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광 효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광 효과는 어떤 대상에 대한 일반적인 인상이 그 대상의 구체적인 특성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다. 1907년 프레데릭 웰스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에드워드 손다이크는 1920년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후광 효과는 인지 편향의 일종으로,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하며, 한 가지 뚜렷한 특징에 이끌려 다른 특징에 대한 평가가 왜곡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심리학, 마케팅, 정치, 법률,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며, 외모, 브랜드, 정치인의 매력 등이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사례가 존재한다.
후광 효과는 어떤 대상을 평가할 때, 그 대상의 뚜렷한 특징에 이끌려 다른 특징에 대한 평가가 왜곡되는 인지 편향 현상이다.[65] 예를 들어, 어떤 분야의 전문가가 전문 분야가 아닌 일에 대해서도 권위가 있다고 느끼거나, 외모가 좋은 사람을 신뢰할 수 있다고 느끼는 것을 들 수 있다.
후광 효과의 개념은 1907년 미국의 심리학자 프레데릭 웰스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34] 이후 여러 사회학자들이 후광 효과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면서 개념 정립에 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피시카로(Fisicaro)와 랜스(Lance)는 이러한 혼란을 줄이기 위해 후광 효과의 주요 개념적 정의들을 발생 원인에 따라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다.[70]
2. 정의 및 개념
후광 효과라는 말이 처음 사용된 것은 심리학자 에드워드 손다이크가 1920년에 쓴 논문 "A Constant Error in Psychological Ratings"이다. 후광(halo)은 성인의 머리 위에 그려지는 광륜을 뜻한다.[66]
이러한 후광 효과는 원시 시대에 사물을 즉시 판단하는 것이 생존에 유리했고, 그것이 유전적으로 이어져 내려왔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66]
"미운 아이 떡 하나 더 준다", "고슴도치도 제 새끼는 예쁘다"라는 속담은 이 효과를 나타낸다.[67]
후광 효과는 일반적으로 좋은 방향으로의 인지 편향을 가리키지만, 원리적으로는 좋은 인상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도, 나쁜 인상에서 부정적인 방향으로도 작용한다.[67][66] '''역후광 효과'''(reverse-halo effect), '''혼 효과'''(영: Horn effect), '''악마 효과'''(devil effect)라고도 한다. 이 용어는 "뿔(horn)"에서 유래되었으며, 악마의 뿔을 가리킨다. 부정적인 형식의 후광 효과에 의해, 사람 또는 제품의 싫어하는 특성 또는 측면이 전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1. 후광 효과의 세 가지 유형 (Fisicaro & Lance)
특정 대상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가 그 대상의 구체적인 특성들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후광 효과의 개념 자체를 처음 발견한 사람은 웰스(Wells)이다. 이후 여러 사회학자에 의해 후광 효과의 개념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논의되었으며, 이는 정확한 개념적 정의를 정립하는 데 혼동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혼동을 제거하기 위하여 피스카로(Fisicaro)와 랜스(Lance)는 후광 효과에 대한 주요 개념적 정의들을 발생시키는 원인에 근거하여 세 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하였다.[70]
피스카로와 랜스는 세 가지 설명 모델을 제시했다.[55]3. 역사
"후광 효과"라는 용어는 심리학 및 비즈니스 분야 외에도 조직 마케팅 예산 삭감 시 파급 효과의 금전적 가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이는 1966년판 교재와 "마케팅 게임"이라는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통해 처음으로 학생들에게 시연되었다.
또한, 기관의 경우에도 후광 효과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병원이 훌륭한 심장 수술 프로그램으로 알려져 있다면, 지역 사회는 다른 분야에서도 뛰어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31] 이는 급격한 성장으로 언론의 호의적인 보도를 받았지만 결국 실패한 금융 기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32]
금속 탐지 분야에서도 "후광 효과"라는 용어가 사용되는데,[33] 젖은 토양에 일정 기간 동안 방치된 금속 물체나 동전의 탐지 가능성이 향상되는 것을 의미한다.
3. 1. 손다이크의 연구
후광 효과는 원래 1907년 미국의 심리학자 프레데릭 웰스에 의해 처음 확인되었다.[34] 하지만, 심리학자 에드워드 손다이크가 제공한 실증적 증거를 통해 1920년에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34] 손다이크는 사람, 브랜드, 제품 또는 기관의 한 측면이 해당 실체의 다른 측면 또는 차원에 대한 생각이나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인지 편향을 후광 효과라고 처음 언급했다.[35] 초기 행동주의자인 손다이크는 학습 심리학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1920년 논문 "심리적 평가에서 발생하는 지속적인 오류"에서 이 현상에 이름을 부여했다.[36]
손다이크에 따르면, "평가는 일반적으로 그 사람을 상당히 좋거나 상당히 열등하다고 생각하는 뚜렷한 경향에 의해 영향을 받았고, 이 일반적인 느낌에 의해 품질에 대한 판단이 영향을 받았다."[37] 그는 두 명의 지휘관에게 병사들의 신체적 자질(단정함, 목소리, 체격, 태도, 에너지), 지성, 리더십 기술, 그리고 개인적 자질(신뢰성, 충성심, 책임감, 이타심, 협동심 포함)을 평가하도록 요청했다.[36] 그의 목표는 한 가지 특성에 대한 평가가 다른 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손다이크의 연구는 지휘관들의 응답에서 상관 관계가 지나치게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는 검토에서 "상관 관계가 너무 높고 균등하다. 예를 들어, 다음 연구 대상인 세 명의 평가자에 대해 체격과 지능의 평균 상관 관계는 .31이고, 체격과 리더십은 .39, 체격과 인성은 .28이다."라고 말했다. 한 장교의 특별한 자질에 대한 평가는 종종 평가 결과의 흐름을 시작했다. 후광 효과는 상관 관계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상관 관계가 너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손다이크는 긍정적 후광과 부정적 후광을 모두 설명하기 위해 후광 효과를 사용했다.
머피(Murphy), 자코(Jako), 앤할트(Anhalt)는 1993년에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1980년 이후로, 등급 평가에서 후광 효과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다루는 많은 연구들이 있었다. 이 연구들을 종합해 보면, 후광 효과의 역사에서 대부분 정의되어 온 7가지 특성 모두가 문제 있으며, 그 중 일부의 근본적인 가정은 입증된 오류이다."
포가스(Forgas)의 2011년 연구는 사람의 기분이 후광 효과의 영향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한다. 누군가가 호의적인 기분일 때, 후광 효과가 더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4. 원리 및 인지 편향
후광 효과는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혼동하여 잘못된 결론을 내리는 현상 중 하나이다. 각각의 요인들이 상관관계를 지닌다는 것이 반드시 인과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상관관계는 단순히 두 요인 사이에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할 뿐, 필연적인 원인과 결과 관계를 의미하지 않으며, 관계의 방향성도 알 수 없다.[71]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에드워드 손다이크는 "심리적 평가의 일관된 오류"에서 두 명의 지휘관에게 병사들의 신체적 자질, 지성, 리더십 기술, 개인적 자질을 평가하도록 요청했다.[36] 그의 연구에서 매력은 사람들이 그 사람의 외모를 바탕으로 그가 친절한지 아닌지와 같이 사람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토르다이크의 연구는 지휘관들의 응답에서 상관 관계가 지나치게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는 "상관 관계가 너무 높고 균등하다. 예를 들어, 세 명의 평가자에 대해 체격과 지능의 평균 상관 관계는 .31이고, 체격과 리더십은 .39, 체격과 인성은 .28이다."라고 말했다.[37] 한 장교의 특별한 자질에 대한 평가는 종종 평가 결과의 흐름을 시작했다. 후광 효과는 상관 관계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상관 관계가 너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4. 1. 인지 편향으로서의 후광 효과
후광 효과는 특정 대상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가 그 대상의 구체적인 특성들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 편향이다. 이 개념은 Wells가 처음 발견했고, 이후 여러 사회학자들이 논의했다.[70] Fisicaro와 Lance는 후광 효과에 대한 주요 개념적 정의들을 발생 원인에 근거하여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70]# 한 개인이나 대상에 대한 일반적인 인상이 그 사람이나 대상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평가자의 경향.
# 개인이나 대상이 가지고 있는 하나의 현저한 특성에 대한 평가가 그 사람이나 대상의 다른 덜 현저한 특성들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평가자의 경향.
# 특정 사람이나 대상이 갖는 개념적으로 명확하고 독립적인 특성들을 구분하지 못하는 평가자의 오류.
후광 효과는 사람들이 긍정적인 게슈탈트를 형성한 사람에 대한 정보를 해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지각 왜곡(또는 인지 편향)이다.[10] 예를 들어 긍정적인 게슈탈트를 형성한 사람이 세금 관련 부정행위를 했을 때, 그 사람은 이 행동의 중요성을 무시하거나 실수를 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10] 이는 즉각적인 판단 불일치 또는 인지 편향의 한 유형으로, 초기 평가를 내리는 사람이 구체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모호한 정보를 가정하게 된다.[12][13][6]
후광 효과는 관련 없는 기준에 근거한 평가를 사용하여 판단을 내리는 행동(일반적으로 무의식적인)으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력적인 사람을 성공하고 인기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판단이 부정적인 의미를 가질 때는 뿔 효과라고 부른다.[15]
인지 편향은 개인이 자신이나 사회적 환경에 대한 무언가를 지속적으로 오해하여 잘못된 의사 결정이나 비합리적인 행동으로 이어지는 인식, 해석 또는 판단의 패턴이다.[38] 후광 효과는 사람이 다른 사람을 보는 방식을 왜곡하기 때문에 인지 편향으로 분류된다.[11]
"후광"이라는 용어는 종교적 개념에 비유하여 사용된다.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의 그림에서 성인의 머리를 장식하고 그 얼굴을 천상의 빛으로 비추는 빛나는 원을 의미한다. 관찰자는 후광과 같이 전체에 빛을 더하는 품질의 존재로 인해 관찰 대상의 가치를 과대평가할 수 있다.[39]
이 효과는 긍정적, 부정적 방향 모두에서 작용한다 (따라서 때때로 뿔과 후광 효과라고도 한다). 관찰자가 어떤 것의 한 측면을 좋아하면, 그것에 대한 모든 것에 대해 긍정적인 성향을, 싫어하면 부정적인 성향을 갖게 된다.[40]
사람의 매력은 후광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매력은 여러 특정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후광 효과의 가치 있는 측면을 제공한다.[41] 예를 들어, 신체적 특성으로 인해 매력적으로 인식되는 사람은 친절하거나 지능적이라고 인식될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다.
Murphy, Jako, Anhalt (1993)는 후광 효과가 항상 부정적이라는 가정은 틀렸으며, 일부 후광 효과는 등급 평가의 정확성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는다고 주장한다. 또한, "진정한 후광"과 "환상적인 후광"의 개념에 대해 논하며, 실제 환경에서는 이 둘의 구분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41]
Forgas (2011)의 연구는 사람의 기분이 후광 효과의 영향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한다. 행복한 과거 경험에 대해 글을 쓴 참가자들에게서 후광 효과가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어떤 대상을 평가할 때, 그것이 가진 뚜렷한 특징에 이끌려 다른 특징에 대한 평가가 왜곡되는 현상(인지 편향)이다[65]. 예를 들어, 어떤 분야의 전문가가 전문 분야가 아닌 일에 대해서도 권위가 있다고 느끼거나, 외모가 좋은 사람을 신뢰할 수 있다고 느끼는 것을 들 수 있다.
후광 효과라는 말이 처음 사용된 것은 심리학자 에드워드 손다이크가 1920년에 쓴 논문 "A Constant Error in Psychological Ratings"이다. 후광(ハロー)은 성인의 머리 위에 그려지는 광륜을 뜻한다[66].
후광 효과가 일어나는 것은 원시 시대에는 사물을 즉시 판단하는 것이 생존에 유리했고, 그것이 유전적으로 이어져 내려왔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66].
"미운 아이 떡 하나 더 준다", "고슴도치도 제 새끼는 예쁘다"라는 속담은 이 효과를 나타낸다[67].
「후광 효과」는 일반적으로 좋은 방향으로의 인지 편향을 가리키지만, 원리적으로는 좋은 인상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도, 나쁜 인상에서 부정적인 방향으로도 작용한다[67][66]. '''역후광 효과'''(reverse-halo effect), '''혼 효과'''(영: Horn effect), '''악마 효과'''(devil effect)라고도 한다. 이 용어는 "뿔(horn)"에서 유래되었으며, 악마의 뿔(devil's horn)을 가리킨다.
부정적인 형식의 후광 효과에 의해, 사람 또는 제품의 싫어하는 특성 또는 측면이 전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5. 다양한 분야에서의 후광 효과
마케팅에서 '후광 효과'는 특정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편견이 같은 회사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에서 비롯되는 현상을 설명한다.[16] 이는 "라인 확장"이라고 불리는 브랜드 마케팅의 일부로 활용된다. 애플의 아이팟이 인기를 얻으면서 다른 애플 제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진 것이 대표적인 예시이다.[17][18] 광고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영화, 출연진을 활용하여 후광 효과를 통해 제품을 홍보하기도 한다.[19][20]
자동차 산업에서는 제조사의 레이싱, 모터스포츠 또는 자체 수정 팀이 제작한 고급 모델이나 스포츠카를 "후광 차"라고 부르며, 이는 해당 브랜드 내 다른 차량 판매에 영향을 미친다.[21] 한 채널의 광고가 다른 채널의 광고에 영향을 미치는 '후광 효과'도 나타난다.[22][23]
건강 분야에서는 "건강 후광" 효과가 식품 마케팅에 사용되어, 건강에 해로운 제품의 소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24][25] 비정부 기구(NGO)도 후광 효과를 활용하는데, 제럴드 스타인버그는 NGO가 정부와 언론으로부터 "공정한 도덕적 감시자" 지위를 부여받는다고 주장했다.[26][27] 로널드 맥도날드 하우스는 후광 효과로 인한 높은 인지도를 공개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28]
브랜드의 후광 효과는 위기 상황에서 평판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긍정적으로 인식되는 브랜드는 부정적인 사건이 발생해도 덜 위협적이거나 피해를 덜 입는 경향이 있다.[29][30]
5. 1. 심리학
후광 효과는 사람들이 긍정적인 게슈탈트를 형성한 사람에 대한 정보를 해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 편향이다.[10] 예를 들어 긍정적인 인상을 가진 사람이 세금 관련 부정행위를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그 사람은 이 행동의 중요성을 무시하거나 심지어 실수를 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10] 또한, 공유된 믿음 때문에 여러 특성에서 개인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을 의미한다.[11]이는 즉각적인 판단 불일치 또는 인지 편향의 한 유형으로, 초기 평가를 기반으로 모호한 정보를 가정하게 만든다.[12][13][6] 구체적인 데이터가 일반화되거나 모호한 정보에 영향을 미칠 때 결정, 행동, 아이디어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12][13][8][14]
후광 효과는 관련 없는 기준에 근거한 평가를 사용하여 판단을 내리는 행동(일반적으로 무의식적인)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긍정적인 상관관계의 경우, 예를 들어 매력적인 사람을 성공하고 인기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부정적인 의미를 가질 때, 예를 들어 매력적이지 않은 사람이 범죄에 더 쉽게 비난받는 경우, 이를 뿔 효과라고 부르기도 한다.[15]
사람의 매력은 후광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매력은 여러 특정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후광 효과의 가치 있는 측면을 제공한다.[41] 신체적 속성은 매력에 대한 인식에 기여한다 (예: 체격, 머리카락, 눈 색깔). 예를 들어, 신체적 특성으로 인해 매력적으로 인식되는 사람은 친절하거나 지능적이라고 인식될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다.[42]
사람들이 타인에 대해 처음 갖는 인상은 이후 그 사람에게 다가가거나 피할지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43] 눈 맞춤, 미소 등 긍정적인 행동은 긍정적인 감정과 연결되는 반면, 눈을 피하거나 방어적인 행동은 소외감과 관련이 있다.[43] '매력적 고정관념'은 신체적으로 매력적인 사람들이 더 건강하고, 성공적이며, 예의 바르고, 더 높은 도덕적 기준과 더 뛰어난 사회적 능력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경향이다.[5]
미네소타 대학교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매력적인 사람, 평균적인 사람, 매력적이지 않은 사람의 사진을 보고 성격 특성, 행복, 직업적 성공 등을 평가하게 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매력적인 사람들이 더 나은 성격 특성을 가지고, 더 행복하고 성공할 것이라고 믿었다.[45]
남성 학부생 60명을 대상으로 한 또 다른 연구에서는 여성의 에세이를 평가할 때, 매력적인 여성의 사진이 첨부된 경우 더 높은 점수를 주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했다. 이는 남성들이 외모가 매력적인 여성에게 더 관대하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지능과 신체적 매력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에서는 남성의 경우 매력적인 얼굴은 더 지능적이고, 친절하고, 재미있는 것으로 인식되었지만, 여성의 경우에는 지능과 매력 사이에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후광 효과라는 용어는 심리학자 에드워드 손다이크가 1920년에 쓴 논문 "A Constant Error in Psychological Ratings"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후광(ハロー)은 성인의 머리 위에 그려지는 광륜을 뜻한다.[66]
후광 효과는 원시 시대에 사물을 즉시 판단하는 것이 생존에 유리했기 때문에 유전적으로 이어져 내려왔다고 생각된다.[66] "미운 아이 떡 하나 더 준다", "고슴도치도 제 새끼는 예쁘다"라는 속담은 이 효과를 나타낸다.[67]
5. 2. 마케팅
마케팅에서 '후광 효과'는 같은 회사가 만든 다른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으로 인해 특정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편견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16] 이는 "라인 확장"이라고 불리는 브랜드 마케팅의 일부에서 사용된다. 흔한 후광 효과 중 하나는 특정 품목의 긍정적인 특징이 브랜드 전체로 확장될 때 나타난다. 주목할 만한 예는 애플의 아이팟의 인기가 회사의 다른 제품에 대한 열정을 불러일으킨 방식이다.[17][18] 광고는 종종 텔레비전 프로그램, 영화, 그리고 그 출연자를 활용하여 후광 효과를 통해 제품을 홍보한다.[19][20]자동차 산업에서, 제조업체의 레이싱, 모터스포츠 또는 자체 수정 팀이 제작한 이국적이고 한정 생산된 고급 모델이나 소량 생산 스포츠카는 때때로 해당 브랜드 내의 다른 차량 판매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후광 차'''"라고 불린다.[21] 자동차 용어 "플래그십 모델"과 비교는 여기를 참조할 수 있다.
한 채널의 광고는 다른 채널의 광고에 ''후광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2][23]
건강과 관련하여 "건강 후광"이라고 불리는 후광 효과는 식품 마케팅에서 제품 판매를 늘리기 위해 사용되며, 이로 인해 건강에 해로운 후광 내 제품의 소비가 증가할 수 있다.[24][25]
"후광 효과"라는 용어는 또한 목표에서 벗어나기 위해 지위를 이용한 인권 단체에도 적용되었다. 정치학자 제럴드 스타인버그는 비정부 기구(NGO)가 후광 효과를 활용하여 정부와 언론으로부터 "공정한 도덕적 감시자"의 지위를 부여받는다고 주장했다.[26][27]
널리 알려진 NGO인 로널드 맥도날드 하우스는 후광 효과로부터 얻는 긍정적인 결과를 공개적으로 기념한다.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에 있는 로널드 맥도날드 하우스의 웹 페이지는 설문 조사 참가자의 95%가 로널드 맥도날드 하우스 자선 단체를 알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러한 인지도는 후광 효과로 인한 것으로, 직원, 고객 및 이해 관계자는 익숙한 이름과 로고를 가진, 인식하고 신뢰하는 자선 단체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28]
브랜드의 후광 효과는 위기 발생 시 평판을 보호할 수 있다. 호의적으로 여겨지는 브랜드에 해로운 사건은 소비자가 호의적으로 보지 않는 브랜드에 비해 위협적이거나 피해를 덜 줄 것이다.[29][30]
5. 3. 정치
Landy|Sigall|1974영어의 연구는 후광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학업 과제에 대한 여성의 지능과 능력에 대한 남성의 판단을 살펴보았다. 60명의 남성 학부생이 잘 쓰여진 에세이와 형편없이 쓰여진 에세이의 질을 평가했다. 참가자의 1/3은 매력적인 여성의 사진을 저자로 제시받았고, 다른 1/3은 매력적이지 않은 여성의 사진을, 나머지 1/3은 사진을 제시받지 않았다. 평균적으로 대부분의 참가자는 더 매력적인 저자에 대해 훨씬 더 나은 글쓰기 평가를 내렸다. 1점에서 9점 척도에서 매력적인 저자가 쓴 잘 쓰여진 에세이는 평균 6.7점을 받았고, 매력적이지 않은 저자는 5.9점(대조군은 6.6점)을 받았다. 형편없는 에세이에서는 격차가 더 컸다. 매력적인 저자는 평균 5.2점, 대조군은 4.7점, 매력적이지 않은 저자는 2.7점을 받았다. 이는 남성 독자들이 외모가 매력적인 여성에게 성과가 기준 미달일 때 더 관대하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46]Moore|Filippou|Perrett|2011영어의 연구는 지능에 대한 단서를 찾으면서 신체적 매력 후광 효과를 제어하려 했다. 300명 이상의 백인 영국 대학생 사진에 대해 인지된 지능을 평가했다. 인지된 지능이 가장 낮게 평가된 사진은 낮은 지능 복합 얼굴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고, 가장 높게 평가된 사진은 높은 지능 복합 얼굴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높은 지능과 낮은 지능으로 인지된 여성과 남성의 얼굴이 모두 만들어져, 네 그룹의 복합 얼굴이 생성되었다. 연구 참가자는 온라인으로 모집되었으며, 영국의 이성애자 여성 164명과 남성 92명이 각 복합 얼굴에 대해 지능과 매력을 평가했다. 여성 복합 얼굴의 경우, 높은 지능과 낮은 지능으로 인지된 그룹 모두 동등하게 매력적으로 평가되면서 매력이 통제된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남성 얼굴 복합체의 경우, 높은 지능으로 인지된 그룹이 낮은 지능으로 인지된 그룹보다 훨씬 더 매력적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연구자들이 남성 복합 사진에 대한 매력 후광 효과를 적절히 통제하지 못했거나, 지능이 높은 지능 남성 얼굴의 매력의 필수적인 요소임을 시사한다. 연구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높은 지능으로 인지된 그룹의 복합체가 여성과 남성 그룹 모두에서 지능의 지표인 '친절함'과 '재미있음' 요인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지능은 여성의 매력에 기여하는 요소가 아닌 것으로 보이지만, 남성의 경우 매력적인 얼굴은 여성과 남성에 의해 더 지능적이고, 친절하고, 재미있는 것으로 인식된다.[46]
후광 효과는 "살아있는 유산"을 창출한 공직자들에게서 나타나며, 이들의 전반적인 업적을 평가할 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뉴욕 타임스''는 보도했다.[46]
연구자들은 인지된 외모와 목소리의 매력(또는 그 반대)이 판단의 편견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47][48] 2010년 연구[49]에 따르면 매력과 친숙함은 리더십 위치에 적합한 사람을 결정하는 강력한 예측 변수이다. 두 명의 미국 국회의원 후보의 사진을 나란히 1초 동안 노출시킨 후 내려진 판단은 선거 결과의 예측성이 높았다. 비슷한 연구 Palmer|Peterson|2012영어에서도 사실적 지식을 고려하더라도 더 매력적이라고 평가받은 후보가 더 지식이 풍부하다고 인식되었다. 따라서, 외모 평가 또한 선거 성공의 주요 예측 변수로 나타난다.[50][51]
5. 4. 법률
랜디(Landy)와 시걸(Sigall)의 1974년 연구는 학업 과제에 대한 여성의 지능과 능력에 대한 남성의 판단을 통해 후광 효과를 살펴보았다.[46] 60명의 남성 학부생이 좋은 예시와 나쁜 예시가 모두 포함된 에세이의 질을 평가했다. 참가자 중 3분의 1은 매력적인 여성의 사진을, 다른 3분의 1은 매력적이지 않은 여성의 사진을, 나머지 3분의 1은 사진을 보지 않았다. 평균적으로 대부분의 참가자는 매력적인 저자의 에세이에 더 높은 점수를 주었다. 1점에서 9점 척도에서 매력적인 저자가 쓴 좋은 에세이는 평균 6.7점을 받았고, 매력적이지 않은 저자는 5.9점(대조군은 6.6점)을 받았다. 나쁜 에세이에서는 격차가 더 컸다. 매력적인 저자는 평균 5.2점, 대조군은 4.7점, 매력적이지 않은 저자는 2.7점을 받았다. 이는 남성들이 외모가 매력적인 여성의 성과가 기준에 미치지 못할 때 더 관대하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46]사법 환경에서 후광 효과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에프란(Efran, 1974)은 매력적인 사람에게 덜 매력적인 사람보다 더 관대한 판결을 내린다는 것을 발견했다. 동일한 범죄가 저질러졌음에도 이러한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매력적인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특성을 가질 가능성이 더 높고 성공적인 미래를 가질 것이라는 사회적 인식 때문이라고 분석했다.[46]
- 모나한(Monahan, 1941)은 다양한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는 데 익숙한 사회 복지사들이 아름다운 사람이 범죄를 저질렀다고 생각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발견했다.[46]
- 한 연구에서는 절도와 사기라는 두 가지 가상의 범죄를 제시했다. 절도는 한 여성이 불법적으로 열쇠를 얻어 2200USD를 훔치는 것이었고, 사기는 한 여성이 남자를 조작하여 존재하지 않는 회사에 2200USD를 투자하게 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범죄가 매력과 관련이 없을 때(절도) 매력적이지 않은 피고인이 매력적인 피고인보다 더 엄하게 처벌받았다. 그러나 범죄가 매력과 관련이 있을 때(사기), 매력적인 피고인이 매력적이지 않은 피고인보다 더 엄하게 처벌받았다. 이 연구는 (후광 효과로 인해) 매력적인 여성에게 일반적으로 주어지는 관대함이 범죄의 본질이 그녀의 외모와 관련될 때 무효화되거나 반전된다고 결론지었다.[15]
후광 효과는 "살아있는 유산"을 창출한 공직자들에게서 나타나며, 이들의 전반적인 업적을 평가할 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뉴욕 타임스''는 보도했다.[46]
연구자들은 인지된 외모와 목소리의 매력(또는 그 반대)이 판단의 편견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47][48] 2010년 연구[49]에 따르면 매력과 친숙함은 리더십 위치에 적합한 사람을 결정하는 강력한 예측 변수이다. 두 명의 미국 국회의원 후보 사진을 나란히 1초 동안 보여준 후 내린 판단은 선거 결과의 예측성이 높았다. 팔머(Palmer)와 피터슨(Peterson)의 2012년 연구에서도 사실적 지식을 고려하더라도 더 매력적이라고 평가받은 후보가 더 지식이 풍부하다고 인식되었다. 따라서 외모 평가는 선거 성공의 주요 예측 변수로 나타난다.[50][51]
5. 5. 교육
의 연구에 따르면, 교실에서도 후광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 일반 및 특수 교육 초등학교 교사들은 일반 4학년 교실의 어린이들을 촬영한 비디오를 시청했다. 아이들은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반항성 도전 장애(ODD) 또는 표준 행동을 보이는 배우였다. 교사들은 ADHD 아동의 과잉 행동을 정확하게 평가했지만, ODD 유사 행동을 보이는 아동의 과잉 행동 평가는 훨씬 더 높았으며, ODD를 가진 것으로 보이는 아동에게서 후광 효과를 보였다.는 교사의 아동 평가에서 후광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발견했다. 교사들은 정상적인 아이의 비디오를 시청하고, 그 아이가 "정서 장애", 학습 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정신 지체", 또는 "정상"이라고 들었다. 교사들은 정서 장애 아동에 대해 부정적인 기대를 갖고 있었으며, 정상적인 행동을 보일 때조차 이러한 기대를 유지했다. "정신 지체"라는 라벨은 "정서 장애" 또는 "학습 장애"라는 라벨보다 더 큰 부정적인 편견을 보였다.
교실에서 교사들은 학생들을 평가할 때 후광 효과 평가 오류에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얌전한 학생을 본 교사는, 그 학생의 해당 분야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전에, 그 학생이 똑똑하고, 성실하며, 적극적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후광 효과는 학생들의 특정 영역에 대한 승인 등급이나, 심지어 학생들의 성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65]
6. 뿔 효과 (Horn Effect)
'''뿔 효과'''(Horn effect)는 후광 효과의 부정적인 형태로, 개인이나 제품의 싫어하는 특징이나 측면이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을 말한다.[35] 심리학자들은 이를 "편향 맹점"이라고 부른다.[59] 즉, "개인은 (부정적인) 특성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믿는다."[60] 이는 부정적인 첫인상 때문에 발생한다.[61][62]
가디언지는 우고 차베스와 관련하여 악마 효과에 대해 "어떤 지도자들은 너무 악마화되어 그들의 성과와 실패를 균형 있게 평가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라고 썼다.[63]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이는 사람의 경우, 그들이 하는 부정적인 일은 강조되는 반면, 그들이 하는 긍정적인 일은 보이지 않거나 의심을 받는다.[15]
역후광 효과의 적용 사례로는 자신의 매력을 이용하여 이득을 취하는 범죄자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15]와 젊은 여성이 쓴 철학 에세이가 나이든 남성이 쓴 에세이보다 낮게 평가되는 경우가 있다.[15][58]
「후광 효과」는 일반적으로 좋은 방향으로의 인지 편향을 가리키지만, 원리적으로는 좋은 인상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도, 나쁜 인상에서 부정적인 방향으로도 작용한다.[67][66] '''역후광 효과'''(reverse-halo effect), '''악마 효과'''(devil effect)라고도 한다. 이 용어는 악마의 뿔(devil's horn)을 의미하는 "뿔(horn)"에서 유래되었다.
7. 기타 용도
"후광 효과"라는 용어는 심리학이나 비즈니스 분야 외에도 여러 분야에서 사용된다.
조직의 마케팅 예산이 삭감될 때, 이전 광고 지출의 유효 빈도로 보상되는 '최근성' 손실과 관련된 순현재가치의 금전적 가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31] 이는 1966년판 교재와 "마케팅 게임"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통해 처음으로 학생들에게 시연되었다.[32]
또한 기관의 경우, 조직의 특정 측면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전체 운영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를 결정할 수 있다.[31] 예를 들어, 병원이 훌륭한 개심술 및 심장 프로그램으로 알려져 있다면, 지역 사회는 다른 분야에서도 뛰어날 것으로 기대할 것이다. 이는 또한 급격한 성장을 통해 언론의 호의적인 보도를 받았지만 결국 실패한 금융 기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32]
금속 탐지[33]에서 "후광 효과"는 젖은 토양에 일정 기간 동안 방치된 금속 물체 또는 동전의 탐지 가능성이 향상되는 것을 의미한다. 물체는 토양에 금속 성질을 침출시켜 탐지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데, 물체를 둘러싼 영역을 "후광"이라고 한다.[68]
인지 편향과 관련 없는 경우에도 "후광 효과"라는 용어가 사용되는데, 이는 광륜 형상에서 유래되었다.
- 영상 처리: 샤프 필터를 사용하여 경계선의 번짐을 보정했을 때 나타나는 흰색 테두리가 광륜처럼 보이는 현상.
- 영상 분야: 사람의 배경에 광륜을 더한 영상 효과.
- 전자 분야: 촬상관에 관한 것.
- 역학 분야
- 치과의학 분야
- 기상 분야: 브로켄 현상
8. 한국 사회와 후광 효과
어떤 대상을 평가할 때, 뚜렷한 특징 때문에 다른 특징에 대한 평가가 왜곡되는 현상을 후광 효과라고 한다[65]. 예를 들어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전문 분야가 아닌 다른 일에도 권위가 있다고 느끼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후광 효과라는 용어는 에드워드 손다이크가 1920년에 발표한 논문 "A Constant Error in Psychological Ratings"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여기서 후광(ハロー)은 성인의 머리 위에 그려지는 광륜을 의미한다[66].
이러한 현상은 원시 시대에 사물을 즉각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생존에 유리했고, 그 결과가 유전적으로 이어져 왔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66].
"미운 아이 떡 하나 더 준다", "고슴도치도 제 새끼는 예쁘다"와 같은 속담은 이러한 후광 효과를 잘 나타낸다[67].
8. 1. 외모 지상주의
어떤 대상을 평가할 때, 뚜렷한 특징 때문에 다른 특징에 대한 평가가 왜곡되는 인지 편향 현상이다.[65] 예를 들어, 외모가 좋은 사람을 신뢰할 수 있다고 느끼는 것이 있다.8. 2. 학벌주의
어떤 대상을 평가할 때, 그 대상의 뚜렷한 특징 때문에 다른 특징을 평가하는 것이 왜곡되는 (인지 편향) 현상이다.[65] 예를 들어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그 전문 분야가 아닌 다른 일에 대해서도 권위가 있다고 느끼거나, 외모가 뛰어난 사람을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후광 효과라는 용어는 심리학자 에드워드 손다이크가 1920년에 발표한 논문 "A Constant Error in Psychological Ratings"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여기서 후광(ハロー)은 성인의 머리 위에 그려지는 광륜을 의미한다.[66]
후광 효과가 발생하는 이유는 원시 시대에 사물을 즉각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생존에 유리했기 때문이며, 이러한 경향이 유전적으로 이어져 내려왔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66]
"미운 아이 떡 하나 더 준다", "고슴도치도 제 새끼는 예쁘다"와 같은 속담은 이러한 후광 효과를 잘 보여준다.[67]
참조
[1]
웹사이트
'Halo Effect | Definition of Halo Effect by Lexico'
https://en.oxforddic[...]
2017-08-02
[2]
뉴스
Understanding Marketing Psychology and the Halo Effect
http://adage.com/art[...]
Crain Publications
2006-04-17
[3]
간행물
Halo Effect
2010
[4]
간행물
The halo effect: Evidence for unconscious alteration of judgments.
1977
[5]
간행물
Is He a Hero or a Weirdo? How Norm Violations Influence the Halo Effect
2016-12
[6]
간행물
A Direct Study of Halo Effect
1985-11
[7]
간행물
Weight Halo Effects: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ceived Life Success as a Function of Women's Race and Weight
2003-05-01
[8]
간행물
Implicit social cognition: Attitudes, self-esteem, and stereotypes.
1995
[9]
간행물
A constant error approach to the study of dimensions of social perception.
1960-07
[10]
서적
Elsevier's Dictionary of Psychological Theories
Elsevier Science & Technology
2006
[11]
서적
Choices & Connections
[12]
서적
Thinking, fast and slow
Farrar, Straus, and Giroux
[13]
서적
The Halo Effect and the Eight Other Business Delusions That Deceive Managers
Free Press
[14]
간행물
Citations f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 Sepsis Literature: The Halo Effect Caused by Journal Impact Factor
2017-01-03
[15]
간행물
Beautiful but Dangerous: Effects of Offender Attractiveness and Nature of the Crime on Juridic Judgment
https://www.research[...]
1975-03-01
[16]
뉴스
Halo Effect
https://www.investop[...]
2008-10-27
[17]
뉴스
Apple shares surfs on big profits
http://news.bbc.co.u[...]
2005-01-13
[18]
뉴스
Apple puts iPod halo to test with Shuffle and Mini
https://adage.com/ar[...]
2005-01-17
[19]
뉴스
For advertisers, the Emmy halo effect is a thing of the past
https://adage.com/ar[...]
2019-07-16
[20]
뉴스
The Wonder Woman Effect
https://www.nytimes.[...]
2017-08-01
[21]
간행물
What good is a halo car anyway?
https://www.popularm[...]
Hearst Communications, Inc.
2012-08-31
[22]
간행물
Using a decision support optimisation software tool to maximise returns from an overall marketing budget: A case study from a B-to-C marketing company
2012-06-01
[23]
간행물
Unpacking the halo effect: reputation and crisis management
2006-04
[24]
간행물
Impact of Perceived Healthiness of Food on Food Choices and Intake
2016-03
[25]
간행물
What's that you're eating? Social comparison and eating behavior
2017-12
[26]
뉴스
Interview: Gerald Steinberg
http://www.thejc.com[...]
2010-06-24
[27]
뉴스
The 'halo effect' shields NGOs from media scrutiny
http://www.jpost.com[...]
2008-10-08
[28]
웹사이트
Corporate Donors
http://www.ronaldhou[...]
Ronald House Durham
[29]
간행물
Unpacking the halo effect: reputation and crisis management
[30]
간행물
Evaluations in a Product-Harm Crisis
[31]
서적
Organizational Behavior, Theory, and Design in Health Care
Jones & Bartlett Publishers
[32]
서적
The Halo Effect: . . . and the Eight Other Business Delusions That Deceive Managers
Free Press
[33]
웹사이트
Do Metal Detectors Work Better on Wet Ground?
https://metaldetecto[...]
[34]
간행물
"Elsevier's Dictionary of Psychological Theories2006405Compiled by J.E. Roeckelein. Elsevier's Dictionary of Psychological Theories. Amsterdam: Elsevier 2006. xii+679 pp. £90; $143, {{text|ISBN}}: 0 444 51750 2"
2006-12
[35]
서적
The Gale Encyclopedia of Psychology
[36]
서적
1920
[37]
백과사전
Rater Errors
2004
[38]
서적
"Cognitive bias." Leadership Glossary: Essential Terms for the 21st Century
Mission Bell Media
[39]
서적
Cognitive Biases in Visualizations
Springer
2018
[40]
웹사이트
Horns and halo effect
http://www.thefreedi[...]
The Free Dictionary
2015-09-30
[41]
서적
The Halo Effect
Lake Union Publishing
[42]
학술지
Weight Halo Effects: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ceived Life Success as a Function of Women's Race and Weight
[43]
학술지
Halo Effect
https://library.dcta[...]
2020
[44]
웹사이트
How to avoid the Halo Effect in your company's decissions
https://hr4smes.com/[...]
2021-01-19
[45]
학술지
Citations Classics - Commentary on 'What is beautiful is good' (1972)
http://garfield.libr[...]
ISI
1990
[46]
뉴스
Halo Effect
https://www.nytimes.[...]
1982-01-30
[47]
학술지
The effects of physical and vocal attractiveness on impression formation of politicians
2006-03
[48]
학술지
Attractiveness and Facial Competence Bias Face-Based Inferences of Candidate Ideology
2016
[49]
학술지
The Attractiveness Halo: Why Some Candidates are Perceived More Favorably than Others
2010-06
[50]
학술지
Faces of politicians: Babyfacedness predicts inferred competence but not electoral success
http://www.ssoar.inf[...]
2009-09
[51]
학술지
The right look: Conservative politicians look better and voters reward it
2017-02
[52]
학술지
When beauty may fail
1975
[53]
학술지
Is beauty talent? Sex interaction in the attractiveness halo effect
1978-04-01
[54]
학술지
Intelligence and attractiveness in the face: Beyond the attractiveness halo effect
2011-09
[55]
학술지
Comment on Halo Effects in Rating and Evaluation Research
2002-10
[56]
학술지
Halo effects from agency behaviors and communion behaviors depend on social context: Why technicians benefit more from showing tidiness than nurses do: Halo effects depend on social context
2018-08
[57]
학술지
What is beautiful is good, but . . .: A meta-analytic review of research on the physical attractiveness stereotype.
1991
[58]
학술지
She just doesn't look like a philosopher…? Affective influences on the halo effect in impression formation: Mood and halo effects
2011-12
[59]
웹사이트
Halo and horns effects in rating errors
http://www.rightatti[...]
[60]
웹사이트
Mental Model: Horns Effect and Halo Effect
https://www.joshuake[...]
2011-11-12
[61]
서적
The AMA Dictionary of Business and Management
Publishing Division o f the 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
2013
[62]
학술지
The halo effect: Evidence for unconscious alteration of judgments
[63]
뉴스
Hugo Chávez's reverse-halo effect
https://www.theguard[...]
2011-05-03
[64]
뉴스
Why Attractive Candidates Win
https://www.nytimes.[...]
2013-11-03
[65]
서적
『大人も知らない?ふしぎ現象事典』
マイクロマガジン社
2021
[66]
웹사이트
ハロー効果:その定義とWebユーザーエクスペリエンスへの影響
https://u-site.jp/al[...]
U-Site
2013-11-09
[67]
웹사이트
後光効果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68]
웹사이트
Do Metal Detectors Work Better on Wet Ground?
https://metaldetecto[...]
2021-11-07
[69]
서적
사람을 움직이는 100가지 심리법칙
케이앤제이
2011
[70]
서적
사람을 움직이는 100가지 심리법칙
케이앤제이
2011
[71]
서적
HALO EFFECT
스마트비지니스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