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다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다어는 북미 원주민 언어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와 미국 알래스카주에 걸쳐 거주하는 하이다족이 사용한다. 1772년 유럽인과의 최초 접촉 이후, 천연두와 같은 질병과 기숙 학교 시스템으로 인한 원어 사용 금지로 인해 하이다어 인구가 급감하고 언어가 쇠퇴했다. 현재는 유네스코의 '심각한 멸종 위기' 언어로 분류되며, 대부분의 화자가 노인이다. 하이다어는 북부와 남부 방언으로 나뉘며, 음운론적으로 복잡한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갖추고 있다. 문법적으로는 SOV 어순을 따르며, 접사, 후치사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문법적 기능을 표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캐나다의 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켈트어의 일종으로 아일랜드 게일어, 맨섬 게일어와 관련이 깊으며, 스코틀랜드에 전파된 후 쇠퇴하여 현재는 소수만 사용하고 있고, 잉글랜드의 탄압과 영어 확산으로 사용 인구가 급감했으나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으로 소멸 위기를 극복하려 노력 중이지만 소멸 가능성 우려도 제기되는 언어이다. - 미국의 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미국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성조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성조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하이다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하이다어 |
고유 이름 | X̱aat Kíl, X̱aadas Kíl, X̱aayda Kil, Xaad kil |
사용 국가 |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하이다과이) 알래스카주 (프린스오브웨일스섬) |
민족 | 하이다족 |
사용자 수 | 13명 (2018년, 2020년) |
언어 고립 여부 | 고립어 |
문자 | 라틴 문자 |
지정 기관 | 하이다족 국가 위원회 |
ISO 639-2 | hai |
ISO 639-3 | hai |
Glottolog | haid1248 |
Glottolog 명칭 | 하이다어 |
언어 지도 | |
![]() | |
방언 | |
북부 하이다어 | hdn |
남부 하이다어 | hax |
하이다족 정보 | |
민족 명칭 | 하이다족 |
언어 명칭 | 하이다 킬 |
거주 지역 | 하이다과이 |
2. 역사
하이다족과 유럽인의 최초 접촉은 1772년 후안 페레스의 탐험 항해에서 이루어졌다.[3] 이후 계속된 접촉 과정에서 발생한 전염병과 기숙 학교 등으로 인해 하이다어는 쇠퇴의 길을 걷게 된다.
프란츠 보아스는 1894년에 하이다어가 틀링깃어와 유전적으로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처음 제안했으며, 에드워드 사피어는 1915년에 하이다어를 나데네어족에 포함시켰다.[21] 하지만 오늘날 많은 언어학자들은 하이다어를 고립어로 간주한다.[22]
하이다어는 크게 북부 방언과 남부 방언으로 나뉜다.[3] 북부 하이다어는 알래스카 (또는 카이거니) 하이다어와 매싯 (또는 노스 그레이엄 아일랜드) 하이다어로 나뉘며, 남부 하이다어는 원래 스키드가이트 하이다어와 닌스틴츠 하이다어로 나뉘었지만, 닌스틴츠 하이다어는 현재 사멸되었다.[3]
북부 하이다어는 인두 자음으로 유명하며, 살리시 언어와 와카시 언어를 포함하는 북서 아메리카의 작은 지역 언어들에서 나타난다.[28]
2. 1. 유럽인과의 접촉 이전
1772년 후안 페레스의 탐험 이전까지 하이다족은 하이다 궨hai, 달 섬, 프린스 오브 웨일스 섬 등에 거주했다.[3] 당시 하이다족 인구는 약 15,000명이었다.[4]2. 2. 유럽인과의 접촉 이후
1772년 후안 페레스의 탐험으로 하이다족과 유럽인 사이에 최초의 접촉이 기록되었다.[3] 이 당시 하이다족은 하이다 궨, 달 섬, 프린스 오브 웨일스 섬에 거주했다.[3] 접촉 이전 하이다족 인구는 약 15,000명이었으나, 초기 접촉 직후 발생한 첫 천연두 유행으로 인구가 약 10,000명으로 감소했고, 닌스틴츠 방언 지역 대부분이 황폐화되었다.[4] 1862년에는 또 다른 유행병으로 인구가 1,658명으로 줄었다.[4] 성병과 결핵으로 인해 1915년에는 인구가 588명까지 감소했다.[4] 이러한 급격한 인구 감소는 마을 통합으로 이어졌고, 결국 매싯 (1876년 통합), 스키데게이트 (1879년 통합), 하이다버그 (1911년 통합)의 세 마을로 통합되었다.[5]1830년대에는 하이다어를 기반으로 한 상업어(피진)인 '하이다어 속어'가 영어, 하이다어, 해안 침시안, 헬츠크 화자들 사이에서 사용되었다.[6] 1858년 프레이저 협곡 골드 러시로 빅토리아가 호황을 누리면서, 남부 하이다족은 매년 빅토리아로 이동했고, 이때 치누크 속어를 사용했다.[8] 이러한 접촉은 남부 하이다족에게 큰 영향을 미쳤지만, 북부 하이다족은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태도를 유지했다.[8]
1862년 윌리엄 던컨은 침시안 개종자들과 함께 알래스카에 메틀라카틀라를 건설했는데, 이는 북서부 해안 전역에 전통을 포기하는 것이 더 나은 삶을 위한 길이라는 인식을 확산시켰다.[10] 하이다족은 선교사를 초청했고, 1876년 첫 선교사가 도착하여 하이다어로 사역했다.[10] 존 헨리 킨 목사는 공동 기도서를 하이다어로 번역했다.[11][12]
20세기 초, 하이다족은 자녀들을 기숙 학교에 보내기 시작했고, 이는 원어 사용 금지로 이어져 하이다어 쇠퇴에 큰 영향을 미쳤다.[13] 1930년대부터 하이다족 가족들은 자녀 교육을 위해 영어로 말하기 시작했고, 이후 하이다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어린이는 거의 없게 되었다.[13]
3. 현황
오늘날 대부분의 하이다족은 하이다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 언어는 유네스코의 ''위험에 처한 세계 언어 지도''에서 "심각한 멸종 위기"로 분류되어 있으며, 거의 모든 화자가 노인이다.[14][15] 2003년 현재, 하이다어 사용자의 대부분은 70세에서 80세 사이이며, "상당히 단순화된" 형태의 하이다어를 사용하고, 언어 이해는 주로 50세 이상으로 제한된다. 이 언어는 남아있는 화자와 이해자 사이에서도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44]
하이다족은 전통 문화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현재 세 개의 하이다족 공동체 학교에서 하이다어 프로그램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지만, 이러한 프로그램은 효과가 없었다.[16] 하이다어 수업은 많은 하이다족 공동체, 주노, 케치칸, 하이다버그에 있는 알래스카 동남대학교에서 수강할 수 있다.[15][17] 스키드가이트 하이다어 언어 앱은 아이폰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온라인 원주민 언어 데이터베이스 FirstVoices.com에 보관된 단어와 구문으로 구성된 이중 언어 사전 및 구문 모음"을 기반으로 한다.[18]
2017년 킹굴리트 프로덕션은 하이다어로만 연기되는 첫 장편 영화를 제작 중이었다. 배우들은 대사를 정확하게 발음하도록 훈련받아야 했다.[19] 이 영화는 SGaawaay K’uuna("칼날의 끝")이라는 제목으로 2019년 4월 영국에서 개봉될 예정이었다.[20]
4. 분류
에드워드 사피어는 하이다어를 나데네어족에 포함시켰지만, 이후의 연구에 의해 고립어로 보는 것이 정설이 되었다. 2008년에는 나데네어족과 시베리아의 케트어(예니세이어족)를 동계로 보는 연구가 발표되어 유력하게 여겨지고 있지만, 이 연구에서도 하이다어를 동계로 보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125][126]
5. 방언
하이다어는 크게 남부 방언과 북부 방언으로 나뉜다. 북부 방언은 다시 알래스카 방언과 매싯(Masset) 방언으로 나뉜다. 남부 방언은 스키드게이트(Skidegate) 방언과 이미 소멸된 닌스틴츠(Ninstints) 방언으로 나뉜다.[1]
6. 음운론
하이다어의 음운론은 방언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모음: 7개에서 10개의 모음이 있으며, 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분이 있다.
- 자음: 30개 이상의 자음이 있으며, 유기음, 방출음, 성문음 등이 존재한다. 북부 하이다어에는 인두음도 있다.[49][50]
- 음절 구조: 단모음 앞뒤에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자음이 올 수 있는 (C(C(C))V(V)(C(C)) 구조가 기본이다.
- 성조: 성조 또는 고저 강세가 존재하지만, 단어 의미를 구별하는 데 큰 역할을 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어형 변화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6. 1. 자음
스키데이트 하이다어는 30개 이상의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유기음, 방출음, 성문음 등을 포함한다. 북부 하이다어(매싯, 알래스카)에는 인두음이 존재한다.[49][50]rowspan=2 colspan=2| | 양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경구개음 | 경구개음~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성문음 | ||
---|---|---|---|---|---|---|---|---|---|
중앙 | 설측 | ||||||||
파열음 | 평음 | () | |||||||
유기음 | |||||||||
방출음 | |||||||||
파찰음 | 약음 | ||||||||
강음 | |||||||||
방출음 | |||||||||
마찰음 | () | ||||||||
비음 | 평음 | ||||||||
성문화 | |||||||||
접근음 | 평음 | ||||||||
성문화 |
- 평음은 음절의 첫머리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유성음화된다.[25]
- 일부 화자에게서 는 음절의 시작에서만 발생하고, 는 거기에서 발생하지 않아, 같은 음소의 변이음이 된다.[26]
- 북부 하이다어 (매싯 하이다어 및 알래스카 하이다어)에서, 는 역사적으로 로 발전했으며, 는 남부 하이다어, 틀링깃어, 침시안어, 치누크 재버러우에서 가끔 차용되어 다시 도입되었다.[50][27] 인두음 의 실제 발현은 방언에 따라 다르다.[28] 매싯 하이다어에서는 인두 마찰음, 인 반면, 하이다버그에서 사용되는 알래스카 하이다어에서는 후두개 떨림 과 떨리는 후두개 파찰음 또는 후두개 파열음 로 묘사되었다.[28][29]
알래스카 하이다어에서는, 일부 화자에게서 뿐만 아니라 모든 연구개음, 구개수음, 후두개음이 와의 클러스터의 융합으로 인한 원순 모음을 갖는다.[30] 알래스카 하이다어는 또한 치경음 또는 후치경 자음 앞에 올 때 이 으로, 이 로 단순화되는 경향을 보인다.[31]
스키데이트 하이다어에서, 는 음절 말 위치에서 변이음 을 갖는다.[49]
6. 2. 모음
스키데이트 하이다어는 7개의 모음 음소를 가진다. 매싯 및 카이가니 하이다어는 8~10개의 모음 음소를 가진다.[33][53]
고모음 /i iː u uː/|i iː u uːund는 상중 고모음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이완 및 긴장된 값을 포함한다.[34]
모음 /ɛː ɔː/|ɛː ɔːund는 스키데이트 하이다어에서는 드물다.[34] /ɔː/|ɔːund는 일부 감탄사와 차용어에서만 나타나며, /ɛː/|ɛːund는 "다섯"을 뜻하는 tleehll|tleehllhai와 (분철어) tl'lneeng|tl'lneenghai의 두 단어에서만 나타난다.[34] 매싯 하이다어에서는 /ɛ/|ɛund와 /ɛː/|ɛːund가 매우 흔하며 확산 및 음운 변동 과정에 관여한다.[50] 알래스카 하이다어에는 이 두 모음이 모두 없지만, 저성조 /əʔi/|əʔiund 및 /əji/|əjiund 시퀀스의 수축으로 도입된 이중 모음 /ei/|eiund가 있다.[35]
스키데이트 하이다어에서 모음 /a/|aund의 일부 사례는 기본적인 수준에서 음질이 지정되지 않는다.
/ə/|əund는 /aː/|aːund의 짧은 상대이며, 따라서 /a/|aund로 분석할 수도 있다. 실현에서 매우 가변적이지만, 구개수 및 후두개 자음 뒤에 나타날 때는 변이음 [ʌ]|[ʌ]und을 갖는다.[37] 시퀀스 /jaː/|jaːund 및 /waː/|waːund는 일부 화자에게 [æː]|[æː]und 및 [ɒː]|[ɒː]und로 변하는 경향이 있다.[38]
6. 3. 성조
하이다어는 음소적 성조를 가지며, 그 성격은 방언에 따라 다르다.캐나다 방언(스키드가이트와 매싯)은 낮은 기능 부하를 가진 성조 체계를 가지고 있다.[42] 무표지 강세 음절(긴 모음이나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은 높은 음조를 가지며, 무표지 약음절은 낮은 음조를 가진다. gid|긷hai "개", gin|긴hai "변재".[42] 표지 음절의 예로는 sùu|쑤hai "가운데" (매싯), k'á|카hai "아주 작은" (스키드가이트)가 있다.[43] 매싯 하이다어에서는 표지 낮은 성조 음절이 더 흔하며, 모음 사이 자음의 생략으로 인해 발생한다. 스키드가이트 7axad|7아하드hai를 매싯 7àad|7아드hai "그물"과 비교해 보라.[43] 어떤 교체는 표지 성조가 아닌 음절 분석의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매싯 q'al.a|크알라hai '무스크그'를 q'ala|카라hai '의심하다'와 비교해 보라. 여기서 .|.hai는 음절 경계를 나타낸다.[43]
스키드가이트 하이다어에서 표지 성조가 없는 단모음은 단어 초두의 개음절에 위치할 때 음성적으로 길어진다. 예를 들어, q'an|칸hai "풀"은 q'anaa|카나hai "풀이 많은"이 된다.[44]
매싯 하이다어에서, 표지 낮은 성조 음절은 길이가 더 길다. 예를 들어, ginn|긴hai "것", 7aww|7아우hai "어머니".[45]
카이가니에서는, 이 체계는 주로 음고 강세의 체계이며, 대부분의 단어에서 단어당 최대 하나의 음절이 높은 성조를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몇 가지 예외가 있으며 (예: gúusgáakw|구스가쿠hai "거의"), 무엇을 독립적인 "단어"로 간주해야 하는지가 항상 명확하지 않다.[46][47] 높은 성조 음절은 대개 강세(긴 모음을 가지거나 자음으로 끝남)를 가진다.[48]
6. 4. 음소 배열
하이다어의 음절 구조는 (C(C(C))V(V)(C(C))이다.7. 문자
하이다어를 표기하기 위해 여러 정서법이 고안되었다. 최초의 문자는 교회 선교 협회의 선교사 찰스 해리슨이 고안했으며, 그는 하이다어로 구약 성경의 일부 이야기를 번역했다.[54][55] 언어학자 존 엔리코(John Enrico)는 스키데이트와 매싯 하이다어를 위한 또 다른 표기법을 만들었는데, 이 표기법은 캐나다에서 인기가 있다.[59][60][61]
1972년 알래스카 원주민 언어 센터(ANLC)에서 틀링깃어 표기법을 기반으로 카이거니 하이다어를 위해 고안한 알파벳은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 로버트 브링허스트는 하이다 문학 출판물을 위해 구두점이나 숫자가 없는 표기법을 만들었고, 2008년에는 스키데이트 하이다어 몰입 프로그램(SHIP)에서 또 다른 표기법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스키데이트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표기법이다.[62]
하이다 자음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ANLC 표기법에서는 음절 초 위치에서 ts를 ch로 표기하며, 이중자와 자음군을 구별하기 위해 하이픈을 사용한다.[60]
다음은 하이다어 모음의 표기법이다.
8. 문법
하이다어 문법은 영어와 차이가 있다. 품사는 명사, 동사, 후치사, 지시사, 양화사, 부사, 부착사, 감탄사, 대답, 분류사, 도구사로 나뉜다.[98] 영어와 달리 형용사가 따로 없고, 일부 사람을 나타내는 단어는 동사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jáadahai'는 "(여자가) 되다", ''láahai'는 "(좋은 상태가) 되다"와 같이 쓰인다.[65]
하이다어 형태론은 주로 접미사가 붙는 방식이다.[100] 접두사는 명사 분류사나 도구사에 붙어 "복합 동사"를 만들 때만 쓰인다. 예를 들어 Skidegate 방언에서 'sq'acidhai'는 "막대기-사물 집어 올리다", 'ts'icidhai'는 "여러 (작은 물건)을 족집게로 함께 집어 올리다"를 뜻하며, 이 둘은 'cidhai' "집어 올리다"라는 어근을 공유한다.[66]
정관사는 '-aayhai' 접미사로 표현된다.[67] 일부는 '-ayhai'나 '-eihai'로 줄여 쓰기도 한다.[68] 장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명사나 외래어는 '-gaayhai'를 대신 사용하며, 앞의 'aahai'가 줄거나 생략되기도 한다.[69][70] "어떤 것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사 '-gyaahai'도 있다. 예를 들어, 'tluugyaa uu hal tlaahlaanghai'는 "그는 배(배 범주에 속하는)를 만들고 있다"는 뜻이다.[71][72]
인칭 대명사는 독립형과 부착사 형태로 나뉘며, 각각 주격과 목적격이 있다. 1인칭과 2인칭은 단수와 복수가 따로 있다.[74] 3인칭 대명사는 생물에만 쓰이지만, 소유격에는 'ahljíihai'(이것)을 쓸 수 있다. 관계 명사와 전치사 뒤에는 ''wáahai'(그것, 저것)을 대신 사용한다.[75]
(알래스카) 하이다어 대명사[76]
colspan="2" | | 독립형 | 부착사 | |||
---|---|---|---|---|---|
colspan="2" | | 주격 | 목적격 | 주격 | 목적격 | |
1 | 단수 | hláahai | hlhai | díinaahai | díihai |
복수 | tlánghai / talanghai | tl'ánghai / dalanghai | íitl'aahai | íitl'hai | |
2 | 단수 | dáahai / dánghai | dánghai | dáangaahai | dánghai |
복수 | dlánghai / dalanghai | dlánghai | dláangaahai | dlánghai / dalanghai | |
3 (생물) | 'láahai | halhai | 'láangaahai | 'láahai / halhai 1 | |
불특정 | 생물 단수 | – | nanghai | – | nanghai |
생물 복수 | – | tl'hai | tl'aangaahai | tlaahai / tlhai 1 | |
무생물 | – | – | – | ginhai | |
재귀 | – | – | aangaahai | ánhai / -anghai 2 | |
상호 | – | – | gut-áangaahai | guthai / guhai 1 |
- 각주 1: 의존 명사 앞, 비전이 동사(목적어를 취하는)에 붙는 소유 대명사, 관계 명사 및 전치사 앞에 붙는 소유 대명사, 타동사에 붙는 단축형
- 각주 2: 'anhai'은 목적 대명사, '-anghai'은 결합 소유 대명사로, 수식하는 명사나 전치사에 접미사로 붙는다.
대부분의 명사는 수에 따라 변하지 않지만, 특정 경우에는 동사에서 수가 표시된다.[77] 관계 명사는 '-'langhai'(많은 경우 '-langhai')으로 복수를 만든다. (예: 'díi chan'lánghai' "나의 할아버지들")[78][79]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는 호격 형태를 갖는다. (예: 'chanáahai'(알래스카), 'chaníihai'(Masset) "할아버지!")[120]
시간적, 공간적 관계는 "관계 명사"로 나타낸다.[78] 알래스카 하이다어의 새 정서법에서는 '-kwhai'가 '-gwhai'로 바뀌었다. 예를 들어 'únkwhai'/'ínkwhai'/'ánkwhai' "표면"은 'únhai' "뒤(명사)"에서, 알래스카 하이다어 'dítkwhai' "해변에서 먼, 숲 쪽"은 명사 '(a)díithai' "해변에서 먼, 숲"에서 유래했을 것이다.[81]
몇몇 후치사는 관계 명사에 붙을 수 있다.[83] 알래스카 후치사 '-khai' "to"와 '-sthai' "from"(Skidegate '-gahai', '-sdahai')는 앞 단어에 붙는다.[83]
지시사는 'áahai'(화자 근처), 'húuhai'(청자 근처), ''wáahai'(둘 다에서 먼), 'a(hl)hai'(앞서 언급된 것)에서 만들어지며, 단독으로는 장소 지시사이다.[85]
동사는 현재, 과거, 추론의 세 가지 기본 형태가 있다.[86] 과거와 추론은 모두 과거 사건을 나타내지만, 추론은 화자가 직접 경험하지 않고 정보를 얻거나 추론했음을 나타낸다.[87]
동사 어간은 네 종류로 나뉜다:[90]
도구 접두사, 분류 접두사, 방향 접미사로 동사를 파생한다.[97] 분류사는 약 475개로 매우 많다.[98] 숫자는 보통 동사로 취급된다. (예: 'vdíi git'aláng sdáansaangaanganghai' "나는 여덟 명의 아이가 있다"(내 아이는 여덟이다))[99]
문장 구조는 어순, 대명사의 격 표시, 후치사 등으로 구성되며, 동사는 반드시 문장 끝에 온다. 어순은 SOV형이 일반적이지만, 주어가 목적어보다 상위(예: 동물에 대한 인간, 무생물에 대한 동물, 사회적 지위 등)인 경우 OSV형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명사의 수, 격에 따른 변화나 동사의 인칭, 수에 따른 일치는 없지만, 동사에 주어·목적어를 나타내는 접어형 대명사, 또 동사의 종류에 따라 목적어 등의 수량, 유별을 나타내는 접두사가 붙는 경우가 있다. 동사에는 더 많은 접사 또는 접어 (대부분 동사 뒤)가 붙어 문법적 기능이나 파생 (수단을 나타내는 접두사, 방향·장소를 나타내는 접미사 등)을 나타낸다.
동사에는 현재, 과거, 추측의 3가지 기본 활용형이 있으며, 여기에 위와 같은 접사, 접어가 붙는다. 과거에도 직접적인 경험에 의하지 않은 경우에는 추측형을 사용하며, 미래 시제는 현재형에 접미사를 붙여 나타낸다. 형용사는 동사와 구별이 없으며, "남자이다" 등 인간의 종류나, "~개 있다" 등 수량 표현에도 동사가 사용된다. 대명사에는 주(동작주)격과 목적(피동자)격의 구별이 있으며, 1인칭과 2인칭에는 단수와 복수가 있으며, 각각 독립형과 동사 등에 접미하는 접어형이 있다. 하이다어는 활격 언어로 여겨지며, 자동사에서는 종류에 따라 주어가 타동사의 목적어와 같은 격(피동자)을 취하는 경우도 많다. 접어형 대명사는 명사의 소유 등의 표현에도 사용된다. 유별 접두사는 수백 종류에 달하며, 명사, 수량사 및 일부 동사에 접속한다.
그 외 정관사, 부분 관사에 해당하는 접미사가 있다. 조사에 해당하는 접어로서, 후치사(격조사에 해당) 외에, 부조사에 해당하는 것이 있으며, 화제 표지도 포함한다.
8. 1. 형태론
하이다어의 품사는 명사, 동사, 후치사, 지시사, 양화사, 부사, 부착사, 감탄사, 대답, 분류사, 도구사이다.[98] 영어와 달리 형용사와 일부 사람을 나타내는 단어는 동사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jáadahai'는 "(여자가) 되다", ''láahai'는 "(좋은 상태가) 되다"이다.[65]하이다어의 형태론은 주로 접미사 부착이다.[100] 접두사 부착은 명사 분류사 또는 도구사 + 결합 어근으로 구성된 "복합 동사"를 형성하는 데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Skidegate 'sq'acidhai'는 "막대기-사물 집어 올리다"이고, 'ts'icidhai'는 "여러 (작은 물건)을 족집게로 함께 집어 올리다"로, 이 둘은 어근 'cidhai' "집어 올리다"를 공유한다.[66]
정관사는 '-aayhai' 접미사이다.[67] 일부 화자는 이 접미사를 '-ayhai' 또는 '-eihai'로 줄여 사용한다.[68] 일부 명사, 특히 장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명사와 차용어는 대신 '-gaayhai'를 사용하며, 종종 앞의 'aahai'가 줄어들거나 생략된다.[69][70] 하이다어에는 또한 분사 '-gyaahai'가 있는데, 이는 "어떤 것의 일부 또는... 주어진 그룹이나 범주의 하나 이상의 객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tluugyaa uu hal tlaahlaanghai'는 '그는 배를 만들고 있다 (배 범주에 속하는)'이다.[71][72]
인칭 대명사는 독립형과 부착사 형태로 나타나며, 각각 주격 또는 목적격 형태일 수 있다. 1인칭과 2인칭 대명사에는 단수와 복수 형태가 별도로 있다.[74] 3인칭 대명사는 생물에 대해서만 사용되지만, 소유를 나타내기 위해 'ahljíihai' (직역: "이것")가 사용될 수 있다. 관계 명사와 전치사 뒤에는 ''wáahai' (직역: "그것, 그곳, 저기")가 대신 사용된다.[75]
참고:
- 1. 의존 명사 앞과 비전이 동사(목적어를 취하는)에 부착된 소유 대명사로 사용되는 단축형; 관계 명사 및 전치사 앞에 부착된 소유 대명사로 사용되며, 타동사에 부착됨
- 2. 'anhai'은 목적 대명사이고, '-anghai'은 결합 소유 대명사로, 그것이 수정하는 명사 또는 전치사에 접미사로 붙음
수는 대부분의 명사에서는 표시되지 않지만, 특정 경우에 동사에서 표시된다.[77] 관계 명사는 '-'langhai' (또는 많은 화자의 경우 '-langhai')으로 복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díi chan'lánghai'는 "나의 할아버지들"이다.[78][79]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대부분의 명사는 특별한 호격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chanáahai' (알래스카) 'chaníihai' (Masset)는 "할아버지!"이다.[120]
하이다어는 영어의 대부분의 전치사 또는 전치사구를 대신하여 시간적 및 공간적 관계를 나타내는 소위 "관계 명사"를 사용한다.[78] 알래스카 하이다어의 업데이트된 정서법에서는 ''-kwhai''를 ''-gwhai''로 변경했다. 예를 들어, 하이다어 'únkwhai' / 'ínkwhai' / 'ánkwhai' "표면"은 아마도 'únhai' "뒤(명사)"에서 유래했을 것이고, 알래스카 하이다어 'dítkwhai' "해변에서 멀리 떨어진, 숲을 향한 측면"은 명사 '(a)díithai' "해변에서 멀리 떨어진, 숲의 장소"에서 유래했을 것이다.[81]
하이다어에는 소수의 진정한 후치사가 있으며, 그 중 일부는 관계 명사에 접미사로 붙을 수 있다.[83] 알래스카 후치사 '-khai' "to"와 '-sthai' "from" (Skidegate '-gahai', '-sdahai')는 선행 단어에 융합된다.[83]
하이다어 지시사는 기저 'áahai' (화자에 가까움), 'húuhai' (청자에 가까움), ''wáahai' (둘 다에서 멀리 떨어짐), 그리고 'a(hl)hai' (이전에 언급된 것)에서 형성되며, 독립적으로 사용될 때는 장소 지시사이다.[85]
하이다어 동사는 세 가지 기본 형태가 있다: 현재, 과거, 그리고 추론 형태이다.[86] 과거와 추론 형태는 모두 과거의 사건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지만, 추정에서 다릅니다: 추론은 화자가 사건을 직접 경험한 것이 아니라, 사건에 대해 정보를 받았거나 추론했음을 나타낸다.[87]
네 가지 종류의 동사 어간이 있다:[90]
하이다어는 동사를 파생하기 위해 도구 접두사, 분류 접두사 및 방향 접미사를 사용한다.[97]
하이다어에는 많은 수의 분류사(약 475개)가 있다.[98]
숫자는 일반적으로 하이다어에서 동사로 취급된다. 예를 들어, 'vdíi git'aláng sdáansaangaanganghai'는 "나는 여덟 명의 아이가 있다" (문자 그대로 "내 아이는 여덟이다").[99]
8. 2. 통사론
하이다어의 구절은 동사 종결형이다.[101] SOV 어순이 항상 가능하며, OSV는 주어가 목적어보다 더 '강력'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이다어는 직접-역격 언어이다.[102] 예를 들어, 사람은 말보다 더 강력하고, 말은 마차보다 더 강력하다.[102]대명사는 동사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동사에 분철된다.[105] 분철된 대명사는 동사의 보어로, 양도 불가능한 소유격으로, 수량사와 함께 사용되며, 스키데이트 하이다어에서는 일부 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된다.[74]
첨가어는 문장의 첫 번째 구, 일반적으로 명사구 뒤에 위치한다.[113] 초점과 더 드물게 주제는 첨가어 ''-.uu~-huu|-.uu~-huuhai''로 표시되며, 문장 시작 구성 요소 뒤에 위치한다.[115]
하이다어는 소유를 표시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하이다어에는 의무적 소유가 있다.[118]
9. 예시
하이다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아래 표는 알래스카 방언의 구문을 나타낸다.[1][2][3][4][5][6][7]
하이다어 | 한국어 번역 |
---|---|
Kíl 'láahai | 안녕/잘 가 |
Sán uu dáng G̱íidanghai | 잘 지내세요? |
Díi 'láaganghai | 저는 괜찮습니다 |
Haw'áahai | 감사합니다 |
Dáng díi Ḵuyáadanghai | 사랑합니다 |
Sán uu dáng kya'áang?hai | 이름이 무엇입니까? |
... hín díi kya'áanghai | 제 이름은 ...입니다 |
Háws dáng díi Ḵíngsaanghai | 다시 만나요 |
Hingáan an hl gu Ḵuyáat-'uuhai | 서로 사랑하세요 |
Gíistgaay gúust uu dáng Ḵ'wáalaagang?hai | 당신은 누구의 모이티에 속합니까? |
9. 1. 알래스카 방언 구문
하이다어 | 한국어 번역 |
---|---|
Kíl 'láahai | 안녕/잘 가 |
Sán uu dáng G̱íidanghai | 잘 지내세요? |
Díi 'láaganghai | 저는 괜찮습니다 |
Haw'áahai | 감사합니다 |
Dáng díi Ḵuyáadanghai | 사랑합니다 |
Sán uu dáng kya'áang?hai | 이름이 무엇입니까? |
... hín díi kya'áanghai | 제 이름은 ...입니다 |
Háws dáng díi Ḵíngsaanghai | 다시 만나요 |
Hingáan an hl gu Ḵuyáat-'uuhai | 서로 사랑하세요 |
Gíistgaay gúust uu dáng Ḵ'wáalaagang?hai | 당신은 누구의 모이티에 속합니까? |
참조
[1]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
뉴스
A high-tech fight to save B.C.'s indigenous languages
https://vancouversun[...]
The Vancouver Sun
2014-03-17
[3]
논문
[4]
논문
[5]
논문
[6]
서적
American Indian Languages
[7]
논문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Mammals
https://books.google[...]
JHU Press
[12]
간행물
A Biographical Memoir of Rev. Keen
https://www.jstor.or[...]
The Coleopterists Bulletin
1957-09-00
[13]
논문
[14]
간행물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UNESCO
2016-07-19
[15]
웹사이트
Haida Language Mainpage
http://haidalanguage[...]
2008-05-23
[16]
논문
[17]
방송
UAS and Yukon College partnership advances Native language efforts
http://www.ktoo.org/[...]
KTOO, Juneau, Alaska
2013-10-24
[18]
웹사이트
FirstVoices: Hlg̱aagilda X̱aayda Kil Welcome Page
http://www.firstvoic[...]
2013-01-19
[19]
뉴스
Reviving a Lost Language of Canada Through Film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7-06-11
[20]
뉴스
Canadian film made in language spoken by just 20 people in the world
http://www.theguardi[...]
the Guardian
2019-03-28
[21]
논문
[22]
논문
[23]
웹사이트
Dene–Yeniseic Symposium
http://www.uaf.edu/a[...]
2008-03-17
[24]
논문
[25]
논문
[26]
논문
[27]
논문
[28]
논문
[29]
웹사이트
Preliminary Notes on Some Pacific Northwest Coast Pharyngeals
http://lingserver.ar[...]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5-06-05
[30]
논문
[31]
논문
[32]
논문
[33]
논문
[34]
논문
[35]
논문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논문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논문
[53]
논문
[54]
웹사이트
Queen Charlotte Islands; The Reverend And Mrs. Charles Harrison With Haida Indians – RBCM Archives
https://search-bcarc[...]
2021-07-16
[55]
웹아카이브
Old Testament Stories in the Haida Language
https://archive.org/[...]
[56]
웹아카이브
Haida Gospel of Matthew
https://archive.org/[...]
[57]
웹아카이브
Haida Gospel of Luke
https://archive.org/[...]
[58]
웹아카이브
Haida Gospel of John
https://archive.org/[...]
[59]
논문
[60]
웹사이트
Ways of Writing Haida
http://www.haidalang[...]
2012-11-25
[61]
웹사이트
Haida Language
http://www.languageg[...]
2012-11-25
[62]
서적
A Story as Sharp as a Knife: The Classical Haida Mythtellers and Their World
https://archive.org/[...]
Douglas & McIntyre
[63]
논문
[64]
웹사이트
Dictionary of Alaskan Haida
https://web.archive.[...]
Sealaska Heritage Institute
2016-06-22
[65]
논문
[66]
논문
[67]
논문
[68]
논문
[69]
논문
[70]
논문
[71]
논문
[72]
논문
[73]
논문
[74]
논문
[75]
논문
[76]
논문
[77]
논문
[78]
논문
[79]
논문
[80]
논문
[81]
논문
[82]
논문
[83]
논문
[84]
논문
[85]
논문
[86]
논문
[87]
논문
[88]
논문
[89]
논문
[90]
논문
[91]
논문
[92]
논문
[93]
논문
[94]
논문
[95]
논문
[96]
논문
[97]
논문
[98]
논문
[99]
논문
[100]
논문
[101]
논문
[102]
논문
[103]
논문
[104]
논문
[105]
논문
[106]
논문
[107]
논문
[108]
논문
[109]
논문
[110]
논문
[111]
논문
[112]
논문
[113]
논문
[114]
논문
[115]
논문
[116]
논문
[117]
논문
[118]
논문
[119]
논문
[120]
논문
[121]
문서
The suffix ''{{lang|hai|-(a)ng}}'' behaves like ''{{lang|hai|-aay}}'' tonally, thus for instance ''{{lang|hai|awáng}}'' '[someone's] own mother' has high tone on the suffix.
[122]
논문
[123]
논문
[124]
논문
[125]
간행물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http://www.uaf.edu/a[...]
[126]
웹사이트
Dene-Yeniseic Symposium
http://www.uaf.edu/a[...]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