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인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인느는 베트남의 여자 축구 선수로, 공격수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2007년부터 2022년까지 호찌민 시티 I에서 8번의 리그 우승을 이끌었으며, 2022년에는 포르투갈의 렝크 FC 빌라베르덴스로 이적하여 베트남 여자 선수 최초로 유럽 리그에 진출했다. 베트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에서는 68골을 기록하며 최다 골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참가했다. 개인적으로는 베트남 여자 골든 볼을 5회 수상했고, 2022년에는 노동 훈장 2등급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여자 축구 선수 - 응우옌티빅투이
응우옌티빅투이는 베트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서, FIFA 여자 월드컵, AFC 여자 아시안컵,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아시안 게임 등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했으며 호치민 시티 FC 여자팀에서 베트남 여자 리그 우승을 여러 차례 경험했다. - 베트남의 여자 축구 선수 - 쩐티낌따인
쩐 티 낌 따인은 베트남 여자 축구 선수로 골키퍼 포지션에서 활약하며, 호치민 시티 I 여자 축구단에서 14년간 뛰며 베트남 여자 리그 우승을 여러 차례 차지하고,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주전 골키퍼로 활약했다.
후인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Huỳnh Như |
출생일 | 1991년 11월 28일 |
출생지 | 짜빈성 쩌우타인현, 베트남 |
키 | 1.57m |
포지션 | 공격수 |
현재 소속팀 | 호찌민 시티 위민 |
등번호 | 9 |
클럽 경력 | |
2007–2022 | 호찌민 시티 위민 |
출전 | 152 |
골 | 105 |
2022–2024 | 렝크 FC 빌라베르덴스 |
출전 | 27 |
골 | 8 |
2024– | 호찌민 시티 위민 |
출전 | 3 |
골 | 3 |
국가대표 경력 | |
2011– | 베트남 |
출전 | 109 |
골 | 68 |
메달 기록 | |
아세안 여자 챔피언십 | 2011 라오스: 3위 2016 미얀마: 준우승 2018 인도네시아: 3위 2019 태국: 우승 |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2013 네피도: 은메달 2017 쿠알라룸푸르: 금메달 2019 마닐라: 금메달 2021 하노이: 금메달 2023 프놈펜: 금메달 |
2. 클럽 경력
후인느는 베트남 여자 축구 선수로, 2007년부터 호찌민 시티 I에서 주전 공격수로 활약하며 리그 8회 우승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7] 2022년에는 베트남 여자 선수 최초로 유럽 리그인 포르투갈의 렝크 FC 빌라베르덴스에 진출했다.[6] 2024년 8월, 렝크 FC 빌라베르덴스와의 계약 만료 후 호찌민 시티 I로 복귀했다.[7]
2. 1. 호찌민 시티 I
2007년 호찌민 시티 I에 입단하여 15년간 주전 공격수로 활약하며 리그 8회 우승(2010, 2015, 2016, 2017, 2019, 2020, 2021, 2022), 리그 2회 준우승(2013, 2018), 리그 2회 3위(2011, 2012), 베트남 여자 내셔널컵 3연패(2020, 2021, 2022)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7] 호찌민 시티 I에서 84경기에 출전하여 62골을 기록했다.[7]2024년 8월, Länk FC Vilaverdense와의 계약이 만료된 후, 호찌민 시티 I로 복귀하여 2024-25 AFC 여자 챔피언스 리그에 참가했다.[7]
2. 2. 렝크 FC 빌라베르덴스
2022 시즌을 끝으로 15년간 몸 담았던 호찌민 시티를 떠나 포르투갈 캄페오나투 나시오날 페미니누의 렝크 FC 빌라베르덴스에 입단하며 베트남 여자 선수로는 최초로 유럽 리그에 진출했다.[6]3. 국가대표팀 경력
후인느는 베트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68골을 기록하며, 베트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
3. 1. 주요 국제 대회 활약
20세의 나이에 베트남 여자 A대표팀에 처음 발탁된 후 국제 A매치 데뷔전인 싱가포르와의 아세안 여자 챔피언십 A조 조별리그 개막전에서 A매치 데뷔골을 해트트릭으로 장식하는 등 이 대회 5경기에서 5골을 터뜨리며 대회 3위 입상에 기여했다.[1]키르기스스탄과의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C조 2차전에서 멀티골을 터뜨리며 팀의 12-0 대승과 7회 연속 여자 아시안컵 본선 진출에 일조했고 2013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도 2골을 터뜨리며 은메달을 획득했다.[1]
자국에서 열린 2015년 아세안 여자 챔피언십에 출전해 4골을 넣으며 팀의 9회 연속 아세안 여자 챔피언십 4강 진출을 이끌었지만, 4강에서 태국, 3위 결정전에서 호주 U-20 여자 대표팀에 패하며 4위에 머물렀다.[1]
같은 동남아시아팀인 미얀마와의 2016년 하계 올림픽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2차전에서 멀티골을 기록하며 최종 예선 진출에 기여했고, 일본과의 최종 예선 4차전에서 페널티킥 동점골을 넣었지만 팀의 5전 전패는 막지 못했다.[1]
2016년 아세안 여자 챔피언십에서 2골을 넣으며 팀의 준우승을 이끌었고,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에서 6골을 기록하며 8회 연속 여자 아시안컵 본선 진출에 기여했으며, 2017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3골을 터뜨리며 12년 만의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1]
2019년 아세안 여자 챔피언십에서 7골을 터뜨리며 베트남의 통산 3번째 우승을 이끌었고, 201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2골을 기록하며 2회 연속이자 통산 6번째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 2골을 넣으며 베트남 남녀 대표팀 통틀어 사상 첫 월드컵 본선 진출이라는 역사를 만들었다.[1]
2021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와 2023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 참가해 베트남의 4회 연속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고, 2022년 아세안 여자 챔피언십에서는 팀이 4위에 머무르며 2회 연속 우승에는 실패했지만, 이 대회에서 7골을 터뜨리며 필리핀의 서리나 볼든과 함께 대회 공동 득점상을 받았다.[1]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을 통해 생애 첫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았지만, 여자 월드컵 최다 우승팀이자 여자 축구 세계 최강 미국, 같은 여자 월드컵 처녀 출전팀인 포르투갈, 전 대회 준우승팀인 네덜란드에 3전 전패를 당하며 세계 축구의 높은 벽을 실감했다.[1]
4. 경력 통계
클럽 | 시즌 | 리그 | 국내 컵 | 리그 컵 | 대륙 대회 | 총합 | ||||||
---|---|---|---|---|---|---|---|---|---|---|---|---|
디비전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호치민 시티 | 2007–22 | 베트남 여자 선수권 | 52 | 45 | 32 | 18 | – | – | 84 | 62 | ||
합계 | 52 | 45 | 32 | 18 | – | – | 84 | 62 | ||||
링크 FC 빌라베르덴스 | 2022-23 | 캄페오나투 나시오날 페미니노 | 18 | 5 | 2 | 2 | 2 | 0 | – | 22 | 7 | |
2023-24 | 9 | 1 | 2 | 0 | 2 | 0 | - | 13 | 1 | |||
합계 | 27 | 6 | 4 | 2 | 4 | 0 | – | 35 | 8 | |||
선수 경력 총계 | 89 | 51 | 6 | 4 | 4 | 0 | 0 | 0 | 119 | 70 |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장 | 골 |
---|---|---|---|
베트남 | 2011 | 4 | 5 |
2012 | 0 | 0 | |
2013 | 11 | 7 | |
2014 | 0 | 0 | |
2015 | 11 | 6 | |
2016 | 10 | 3 | |
2017 | 7 | 9 | |
2018 | 13 | 6 | |
2019 | 16 | 12 | |
2020 | 3 | 1 | |
2021 | 2 | 2 | |
2022 | 18 | 11 | |
2023 | 13 | 6 | |
합계 | 108 | 68 |
No. | 날짜 | 경기장 | 상대팀 | 스코어 | 결과 | 대회 |
---|---|---|---|---|---|---|
1., 2., 3. | 2011년 10월 16일 | 라오스 신 국립 경기장, 비엔티안, 라오스 | 1–0, 7–1, 9–1 | 9–1 | 2011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4. | 2011년 10월 18일 | 라오스 신 국립 경기장, 비엔티안, 라오스 | 1–0 | 4–0 | 2011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5. | 2011년 10월 25일 | 라오스 신 국립 경기장, 비엔티안, 라오스 | 2–0 | 6–0 | 2011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6. | 2013년 4월 28일 | 베트남 YFT 센터, 하노이, 베트남 | 1–0 | 1–0 | 친선 경기 | |
7., 8. | 2013년 5월 16일 | 암만, 요르단 | 2–0, 5–0 | 5–1 | 친선 경기 | |
9., 10. | 2013년 5월 24일 | 바레인 국립 경기장, 리파, 바레인 | 11–0, 12–0 | 12–0 | 2014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 |
11. | 2013년 12월 13일 | 만달라시리 경기장, 만달레이, 미얀마 | 7–0 | 7–0 | 2013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12. | 2013년 12월 18일 | 만달라시리 경기장, 만달레이, 미얀마 | 4–0 | 4–0 | 2013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13., 14. | 2015년 5월 2일 | 통 낫 스타디움, 호치민 시, 베트남 | 1–0, 2–2 | 3–2 | 2015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15., 16. | 2015년 5월 4일 | 통 낫 스타디움, 호치민 시, 베트남 | 1–0, 4–0 | 7–0 | 2015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17., 18. | 2015년 9월 18일 | 만달라시리 경기장, 만달레이, 미얀마 | 1–0, 4–0 | 4–2 | 2016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
19. | 2016년 3월 7일 | 킨초 스타디움, 오사카, 일본 | 1–1 | 1–6 | 2016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
20. | 2016년 7월 30일 | 만달라시리 경기장, 만달레이, 미얀마 | 1–0 | 2–0 | 2016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21. | 2016년 8월 2일 | 만달라시리 경기장, 만달레이, 미얀마 | 1–0 | 3–3 (5–4 p) | 2016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22., 23., 24. | 2017년 4월 7일 | 베트남 YFT 센터, 하노이, 베트남 | 2–0, 5–0, 6–0 | 8–0 | 2018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 |
25., 26. | 2017년 4월 9일 | 베트남 YFT 센터, 하노이, 베트남 | 4–1, 6–1 | 6–1 | 2018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 |
27. | 2017년 4월 11일 | 베트남 YFT 센터, 하노이, 베트남 | 2–0 | 2–0 | 2018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 |
28. | 2017년 8월 17일 | UM 아레나 스타디움, 샤알람, 말레이시아 | 1–0 | 3–0 | 2017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29. | 2017년 8월 20일 | UM 아레나 스타디움, 샤알람, 말레이시아 | 3–1 | 3–1 | 2017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30. | 2017년 8월 24일 | UiTM 스타디움, 샤알람, 말레이시아 | 4–0 | 6–0 | 2017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31., 32. | 2018년 7월 3일 | 자카바링 스타디움, 팔렘방, 인도네시아 | 1–0, 5–0 | 6–0 | 2018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33., 34. | 2018년 7월 7일 | 자카바링 스타디움, 팔렘방, 인도네시아 | 2–0, 3–0 | 5–0 | 2018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35., 36. | 2018년 7월 9일 | 자카바링 스타디움, 팔렘방, 인도네시아 | 1–0, 2–0 | 4–3 | 2018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37. | 2019년 4월 3일 | 로코모티프 스타디움,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1–0 | 2–1 | 2020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
38. | 2019년 4월 6일 | 교통 연구소 스타디움,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2–0 | 2–1 | 2020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
39. | 2019년 4월 9일 | 교통 연구소 스타디움,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1–0 | 2–0 | 2020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
40., 41. | 2019년 8월 16일 | IPE 촌부리 캠퍼스 스타디움, 촌부리, 태국 | 1–0, 3–0 | 10–0 | 2019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42., 43., 44. | 2019년 8월 18일 | IPE 촌부리 캠퍼스 스타디움, 촌부리, 태국 | 2–0, 4–0, 5–0 | 7–0 | 2019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45. | 2019년 8월 25일 | IPE 촌부리 캠퍼스 스타디움, 촌부리, 태국 | 1–1 | 2–1 | 2019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46. | 2019년 8월 27일 | IPE 촌부리 캠퍼스 스타디움, 촌부리, 태국 | 1–0 | 1–0 | 2019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47., 48. | 2019년 11월 29일 | 비냔 축구 경기장, 비냔, 필리핀 | 4–0, 5–0 | 6–0 | 2019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49. | 2020년 3월 11일 | 깜 파 경기장, 깜 파, 베트남 | 1–2 | 1–2 | 2020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
50. | 2021년 9월 23일 | 파미르 스타디움, 두샨베, 타지키스탄 | 8–0 | 16–0 | 2022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 |
51. | 2021년 9월 29일 | 파미르 스타디움, 두샨베, 타지키스탄 | 3–0 | 7–0 | 2022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 |
52. | 2022년 1월 27일 | DY 파틸 스타디움, 나비뭄바이, 인도 | 2–2 | 2–2 | 2022 AFC 여자 아시안컵 | |
53. | 2022년 2월 2일 | DY 파틸 스타디움, 나비뭄바이, 인도 | 1–0 | 2–0 | 2022 AFC 여자 아시안컵 | |
54. | 2022년 5월 18일 | 깜 파 경기장, 깜 파, 베트남 | 1–0 | 1–0 | 2021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55. | 2022년 5월 21일 | 깜 파 경기장, 깜 파, 베트남 | 1–0 | 1–0 | 2021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56., 57. | 2022년 7월 9일 | 비냔 축구 경기장, 비냔, 필리핀 | 2–0, 5–0 | 5–0 | 2022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58., 59. | 2022년 7월 11일 | 비냔 축구 경기장, 비냔, 필리핀 | 1–0, 4–0 | 6–0 | 2022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60. | 2022년 7월 13일 | 리잘 메모리얼 스타디움, 마닐라, 필리핀 | 3–0 | 4–0 | 2022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61., 62. | 2022년 7월 17일 | 리잘 메모리얼 스타디움, 마닐라, 필리핀 | 1–1, 2–1 | 3–4 | 2022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63., 64. | 2023년 4월 5일 | 다사라트 랑가살라, 카트만두, 네팔 | 2–0, 4–0 | 5–1 | 2024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
65. | 2023년 5월 6일 | RCAF 구 경기장, 프놈펜, 캄보디아 | 1–0 | 3–1 | 2023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66. | 2023년 5월 12일 | 올림픽 스타디움, 프놈펜, 캄보디아 | 4–0 | 4–0 | 2023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67. | 2023년 5월 15일 | 올림픽 스타디움, 프놈펜, 캄보디아 | 1–0 | 2–0 | 2023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68. | 2023년 10월 29일 | 로코모티프 스타디움,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1–0 | 3–1 | 2024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4. 1. 클럽
후인느는 2007년 호찌민 시티 위민에 입단하여 15년간 주전 공격수로 활약하며 리그 8회 우승(2010, 2015, 2016, 2017, 2019, 2020, 2021, 2022), 2회 준우승(2013, 2018), 2회 연속 리그 3위(2011, 2012), 베트남 여자 내셔널컵 3연패(2020, 2021, 2022) 등의 성과를 남겼다.2022 시즌을 끝으로 호찌민 시티를 떠나 포르투갈 캄페오나투 나시오날 페미니누의 렝크 FC 빌라베르덴스에 입단하며 베트남 여자 선수로는 최초로 유럽 리그에 진출했다.
클럽 | 시즌 | 리그 | 국내 컵 | 리그 컵 | 대륙 대회 | 총합 | ||||||
---|---|---|---|---|---|---|---|---|---|---|---|---|
디비전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호치민 시티 | 2007–22 | 베트남 여자 선수권 | 52 | 45 | 32 | 18 | – | – | 84 | 62 | ||
합계 | 52 | 45 | 32 | 18 | – | – | 84 | 62 | ||||
링크 FC 빌라베르덴스 | 2022-23 | 캄페오나투 나시오날 페미니노 | 18 | 5 | 2 | 2 | 2 | 0 | – | 22 | 7 | |
2023-24 | 9 | 1 | 2 | 0 | 2 | 0 | - | 13 | 1 | |||
합계 | 27 | 6 | 4 | 2 | 4 | 0 | – | 35 | 8 | |||
선수 경력 총계 | 89 | 51 | 6 | 4 | 4 | 0 | 0 | 0 | 119 | 70 |
4. 2. 국가대표팀
후인느는 20세에 베트남 여자 A대표팀에 처음 발탁되었다. 싱가포르와의 아세안 여자 챔피언십 A조 조별리그 개막전에서 국제 A매치 데뷔골을 해트트릭으로 장식하는 등 이 대회 5경기에서 5골을 기록하며 베트남의 대회 3위 입상에 기여했다.[1]이후 키르기스스탄과의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C조 2차전에서 멀티골을 기록하며 팀의 12-0 대승과 7회 연속 여자 아시안컵 본선 진출에 일조했고, 2013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도 2골을 넣으며 은메달 획득에 기여했다.[1]
자국에서 열린 2015년 아세안 여자 챔피언십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하며 팀의 9회 연속 아세안 여자 챔피언십 4강 진출을 이끌었지만, 4강에서 태국에 패하고 3위 결정전에서도 호주 U-20 여자 대표팀에 패하며 4위에 머물렀다.[1]
미얀마와의 2016년 하계 올림픽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2차전에서 멀티골을 넣어 최종 예선 진출에 기여했고, 일본과의 최종 예선 4차전에서도 페널티킥 동점골을 기록했지만 팀의 5전 전패는 막지 못했다.[1]
2016년 아세안 여자 챔피언십에서 2골을 넣으며 팀의 준우승을 이끌었고,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에서 6골을 기록하며 8회 연속 여자 아시안컵 본선 진출에 기여했으며, 2017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도 3골을 넣어 12년 만의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금메달 획득의 주역으로 활약했다.[1]
2019년 아세안 여자 챔피언십에서 7골을 기록하며 베트남의 통산 3번째 우승을 이끌었고, 201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도 2골을 넣어 2회 연속이자 통산 6번째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금메달 획득을 이끌었다.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도 2골을 기록하며 베트남 남녀 대표팀 통틀어 사상 첫 월드컵 본선 진출이라는 역사를 만들었다.[1]
2021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와 2023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도 참가하여 베트남의 4회 연속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고, 2022년 아세안 여자 챔피언십에서는 팀이 4위에 머물렀지만 7골을 넣어 필리핀의 서리나 볼든과 함께 대회 공동 득점상을 수상했다.[1]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을 통해 생애 첫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았지만, 미국, 포르투갈, 네덜란드에 3전 전패를 당하며 세계 축구의 높은 벽을 실감했다.[1]
베트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68골을 기록하며, 베트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골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장 | 골 |
---|---|---|---|
베트남 | 2011 | 4 | 5 |
2012 | 0 | 0 | |
2013 | 11 | 7 | |
2014 | 0 | 0 | |
2015 | 11 | 6 | |
2016 | 10 | 3 | |
2017 | 7 | 9 | |
2018 | 13 | 6 | |
2019 | 16 | 12 | |
2020 | 3 | 1 | |
2021 | 2 | 2 | |
2022 | 18 | 11 | |
2023 | 13 | 6 | |
합계 | 108 | 68 |
No. | 날짜 | 경기장 | 상대팀 | 스코어 | 결과 | 대회 |
---|---|---|---|---|---|---|
1., 2., 3. | 2011년 10월 16일 | 라오스 신 국립 경기장, 비엔티안, 라오스 | 1–0, 7–1, 9–1 | 9–1 | 2011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4. | 2011년 10월 18일 | 라오스 신 국립 경기장, 비엔티안, 라오스 | 1–0 | 4–0 | 2011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5. | 2011년 10월 25일 | 라오스 신 국립 경기장, 비엔티안, 라오스 | 2–0 | 6–0 | 2011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6. | 2013년 4월 28일 | 베트남 YFT 센터, 하노이, 베트남 | 1–0 | 1–0 | 친선 경기 | |
7., 8. | 2013년 5월 16일 | 암만, 요르단 | 2–0, 5–0 | 5–1 | 친선 경기 | |
9., 10. | 2013년 5월 24일 | 바레인 국립 경기장, 리파, 바레인 | 11–0, 12–0 | 12–0 | 2014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 |
11. | 2013년 12월 13일 | 만달라시리 경기장, 만달레이, 미얀마 | 7–0 | 7–0 | 2013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12. | 2013년 12월 18일 | 만달라시리 경기장, 만달레이, 미얀마 | 4–0 | 4–0 | 2013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13., 14. | 2015년 5월 2일 | 통 낫 스타디움, 호치민 시, 베트남 | 1–0, 2–2 | 3–2 | 2015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15., 16. | 2015년 5월 4일 | 통 낫 스타디움, 호치민 시, 베트남 | 1–0, 4–0 | 7–0 | 2015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17., 18. | 2015년 9월 18일 | 만달라시리 경기장, 만달레이, 미얀마 | 1–0, 4–0 | 4–2 | 2016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
19. | 2016년 3월 7일 | 킨초 스타디움, 오사카, 일본 | 1–1 | 1–6 | 2016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
20. | 2016년 7월 30일 | 만달라시리 경기장, 만달레이, 미얀마 | 1–0 | 2–0 | 2016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21. | 2016년 8월 2일 | 만달라시리 경기장, 만달레이, 미얀마 | 1–0 | 3–3 (5–4 p) | 2016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22., 23., 24. | 2017년 4월 7일 | 베트남 YFT 센터, 하노이, 베트남 | 2–0, 5–0, 6–0 | 8–0 | 2018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 |
25., 26. | 2017년 4월 9일 | 베트남 YFT 센터, 하노이, 베트남 | 4–1, 6–1 | 6–1 | 2018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 |
27. | 2017년 4월 11일 | 베트남 YFT 센터, 하노이, 베트남 | 2–0 | 2–0 | 2018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 |
28. | 2017년 8월 17일 | UM 아레나 스타디움, 샤알람, 말레이시아 | 1–0 | 3–0 | 2017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29. | 2017년 8월 20일 | UM 아레나 스타디움, 샤알람, 말레이시아 | 3–1 | 3–1 | 2017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30. | 2017년 8월 24일 | UiTM 스타디움, 샤알람, 말레이시아 | 4–0 | 6–0 | 2017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31., 32. | 2018년 7월 3일 | 자카바링 스타디움, 팔렘방, 인도네시아 | 1–0, 5–0 | 6–0 | 2018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33., 34. | 2018년 7월 7일 | 자카바링 스타디움, 팔렘방, 인도네시아 | 2–0, 3–0 | 5–0 | 2018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35., 36. | 2018년 7월 9일 | 자카바링 스타디움, 팔렘방, 인도네시아 | 1–0, 2–0 | 4–3 | 2018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37. | 2019년 4월 3일 | 로코모티프 스타디움,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1–0 | 2–1 | 2020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
38. | 2019년 4월 6일 | 교통 연구소 스타디움,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2–0 | 2–1 | 2020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
39. | 2019년 4월 9일 | 교통 연구소 스타디움,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1–0 | 2–0 | 2020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
40., 41. | 2019년 8월 16일 | IPE 촌부리 캠퍼스 스타디움, 촌부리, 태국 | 1–0, 3–0 | 10–0 | 2019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42., 43., 44. | 2019년 8월 18일 | IPE 촌부리 캠퍼스 스타디움, 촌부리, 태국 | 2–0, 4–0, 5–0 | 7–0 | 2019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45. | 2019년 8월 25일 | IPE 촌부리 캠퍼스 스타디움, 촌부리, 태국 | 1–1 | 2–1 | 2019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46. | 2019년 8월 27일 | IPE 촌부리 캠퍼스 스타디움, 촌부리, 태국 | 1–0 | 1–0 | 2019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47., 48. | 2019년 11월 29일 | 비냔 축구 경기장, 비냔, 필리핀 | 4–0, 5–0 | 6–0 | 2019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49. | 2020년 3월 11일 | 깜 파 경기장, 깜 파, 베트남 | 1–2 | 1–2 | 2020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
50. | 2021년 9월 23일 | 파미르 스타디움, 두샨베, 타지키스탄 | 8–0 | 16–0 | 2022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 |
51. | 2021년 9월 29일 | 파미르 스타디움, 두샨베, 타지키스탄 | 3–0 | 7–0 | 2022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 |
52. | 2022년 1월 27일 | DY 파틸 스타디움, 나비뭄바이, 인도 | 2–2 | 2–2 | 2022 AFC 여자 아시안컵 | |
53. | 2022년 2월 2일 | DY 파틸 스타디움, 나비뭄바이, 인도 | 1–0 | 2–0 | 2022 AFC 여자 아시안컵 | |
54. | 2022년 5월 18일 | 깜 파 경기장, 깜 파, 베트남 | 1–0 | 1–0 | 2021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55. | 2022년 5월 21일 | 깜 파 경기장, 깜 파, 베트남 | 1–0 | 1–0 | 2021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56., 57. | 2022년 5월 9일 | 비냔 축구 경기장, 비냔, 필리핀 | 2–0, 5–0 | 5–0 | 2022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58., 59. | 2022년 7월 11일 | 비냔 축구 경기장, 비냔, 필리핀 | 1–0, 4–0 | 6–0 | 2022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60. | 2022년 7월 13일 | 리잘 메모리얼 스타디움, 마닐라, 필리핀 | 3–0 | 4–0 | 2022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61., 62. | 2022년 7월 17일 | 리잘 메모리얼 스타디움, 마닐라, 필리핀 | 1–1, 2–1 | 3–4 | 2022 AFF 여자 선수권 대회 | |
63., 64. | 2023년 4월 5일 | 다사라트 랑가살라, 카트만두, 네팔 | 2–0, 4–0 | 5–1 | 2024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
65. | 2023년 5월 6일 | RCAF 구 경기장, 프놈펜, 캄보디아 | 1–0 | 3–1 | 2023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66. | 2023년 5월 12일 | 올림픽 스타디움, 프놈펜, 캄보디아 | 4–0 | 4–0 | 2023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67. | 2023년 5월 15일 | 올림픽 스타디움, 프놈펜, 캄보디아 | 1–0 | 2–0 | 2023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 |
68. | 2023년 10월 29일 | 로코모티프 스타디움,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1–0 | 3–1 | 2024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5. 수상 내역
wikitext
수상 | 내용 |
---|---|
베트남 여자 골든 볼 | 2016, 2019, 2020, 2021, 2022 |
베트남 여자 실버 볼 | 2018, 2023 |
베트남 여자 브론즈 볼 | 2015, 2017 |
베트남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득점왕 | 2013, 2016, 2017, 2021, 2022 |
베트남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최우수 선수 | 2018, 2019, 2020, 2021 |
여자 베트남 컵 최우수 선수 | 2020, 2021 |
노동 훈장 | 2등급: 2022 |
5. 1. 개인
상 | 내용 |
---|---|
베트남 여자 골든 볼 | 2016, 2019, 2020, 2021, 2022 |
베트남 여자 실버 볼 | 2018, 2023 |
베트남 여자 브론즈 볼 | 2015, 2017 |
베트남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득점왕 | 2013, 2016, 2017, 2021, 2022 |
베트남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최우수 선수 | 2018, 2019, 2020, 2021 |
여자 베트남 컵 최우수 선수 | 2020, 2021 |
노동 훈장 | 2등급: 2022 |
5. 2. 메달
참조
[1]
뉴스
Tiền đạo Huỳnh Như "dở khóc dở cười" với quà của nhà tài trợ
https://thethaohcm.v[...]
[2]
웹사이트
AFC Women's Asian Cup Jordan 2018 - Press Kit
https://www.the-afc.[...]
2020-05-21
[3]
Soccerway
2020-05-21
[4]
웹사이트
AFC Women's Asian Cup Jordan 2018 final squads – Group B
https://www.the-afc.[...]
2020-05-21
[5]
웹사이트
Huỳnh Như quê ở đâu? Đang chơi bóng ở đâu? Có bao nhiêu quả bóng vàng?
https://www.sporting[...]
The Sporting News
2023-04-23
[6]
웹사이트
Lank FC Vilaverdense - đội bóng của Huỳnh Như ở Bồ Đào Nha có gì đặc biệt?
https://thanhnien.vn[...]
2022-08-23
[7]
웹사이트
Tiền đạo Huỳnh Như trở lại đầu quân CLB nữ TP.HCM
https://tuoitre.vn/t[...]
2024-08-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