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첸어는 북동캅카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체첸 공화국의 공용어이다. 잉구쉬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1920년대 라틴 문자를 사용하다가 1938년 키릴 문자로 바뀌었고, 1992년에는 다시 라틴 문자가 사용되기도 했지만 현재는 키릴 문자를 공식 문자로 사용한다. 체첸어는 다양한 방언을 가지며, 명사 등급, 능격-절대격 언어 특징, 8개의 격, 그리고 복잡한 동사 활용을 보인다. 어휘는 북동 캅카스어족에서 유래되었으며, 주변 언어와 종교적 영향으로 인해 러시아어, 아랍어 등에서 차용된 단어들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첸어 - 체첸어 위키백과
- 요르단의 언어 - 인구시어
잉구시어는 북동카프카스어족 나흐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잉구셰티야 공화국에서 주로 사용되며 러시아어와 함께 공용어이고, 복잡한 음운 및 문법 구조, 20진법 수 체계, 동사-두 번째 어순(V2)이 특징적이다. - 요르단의 언어 - 카바르다어
카바르다어는 북서캅카스어족에 속하며 러시아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과 중동의 체르케스인 디아스포라에서 사용되고, 아디게어와 함께 체르케스어파로 분류되며,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정서법을 사용하고 적은 모음과 많은 자음을 가진다. - 시리아의 언어 - 쿠르드어
쿠르드어는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에 속하며 쿠르드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쿠르만지어, 소라니어, 남부 쿠르드어 등의 방언이 있고 터키, 이라크, 이란, 시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다양한 문자로 표기된다. - 시리아의 언어 - 카바르다어
카바르다어는 북서캅카스어족에 속하며 러시아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과 중동의 체르케스인 디아스포라에서 사용되고, 아디게어와 함께 체르케스어파로 분류되며,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정서법을 사용하고 적은 모음과 많은 자음을 가진다.
체첸어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체첸어 |
고유 이름 | , (노흐치인 모트) |
사용 국가 | 러시아 |
사용 지역 | 북캅카스, 체첸, 인구셰티야, 다게스탄 |
사용자 | 체첸인 |
사용자 수 | 176만 2950명 (2020년) |
언어 분류 | 북동캅카스어족 |
어파 | 나흐어파 |
어군 | 체첸-인구시어군 |
방언 | 플로스코스트 키스틴 체베를로이 멜킨 이툼칼라 아킨 |
공용어 지정 국가 | 러시아 체첸 다게스탄 |
문자 | 키릴 문자 (현재, 공식) 라틴 문자 (역사적으로) 아랍 문자 (역사적으로) 그루지야 문자 (역사적으로) |
ISO 639-1 | ce |
ISO 639-2 | che |
ISO 639-3 | che |
GlottoCode | chec1245 |
Glottolog | 체첸어 Glottolog |
Glottopedia | 체첸어 Glottopedia |
위험도 | 취약 (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지도) |
지도 정보 | |
![]() |
2. 역사
러시아의 정복 이전 체첸 문서는 대부분 이슬람 텍스트와 씨족 역사를 담고 있었으며, 대개 아랍어로 작성되었지만 때로는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체첸어로 쓰이기도 했다.[5] 10월 혁명 이후 체첸 문학어가 만들어졌으며, 1920년대 중반부터 라틴 문자가 아랍 문자를 대신하여 체첸어 표기에 사용되기 시작했다.[5] 1938년에는 키릴 문자가 채택되었다.[5] 1944년, 소련 당국에 의해 체첸과 그 국민에 관한 아랍어 및 조지아 문자로 된 중세 체첸 문헌 거의 전부가 파괴되어, 현대 체첸인과 현대 역사학자들에게는 파괴되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역사적 문헌만이 남게 되었다.[5]
체첸어는 북동캅카스어족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 잉구쉬어와 매우 가까우며, 서로 간의 이해도와 공유하는 어휘가 많아 바이나흐 방언을 형성한다.[1]
체첸어는 체첸 공화국 내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방언으로 나뉜다. 북부 저지대의 방언은 Oharoy muott|오하로이 무오트| "저지대 사람의 언어"ce라고 불리며, 표준 체첸어와 문어체 체첸어의 기반이 된다. 이 표준어는 대부분 우루스-마르탄 지역 방언과 현대 그로즈니 방언에서 유래되었다.[6] 남부 산악 부족의 방언은 Laamaroy muott|라아마로이 무오트|"산악인의 언어"ce라고 불리며, 원시 체첸어의 특징을 더 많이 보존하고 있다.
2020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 내 체첸어 사용 인구는 약 149만 명이다. 체첸 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체첸 디아스포라 중, 요르단에 거주하는 체첸인들이 체첸어 보존에 적극적이다.
산악 체첸에는 그루지야 문자로 된 수많은 비문이 있지만, 반드시 체첸어로 쓰여진 것은 아니었다. 이후 이슬람과 함께 아랍 문자가 체첸어에 도입되었다. 체첸 아랍 문자는 이맘 샤밀 시대에 처음 개혁되었고, 이후 1910년, 1920년, 1922년에 다시 개혁되었다.
동시에 학문적인 목적으로 키릴 문자, 라틴 문자, 그루지야 문자로 구성된 페터 폰 우슬라르가 고안한 알파벳이 사용되었다. 이 알파벳은 1911년에도 개혁되었지만, 체첸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지는 못했다.
1992년에는 1923년식 로마자 표기법과 다른 새로운 로마자 표기법이 다시 채용되었다. 요르단, 터키, 시리아의 체첸인 디아스포라는 체첸어를 유창하게 말하지만, 노력하여 문자를 배운 사람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체첸어를 읽고 쓸 수 없다. 이들 국가에서는 키릴 문자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요르단과 시리아에서는 아라비아 문자가, 터키에서는 로마자가 사용되고 있다.
3. 분류
북동캅카스어족(나흐-다게스탄어족)의 나흐어파에 속하며, 나흐어파에는 잉구쉬어와 바츠어(바츠비어, 초바투시어)가 있다. 체첸어는 특히 잉구쉬어와 가까워 바이나흐 제어를 형성한다.[2]
4. 방언
주요 방언으로는 아우흐, 체바를로이쉬, 말키쉬, 노흐치마흐카호이쉬, 오르스트코이쉬, 샤로이쉬, 슈오토이쉬, 테를로이쉬, 이툼-칼리쉬, 히모이쉬 등이 있다.
라아마로이 방언에는 체바를로이쉬, 샤로이쉬, 이툼-칼리쉬, 키스티, 히모이쉬 등이 있다. 샤로이쉬, 히모이쉬, 체바를로이쉬와 같은 라아마로이 방언은 더 보수적이며 원시 체첸어의 많은 특징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많은 방언에는 모음 음소 사이의 장거리 동화의 결과로 표준 언어에서 발견되는 여러 모음이 없다. 또한, 히모이 방언은 단어 종결 시, 강세 뒤의 모음을 슈와 [ə]로 보존한다.
5. 지리적 분포
5. 1. 공용어
체첸어는 체첸 공화국의 공용어이다.[7][22]
5. 2. 요르단과의 관계
요르단의 체첸인들은 요르단 하심 왕국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자신들의 문화와 언어를 자유롭게 사용한다. 요르단 체첸 공동체 내에서 체첸어 사용은 활발하다. 요르단 체첸인들은 체첸어와 아랍어에 능통하지만, 서로 대화할 때는 아랍어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체첸인들에게만 체첸어를 사용한다.[8] 일부 요르단인들은 체첸어를 읽고 쓸 수 있으며, 체첸에서 요르단을 방문하는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다.[8]
6. 음운
체첸어는 아랍어나 아메리카 원주민 제어와 비슷하게 다양하고 많은 수의 자음과 자음 연속체를 보유하고 있으며, 독일어, 핀란드어와 같이 음운과 수에서 유사한 풍부한 모음 체계 또한 갖고 있다. 대부분의 캅카스 제어가 모음 음소의 수가 적고 매우 빈약한 편인 것과 대조적이다. 이러한 다양함과 풍부함 때문에, 모든 음소를 정확하게 구별해 낼 수 있는 철자법 체계는 아직 개발되지 못했다.[24]
6. 1. 자음
체첸어는 코카서스 제어의 하나로, 아랍어나 아메리카 원주민 제어와 같이 다양한 자음과 자음 연결을 가지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유럽 언어보다 훨씬 많은 약 40개에서 60개의 자음(방언과 분석에 따라 다름)을 가지고 있다.[24]체첸어 자음의 특징은 유성음, 무성음, 방출음, 경음의 네 가지 구분이 있다는 것이다.[24] 또한, 방출음을 제외한 모든 자음은 인두음화될 수 있다.
colspan="3" rowspan="2" | | 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
---|---|---|---|---|---|---|---|---|---|---|---|---|---|
평음 | 인두화 | 평음 | 인두화 | 평음 | 인두화 | 평음 | 인두화 | ||||||
비음 | |||||||||||||
파열음 | 무성음 | 연음 | () | ||||||||||
경음 | |||||||||||||
유성음 | |||||||||||||
방출음 | |||||||||||||
파찰음 | 무성음 | 연음 | |||||||||||
경음 | |||||||||||||
유성음 | |||||||||||||
방출음 | |||||||||||||
마찰음 | 무성음 | () | colspan="2" | | ||||||||||
유성음 | () | colspan="2" | | |||||||||||
R음 | 무성음 | ||||||||||||
유성음 | |||||||||||||
접근음 | () |
- t계 자음과 는 치경이다.
- 는 연구개음이지만, 구개수음은 아니다.
- 측면 은 앞 모음이 뒤따르지 않는 한 연구개음화될 수 있다.
- R음 은 일반적으로 단일 접촉으로 발음되므로 때때로 탄음 으로 묘사된다.
- 문어 레지스터를 제외하고, 일부 화자에 한해서 유성 파찰음 , 는 마찰음 , 으로 병합되었다.
- 무성 순음 마찰음 는 유럽 차용어에서만 발견된다.
- 는 이중 모음과 자음 모두에서 나타나며, 자음으로 사용될 때 앞 모음 앞에서는 이음 를 갖는다.
약 20개의 인두음화 자음(위첨자 으로 표시)도 위 표에 나타난다. 순음, 치경음 및 후치경음은 방출음을 제외하고 인두화될 수 있다.
자음 뒤에 오는 경우를 제외하고 는 음성학적으로 이며, "인두음화된"(실제로는 후두개화된) 모음 앞에 오는 성문 파열음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전방 인두화된(후두개화된) 자음의 특징적인 분포 제약은 없다.
체첸어는 음절 초두에서 자음군 를 허용하며, 음절 초두가 아닌 위치에서는 과 모든 자음의 결합, 그리고 모든 파열음과 같은 조음 방법의 구개수음의 결합을 허용한다. 허용되는 세 자음의 유일한 자음군은 이다.[25]
6. 2. 모음
체첸어는 캅카스 제어에 속하는 다른 언어들과 비교했을 때 매우 다양한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독일어나 스웨덴어와 유사하게 많은 수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6]
모음들은 움라우트 현상으로 인해 다양하게 변화하며, 표준 방언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모든 모음은 비음화될 수 있는데, 이는 속격, 부정사 등에서 나타난다.[25]
몇몇 이중 모음은 다음과 같은 이음을 갖는다.
- =
- =
- =
폐음절에서는 키스티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방언에서 장모음이 단축되지만, 여전히 단모음과 구별되는 경우가 많다. 와 는 상보적 분포를 보이지만, 화자들은 서로 다른 소리로 인식한다.[25]
7. 문자
체첸어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자로 표기되었다. 아랍 문자를 변형한 문자를 사용했으나, 문어로서 충분히 사용되지는 않았다. 10월 혁명 이후 1923년부터 1933년까지 라틴 문자를 사용했으나, 스탈린에 의해 키릴 문자가 강제되면서 키릴 문자로 바뀌었다.[5] 1992년에는 새로운 라틴 문자 표기법이 다시 채택되기도 했다.
러시아의 정복 이전 체첸 문서는 대부분 이슬람교 텍스트와 씨족 역사를 담고 있었으며, 아랍어로 작성되거나 아랍 문자를 사용한 체첸어로 작성되었다. 체첸 문학어는 10월 혁명 이후 만들어졌으며, 1920년대 중반부터 라틴 문자가 아랍 문자를 대체하여 체첸어 표기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키릴 문자는 1938년에 채택되었다.[5] 1944년에는 체첸과 그 국민에 관한 아랍어 및 그루지야 문자로 된 중세 체첸 문헌 대부분이 소련 당국에 의해 파괴되었다.[5]
요르단, 튀르키예, 시리아의 체첸인들은 체첸어를 유창하게 구사하지만, 문자를 읽고 쓸 수 있는 경우는 드물다. 이들 국가에서는 키릴 문자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아, 요르단과 시리아에서는 아랍 문자를, 튀르키예에서는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산악 체첸에는 그루지야 문자로 된 비문이 많지만, 체첸어로 쓰였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이후 이슬람교와 함께 아랍 문자가 도입되었다. 체첸 아랍 문자는 이맘 샤밀 시대에 처음 개혁되었고, 이후 1910년, 1920년, 1922년에 다시 개혁되었다.
페터 폰 우슬라르가 고안한 키릴 문자, 라틴 문자, 그루지야 문자로 구성된 알파벳은 학술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1911년에 개정되었지만, 체첸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지는 못했다.
1925년에 라틴 문자가 처음 도입되어 아랍 문자를 대체했다. 1934년에는 수정이 이루어져 잉구시어와 통일되었다. 그러나 1938년에 라틴 문자는 폐지되고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
19세기 체첸에서 처음으로 널리 사용된 현대적인 정서법은 아랍 문자였다.[28] 16세기 이후 이슬람교가 체첸의 주요 종교였기 때문에, 이맘 샤밀의 통치 기간 동안 아랍 문자가 처음으로 표준화되어 체첸어에 채택되었다.[29]
아랍 문자는 체첸어에 적합하지 않아 수정이 필요했다. 여러 차례 개량이 이루어졌지만, 이슬람 성직자나 보수적인 계층은 아랍 문자의 변경에 반대했다.[30]
1992년, 체첸 공화국 이치케리아가 러시아로부터 사실상 분리된 후, 새로운 라틴 문자에 의한 표기법이 고안되어 해체될 때까지 키릴 문자와 병행하여 사용되었다. 그러나 러시아 연방군에 의해 체첸 공화국 이치케리아 정부가 패배한 후, 키릴 문자가 복원되었다.[27]
7. 1. 아랍 문자
19세기부터 체첸어 표기에 아랍 문자가 사용되었다.[12] 이는 이슬람교의 영향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체첸어의 음운 체계에 맞게 여러 차례 수정되었다.[14] 1925년까지 사용되었다.[15]이맘 샤밀 시대에 처음 개혁되었고, 이후 1910년, 1920년, 1922년에 다시 개혁되었다.[30]
1910년, 수가이프 가이수노프는 아랍 문자를 체첸어의 음성 요구 사항에 더 가깝게 만들기 위한 추가 개혁을 제안하면서 네 개의 자음을 추가했다.[30]
1920년, 체첸 문학가 A. 투가예프와 T. 엘다르하노프는 두 개의 새로운 자음 추가를 제안했다.[30]
이후 체첸 아랍 문자에 대한 최종 수정이 발생했으며, 모음 소리가 표준화되었다.
단어의 첫 번째 소리로서의 모음 | |||||
А а | Аь аь | Е е Э э | И и | О о Оь оь | У у Уь уь |
---|---|---|---|---|---|
آ|아ar | اە|애ar | ایـ / ای|이ar | اوٓ|오ar | او|우ar | |
단어의 중간 및 마지막 소리로서의 모음 | |||||
ـا / ا / ـآ / آ|아ar | ـا / ا|아ar | ـە / ە|에ar | ـیـ / یـ / ـی / ی|이ar | ـوٓ / وٓ|오ar | ـو / و|우ar |
A a Ə ə | Ä ä | E e | I i | O o Ö ö | U u Ü ü |
아래 표는 1925년 이전에 체첸 당국에 의해 발표된 체첸 아랍 알파벳의 최종 41개 문자와 해당 IPA 값, 키릴 문자 대응을 보여준다.
아랍어 (키릴어 상응) IPA | آ / ا|아/애ar ( А а / Аь аь ) | ب|브ar (Б б) | ت|트ar (Т т) | ث|쓰ar (С с) | ج|즈/쥐ar (Ж ж) | ح|흐ar (Хь хь) |
---|---|---|---|---|---|---|
아랍어 (키릴어 상응) IPA | خ|흐ar (Х х) | چ|츠ar (Ч ч) | ڃ|치ar (ЧӀ чӀ) | د|드ar (Д д) | ذ|즈ar (З з) | ر|르ar (Р р) |
아랍어 (키릴어 상응) IPA | ز|즈ar (З з) | ر̤|쯔ar (Ц ц) | ڗ|쯔ar (ЦӀ цӀ) | س|쓰ar (С с) | ش|슈ar (Ш ш) | ص|쓰ar (S s) |
아랍어 (키릴어 상응) IPA | ض|즈ar (З з) | ط|트ar (ТӀ тӀ) | ظ|즈ar (З з) | ع|으ar (Ӏ ӏ) | غ|그ar (ГӀ гӀ) | ف|프/프ar (П п / Ф ф) |
아랍어 (키릴어 상응) IPA | ڢ|프ar (ПӀ пӀ) | ق|크ar (Кх кх) | ڨ|크ar (Къ къ) | ک|크ar (К к) | گ|그ar (Г г) | ࢰ|크ar (КӀ кӀ) |
아랍어 (키릴어 상응) IPA | ل|르ar (Л л) | م|므ar (М м) | ن|느ar (Н н) | و|브ar (В в) | او / و|우/위ar (У у / Уь уь) | اوٓ / وٓ|오/외ar (О о / Оь оь) |
아랍어 (키릴어 상응) IPA | ھ|흐ar (ХӀ хӀ) | اە / ە|에/에ar (Е е / Э э) | ی|이ar (Й й) | ای / ی|이ar ( И и) | ئ|으ar (Ъ ъ) |
7. 2. 라틴 문자
10월 혁명 이후, 1920년대 중반부터 체첸어 표기에 라틴 문자가 사용되기 시작했다.[26] 1925년에는 아랍 문자를 대체하여 라틴 문자가 처음 도입되었으며, 1934년에 약간의 수정이 가해져 잉구쉬어와 통일된 정서법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 라틴 문자는 1938년에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27]1992년, 이치케리아 체첸 공화국이 러시아로부터 사실상 분리되면서 새로운 라틴 체첸 문자가 도입되어 키릴 문자와 병행하여 사용되었다. 그러나 러시아 연방군에 의해 이치케리아 체첸 공화국 정부가 패배한 후, 키릴 문자가 복원되었다.[27]
1992년에 도입된 라틴 문자 체계는 다음과 같다.
A a | Ä ä | B b | C c | Ċ ċ | Ç ç | Ç̇ ç̇ |
---|---|---|---|---|---|---|
D d | E e | F f | G g | Ġ ġ | H h | X x |
Ẋ ẋ | I i | J j | K k | Kh kh | L l | M m |
N n | Ꞑ ꞑ (Ŋ ŋ) | O o | Ö ö | P p | Ph ph | Q q |
Q̇ q̇ | R r | S s | Ş ş | T t | Th th | U u |
Ü ü | V v | Y y | Z z | Ƶ ƶ | Ə ə |
1925년에 도입된 라틴 문자 체계는 다음과 같다.
A a | Ä ä | B b | C c | Č č | Ch ch | Čh čh | D d |
---|---|---|---|---|---|---|---|
E e | F f | G g | Gh gh | H h | I i | J j | K k |
Kh kh | L l | M m | N n | Ņ ņ | O o | Ö ö | P p |
Ph ph | Q q | Qh qh | R r | S s | Š š | T t | Th th |
U u | Ü ü | V v | X x | Ẋ ẋ | Y y | Z z | Ž ž |
7. 3. 키릴 문자
체첸어의 현재 공식 표기 문자는 1938년에 채택된 키릴 문자이다.[5] 1992년까지 체첸어 표기에 키릴 문자만 사용되었다.아 | 아ь | Б б | В в | Г г | Гӏ гӏ | Д д |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Кх кх | Къ къ | Кӏ кӏ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Оь оь | П п | Пӏ пӏ | Р р | С с | Т т | Тӏ тӏ |
У у | Уь уь | Ф ф | Х х | Хь хь | Хӏ хӏ | Ц ц |
Цӏ цӏ | Ч ч | Чӏ чӏ | Ш ш | Щ щ | Ъ ъ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Ӏ ӏ |
소문자 palochka(ӏ)는 필기체에서 발견된다. 일반적으로 palochka 대문자와 소문자 형태는 인쇄물이나 똑바로 세워진 형태에서 일관성을 유지하지만, 컴퓨터에서는 대문자만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1]
1992년 체첸 공화국 이치케리아가 러시아로부터 사실상 분리된 후, 새로운 라틴 문자가 고안되어 분리주의 국가가 해체될 때까지 키릴 문자와 병행하여 사용되었다. 그러나 러시아 연방군에 의해 체첸 공화국 이치케리아 정부가 패배한 후, 키릴 문자가 복원되었다.[27]
8. 문법
체첸어는 교착어이며 능격-절대격 언어의 특징을 보인다. 명사는 6개의 성(명사 부류)을 가지며, 동사와 형용사는 명사의 성에 일치한다. 동사는 인칭에 따라 굴절되지 않으며, 시제, 상, 법에 따라 굴절된다. 8개의 격 (절대격, 소유격, 여격, 능격, 향격, 구격, 처격, 비교격)과 다양한 후치사를 사용하여 문장에서 명사의 역할을 나타낸다.[16]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 (SOV) 순서가 일반적이며, 일본어나 튀르키예어와 유사하게 형용사, 지시어 및 관계절은 수식하는 명사 앞에 온다.
체첸어는 인도유럽어족 언어와 달리 명사류와 격이 같은 형태소로 통합되지 않으며, 성 구분이 없지만 단수와 복수에서 8개의 격으로 활용된다.
격 | 단수 | 복수 |
---|---|---|
절대격 | говр gour | говраш gourash |
속격 | говран gouran | говрийн gouriin |
여격 | говрана gour(a)na | говрашна gourashna |
능격 | говро gouruo | говраша gourasha |
향격 | говре gourie | говрашка gourashka |
도구격 | говраца gouratsa | говрашца gourashtsa |
처격 | говрах gourax | говрех gouriäx |
비교격 | говрал goural | говрел gouriäl |
체첸어는 새로운 단어를 만들기 위해 접미사를 추가하거나 기존 단어를 조합하는 대신, 구 전체를 고정하고 파생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어떤 구가 사전에 포함되어야 할지 판단하기 어려워 사전학적으로 흥미로운 과제를 제시한다.[17]
8. 1. 명사
체첸어의 명사는 어휘적으로 임의적인 6개의 명사 등급으로 나뉜다.[18] 형태론적으로 명사 등급은 부속 동사의 접두사, 그리고 많은 경우 형용사의 접두사 변화에 의해 색인될 수 있다. 이 등급 중 처음 두 등급은 인간에게 적용되지만, 일부 문법학자들은 이를 두 개의 등급으로, 다른 일부는 하나의 등급으로 간주한다. 다른 등급들은 어휘적으로 훨씬 더 임의적이다. 체첸어 명사 등급은 이를 색인하는 접두사에 따라 이름이 붙여진다.명사 등급 | 명사 예시 | 단수 접두사 | 복수 접두사 | 단수 일치 | 복수 일치 |
---|---|---|---|---|---|
1. v-등급 | / | ||||
2. y-등급 | |||||
3. y-등급 II | colspan="2" | | ||||
4. d-등급 | colspan="2" | | ||||
5. b-등급 | rowspan="2" | | ||||
6. b-등급 II |
명사가 인간을 나타낼 때, 일반적으로 v-등급 또는 y-등급(1 또는 2)에 속한다. 남성 개체를 지칭하는 대부분의 명사는 v-등급에 속하는 반면, 2등급은 여성 개체와 관련된 단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은 일반적으로 1등급으로 간주되지만, 남성 이웃을 지칭할 때는 를, 여성 이웃을 지칭할 때는 를 사용한다. 이는 스페인어 단어 estudiantees 과 유사하며, 여기서 el estudiantees는 남학생을, la estudiantees는 여학생을 지칭한다.[19]
몇몇 단어에서, 명사 앞의 접두사를 변경하면 문법적 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vоshace → 와 같이 변화한다. 그러나 인간을 나타내는 일부 명사는 1등급 또는 2등급에 속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는 3등급에 속한다.
8. 2. 형용사
체첸어의 형용사 중 일부는 명사 명사 등급 일치를 나타내며, 이를 '등급 형용사'라고 한다. 등급 형용사는 아래와 같이 로마자 표기에서 d-등급 접두사와 함께 나열된다.[20]- деза|d-ezace: '무거운'
- довха|d-ouxace: '뜨거운'
- деха|d-iexace: '긴'
- дуькъа|d-yq’ace: '두꺼운'
- дораха|d-oraxace: '저렴한'
- дерстана|d-erstanace: '뚱뚱한'
- дуьткъа|d-ytq’ace: '얇은'
- доца|d-ocace: '짧은'
- дайн|d-aince: '가벼운'
- дуьзна|d-yznace: '가득 찬'
- даьржана|d-aerzhanace: '펼쳐진'
- доккха|d-oqqace: '큰/나이 많은'
8. 3. 대명사
체첸어의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칸에는 정서법 표기를, 두 번째 칸에는 IPA 표기를 나타냈다.격 | 1인칭 단수 | 2인칭 단수 | 3인칭 단수 | 1인칭 복수 (포괄형) | 1인칭 복수 (제외형) | 2인칭 복수 | 3인칭 복수 | |||||||
---|---|---|---|---|---|---|---|---|---|---|---|---|---|---|
절대격 | со | /sʷɔ/ | хьо | /ʜʷɔ/ | и, иза | /ɪ/, /ɪzə/ | вай | /vəɪ/ | тхо | /txʷʰo/ | шу | /ʃu/ | уьш, уьзаш | /yʃ/, /yzəʃ/ |
속격 | сан | /sən/ | хьан | /ʜən/ | цуьнан | /tsʰynən/ | вайн | /vəɪn/ | тхан | /txʰən/ | шун | /ʃun/ | церан | /tsʰierən/ |
여격 | суна | /suːnə/ | хьуна | /ʜuːnə/ | цунна | /tsʰunːə/ | вайна | /vaɪnə/ | тхуна | /txʰunə/ | шуна | /ʃunə/ | царна | /tsʰarnə/ |
능격 | ас | /ʔəs/ | ахь | /əʜ/ | цо | /tsʰuo/ | вай | /vəɪ/ | оха | /ʔɔxə/ | аша | /ʔaʃə/ | цара | /tsʰarə/ |
향격 | соьга | /sɥœgə/ | хьоьга | /ʜɥœgə/ | цуьнга | /tsʰyngə/ | вайга | /vaɪgə/ | тхоьга | /txʰɥœgə/ | шуьга | /ʃygə/ | цаьрга | /tsʰærgə/ |
구격 | соьца | /sɥœtsʰə/ | хьоьца | /ʜɥœtsʰə/ | цуьнца | /tsʰyntsʰə/ | вайца | /vaɪtsʰə/ | тхоьца | /txʰɥœtsʰə/ | шуьца | /ʃytsʰə/ | цаьрца | /tsʰærtsʰə/ |
처격 | сох | /sʷɔx/ | хьох | /ʜʷɔx/ | цунах | /tsʰunəx/ | вайх | /vəɪx/ | тхох | /txʰʷɔx/ | шух | /ʃux/ | царах | /tsʰarəx/ |
비교격 | сол | /sʷɔl/ | хьол | /ʜʷɔl/ | цул | /tsʰul/ | вайл | /vəɪl/ | тхол | /txʰʷɔl/ | шул | /ʃul/ | царел | /tsʰarɛl/ |
재귀 소유 대명사 | сайн | /səɪn/ | хьайн | /ʜəɪn/ | шен | /ʃɛn/ | вешан | /vieʃən/ | тхайн | /txəɪn/ | шайн | /ʃəɪn/ | шайн | /ʃəɪn/ |
소유 대명사 | сайниг | /səɪnɪg/ | хьайниг | /ʜəɪnɪg/ | шениг | /ʃɛnɪg/ | вешаниг | /vieʃənɪg/ | тхайниг | /txəɪnɪg/ | шайниг | /ʃəɪnɪg/ | шайниг | /ʃəɪnɪg/ |
이 외에도, 처격에는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몇 가지 형태가 더 있다.
8. 4. 동사
체첸어 동사는 1인칭 및 2인칭 복수형의 특수 d- 접두사를 제외하고 인칭에 따라 굴절되지 않으며, 수, 시제, 상, 법에 따라 굴절된다. 소수의 동사는 일치 접두사를 나타내며, 이 접두사는 절대격의 명사(자동사의 경우 주어, 타동사의 경우 목적어)와 일치한다.[16]복합 동사가 있는 자동사절의 동사 일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Со цхьан сахьтехь '''вогІур ву'''|so tsHan saHteH voghur vu|나는 (남성) 한 시간 안에 올 것이다.ce
- Со цхьан сахьтехь '''йогІур ю'''|so tsHan saHteH yoghur yu|나는 (여성) 한 시간 안에 올 것이다.ce
여기서 동사의 미래 어간 ''-oghur'' (올 것이다)과 보조 동사 ''-u'' ('이다'의 현재 시제)는 남성 일치를 위해 ''v-'' 접두사를, 여성 일치를 위해 ''y-'' 접두사를 받는다.
보조 동사 ''-u'' ('이다')로 형성된 복합 진행 시제에서 타동절의 경우, 행위자와 목적어 모두 절대격이다. 이러한 ''biabsolutive'' 구조의 특별한 경우, 분사 형태의 주 동사는 목적어와 일치하는 반면, 보조 동사는 행위자와 일치한다.[20]
- Cо бепиг '''деш''' '''ву'''|so bepig diesh vu|나는 (남성) 빵을 만들고 있다.ce
여기서 분사 ''d-iesh''는 목적어와 일치하는 반면, 보조 동사 ''v-u''는 행위자와 일치한다.[16]
동사 시제는 모음 변화 또는 접미사, 또는 둘 다에 의해 형성된다(총 5개의 활용이 있다). 파생 어간은 접미사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사역 등).
시제 | 예시 |
---|---|
명령형(=부정사) | д*ига |
단순 현재 | д*уьгу |
현재 복합 | д*уьгуш д*у |
근접 과거 | д*игу |
목격 과거 | д*игира |
완료 | д*игна |
대과거 | д*игнера |
반복 과거 | д*уьгура |
가능 미래 | д*уьгур |
실현 미래 | д*уьгур д*у |
시제 | 기본형 ("마시다") | 사역형 ("마시게 하다, 적시다") | 허용형 ("마시게 하다") | 허용 사역형 ("마시게 하다") | 가능형 ("마실 수 있다") | 입구형 ("마시기 시작하다") |
---|---|---|---|---|---|---|
명령형(=부정사) | мала | мало | малийта | мала д*айта | мала д*ала | мала д*āла |
단순 현재 | молу | мала д*о | молуьйто | мала д*ойту | малало | мала д*олу |
근접 과거 | малу | малий | малийти | мала д*айти | мала д*ели | мала д*ēли |
목격 과거 | мелира | малийра | малийтира | мала д*айтира | мала д*елира | мала д*ēлира |
완료 | мелла | малийна | малийтина | мала д*айтина | мала д*елла | мала д*аьлла |
대과거 | меллера | малийнер | малийтинера | мала д*айтинера | мала д*елера | мала д*аьллера |
반복 과거 | молура | мала д*ора | молуьйтура | мала д*ойтура | малалора | |
가능 미래 | молур | мала д*ер | молуьйтур | мала д*ойтур | малалур | мала д*олур |
실현 미래 | молур д*у | мала д*ийр д*у | молуьйтур д*у | мала д*ойтур д*у | малалур д*у | мала д*олур д*у |
9. 어휘
주변 민족과의 접촉으로 러시아어, 쿠믹어(다게스탄의 투르크계 언어)에서 많은 어휘를 차용하였고, 종교적인 이유로 아랍어에서도 상당수의 차용어가 있다.[1] 그 밖에 페르시아어, 조지아어 등에서도 차용된 어휘가 있다.[1]
체첸어 어휘의 대부분은 북동부 캅카스어족의 나흐 분파에서 유래되었지만, 아랍어에서 파생된 단어(이만, 일마, 두아와 같은 이슬람 용어)와 튀르크어에서 유래된 단어(쿠즈가, 시쉬와 같은 보편적인 캅카스 차용어)가 있으며, 가장 최근에는 러시아어에서 파생된 단어(컴퓨터 – "kamputar", 텔레비전 – "telvideni", 텔레비저 – "telvizar", 지하철 – "metro" 등과 같은 현대 용어)도 소수 존재한다.[2]
참조
[1]
웹사이트
Chechen in Russian Federation
https://en.wal.unesc[...]
2024-06-22
[2]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Pearson Education ESL
2008
[3]
웹사이트
Chechnya
[4]
웹사이트
Chechen table of correspondence Cyrillic-Roman (BGN/PCGN 2008 Agreement)
https://geonames.nga[...]
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2022-02-04
[5]
문서
Chechens
[6]
서적
The Chechens: a handbook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2014
[7]
문서
Constitution, Article 10.1
[8]
서적
Middle Eastern minorities and diasporas
https://books.google[...]
Sussex Academic Press
2011-05-12
[9]
문서
The Indigenous languages of the Caucasus
Caravan Books, Delmar NY
1994
[10]
웹사이트
Indigenous Language of the Caucasus (Chechen)
http://ingush.narod.[...]
2016-01-21
[11]
서적
Нохчийн мотт. Абат: йоза-дешар Ӏаморан Ӏамат. 1 класс.
2012
[12]
문서
Чеченский язык (Chechen Language)
1999
[13]
웹사이트
Documentation and grammatical description of Chechen including the Cheberloi dialect
https://www.elararch[...]
[14]
문서
History of Checheno-Ingush writing (История чечено-ингушской письменности)
Checheno-Ingush Publishing House (Чечено-Ингушское кн. изд-во)
1958
[15]
문서
Чеченская азбука - نوٓخچیی آلفبٰا (Нохчий алфба)
https://archive.org/[...]
1925
[16]
문서
Chechen
[17]
문서
Chechen
[18]
서적
Chechen-English English-Chechen Dictionary and Phrasebook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5-22
[19]
백과사전
Estudiante
https://dle.rae.es/e[...]
Real Academia Española
2023-11
[20]
웹사이트
A Grammar of Chechen
https://slaviccenter[...]
Duke University, Slavic Centers
2020-06-10
[21]
문서
Chechens
[22]
문서
Constitution, Article 10.1
[23]
서적
Middle Eastern minorities and diasporas
https://books.google[...]
Sussex Academic Press
2011-05-12
[24]
문서
The Indigenous languages of the Caucasus
Caravan Books, Delmar NY
1994
[25]
웹사이트
Indigenous Language of the Caucasus (Chechen)
http://ingush.narod.[...]
2016-01-21
[26]
서적
Нохчийн мотт. Абат: йоза-дешар Ӏаморан Ӏамат. 1 класс.
2012
[27]
웹사이트
Chechen table of correspondence Cyrillic-Roman (BGN/PCGN 2008 Agreement)
https://geonames.nga[...]
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2022-02-04
[28]
문서
Чеченский язык (Chechen Language)
1999
[29]
웹사이트
Documentation and grammatical description of Chechen including the Cheberloi dialect
https://www.elararch[...]
2025-01-01
[30]
문서
History of Checheno-Ingush writing (История чечено-ингушской письменности)
Checheno-Ingush Publishing House (Чечено-Ингушское кн. изд-во)
1958
[31]
문서
Чеченская азбука - نوٓخچیی آلفبٰا (Нохчий алфба)
https://archive.org/[...]
1925
[32]
문서
Chechen
[33]
문서
Chechen
[34]
서적
Chechen-English English-Chechen Dictionary and Phrasebook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5-22
[35]
백과사전
Estudiante
https://dle.rae.es/e[...]
Real Academia Española
2023-11
[36]
웹사이트
A Grammar of Chechen
https://slaviccenter[...]
Duke University, Slavic Centers
2020-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