈는 유명무실해졌다.[1]
무로마치 막부 시대에도 효조슈는 존재했지만 실권은 없었고, 아시카가 씨 일족의 명예직처럼 여겨졌다. 기라 씨나 하타케야마 씨 같은 쇼군 가문과 가까운 집안이 효조슈를 맡았고, 이들 외의 효조슈는 '출세 효조슈'라고 불렸다.[1]
2. 1. 가마쿠라 막부
호조(北條) 씨를 비롯한 가마쿠라 막부의 창업 공신들인 고케닌(御家人)들이, 취임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제2대 쇼군 미나모토노 요리이에(源頼家)의 권력을 제한하고 실권을 차지하기 위해 쇼지(正治) 원년(1199년) '십삼인의 합의제'(十三人の合議制)를 설치한 것이 시초다.'효조슈'라는 정식 기구 명칭이 된 것은 1225년 고셋케로부터 양자로써 제4대 세이이타이쇼군 자리에 앉은 구조 요리쓰네(九條頼経)를 보좌하기 위해 싯켄 호조 야스토키가 유력 고케닌 집안 사람들로 구성된 정치적 합의체를 운영한 것이 그 원형이 되었다.
효죠슈가 설치됐던 해는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부인 호조 마사코와 오오에노 히로모토가 사망한 해이기도 하였고, 가마쿠라 막부의 창업 '1세대'라고 할 수 있는 인물들이 전체적으로 정계 은퇴를 하는 시점이기도 했다.[1]
가마쿠라 막부 공신 2세대로 구성된 새로운 정치적 협의체제인 '효조슈'는 싯켄(執権)을 그 의장으로 하였으며, 가마쿠라 막부 탄생에 공이 컸던 호조 씨가 내내 그 자리를 차지했다. 성립 시점에서의 석차 수석은, 막부의 원훈인 나카하라 지카요시·오오에노 히로모토의 친족으로, 쇼군 요리쓰네의 시독이었던 나카하라 모로카즈가 맡았다. 이후 석차 상위도 호조 씨가 독점하게 되었지만, 모로카즈는 비 호조 씨로서는 최고의 석차를 유지했다.
쇼군은 효조 회의에 참석하지 않고, 결정 사항을 열람하기만 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가마쿠라 막부는 가마쿠라 도노(쇼군)와 개별 고케닌의 주종 관계에 의해 성립되어 있다는 사정이 있다. 호조 씨도 가마쿠라 도노의 가신 중 하나에 불과하며, 수많은 고케닌의 으뜸일지라도 주군이 아니었다. 따라서 가마쿠라 도노가 명목상, 형식상의 존재가 되었을 때, 대신 막부를 주재하는 것이 유력 고케닌의 합의가 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었다.
그러나 가마쿠라 시대를 통해, 싯켄의 지위를 독점하는 호조 씨의 실질적인 권력은 점차 증대해 갔고, 막부의 최고 권력자는 막부의 공적 지위인 싯켄이 아닌, 호조 일문의 최상위로, 본래는 호조 일족 내에서의 지위에 불과한 도쿠소로 옮겨 가게 된다. 가마쿠라 시대 후기에는, 도쿠소를 중심으로 한 요리아이슈(요리아이)가 실질적인 권력을 장악하기 시작하여, 그들에게 선의권을 빼앗긴 효조슈는 형해화되어 간다.
2. 2. 무로마치 막부
1225년 고셋케에서 양자로써 제4대 세이이타이쇼군 자리에 앉은 구조 요리쓰네를 보좌하기 위해 싯켄 호조 야스토키가 유력 고케닌 집안 사람들로 구성된 정치적 합의체인 '효조슈'는 싯켄(집권)을 그 의장으로 하였으며, 가마쿠라 막부 탄생에 공이 컸던 호조 씨가 내내 그 자리를 차지했다. 후기에 들어서자 호조 씨 본종가인 도쿠소가 막부 기관인 효조슈의 합의 과정을 무시하고 권력을 독점하기 시작했고, 효조슈는 유명무실해졌다.[1]가마쿠라 막부가 멸망한 뒤, 새로 들어선 무로마치 막부에도 효조슈는 막부의 정치 기관으로 존재는 했으나 실질적인 힘은 없었고, 아시카가 일족에 대한 명예직의 하나로 붙여지는 경향이 강하였으며, 정치 기구로서 효조슈가 아니라 관직 이름으로서 효조슈를 내려줬으므로 따로 싯켄은 존재하지 않았다.[1]
관직으로써의 효조슈는 아시카가 씨의 친족인 기라 씨(吉良氏)나 하타케야마 씨 같이 아시카가 일족 중에서도 세이이타이쇼군과 가장 가까웠던 두 집안 가운데 하나가 맡았으며, 이 두 집안 출신이 아닌 효죠슈를 따로 '출세 효조슈'로 불러 구별하였다.[1]
3. 가마쿠라 막부 시대 효조슈 명단
다음은 가마쿠라 막부 시대 효조슈 명단이다.
(주: 연도는 생몰년이 아닌 효조슈 재임 기간, 명단 이름은 싯켄 포함 효조슈 전체 명단)
이름 | 재임 기간 |
---|---|
나카하라 모로카즈 | 1225년 12월 ~ 1251년 6월 |
나카조 이에나가 | 1225년 12월 ~ 1236년 8월 |
니카이도 유키무라 | 1225년 12월 ~ 1238년 2월 |
마치노 야스토시(미요시 야스토시) | 1225년 12월 ~ 1238년 6월 |
사이토 나가사다 (조엔) | 1225년 12월 ~ 1239년 10월 |
미우라 요시무라 | 1225년 12월 ~ 1239년 12월 |
사토 나리토키 | 1225년 12월 ~ 1241년 5월 |
야노 모리시게 (미요시 모리시게) | 1225년 12월 ~ 1244년 6월 |
고토 모토쓰나 | 1225년 12월 ~ 1246년 6월 |
니카이도 유키모리 | 1225년 12월 ~ 1253년 12월 |
오타 야스쓰라(미요시 야스쓰라) | 1225년 12월 ~ 1256년 10월 |
모리 스에미쓰 | 1233년 11월 ~ 1247년 6월 |
쓰치야 무네미쓰 | 1234년 ~ 1235년 5월 |
사사키 노부쓰나 | 1234년 1월 ~ 1236년 9월 |
가노 타메사 | 1234년 6월 ~ 1246년 6월 |
유키 토모미쓰 | 1235년 5월 ~ 1235년 윤6월 |
호조 토키토키 | 1236년 9월 ~ 1236년 9월 (첫 참진 후 즉시 사퇴) |
기요하라 스에우지 | 1236년 ~ 1243년 9월 |
호조 스케토키 | 1237년 4월 ~ 1251년 5월 |
마치노 야스모치(미요시 야스모치) | 1238년 ~ 1246년 6월 |
미우라 야스무라 | 1238년 4월 ~ 1247년 6월 |
니카이도 유키요시 | 1238년 4월 ~ 1268년 윤1월 |
니카이도 모토유키 | 1239년 ~ 1240년 12월 |
아다치 요시카게 | 1239년 ~ 1253년 6월 |
호조 토모나오 | 1239년 ~ 1264년 5월 |
호조 마사무라 | 1239년 10월 ~ 1256년 3월 |
기요하라 미쓰사다 | 1239년 ~ 1263년 11월 |
호조 쓰네토키 | 1241년 6월 ~ 1242년 6월 |
호조 아리토키 | 1241년 6월 ~ 1243년 |
나가이 야스히데 | 1241년 6월 ~ 1253년 12월 |
우쓰노미야 야스쓰나 | 1243년 ~ 1261년 11월 |
지바 히데타네 | 1244년 ~ 1246년 6월 |
미우라 미쓰무라 | 1244년 ~ 1247년 6월 |
이가 미쓰무네 | 1244년 ~ 1257년 1월 |
야노 나가나가 (미요시 나가나가) | 1244년 12월 ~ 1273년 2월 |
가이토 다다나리 | 1245년 ~ 1247년 6월 |
호조 토키아키 | 1247년 7월 ~ 1272년 2월 |
니카이도 유키히사 | 1249년 7월 ~ 1261년 3월 |
호조 사네토키 | 1253년 2월 ~ 1276년 10월 |
호조 나가토키 | 1256년 6월 ~ 1256년 11월 |
아다치 야스모리 | 1256년 6월 ~ 1285년 11월 |
오타 야스무네 (미요시 야스무네) | 1258년 ~ 1262년 3월 |
니카이도 유키카타 | 1259년 9월 ~ 1264년 12월 |
니카이도 유키야스 | 1259년 ~ 1265년 10월 |
무토 가게요리 | 1259년 9월 ~ 1267년 8월 |
오타 야스아리 (미요시 야스아리) | 1262년 6월 ~ 1282년 12월 |
니카이도 유키쓰나 | 1264년 4월 ~ 1281년 6월 |
니카이도 유키타다 | 1264년 4월 ~ 1290년 11월 |
오다 토키이에 | 1264년 11월 ~ 1271년 2월 |
나카하라 모로쓰라 | 1264년 11월 ~ 1271년 3월 |
호조 노리토키 | 1265년 6월 ~ 1272년 2월 |
호조 토키히로 | 1265년 6월 ~ 1275년 6월 |
나가이 토키히데 | 1265년 6월 ~ 1284년 4월 |
사사키 우지노부 | 1266년 12월 ~ 1284년 4월 |
호조 요시마사 | 1267년 11월 ~ 1273년 6월 |
아다치 토키모리 | 1267년 11월 ~ 1276년 9월 |
호조 토키무라 | 1270년 10월 ~ 1277년 12월 |
니카이도 유키아리 | 1270년 10월 ~ 1284년 4월 |
호조 무네마사 | 1272년 10월 ~ 1281년 8월 |
우쓰노미야 가게쓰나 | 1273년 6월 ~ 1298년 1월 |
호조 기미토키 | 1273년 6월 ~ 1295년 12월 |
호조 노리토키 | 1273년 9월 ~ 1287년 8월 |
호조 나리토키 | 1276년 3월 ~ 1284년 4월 |
야노 모리쓰구 (미요시 모리쓰구) | 1276년 4월 ~ 1284년 |
사토 나리쓰라 | 1276년 4월 ~ 1287년 4월 |
호조 요시무네 | 1277년 6월 ~ 1277년 8월 |
호조 아키토키 | 1278년 2월 ~ 1285년 11월 |
셋쓰 친유키 | 1278년 2월 ~ 1303년 4월 |
아다치 아키모리 | 1278년 3월 ~ 1280년 2월 |
호조 토키모토 | 1278년 3월 ~ 1298년 4월 |
니카이도 요리쓰나 | 1282년 2월 ~ 1283년 10월 |
아다치 무네카게 | 1282년 2월 ~ 1285년 11월 |
사사키 토키키요 | 1283년 6월 ~ 1295년 |
호조 마사나가 | 1284년 1월 ~ 1301년 7월 |
호조 토키카네 | 1286년 6월 ~ 1296년 6월 |
호조 무네노부 | 1287년 10월 ~ 1297년 7월 |
호조 모리후사 | 1287년 10월 ~ 1288년 2월 |
호조 토키무라 | 1287년 12월 ~ 1301년 8월 |
호조 모로토키 | 1293년 5월 ~ 1301년 8월 |
호조 아키토키 | 1293년 10월 ~ 1298년 4월 |
나가이 무네히데 | 1293년 10월 ~ 1310년 7월 |
오타 토키쓰라(미요시 토키쓰라) | 1293년 12월 ~ 1300년 |
호조 토키카네 | 1295년 3월 ~ 1296년 6월 |
호조 가네토키 | 1295년 5월 ~ 1295년 9월 |
사사키 무네쓰나 | 1295년 ~ 1297년 9월 |
니카이도 모리쓰나 | 1295년 ~ 퇴년 불명 |
야노 린케이 (미요시 린케이) | 1295년 ~ 퇴년 불명 |
니카이도 유키후지 | 1295년 ~ 1302년 8월 |
호조 무네야스 | 1298년 4월 ~ 1305년 8월 |
호조 히사토키 | 1298년 4월 ~ 1307년 1월 |
호조 무네카타 | 1300년 12월 ~ 1305년 5월 |
호조 토키이에 | 1301년 8월 ~ 1304년 9월 |
호조 히로토키 | 1301년 8월 ~ 1311년 10월 |
호조 무네노부 | 1302년 2월 ~ 1305년 7월 |
호조 사이토키 | 1303년 4월 ~ 1313년 7월 |
호조 모토토키 | 1305년 8월 ~ 1313년 7월 |
호조 고레사다 | 1306년 8월 ~ 1315년 9월 |
호조 구니토키 | 1307년 1월 ~ 1313년 |
호조 아키자네 | 1307년 1월 ~ 1327년 3월 |
호조 사다후사 | 1307년 12월 ~ 1308년 11월 |
호조 사다아키 | 1309년 3월 ~ 1310년 6월 |
호조 토키토시 | 1310년 7월 ~ 퇴년 불명 |
호조 모리토키 | 1311년 6월 ~ 1326년 4월 |
호조 사다노부 | 1313년 7월 ~ 1320년 5월 |
호조 사다노리 | 1317년 12월 ~ 1319년 6월 |
호조 사다마사 | 1318년 6월 ~ 1324년 11월 |
호조 사다나오 | 1320년 5월 ~ 1333년 5월 |
호조 노리사다(도키와 노리사다) | 1320년 12월 ~ 1321년 11월 |
호조 토키하루 | 1320년 ~ 1330년 12월 |
호조 고레사다 | 1324년 10월 ~ 1326년 4월 |
호조 시게토키 | 1326년 5월 ~ 1330년 7월 |
호조 타카이에 | 취임년 불명 ~ 1326년 3월 |
호조 후지토키 | 취임년 불명 ~ 1326년 3월 |
호조 토키토시 | 취임년 불명 ~ 1333년 5월 |
호조 이에토키 | 취임년 불명 ~ 1333년 5월 |
나가사키 타카스케 | 취임년 불명 ~ 1333년 5월 |
호조 사다후유 | 1329년 12월 ~ 1333년 5월 |
호조 사다마사 | 1330년 7월 ~ 1333년 5월 |
호조 노리사다(도키와 노리사다) | 1330년 12월 ~ 1333년 5월 |
호조 토키시게 | 1331년 ~ 1333년 5월 |
4. 무로마치 막부 시대 효조슈
무로마치 막부 시대의 효조슈는 쇼군 직할 기관인 도코로 부교의 상위 기관으로, 내담중(内談衆)이라고도 불렸다. 시키 씨는 기라 씨이며, 그 외에도 셋쓰 씨, 니카이도 씨, 하타노 씨, 오타 씨, 마치노 씨 등이 효조슈를 맡았다.
가문 |
---|
시키 |
셋쓰 |
니카이도 |
하타노 |
오타 |
마치노 |
4. 1. 시키 효조슈
시키는 기라씨이다.4. 2. 기타 효조슈
- 셋쓰 씨
- 니카이도 씨
- 하타노 씨
- 오타 씨
- 마치노 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