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문 파열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문 파열음은 조음기관 내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여 만들어지는 파열음의 한 종류이다. 성문이 닫힌 상태에서 공기를 밖으로 내보낼 때 발음되며, 성대를 통과하는 기류가 없어 조음이 없고 무성음으로 분류된다. 아랍어, 하와이어 등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기호로 표기되며, 영어에서는 'uh-oh'와 같은 단어에서, 한국어에서는 '티끌'과 같은 단어에서 음소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문음 - 무성 성문 반찰음
무성 성문 마찰음은 성대 사이에서 발생하는 무성음으로, 폐에서 나오는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키지 않고 통과하며 만들어지며, 일부 언어에서는 마찰음으로, 대부분의 경우 성문이 전환 상태이거나 접근음의 형태로 나타난다. - 성문음 - 유성 성문 반찰음
유성 성문 반찰음은 성문에서 틈을 좁혀 마찰을 일으키는 소리이며, 한국어, 영어 등 여러 언어에서 변이음 또는 음소로 나타난다. - 파열음 - 무성 치경 파열음
무성 치경 파열음은 폐에서 나오는 공기로 혀끝과 치조 사이에서 발음되는 소리로, 혀로 공기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이며, 한국어의 ㄷ, ㅌ, ㄸ, 영어의 't', 일본어의 た(タ) 등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파열음 - 무성 양순 파열음
무성 양순 파열음(/p/)은 양쪽 입술을 막았다 터뜨려 내는 소리로, 한국어 'ㅂ', 'ㅍ'과 유사하며 여러 언어에 존재하지만 일부 언어에는 없는 경우도 있고, 다양한 변종을 가진다.
성문 파열음 | |
---|---|
음성 기호 정보 | |
![]() | |
IPA 기호 | ʔ |
IPA 번호 | 113 |
십진수 | 660 |
X-SAMPA | ? |
키르셴바움 | ? |
브라유 | ; |
명칭 | |
한국어 명칭 | 성문 파열음 |
영어 명칭 | Glottal stop |
일본어 명칭 | 声門破裂音 (せいもんはれつおん) |
음성학적 특징 | |
조음 위치 | 성문 |
조음 방법 | 파열음 |
발성 유형 | 무성 |
기류 메커니즘 | 폐장 기류 |
음성학적 특징 (상세) | |
조음 시 공기 흐름 | 성문에서 공기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갑자기 터뜨림 |
조음기관 | 성대 |
소리의 성질 | 공기가 성문에서 막히는 소리 |
사용 언어 | |
주요 사용 언어 | 영어 (일부 방언) 아랍어 히브리어 하와이어 필리핀어 말레이어 중국어 (일부 방언) 독일어 (일부 방언) 덴마크어 에스토니아어 핀란드어 조지아어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베트남어 한국어 (일부 음운 현상) |
한국어에서의 사용 | 일부 음운 현상에서 발생 받침 'ㄱ, ㄷ, ㅂ'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올 때 나타나는 경향 사잇소리 현상과 유사한 양상 |
그 외 사용 언어 |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음운 환경에서 나타남 |
표기 | |
IPA 표기 | ʔ |
다른 표기 | ' (어포스트로피) ˀ (윗첨자) ʾ (아랍어 문자) hamza (حَمْزَة) (아랍어 문자) |
추가 정보 | |
설명 | 유성음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음 일부 언어에서는 모음으로 취급되기도 함 |
참고 문헌 | Umeda, Noriko (1978). "Occurrence of Glottal Stops in Fluent Speech".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64 (1): 88–94. doi:10.1121/1.381959. PMID 712005 |
2. 특징
- 조음 방법은 조음기관 내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만드는 파열음이다.
- 목에 힘을 주면 성문이 닫히는데, 그때 목의 힘을 빼면서 공기를 밖으로 나가게 하면 이 소리를 발음할 수 있다.
- 성문을 통과하는 기류가 없으므로, 전혀 조음이 없다.[2] 그러나 성대의 진동 없이 생성되므로 무성음이다.
- 기류의 발생원은 폐에서의 호기이다.
- 발성은 없으며, 편의상 무성음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무성음이 성대가 열려 있는 것과 달리, 조음점이 성대이므로 닫혀 있다. 청각적 인상으로는 무성음이다.
- 조음
- * 조음 위치 - 성대와 성대 사이에서 발생하는 성문음.
- * 조음 방법
- ** 구강 내 기류 -
-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 - 완전한 폐쇄를 순간적으로 개방하는 파열음
- ** 연구개의 위치 -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차단한 구강음. 비음을 조음하는 것은 생리적으로 불가능하다.
3. 표기
아랍어와 같은 많은 언어의 전통적인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성문 폐쇄음을 아포스트로피 또는 기호로 표기하는데, 이것이 국제음성기호(IPA) 의 기원이다. 하지만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많은 폴리네시아어족에서는 성문 폐쇄음을 오키나(하와이어와 사모아어에서 부르는 이름)라는 회전된 아포스트로피로 표기한다. 이 오키나는 아랍 문자의 아인( })을 표기하는 데도 흔히 사용되며, 성문 마찰음 의 IPA 기호의 기원이기도 하다. 말레이어에서는 성문 폐쇄음을 문자 (단어 끝에서)로, 보로어와 몰타어에서는 로 나타낸다. 성문 폐쇄음을 표기하는 또 다른 방법은 살틸로 인데, 틀라파넥어와 라파누이어와 같은 언어에서 사용된다.[3][4][5]
히브리 문자 알레프()와 여러 캅카스 제어에서 사용되는 키릴 문자 팔로치카()와 같이, 성문 폐쇄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다른 문자들도 있다. 아랍 문자는 함자(ءar)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구분 부호와 독립적인 문자(알파벳의 일부는 아님) 모두로 나타날 수 있다. 툰드라 네네츠어에서는 아포스트로피()와 이중 아포스트로피()로 나타낸다. 일본어에서는 놀라움이나 분노의 감탄사 끝에 성문 폐쇄음이 나타나는데, ( 촉음)으로 표기한다.
대부분의 필리핀어군 표기법에서는 성문 폐쇄음에 일관된 기호가 없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모음 문자로 시작하는 단어 (예: 타갈로그어 asotl, "개")는 그 모음 앞에 표시되지 않은 성문 폐쇄음이 항상 발음된다 (현대 독일어와 하우사어와 같음). 어떤 표기법에서는 성문 폐쇄음이 단어 중간에 나올 경우 역 아포스트로피 대신 하이픈을 사용한다 (예: 타갈로그어 pag-ibigtl, "사랑"; 또는 비사야어 ''gabi-i'', "밤"). 단어 끝에 나올 경우, 최종 모음에 강세와 성문 폐쇄음이 모두 있는 경우 최종 모음을 첨자 (''pakupyâ''로 알려짐)로 쓸 수 있다 (예: ''basâ'', "젖은"). 또는 성문 폐쇄음이 최종 모음에 있지만 강세가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있는 경우 탈선표 (''paiwà''로 알려짐)를 쓸 수 있다 (예: ''batà'', "아이").
일부 캐나다 원주민 언어, 특히 살리시어족은 IPA 문자 를 그들의 표기법에 채택했다. 어떤 언어에서는 대소문자 쌍으로 나타나는데, 과이다.[6] 대신 또는 물음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스쿼미시어와 같은 언어에서는 선호된다. SENĆOŦEN 알파벳은 다른 살리시안 언어와 대부분 다르게, 성문 폐쇄음을 나타내는 데 쉼표()를 사용하지만, 선택 사항이다.
2015년, 노스웨스트 준주의 두 여성이 자녀의 이름에 문자 를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은 준주 정부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 치페위안어 이름인 ''Sahaiʔa''와 슬레이비어 이름인 ''Sakaeʔah'' (두 이름은 실제로 동족어이다)가 그것이다. 준주는 준주 및 연방 신분증이 해당 문자를 수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여성들은 정책에 계속해서 이의를 제기하면서 대신 하이픈을 사용하여 이름을 등록했다.[7]
크로우어에서는 성문 폐쇄음을 물음표()로 쓴다. 크로우어에서 성문 폐쇄음이 사용되는 유일한 경우는 문장 끝에 있는 의문사 형태소이다.[8]
성문 폐쇄음의 사용은 스코틀랜드 게일어의 남부 본토 어가일 방언의 독특한 특징이다. 이러한 방언에서 표준 게일어 구문 Tha Gàidhlig agamgd ("나는 게일어를 한다")은 Tha Gàidhlig a'amgd으로 표기된다.
가나의 나우드므어에서는 성문 폐쇄음을 ''ɦ''(대문자 ''Ĥ'')로 쓴다.
4. 언어별 사용
성문 파열음은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 영어: 'uh-oh' (영국 영어 발음 [ˈɐʔəʊ], 미국 영어 발음 [ˈʌʔoʊ])를 발음할 때 나타난다.
- 아랍어: ء(함자)에서 이 소리가 난다.
- 몰타어: q에서 이 소리가 난다.
- 피라항어: x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세리어: h에서 이 소리가 난다.
- 태국어: อ에서 이 소리가 난다.
- 하와이어: ʻ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소말리어: ʼ에서 이 소리가 난다.
- 과라니어: 모음 사이의 ʼ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촐어: -에서 이 소리가 난다.
- 기미어: k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오로모어, 야칸어: '에서 이 소리가 난다.
- 한국어: '티끌'(발음: [t̠ʲʰiʔk͈ɯl])을 발음할 때 이 소리가 나타난다.

많은 언어에서 성문 파열음을 표기하기 위해 다양한 문자를 사용한다. 아랍어와 같은 언어의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아포스트로피(ʼ 또는 ʾ)로 표기하며, 이는 IPA 기호 ʔ의 기원이 되었다. 폴리네시아 언어에서는 회전된 아포스트로피인 오키나 (ʻ)로 표기한다. 말레이어에서는 문자 k (단어 끝에서), 보로어와 몰타어에서는 q로 나타낸다. 살틸로(Ꞌ ꞌ)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히브리어의 알레프(א), 키릴 문자의 팔로치카(Ӏ)와 같이 성문 파열음을 나타내는 다른 문자도 있다. 아랍 문자는 함자(ء)를 사용하며, 툰드라 네네츠어에서는 아포스트로피(ʼ)와 이중 아포스트로피(ˮ)로 나타낸다. 일본어에서는 놀라움이나 분노의 감탄사 끝에 성문 폐쇄음이 나타나며, っ로 표기한다.
필리핀어에서는 성문 폐쇄음에 일관된 기호가 없지만,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항상 성문 폐쇄음이 발음된다. 단어 중간에는 하이픈, 단어 끝에는 첨자나 탈선표를 사용하기도 한다.[3][4][5]
캐나다 일부 원주민 언어는 IPA 문자 ʔ를 사용하며, 대소문자 쌍으로 나타내기도 한다.[6] 스쿼미시어와 같이 7 또는 물음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크로우어에서는 성문 폐쇄음을 물음표(?)로 쓴다.[8]
스코틀랜드 게일어의 어가일 방언에서는 성문 폐쇄음 사용이 두드러진다.
가나의 나우드므어에서는 성문 폐쇄음을 ''ɦ''(대문자 ''Ĥ'')로 쓴다.
현대 영어 화자들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성문 폐쇄음을 자주 사용하며, 이를 "hard attack"(하드 어택)이라고도 한다.[15]
페르시아어와 같이 모음 연속을 허용하지 않는 언어에서는 모음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성문 폐쇄음이 삽입될 수 있다.
한국어(표준어)를 포함한 많은 언어는 성문 폐쇄음을 음소로 가지고 있지 않지만, 이러한 언어에서도 발화 상황이나 화자에 따라 모음의 앞뒤 등에 성문 폐쇄음이 나타나는 것은 드물지 않다. 이러한 경우의 성문 폐쇄음(폐쇄음)은 일반적으로 화자에 의해 의식되지 않고, 거의 구별 기능을 담당하지 않는다. 한 예로, 단어 사이의 경계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정 음소의 변이음으로 성문 폐쇄음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는 어말의 /t/가 이 음으로 변하는 경우가 있다(예: cat|cat영어 [kʰæʔ]). 또한, 영국 영어에서는 어중간에도 변하는 경우가 있다(예: water|water영어 [ˈwɔːʔə]).
4. 1. 음소
영어에서 성문 폐쇄음은 개방 연결음(예: 'uh-oh!'의 모음 사이[9])으로 나타나고, t 음 성문화에서 이음 음소로 나타난다. 영국 영어에서 성문 폐쇄음은 "butter"를 "bu'er"로 발음하는 코크니 발음에서 가장 익숙하다. 조지 영어는 t, k, p에 성문 폐쇄음을 자주 사용하며, 독특한 형태의 성문화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영어의 무음 시작음으로서 성문 폐쇄음이 있는데, 다시 말해 고립된 모음이나 첫 모음 앞에 나타나는 비음운론적 성문 폐쇄음이다.종종 성문 폐쇄음은 침묵 후 모음 발성의 시작 부분에서 발생한다.[2]
이 음운론적 단위는 영어에서 음소는 아니지만, 거의 모든 영어 방언에서 음절 말소리의 /t/의 이음 음소로 음성적으로 나타난다. 코크니, 스코틀랜드 영어 및 다른 여러 영국 방언의 화자들은 'city'와 같이 모음 사이의 음절 간 /t/도 발음한다. 현대 영국 표준 영어에서는 성문 폐쇄음이 자음 동일 음절의 무성 파열음 앞에 삽입된다: stop, that, knock, watch, 그리고 leap, soak, help, pinch.[10][11]
미국 영어에서는 "cat"이나 "outside"와 같이 모음 + "t"로 끝나는 음절이나, "mountain"이나 "Manhattan"과 같이 "t" + 무성 모음 + "n"으로 끝나는 음절에서 "t"는 일반적으로 흡음되지 않는다. 이것은 혀가 치아 뒤 융기 부분에서 기류를 막기 때문에 "held t"(유지된 t)라고 한다. 그러나 미드애틀랜틱 주의 젊은 화자들 사이에서는 "held t"를 성문 폐쇄음으로 바꾸는 경향이 있어, "Manhattan"이 "Man-haʔ-in"처럼, "Clinton"이 "Cli(n)ʔ-in"처럼 들린다. 여기서 "ʔ"은 성문 폐쇄음이다. 이것은 특히 뉴욕시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변이어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다.[12][13]
많은 언어들, 예를 들어 페르시아어처럼 모음 연속을 허용하지 않는 언어에서는, 이러한 모음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성문 폐쇄음이 삽입될 수 있다. 덴마크어(stød 참조), 광둥어, 태국어와 같은 언어들의 역사에서 떨어지는 억양과 성문 폐쇄음 사이에는 복잡한 상호작용이 있다.
많은 언어에서, 강세가 없는 자음 사이의 성문 폐쇄음의 변이음은 쉰 목소리 성문 근사음이다. 이것은 단 한 개의 언어, 기미어에서만 대조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언어에서 그것은 폐쇄음의 유성 대응음이다.
일반적으로 모음의 흐름을 유지하는 언어에서도, 특정 상황에서 강조를 위해 성문 폐쇄음이 예외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틴어는 일반적으로 성문 폐쇄음을 피하지만, 육보격에서는 독자로 하여금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668행의 ''odiīs''(즉, “jactētur ʔodiīs”) 앞에 자음으로 간주되는 성문 폐쇄음을 생성하도록 요구한다.
>lītora jactētur odiīs Jūnōnis inīquae
다음 표는 전 세계의 구어에서 성문 폐쇄음이 얼마나 널리 사용되는지를 보여준다.
어족 |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참고 | |
---|---|---|---|---|---|---|
북서 코카서스어족 | 압카스어 | аи|aiab | [ʔaj] | '아니오' | 압카스어 음운론 참조. | |
북서 코카서스어족 | 아디게어 | [ʔa] | '팔/손' | |||
셈어족 | 아랍어 | 현대 표준 아랍어[17] | أغاني|ʿaġaniar | [ʔaˈɣaːniː] | '노래' | 아랍어 음운론, 함자 참조. |
레반트 아랍어 및 이집트 아랍어[18] | شقة|šaʾʾaar | [ˈʃæʔʔæ] | '아파트' | 다른 방언에서는 [q] 또는 [g]에 해당한다. 레반트 아랍어 음운론 및 이집트 아랍어 음운론 참조 | ||
파시 및 틀렘센[19] | [ˈʔaːl] | '그가 말했다' | 다른 방언에서는 [q] 또는 [g]에 해당한다. | |||
키란티어족 | 반타와어 | चा:वा|t͡saʔwaNe | [t͡saʔwa] | '마실 물' | ||
비콜어족 | 비콜어 | [ˈbaːʔɡo] | '새로운' | |||
슬라브어족 | 불가리아어 | ъ-ъ|ŭ-ŭbg | [ˈʔɤʔɤ] | '아니오' | ||
시노티베트어족 | 버마어 | မြစ်များ|mrac mya:my | [mjiʔ mjá] | '강들' | ||
필리핀어족 | 세부아노어 | [ˈtuboʔ] | '자라다' | |||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 차모로어 | halu'u|haluʔuch | [həluʔu] | '상어' | ||
한자어족 | 중국어 | 광둥어 | [ʔɔːi˧] | '사랑' | 광둥어 음운론 참조. | |
우어 | [ʔiɪʔ.tɕiɪʔ.ʔləʔ] | '최고의' | ||||
호키엔어 | [hɐʔ˥] | '맞다' | ||||
폴리네시아어족 | 쿡 제도 마오리어 | ta'i|taʔirar | [taʔi] | '하나' | ||
슬라브어족 | 체코어 | používat|používatcs | [poʔuʒiːvat] | '사용하다' | 체코어 음운론 참조. | |
쿠시어족 | 다할로어 | ma'a|maʔadal | [maʔa] | '물' | 다할로어 음운론 참조 | |
게르만어족 | 덴마크어 | hånd|hån'dda | [ˈhʌ̹nʔ] | '손' | stød의 가능한 실현 중 하나. 방언과 말하기 방식에 따라 앞선 음의 성문화로 대체될 수 있다. 덴마크어 음운론 참조. | |
게르만어족 | 네덜란드어[20] | beamen|beamennl | [bəʔˈaːmə(n)] | '확인하다' | 네덜란드어 음운론 참조. | |
게르만어족 | 영어 | 여러 방언 | I am|I am영어 | [ʔaɪ ʔæm] (강세 있는 "am") 또는 [ʔaɪ æm] | '나' | 구절의 시작 부분에서 초기 모음 앞에 성문 폐쇄음이 붙는다. 다른 곳에서는 선택적으로 단어를 강조하거나 이전 단어와 분리하기 위해 사용된다.[14][15] |
RP | uh-oh|uh-oh영어 | [ˈɐʔəʊ] | 'uh-oh' | rowspan="2" | | ||
미국 영어 | [ˈʌʔoʊ] | |||||
호주 영어 | cat|ca't영어 | [kʰæʔ(t)] | '고양이' | /t/, /k/ 또는 /p/의 변이음. 성문화, 영어 음운론, 및 정관사 축약 참조. | ||
미국 일반 영어 | ||||||
템스 강 어류 | [kʰæʔ] | |||||
코크니[21] | [kʰɛ̝ʔ] | |||||
스코틀랜드 영어 | [kʰäʔ] | |||||
일부 잉글랜드 북부 | [ʔ] | 'the' | ||||
조디 | '감사합니다' | |||||
조디 | '사람들' | |||||
RP[22] 및 미국 일반 영어 | button|button영어 | [ˈbɐʔn̩] | '단추' | |||
게르만어족 | 독일어 | 북부 | Beamter|Beamterde | [bəˈʔamtɐ] | '공무원' | 일반적으로 모든 모음 개시음. 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조. |
투피-과라니어족 | 과라니어 | avañeẽ|avañeẽgn | [ãʋ̃ãɲẽˈʔẽ] | '과라니어' | 모음 사이에만 발생한다. | |
폴리네시아어족 | 하와이어[23] | ʻeleʻele|ʻeleʻelehaw | [ˈʔɛlɛˈʔɛlɛ] | '검은색' | 하와이어 음운론 참조. | |
셈어족 | 히브리어 | מַאֲמָר|ma'amarhe | [maʔămaʁ] | '논문' | 비격식적인 말에서는 종종 생략된다. 현대 히브리어 음운론 참조. | |
게르만어족 | 아이슬란드어 | en|enis | [ʔɛn] | '그러나' | 강조에 따라서만 사용되며, 최소 대립쌍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 |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 일로카노어 | nalab-ay|nalab-ayilo | [nalabˈʔaj] | '싱거운 맛' | 단어 내에 나타날 때 하이픈을 사용한다. | |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 인도네시아어 | bakso|baksoid | [ˌbäʔˈso] | '미트볼' | 음절 말소리의 /k/ 또는 /ɡ/의 변이음. | |
북동 코카서스어족 | 잉구시어 | [qoʔ] | '셋' | |||
일본어족 | 일본어 | 가고시마 | /kuQ/ | [kuʔ] | '목' | |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 자바어[24] | ꦲꦤꦏ꧀|ꦲꦤꦏ꧀jv | [änäʔ] | '아이' | 형태소 말미 위치에서 /k/의 변이음. | |
아슬리안어족 | 제덱어[25] | [wɛ̃ʔ] | '왼쪽' | |||
북서 코카서스어족 | 카바르디노어 | [ʔa] | '팔/손' | |||
마노보어족 | 카가야넨어[26] | saag|saagcgc | [saˈʔaɡ] | '바닥' | ||
카시-팔라웅어족 | 카시어 | lyoh|lyohkha | [lʔɔːʔ] | '구름' | ||
몬-크메르어족 | 크메르어 | សំអាត|sâmqatkm | [sɑmʔɑːt] | '청소하다' | 크메르어 음운론 참조 | |
한국어족 | 한국어 | 일|il한국어 | [ʔil] | '하나' | 성문 폐쇄음이 없는 것과 자유 변이를 이룬다. 단어의 처음 위치에만 나타난다. | |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 말레이어 | 표준 | tidak|tidakms | [ˈtidäʔ] | '아니오' | 음절 말소리의 /k/의 변이음으로, 자음 앞과 단어 끝에서 발음된다. 다른 위치에서는 /ʔ/이 아랍어에서 차용된 외래어에서만 음소적 지위를 갖는다. 말레이어 음운론 참조 |
켈란탄-파타니 말레이어 | ikat|ikat'ms | [ˌiˈkaʔ] | '묶다' | 음절 말소리의 /p, t, k/의 변이음. 자음 앞과 단어 끝에서 발음된다. | ||
트렝가누 말레이어 | ||||||
셈어족 | 몰타어 | qattus|qattus몰타어 | [ˈʔattus] | '고양이' | ||
폴리네시아어족 | 마오리어 | 타라나키, 왕가누이 | wahine|wahinemi | [waʔinɛ] | '여성' | |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 미낭카바우어 | waang|waangmin | [wäʔäŋ] | '너' | 때때로 아포스트로피 없이 쓰인다. | |
욕-우티안어족 | 무츠 언어 | tawkali|tawkalicss | [tawkaʔli] | '검은 구스베리' | Ribes divaricatum | |
카르트벨리어족 | 밍그렐리아어 | ჸოროფა|?orophaxmf | [ʔɔrɔpʰɑ] | '사랑' | ||
우토-아즈텍어족 | 나우아틀어 | tahtli|tahtlinci | [taʔtɬi] | '아버지' | 종종 쓰지 않는다. | |
고원 페누티안어족 | 네즈퍼스어 | yáaka|yáakanez | [ˈjaːkaʔ] | '검은 곰' | ||
투피-과라니어족 | 니엥가투어[27] | ai|aiyrl | [aˈʔi] | '나무늘보' | 전사(또는 부재)가 다양하다. | |
알곤킨어족 | 오지브웨어 | ᒪᓯᓇᐃᑲᓐ|mazina'iganoj | [ˌmʌzɪˌnʌʔɪˈɡʌn] | '책; 편지; 문서; 종이' | 일부 방언에서는 /h/과 합쳐진다. 오지브웨어 음운론 참조. | |
류큐어족 | 오키나와어 | 音|uturyu | [ʔutu] | '소리' | ||
인도-이란어족 | 페르시아어 | معنی|ma'nifa | [maʔni] | '의미' | 페르시아어 음운론 참조. | |
슬라브어족 | 폴란드어 | era | [ʔɛra] | '시대' | 대부분 초기 모음의 anlaut로 나타난다 (Ala ‒> [Ɂala]). 폴란드어 음운론#성문 폐쇄음 참조. | |
무라어족 | 피라하어 | baíxi|baíximyp | [ˈmàí̯ʔì] | '부모' | ||
로망스어족 | 포르투갈어[28] | 방언 브라질 포르투갈어 | [29] | [ˌʔe̞ˈʔeː] | 그래 맞아[30] | 주변적인 소리. 자음 앞이나 뒤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브라질 비격식 말투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ʔ]–모음 길이–높낮이 억양 최소 대립쌍이 존재한다(의성어 짧은 ih|ihpt 대 긴 ih|ihpt). 포르투갈어 음운론 참조. |
일부 화자 | à aula|à aulapt | [ˈa ˈʔawlɐ] | '수업에' | |||
오세아니아어족 | 로투마어[31] | usu|usurtm | [ʔusu] | '권투하다' | ||
슬라브어족 | 러시아어 | не-а / ne-a | [ˈnʲeʔə] | '아니오' | ||
폴리네시아어족 | 사모아어 | mai|mai사모아어 | [maʔi] | '병/질병' | ||
로망스어족 | 사르데냐어[32] | 바르바지아의 일부 방언 | unu pacu|unu pacusc | [ˈuːnu paʔu] | '조금' | /n, k, l/의 자음 사이 변이음. |
사라부스의 일부 방언 | sa luna|sa lunasc | [sa ʔuʔa] | '달' | |||
슬라브어족 | 세르보크로아티아어[33] | [iː ʔô̞n̪d̪a̠] | '그리고 나서' | 선택적으로 단어 경계를 넘어 모음 사이에 삽입된다.[33]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음운론 참조 | ||
고립어 | 세리어 | he|hesei | [ʔɛ] | '나' | ||
쿠시어족 | 소말리아어 | ba|baso | [baʔ] | '재앙' | 모든 모음 앞에 /ʔ/이 나타나지만, 중간 및 마지막에만 쓰여진다.[34] 소말리아어 음운론 참조 | |
로망스어족 | 스페인어 | 니카라과[35] | [ˈma ˈʔal̻t̻o̞] | '더 높은' | 다른 단어 사이의 모음 사이의 [s]의 주변 소리 또는 변이음. 자음 앞이나 뒤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스페인어 음운론 참조. | |
유카테코[36] | [ˈkwatɾo̞ ˈʔãɲo̞s] | '4년' | ||||
살리시안어족 | 스쿼미시어 | Sḵwx̱wú7mesh sníchim | [sqʷχʷoʔməʃ snit͡ʃim] | '스쿼미시어' | ||
필리핀어족 | 타갈로그어 | aaâ|aaâtl | [ʔɐʔɐˈʔaʔ] | 똥 누다 (미래) | 타갈로그어 음운론 참조. | |
폴리네시아어족 | 타히티어 | puaa|puaati | [puaʔa] | '돼지' | ||
타이-카다이어족 | 태국어 | อา|'āth | [ʔaː] | 삼촌/숙모 (아버지의 남동생) | ||
폴리네시아어족 | 통가어 | tuu|tuu통가어 | [tuʔu] | '서다' | ||
사모예드어족 | 툰드라 네네츠어 | вы|vyyrk | [wɨʔ] | '툰드라' | ||
월어족 | 베트남어[37] | oi|oivi | [ʔɔj˧] | '후덥지근한' | 성문 폐쇄음이 없는 것과 자유 변이를 이룬다. 베트남어 음운론 참조. | |
핀우그리아어족 | 보로어 | piniq|piniqvro | [ˈpinʲiʔ] | '개들' | "q"는 보로어 복수 접미사("maa", "kala", "땅", "물고기"; "maaq", "kalaq", "땅들", "물고기들"). | |
고립어 | 와기만어 | jamh|jamhwaq | [t̠ʲʌmʔ] | 먹다 (완료) | ||
오모틱어족 | 웰레이타어 | 7írTi | [ʔirʈa] | '젖은' | ||
폴리네시아어족 | 왈리스어 | mauli|mauliwls | [maʔuli] | '삶' |
다음은 음소로서 성문 폐쇄음을 갖는 언어와, 그것을 포함하는 단어의 예이다.
;음절 머리에만 성문 폐쇄음소가 서는 것
- 하와이어 - 마크론(ʻ)으로 표시되는 자음. ʻae|ʻaehaw 「예」 / aʻe|aʻehaw 「무환자나무」 / ʻaʻe|ʻaʻehaw 「밟다」 와 같이 명확하게 구별 기능을 갖는다. 다른 폴리네시아 언어에도 이와 같은 성문 폐쇄음을 갖는 것이 많다.
- 태국어 - อ่าง|ʔàaŋth [ʔàaŋ] 「세면대」
- 류큐어 - [ʔutu] 「소리」
;음절 끝에만 성문 폐쇄음소가 서는 것
- 상하이어 - 日頭|nʲiəʔ.dɤwuu [nʲiəʔ.dɤ] 「태양」
- 일본어 사쓰마 방언 - [kaʔ] 「감」
- 일본어 이가와 방언 - [jomaʔ] 「읽자」
- 아랍어 - 함자(ء|ءar)로 표기되는 자음. أَبٌ|ʔab(ʊn)ar [ʔab(ʊn)] "아버지"
- 덴마크어에는 스투드라고 불리는 구별되는 현상이 있으며, 이것이 성문 폐쇄와 같은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ånden''' [ˈʌnn̩] "호흡"에 대한 '''ånden''' [ˈʌnˀn̩] "정신" 등.
한국어(표준어)를 포함한 많은 언어는 성문폐쇄음을 음소로 가지고 있지 않지만, 이러한 언어에서도 발화 상황이나 화자에 따라 모음의 앞뒤 등에 성문폐쇄음이 나타나는 것은 드물지 않다. 이러한 경우의 성문폐쇄음(폐쇄음)은 일반적으로 화자에 의해 의식되지 않고, 거의 구별 기능을 담당하지 않는다. 한 예로, 단어 사이의 경계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정 음소의 변이음으로 성문폐쇄음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는 어말의 /t/가 이 음으로 변하는 경우가 있다(예: cat|cat영어 [kʰæʔ]). 또한, 영국 영어에서는 어중간에도 변하는 경우가 있다(예: water|water영어 [ˈwɔːʔə]).
4. 2. 변이음
영어에서 성문 폐쇄음은 개방 연결음(예: 'uh-oh!'의 모음 사이[9])으로 나타나고, t 음 성문화에서 이음 음소로 나타난다. 영국 영어에서 성문 폐쇄음은 "butter"를 "bu'er"로 발음하는 코크니 발음에서 가장 익숙하다. 조지 영어는 t, k, p에 성문 폐쇄음을 자주 사용하며, 독특한 형태의 성문화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영어의 무음 시작음으로서 성문 폐쇄음이 있다. 다시 말해, 고립된 모음이나 첫 모음 앞에 나타나는 비음운론적 성문 폐쇄음이다.종종 성문 폐쇄음은 침묵 후 모음 발성의 시작 부분에서 발생한다.[2]
이 음운는 영어에서 음소는 아니지만, 거의 모든 영어 방언에서 음절 말소리의 의 이음 음소로 음성적으로 나타난다. 코크니, 스코틀랜드 영어 및 다른 여러 영국 방언의 화자들은 'city'와 같이 모음 사이의 음절 간 도 발음한다. 현대 영국 표준 영어에서는 성문 폐쇄음이 자음 동일 음절의 무성 파열음 앞에 삽입된다: stop, that, knock, watch, 그리고 leap, soak, help, pinch.[10][11]
미국 영어에서는 "cat"이나 "outside"와 같이 모음 + "t"로 끝나는 음절이나, "mountain"이나 "Manhattan"과 같이 "t" + 무성 모음 + "n"으로 끝나는 음절에서 "t"는 일반적으로 흡음되지 않는다. 이것은 혀가 치아 뒤 융기 부분에서 기류를 막기 때문에 "held t"(유지된 t)라고 한다. 그러나 미드애틀랜틱 주의 젊은 화자들 사이에서는 "held t"를 성문 폐쇄음으로 바꾸는 경향이 있어, "Manhattan"이 "Man-haʔ-in"처럼, "Clinton"이 "Cli(n)ʔ-in"처럼 들린다. 여기서 "ʔ"은 성문 폐쇄음이다. 이것은 특히 뉴욕시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변이어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다.[12][13]
많은 언어들, 예를 들어 페르시아어처럼 모음 연속을 허용하지 않는 언어에서는, 이러한 모음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성문 폐쇄음이 삽입될 수 있다. 덴마크어(stød 참조), 광둥어, 태국어와 같은 언어들의 역사에서 떨어지는 억양과 성문 폐쇄음 사이에는 복잡한 상호작용이 있다.
많은 언어에서, 강세가 없는 자음 사이의 성문 폐쇄음의 변이음은 쉰 목소리 성문 근사음이다. 이것은 단 한 개의 언어, 기미어에서만 대조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언어에서 그것은 폐쇄음의 유성 대응음이다.
일반적으로 모음의 흐름을 유지하는 언어에서도, 특정 상황에서 강조를 위해 성문 폐쇄음이 예외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틴어는 일반적으로 성문 폐쇄음을 피하지만, 육보격에서는 독자로 하여금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668행의 ''odiīs''(즉, “jactētur ʔodiīs”) 앞에 자음으로 간주되는 성문 폐쇄음을 생성하도록 요구한다.
lītora jactētur odiīs Jūnōnis inīquae
다음 표는 전 세계의 구어에서 성문 폐쇄음이 얼마나 널리 사용되는지를 보여준다.
어족 |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참고 | |
---|---|---|---|---|---|---|
북서 코카서스어족 | 압카스어 | аи|aiab | [ʔaj] | '아니오' | 압카스어 음운론 참조. | |
북서 코카서스어족 | 아디게어 | [ʔa] | '팔/손' | |||
셈어족 | 아랍어 | 현대 표준 아랍어[17] | أغاني|aġaniar | [ʔaˈɣaːniː] | '노래' | 아랍어 음운론, 함자 참조. |
레반트 아랍어 및 이집트 아랍어[18] | شقة|šaʾʾaar | [ˈʃæʔʔæ] | '아파트' | 다른 방언에서는 [q] 또는 [ɡ]에 해당한다. 레반트 아랍어 음운론 및 이집트 아랍어 음운론 참조 | ||
파시 및 틀렘센[19] | [ˈʔaːl] | '그가 말했다' | 다른 방언에서는 [q] 또는 [ɡ]에 해당한다. | |||
키란티어족 | 반타와어 | चा:वा|t͡saʔwaNe | [t͡saʔwa] | '마실 물' | ||
비콜어족 | 비콜어 | [ˈbaːʔɡo] | '새로운' | |||
슬라브어족 | 불가리아어 | ъ-ъ|ŭ-ŭbg | [ˈʔɤʔɤ] | '아니오' | ||
시노티베트어족 | 버마어 | မြစ်များ|mrac mya:my | [mjiʔ mjá] | '강들' | ||
필리핀어족 | 세부아노어 | [ˈtuboʔ] | '자라다' | |||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 차모로어 | halu'u|haluʔuch | [həluʔu] | '상어' | ||
한자어족 | 중국어 | 광둥어 | [ʔɔːi˧] | '사랑' | 광둥어 음운론 참조. | |
우어 | [ʔiɪʔ.tɕiɪʔ.ʔləʔ] | '최고의' | ||||
호키엔어 | [hɐʔ˥] | '맞다' | ||||
폴리네시아어족 | 쿡 제도 마오리어 | ta'i|taʔirar | [taʔi] | '하나' | ||
슬라브어족 | 체코어 | používat|používatcs | [poʔuʒiːvat] | '사용하다' | 체코어 음운론 참조. | |
쿠시어족 | 다할로어 | ma'a|maʔadal | [maʔa] | '물' | 다할로어 음운론 참조 | |
게르만어족 | 덴마크어 | hånd|håndda | [ˈhʌ̹nʔ] | '손' | stød의 가능한 실현 중 하나. 방언과 말하기 방식에 따라 앞선 음의 성문화로 대체될 수 있다. 덴마크어 음운론 참조. | |
게르만어족 | 네덜란드어[20] | beamen|beamennl | [bəʔˈaːmə(n)] | '확인하다' | 네덜란드어 음운론 참조. | |
게르만어족 | 영어 | 여러 방언 | I am|I am영어 | [ʔaɪ ʔæm] (강세 있는 "am") 또는 [ʔaɪ æm] | '나' | 구절의 시작 부분에서 초기 모음 앞에 성문 폐쇄음이 붙는다. 다른 곳에서는 선택적으로 단어를 강조하거나 이전 단어와 분리하기 위해 사용된다.[14][15] |
RP | uh-oh|uh-oh영어 | [ˈɐʔəʊ] | 'uh-oh' | rowspan="2" | | ||
미국 영어 | [ˈʌʔoʊ] | |||||
호주 영어 | cat|cat영어 | [kʰæʔ(t)] | '고양이' | , /k/ 또는 /p/의 변이음. 성문화, 영어 음운론, 및 정관사 축약 참조. | ||
미국 일반 영어 | ||||||
템스 강 어류 | [kʰæʔ] | |||||
코크니[21] | [kʰɛ̝ʔ] | |||||
스코틀랜드 영어 | [kʰäʔ] | |||||
일부 잉글랜드 북부 | [ʔ] | 'the' | ||||
조디 | '감사합니다' | |||||
조디 | '사람들' | |||||
RP[22] 및 미국 일반 영어 | button|button영어 | [ˈbɐʔn̩] | '단추' | |||
게르만어족 | 독일어 | 북부 | Beamter|Beamterde | [bəˈʔamtɐ] | '공무원' | 일반적으로 모든 모음 개시음. 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조. |
투피-과라니어족 | 과라니어 | avañe'ẽ|avañeʔẽgn | [ãʋ̃ãɲẽˈʔẽ] | '과라니어' | 모음 사이에만 발생한다. | |
폴리네시아어족 | 하와이어[23] | ʻeleʻele|ʻeleʻelehaw | [ˈʔɛlɛˈʔɛlɛ] | '검은색' | 하와이어 음운론 참조. | |
셈어족 | 히브리어 | מאמר|ma'amarhe | [maʔămaʁ] | '논문' | 비격식적인 말에서는 종종 생략된다. 현대 히브리어 음운론 참조. | |
게르만어족 | 아이슬란드어 | en|enis | [ʔɛn] | '그러나' | 강조에 따라서만 사용되며, 최소 대립쌍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 |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 일로카노어 | nalab'-ay|nalabʔayilo | [nalabˈʔaj] | '싱거운 맛' | 단어 내에 나타날 때 하이픈을 사용한다. | |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 인도네시아어 | bakso|baksoid | [ˌbäʔˈso] | '미트볼' | 음절 말소리의 또는 의 변이음. | |
북동 코카서스어족 | 잉구시어 | / | [qoʔ] | '셋' | ||
일본어족 | 일본어 | 가고시마 | /kuQ/ | [kuʔ] | '목' | |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 자바어[24] | ꦲꦤꦏ꧀|anakjv | [änäʔ] | '아이' | 형태소 말미 위치에서 의 변이음. | |
아슬리안어족 | 제덱어[25] | [wɛ̃ʔ] | '왼쪽' | |||
북서 코카서스어족 | 카바르디어 | [ʔa] | '팔/손' | |||
마노보어족 | 카가야넨어[26] | saag|saʔagcgc | [saˈʔaɡ] | '바닥' | ||
카시-팔라웅어족 | 카시어 | l'yoh|lʔɔːʔkha | [lʔɔːʔ] | '구름' | ||
몬-크메르어족 | 크메르어 | សំអាត|sâm'atkm | [sɑmʔɑːt] | '청소하다' | 크메르어 음운론 참조 | |
한국어족 | 한국어 | 일|il한국어 | [ʔil] | '하나' | 성문 폐쇄음이 없는 것과 자유 변이를 이룬다. 단어의 처음 위치에만 나타난다. | |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 말레이어 | 표준 | tidak|tidakms | [ˈtidäʔ] | '아니오' | 음절 말소리의 의 변이음으로, 자음 앞과 단어 끝에서 발음된다. 다른 위치에서는 이 아랍어에서 차용된 외래어에서만 음소적 지위를 갖는다. 말레이어 음운론 참조 |
켈란탄-파타니 말레이어 | ikat|ikatms | [ˌiˈkaʔ] | '묶다' | 음절 말소리의 의 변이음. 자음 앞과 단어 끝에서 발음된다. | ||
트렝가누어 | ||||||
셈어족 | 몰타어 | qattus|qattus몰타어 | [ˈʔattus] | '고양이' | ||
폴리네시아어족 | 마오리어 | 타라나키, 왕가누이 | wahine|wahinemi | [waʔinɛ] | '여성' | |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 미낭카바우어 | wa'ang|waʔangmin | [wäʔäŋ] | '너' | 때때로 아포스트로피 없이 쓰인다. | |
욕-우티안어족 | 무츠어 | tawka'li|tawkaʔlicss | [tawkaʔli] | '검은 구스베리' | Ribes divaricatum | |
카르트벨리어족 | 밍그렐리아어 | ჸოროფა|ʔoropʰɑxmf | [ʔɔrɔpʰɑ] | '사랑' | ||
우토-아즈텍어족 | 나와틀어 | tahtli|tahtlinci | [taʔtɬi] | '아버지' | 종종 쓰지 않는다. | |
고원 페누티안어족 | 네즈퍼스어 | yáaka'|yáakaʔnez | [ˈjaːkaʔ] | '검은 곰' | ||
투피-과라니어족 | 니엥가투어[27] | ai|aiyrl | [aˈʔi] | '나무늘보' | 전사(또는 부재)가 다양하다. | |
알곤킨어족 | 오지브웨어 | ᒪᓯᓇᐃᑲᓐ|mazina'iganoj | [ˌmʌzɪˌnʌʔɪˈɡʌn] | '책; 편지; 문서; 종이' | 일부 방언에서는 과 합쳐진다. 오지브웨어 음운론 참조. | |
류큐어족 | 오키나와어 | 音|uturyu | [ʔutu] | '소리' | ||
인도-이란어족 | 페르시아어 | معنی|ma'nifa | [maʔni] | '의미' | 페르시아어 음운론 참조. | |
슬라브어족 | 폴란드어 | era | [ʔɛra] | '시대' | 대부분 초기 모음의 anlaut로 나타난다 (Ala ‒> [Ɂala]). 폴란드어 음운론#성문 폐쇄음 참조. | |
무라어족 | 피라하어 | baí'i|baíʔimyp | [ˈmàí̯ʔì] | '부모' | ||
로망스어족 | 포르투갈어[28] | 방언 브라질 포르투갈어 | [29] | [ˌʔe̞ˈʔeː] | 그래 맞아[30] | 주변적인 소리. 자음 앞이나 뒤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브라질 비격식 말투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모음 길이–높낮이 억양 최소 대립쌍이 존재한다(의성어 짧은 ih|ihpt 대 긴 ih|ihpt). 포르투갈어 음운론 참조. |
일부 화자 | à aula|à aulapt | [ˈa ˈʔawlɐ] | '수업에' | |||
오세아니아어족 | 로투마어[31] | 'usu|ʔusurtm | [ʔusu] | '권투하다' | ||
슬라브어족 | 러시아어 | не-а / ne-a | [ˈnʲeʔə] | '아니오' | ||
폴리네시아어족 | 사모아어 | ma'i|maʔi사모아어 | [maʔi] | '병/질병' | ||
로망스어족 | 사르데냐어[32] | 바르바지아의 일부 방언 | unu pacu|unu pacusc | [ˈuːnu paʔu] | '조금' | 의 자음 사이 변이음. |
사라부스의 일부 방언 | sa luna|sa lunasc | [sa ʔuʔa] | '달' | |||
슬라브어족 | 세르보크로아티아어[33] | [iː ʔô̞n̪d̪a̠] | '그리고 나서' | 선택적으로 단어 경계를 넘어 모음 사이에 삽입된다.[33]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음운론 참조 | ||
고립어 | 세리어 | he|hesei | [ʔɛ] | '나' | ||
쿠시어족 | 소말리아어 | ba'|baʔso | [baʔ] | '재앙' | 모든 모음 앞에 이 나타나지만, 중간 및 마지막에만 쓰여진다.[34] 소말리아어 음운론 참조 | |
로망스어족 | 스페인어 | 니카라과[35] | [ˈma ˈʔal̻t̻o̞] | '더 높은' | 다른 단어 사이의 모음 사이의 의 주변 소리 또는 변이음. 자음 앞이나 뒤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스페인어 음운론 참조. | |
유카테코[36] | [ˈkwatɾo̞ ˈʔãɲo̞s] | '4년' | ||||
살리시안어족 | 스쿼미시어 | Sḵwx̱wú7mesh sníchim | [sqʷχʷoʔməʃ snit͡ʃim] | '스쿼미시어' | ||
필리핀어족 | 타갈로그어 | aaâ|aaâtl | [ʔɐʔɐˈʔaʔ] | 똥 누다 (미래) | 타갈로그어 음운론 참조. | |
폴리네시아어족 | 타히티어 | pua'a|puaʔati | [puaʔa] | '돼지' | ||
타이-카다이어족 | 태국어 | อา|ʔāth | [ʔaː] | 삼촌/숙모 (아버지의 남동생) | ||
폴리네시아어족 | 통가어 | tu'u|tuʔu통가어 | [tuʔu] | '서다' | ||
사모예드어족 | 툰드라 네네츠어 | вы'|vyʔyrk | [wɨʔ] | '툰드라' | ||
월어족 | 베트남어[37] | oi|oivi | [ʔɔj˧] | '후덥지근한' | 성문 폐쇄음이 없는 것과 자유 변이를 이룬다. 베트남어 음운론 참조. | |
핀우그리아어족 | 보로어 | piniq|piniqvro | [ˈpinʲiʔ] | '개들' | "q"는 보로어 복수 접미사("maa", "kala", "땅", "물고기"; "maaq", "kalaq", "땅들", "물고기들"). | |
고립어 | 와기만어 | jamh|jamʔwaq | [t̠ʲʌmʔ] | 먹다 (완료) | ||
오모어족 | 웰레이타어 | 7írTi | [ʔirʈa] | '젖은' | ||
폴리네시아어족 | 왈리스어 | ma'uli|maʔuliwls | [maʔuli] | '삶' |
한국어(표준어)를 포함한 많은 언어는 성문폐쇄음을 음소로 가지고 있지 않지만, 이러한 언어에서도 발화 상황이나 화자에 따라 모음의 앞뒤 등에 성문폐쇄음이 나타나는 것은 드물지 않다. 이러한 경우의 성문폐쇄음(폐쇄음)은 일반적으로 화자에 의해 의식되지 않고, 거의 구별 기능을 담당하지 않는다. 한 예로, 단어 사이의 경계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정 음소의 변이음으로 성문폐쇄음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는 어말의 /t/가 이 음으로 변하는 경우가 있다(예: cat|cat영어 [kʰæʔ]). 또한, 영국 영어에서는 어중간에도 변하는 경우가 있다(예: water|water영어 [ˈwɔːʔə]).
5. 각주
(출력물이 비어있음)
참조
[1]
논문
Occurrence of Glottal Stops in Fluent Speech
1978
[2]
논문
Glottal Consonants … Another View
1990
[3]
웹사이트
The Basics of Filipino Pronunciation: Part 2 of 3 • Accent Marks
https://www.pilipino[...]
2011-03-16
[4]
간행물
Grammar Notes on the National Language
https://fhl.digitals[...]
[5]
서적
Tagalog Reading Booklet
https://www.supadu.c[...]
Simon & Schister's Pimsleur
2007
[6]
간행물
Proposal to Add Latin Small Letter Glottal Stop to the UCS
https://std.dkuug.dk[...]
2005-08-10
[7]
웹사이트
What's in A Name? a Chipewyan's Battle Over Her Native Tongue
https://www.macleans[...]
2015-03-12
[8]
서적
A grammar of Crow = Apsáalooke Aliláau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7
[9]
서적
Mastering Hebrew
https://books.google[...]
Barron's
1988
[10]
서적
Listening to Spoken English
Longman
1977
[11]
간행물
General Linguistics & Indo-European Reconstruction
https://www.kortland[...]
1993
[12]
웹사이트
(That Way They Talk II)
https://www.chronicl[...]
2012-03-12
[13]
논문
American English Has Goʔ A Loʔ Of Glottal Stops: Social Diffusion and Linguistic Motivation
https://read.dukeupr[...]
2010-08-01
[14]
서적
Phonetics for Dummi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3-09-05
[15]
서적
English After RP: Standard British Pronunciation Toda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
[16]
논문
Glottal stops before word-initial vowels in American English: distribution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https://escholarship[...]
[17]
참고자료
[18]
참고자료
[19]
논문
The Stigmatisation of the Glottal Stop in Tlemcen Speech Community: An Indicator of Dialect Shift
https://www.research[...]
2013
[20]
참고자료
[21]
참고자료
[22]
참고자료
[23]
참고자료
[24]
참고자료
[25]
논문
Jedek: A Newly-Discovered Aslian Variety of Malaysia
https://pubman.mpdl.[...]
2017
[26]
참고자료
[27]
논문
Fonologia e Gramática do Nheengatú: A língua geral falada pelos povos Baré, Warekena e Baniwa
https://www.lotpubli[...]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2011
[28]
학회발표
O Arquivo Dialetal do CLUP: disponibilização on-line de um corpus dialetal do português
https://sigarra.up.p[...]
2013
[29]
간행물
Phonetic Symbols for Portuguese Phonetic Transcription
https://users.ox.ac.[...]
2012-10-00
[30]
웹사이트
How to say 'eu, hein' in English – Adir Ferreira Idiomas
https://www.adirferr[...]
[31]
참고자료
[32]
서적
Su sardu limba de Sardigna et limba de Europa
https://www.sardegna[...]
Cooperativa Universitaria Editrice Cagliaritana
2004
[33]
참고자료
[34]
간행물
Supraglottal Cavity Shape, Linguistic Register, and Other Phonetic Features of Somali
[35]
간행물
The Hypo-Hyperarticulation Continuum in Nicaraguan Spanish
https://www.nwav42.p[...]
[36]
논문
Voiceless Stop Aspiration in Yucatán Spanish: A Sociolinguistic Analysis
https://etd.lib.ncsu[...]
2014-03-07
[37]
서적 #추정. Harvcoltxt는 인용 스타일이므로 type을 명확히 알 수 없음. 추가 정보 필요
[38]
일반텍스트
[39]
서적 #추정. 형식으로 보아 서적 인용으로 추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