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Ӏ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Ӏ(팔로치카)은 키릴 문자의 문자 중 하나로, 주로 코카서스 언어에서 사용된다. 이 문자는 러시아어로는 팔로치카, 영어로는 palochka로 불리며, 숫자 1과 유사하게 생겼다. 아바자어, 아바르어, 체첸어 등 여러 언어에서 자음의 발음을 수정하는 데 사용되며, 아디게어에서는 성문 파열음 /ʔ/을, 체첸어와 잉구시어에서는 후두개 파열음, 아디게어와 카바르딘어에서는 성문 파열음을 나타낸다. Ӏ는 일반적으로 독립적인 음가를 가지지 않지만, 앞의 자음이 방출음임을 나타낸다. 유니코드 5.0에 소문자 형태가 추가되었으며, 일부 언어에서는 알파벳의 마지막 또는 마지막에서 두 번째 문자로 사용된다.

2. 명칭

대개 대문자만 있으나 소문자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며 유니코드 5.0에 추가되었다. 소문자는 글꼴에 따라 ı 또는 대문자와 동일하게 보일 수도 있다.

3. 형태

이 문자는 대개 대문자만 있으나 소문자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며 유니코드 5.0에 추가되었다. 소문자는 글꼴에 따라 ı 또는 대문자와 동일하게 보일 수도 있다. 이 문자는 숫자 1과 비슷하게 생겼다. 대문자는 라틴 문자 I(I i)의 대문자 형태와 비슷하며, 소문자는 라틴 문자 L(L l)의 소문자 형태와 비슷하다.

4. 역사

키릴 문자의 팔로치카(Ӏ)는 아랍 문자 알리프(ا|아ar)에서 직접 파생되었다.[1] 소련 초창기에 많은 비(非)러시아어 키릴 문자는 러시아어 타자기와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러시아어 알파벳에 있는 문자만 포함했다. 러시아어에 없는 소리는 이중자나 다른 문자 조합으로 표시되었다. 팔로치카는 숫자 1이 문자 대신 사용되었기 때문에 유일한 예외였다. 실제로 많은 러시아어 타자기에서 이 문자는 숫자 1처럼 보이지 않고, 세리프가 있는 로마 숫자 I처럼 보였다. 팔로치카는 대부분의 표준 키보드 레이아웃(그리고 일부에서는 점이 없는 I)이나 일반 글꼴에 존재하지 않아 많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쉽게 입력하거나 안정적으로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여전히 흔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2024년 현재에도 잉구셰티야 공화국 인민 의회의 공식 웹사이트조차 팔로치카 대신 숫자 1을 사용하고 있다.[1]

5. 사용

팔로치카(Ӏ)는 대개 대문자로만 쓰이지만, 유니코드 5.0에 소문자도 추가되었다. 소문자는 글꼴에 따라 ı나 대문자와 동일하게 보일 수 있다.[2]

5. 1. 코카서스 제어

아바자어, 아바르어, 체첸어, 다르기어, 잉구시어, 락어, 레즈기어, 타바사란어, 차후르어 문자에서 이 문자는 앞선 자음을 방출 자음 또는 인두 자음으로 표시하는 수정 문자이다.[2] 이 문자는 자체로는 음성학적 가치가 없다.

아디게어에서 팔로치카는 자체적으로 성문 파열음 /ʔ/|/ʔ/ipa (예: 미국식 영어 button의 tt)을 나타낸다.

  • 카바르딘 아디게 방언의 예: елъэӀуащ|옐레우아슈kbd [jaɬaˈʔʷaːɕ]|/jaɬaˈʔʷaːɕ/IPA "그가 그녀에게 무언가를 요청했다"


아바르어에서 이것은 방출 자음을 나타낸다.

  • 아바르어의 예: кӀалъазе|칼라제av [kʼaˈɬaze]|/kʼaˈɬaze/IPA "말하다"


체첸어에서 팔로치카는 무성 자음인 경우 앞선 파열음 또는 파찰음을 방출음으로 만들고, 유성 자음인 경우 인두음화하지만, 파열음이나 파찰음이 뒤따르지 않을 때는 유성 인두 마찰음 /ʕ/|/ʕ/ipa (예: 아랍어아인)을 나타내기도 한다. 예외적으로 이중 자음 ⟨хӀ⟩에서 이것은 무성 인두 마찰음 /ħ/|/ħ/ipa을 생성한다. 잉구시어도 유사하다.

  • 체첸어의 예: йоӀ|요ce [joːʕ]|/joːʕ/IPA "소녀", хӀорд|호르드ceжӀаьла [ħoːrdʒˤæla]|/ħoːrdʒˤæla/IPA "상어"


압하스어는 코카서스 언어 중 예외적으로 팔로치카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일련의 특수 문자를 사용하여 방출 자음과 비방출 자음(유기음)을 구별한다.

5. 2. 기타 언어

아바자어, 아바르어, 체첸어, 다르기어, 잉구시어, 락어, 레즈기어, 타바사란어, 차후르어 문자에서 이 문자는 앞선 자음을 방출 자음 또는 인두 자음으로 표시하는 수정 문자이다.[2] 이 문자는 자체로는 음성학적 가치가 없다.

아디게어에서 팔로치카는 자체적으로 성문 파열음을 나타낸다.

  • 카바르딘 아디게 방언의 예: елъэӀуащ|jaɬaˈʔʷaːɕkbd ("그가 그녀에게 무언가를 요청했다")


아바르어에서 이것은 방출 자음을 나타낸다.

  • 아바르어의 예: кӀалъазе|kʼaˈɬazeav ("말하다")


체첸어에서 팔로치카는 무성 자음인 경우 앞선 파열음 또는 파찰음을 방출음으로 만들고, 유성 자음인 경우 인두음화하지만, 파열음이나 파찰음이 뒤따르지 않을 때는 유성 인두 마찰음을 나타내기도 한다. 예외적으로 이중 자음 ⟨хӀ⟩에서 이것은 무성 인두 마찰음을 생성한다. 잉구시어도 유사하다.

  • 체첸어의 예: йоӀ|joːʕce ("소녀"), хӀорд|ħoːrdʒˤælace ("상어")


압하스어는 코카서스 언어 중 예외적으로 팔로치카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일련의 특수 문자를 사용하여 방출 자음과 비방출 자음(유기음)을 구별한다.

Ӏ는 일반적으로 독립적인 음가를 가지지 않지만, 앞의 자음이 방출음임을 나타낸다. 다만 체첸어, 잉구시어에서는 후두개 파열음, 아디게어와 카바르딘어에서는 성문 파열음을 나타낸다.

6. 알파벳 위치

아디게어와 카바르딘어에서는 뒤에서 두 번째에 위치한다(마지막 문자는 "Ӏу"의 연자).[1] 체첸어와 잉구쉬어에서는 마지막 문자이다.[1]

7. 컴퓨팅 코드

대개 대문자만 있으나 소문자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며 유니코드 5.0에 추가되었다. 소문자는 글꼴에 따라 ı 또는 대문자와 동일하게 보일 수도 있다. 팔로치카의 소문자 형태는 2006년 7월 유니코드 5.0에 추가되었다.

대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소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비고
ӀU+04C0ӀӏU+04CFӏ


8. 현대적 문제점

대개 대문자만 있으나 소문자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며 유니코드 5.0에 추가되었다.


  • 소문자는 글꼴에 따라 ı 또는 대문자와 동일하게 보일 수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Г1алг1ай Республика законаш https://parlamentri.[...] 2021-03-11
[2] 웹사이트 Cyrillic: Range: 0400–04FF http://unicode.org/c[...] 2011-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