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두개 파열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두개 파열음은 조음 위치가 후두개와 인두벽 하부이며, 조음 방법은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터뜨리는 파열음의 일종이다. 발성은 무성음이 일반적이며, 연구개는 들어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는다. 아미스어, 아르치어, 다할로어, 하이다어, 잉구시어 등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각 언어별로 단어의 의미와 발음이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두개음 - 유성 후두개 마찰음
    유성 후두개 마찰음은 후두개와 인두벽 사이의 좁은 틈에서 공기를 마찰시켜 내는 유성 후두개음으로, 발성 시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며 아굴어, 이라크 아랍어, 시와어 등에서 나타난다.
  • 후두개음 - 무성 후두개 마찰음
    무성 후두개 마찰음은 후두개와 인두벽 하부에서 조음되며, 성대 진동 없이 좁은 틈을 통과하는 공기의 마찰로 만들어지는 자음이다.
  • 파열음 - 성문 파열음
    성문 파열음은 조음기관 내 공기 흐름을 막아 성문을 닫은 상태에서 발음되며, 무성음으로 분류되고, 아랍어 등 여러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난다.
  • 파열음 - 무성 치경 파열음
    무성 치경 파열음은 폐에서 나오는 공기로 혀끝과 치조 사이에서 발음되는 소리로, 혀로 공기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이며, 한국어의 ㄷ, ㅌ, ㄸ, 영어의 't', 일본어의 た(タ) 등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후두개 파열음

2. 특징

후두개 파열음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조음 방법조음기관 내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만드는 파열음이다.
  • 발성은 정의되어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성대의 진동 없이 생성되는 무성음이다. 유성 후두개 "파열음"은 후두개 탄음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 기류 발생은 폐기류 기구에서 나오는 호기이다.

무성 후두개 파열음

2. 1. 조음 방법

조음 위치는 후두개와 인두벽 하부에 의한 후두개음이다. 조음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구강 내 기류는 구분하지 않는다.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는 완전한 폐쇄를 만들고 한 번에 개방함으로써 생기는 파열음이다.
  • 연구개 위치는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는 구음이다.


2. 2. 조음 위치

조음 위치는 후두개와 인두벽 하부에 의한 후두개음이다.

2. 3. 발성


  • 조음 위치는 후두개와 인두벽 하부에 의한 후두개음이다.
  • 발성은 일반적으로 성대의 진동 없이 생성되는 무성음으로 정의되지만, 유성 후두개 "파열음"은 후두개 탄음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 조음 방법
  • * 구강 내 기류는 구분 없다.
  •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는 완전한 폐쇄를 만들고 한 번에 개방함으로써 생기는 파열음이다.
  • * 연구개 위치는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는 구음이다.
  • 기류 발생은 폐기류 기구에서 나오는 호기이다.

3. 언어별 예시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아미스어ul}}[ʡuʡuɺ̠ᵊ]안개파열음이 떨리는 경우도 있음, [ʡʢ].[2]
아르치어гӀарз|g'arzaqc[ʡarz]불만[2]
다할로어[tɬʼaːʡa]호수[3]
하이다어북부 방언antl|g̱antlhdn[ʡʌntɬ]남부 방언에서는 /q/에 해당.
잉구시어Ӏам|w'aminh[ʡam]호수, 연못키릴 문자 표기법에서는 "Ӏ"으로도 표기.[4]
체첸어


3. 1. 아미스어

아미스어에서 ''''''ul}}은 '안개'를 뜻하며, IPA로는 [ʡuʡuɺ̠ᵊ]로 표기한다. 파열음이 떨리는 경우도 있어 [ʡʢ]로 표기하기도 한다.[2]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아미스어ul}}[ʡuʡuɺ̠ᵊ]안개파열음이 떨리는 경우도 있음, [ʡʢ].


3. 2. 아르치어

아르치어에서 후두개 파열음은 гӀарз|g'arzaqc로 표기되며, IPA로는 [ʡarz]로 나타낸다. 이 단어는 '불만'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2]

3. 3. 다할로어

다할로어에서 후두개 파열음은 tɬʼaːʡa|트ʼ아ːʡ아dah로 소리나며, '호수'를 의미한다.[3]

3. 4. 하이다어

하이다어 북부 방언에는 g̱antl|간틀hdn이라는 단어가 있으며, '물'을 의미한다. 이 단어는 남부 방언에서 /q/에 해당한다.

3. 5. 잉구시어

'''Ӏ'''ам|암inh[4]은 '호수, 연못'을 뜻하며, 키릴 문자 표기법에서는 "Ӏ"으로도 표기한다.

3. 6. 체첸어

체첸어에서 후두개 파열음이 발견된다.

참조

[1] 간행물 "Phonetic Notation" Hardcastle, Laver & Gibbon (eds) 2010
[2] 웹사이트 The Archi Language Tutorial http://www.archi.sur[...] 2021-05-03
[3] 서적 1993
[4] 서적 Ingush grammar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