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엔티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엔티안은 라오스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메콩강에 위치하며 태국과 국경을 접한다. 라오어 '비앙짠'에서 유래한 프랑스어 표기로, '백단향의 성곽 도시'를 의미한다. 12세기부터 도시가 형성되었으며, 1560년 란쌍 왕국의 수도가 되었다. 이후 비엔티안 왕국으로 독립했지만, 시암에 정복당하고 프랑스 식민 지배를 거쳐 1975년 라오스 인민민주주의 공화국의 수도가 되었다. 현재는 라오스 경제의 중심지이며, 왓타이 국제공항, 라오스-중국 철도 등을 통해 다른 국가와 연결된다. 열대 사바나 기후를 보이며, 파탓루앙, 왓 시 무앙 등 다양한 불교 사원과 유적을 관광 명소로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엔티안 - 라오스 증권거래소
    라오스 증권거래소는 한국거래소의 지원과 태국의 자문을 받아 2011년 개장한 라오스의 유일한 증권거래소로, 중앙은행과 한국거래소가 지분을 투자하여 설립되었으며 현재 11개의 상장 회사가 등록되어 있다.
  • 라오스의 도시 - 삼느아
    삼느아는 라오스 후아판주에 위치한 도시로, 라오족이 다수를 이루며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과거 파텟 라오의 수도였으며 비엔사이 동굴 등 관광 자원을 보유한다.
  • 라오스의 도시 - 타케크
    타케크는 라오스에 위치한 도시로, 열대 몬순 기후를 나타내 뚜렷한 우기와 건기를 가지며 제3 태국-라오스 친선 다리를 통해 태국과 연결되고 라오스 주요 도시와의 버스 연결이 가능하다.
  • 아시아에 위치한 수도 - 뉴델리
    뉴델리는 인도의 수도이자 델리 수도권에 위치한 도시로,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건설되어 인도 독립 후에도 수도 기능을 유지하며 주요 정부 기관과 외교 공관이 위치해 있지만, 대기 오염 및 교통 혼잡, 재개발 관련 사회적 논쟁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아시아에 위치한 수도 - 다카
    다카는 방글라데시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서, 무굴 제국 시대부터 발전하여 동파키스탄 수도를 거쳐 방글라데시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남아시아 지역 협력 연합 창설을 주도하는 등 국제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인구 증가와 도시화로 인해 교통 체증, 환경 오염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비엔티안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파투사이
파투사이
비엔티안 전경
비엔티안 전경
왓 시사켓
왓 시사켓
파 탓 루앙
파 탓 루앙
기본 정보
로마자 표기Wiang Chan
로마자 표기Viangchan
다른 표기


수도 여부수도
국가라오스
행정 구역비엔티안도
설립일9세기
시장아츠팡통 시판돈
시간대UTC+7 (ICT)
지리
총 면적3,920 km²
해발 고도174 m
해발 고도 (피트)570 ft
인구
총 인구840,940명
인구 기준 년도2023년
인구 밀도자동 계산
경제
GDP30억 미국 달러 (2022년)
1인당 GDP3,600 미국 달러 (2022년)
기타

2. 어원

"비엔티안"(Vientiane)은 라오어 "비앙짠"에서 유래한 프랑스어 표기이다.[4] 이전에는 "ວຽງຈັນທນ໌|위앙짠lo" (태국어: เวียงจันทน์)으로 표기되었으나, 현재는 "ວຽງຈັນ|위앙짠lo"으로 일반적으로 표기된다. 라오어에서 "비앙"(ວຽງ|위앙lo)은 '성곽 도시'를 의미하는 반면, "짠"(ຈັນ|짠lo, 이전에는 ຈັນທນ໌|짠lo)은 산스크리트어 "찬다나"(चन्दन|찬다나sa)에서 유래하며, '백단향'을 뜻한다. 따라서 "비엔티안"은 '백단향의 성곽 도시'로 번역될 수 있다. 일부 라오스 사람들은 "짠"이 '달'을 의미하기도 하므로 '달의 성곽 도시'를 의미한다고 잘못 생각하지만, 이전에는 "ຈັນທຣ໌|짠lo" (달)로 구분하여 표기하였다.[4][5] 다른 로마자 표기로는 "비앙짠"과 "위앙짠"이 있다.[6]

"백단목이 있는 성벽 도시"라는 뜻 또는 "달의 도시"라는 뜻이 있지만, 라오스 정보문화부는 여러 가지 설을 소개하고 있다. 가로수가 많아 "숲의 도시"라고도 불린다.

한국어로는 "비엔티안"으로 표기한다. 태국어 로마자 표기에서 'v'는 일본어의 와 행에 해당하므로 "위엔티안"으로 쓰는 경우도 있지만, 라오어의 'v'는 "바비부베보"에 가까운 소리가 난다.

3. 역사

비엔티안은 메콩강을 따라 자리 잡고 있으며, 태국과는 메콩 강을 사이에 두고 국경을 접하고 있다. 이웃 나라들의 잦은 침략을 받아왔지만, 불교 국가의 수도로서 정치와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수많은 불교 사찰과 탑을 남겼다. "백단목이 있는 성벽 도시" 또는 "달의 도시"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라오스 정보문화부는 여러 가지 설을 소개하고 있다. 가로수가 많아 "숲의 도시"라고도 불린다.

180px


부처상이 있는 파탓루앙


호 프라케오 또는 에메랄드 불상 사원


비엔티엔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인 왓 시사켓


라오스 불교의 상징적인 존재인 탓 루앙


라오스의 서사시 《프라락 프라람(Phra Lak Phra Lam)》에 따르면, 탓타라닷 왕자가 동생에게 왕위를 빼앗기자 전설 속 라오 왕국인 무엉 인타파타 마하 나코네를 떠나 도시를 건설했다고 한다. 탓타라닷은 메콩강 서쪽 기슭에 마하 타니 시 판 파오라는 도시를 세웠는데, 이 도시가 오늘날 우돈타니(Udon Thani)(Thailand)가 되었다고 한다. 어느 날, 일곱 머리의 나가(Naga)가 탓타라닷에게 마하 타니 시 판 파오의 맞은편, 강 동쪽 기슭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라고 말했고, 왕자는 이 도시를 찬타불리 시 삿타나카나후드라고 불렀는데, 이것이 오늘날 비엔티안의 전신이라고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비엔티안이 초기 몬족의 정착지였으며, 나중에 크메르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고 보고있다. 11세기와 12세기, 라오스인타이인이 남중국에서 동남아시아로 들어오면서, 그 지역에 남아 있던 소수의 몬족과 크메르족은 라오스 문명에 동화되거나 이동했고, 라오스 문명이 곧 그 지역을 장악하게 되었다. 비엔티엔 도시는 12세기에 이미 형성되어 있었다.

1560년, 세타티랏 왕이 버마족따웅우 왕조의 압박으로부터 란쌍 왕국의 수도를 루앙프라방에서 비엔티엔으로 옮겼다. 라오스 정부 정보문화부 판 「라오스의 역사」에 따르면, 비엔티엔이 라오스 란쌍 왕국의 수도가 되었을 때의 공식 명칭은 「프라 나콘 찬타부리 시 삿타나카누풋 웃타마 라사타니」였다.

「이산-태국-영어 사전」에서는 「삿타나카누풋」을 「삿타(백)」「나카(코끼리)」「누풋(만)」으로 해석하여, 「백만 마리의 코끼리(란쌍)」의 팔리어 번역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반면 라오스 정보문화부 판 「라오스의 역사」에서는 「삿타」를 7로, 「나카」를 나가로 해석하여 「7개의 머리를 가진 나가」로 해석하고 있다.

세타티랏 왕은 비엔티엔으로 천도하기 전, 판냐 찬타부리 시 삿탄마타이록을 비엔티엔의 영주로 임명했는데, 이 영주가 세운 사찰이 현재 비엔티엔에 있는 「찬 사원」(「찬타부리 시 삿탄마타이록 사원」의 약칭)이다.

1707년 란쌍 왕국이 분열되면서 비엔티엔 왕국의 수도가 되었고, 1779년 차크리 왕조(현재의 태국)에 정복되어 그 영토가 되었다. 1827년 아누웡 왕의 쿠데타 실패로 군에 의해 멸망하였다.

1893년 라오스가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고, 1899년에 그 수도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에 점령되었지만, 1945년 4월 프랑스가 다시 진주했다. 1947년 라오스 왕국이 성립되면서 수도가 되었으나, 라오스 내전으로 황폐해졌다.

1960년 8월, 콘 레 대위가 비엔티엔을 장악하고 수완나 푸마가 수상에 취임했다. 1975년 파텟 라오가 진군하여 라오스 인민민주주의 공화국이 탄생하고, 그 수도가 되었다. 베트남 전쟁 당시에는 미국 국제개발처(USAID)가 있었다.

3. 1. 드바라바티와 크메르 지배

6세기경 차오프라야 강 유역에서 몬족들이 연합하여 드바라바티 왕국들을 건설하였다. 북쪽에는 하리푼자야(람푼)가 드바라바티와 경쟁하는 세력으로 등장했다. 8세기가 되자 몬족은 북쪽으로 진출하여 파 뎃(현대 깔라신, 태국 북동부), 시리 고타푸라(시코타봉) (현대 타케크 지구, 라오스 근처), 무앙 수아(루앙프라방), 그리고 찬타부리(비엔티안)에 도시 국가들을 세웠다. 8세기에는 시리 고타푸라(시코타봉)가 이러한 초기 도시 국가들 중 가장 강력한 세력이었으며, 메콩강 중류 지역 전체의 무역을 장악했다. 이 도시 국가들은 정치적으로 느슨하게 결합되어 있었지만, 문화적으로는 유사했으며, 스리랑카의 선교사들을 통해 이 지역 전체에 상좌부 불교를 전파했다.[9][10][11][12][13][14]

비엔티안이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하는 기록은 크메르 제국-베트남 분쟁 당시인 1159년, 도안우(Đỗ Anh Vũ) 공의 베트남 비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비문에는 1135년 젠라(크메르 제국)의 속국인 반단(Vientiane, 비엔티안)이 응에안을 침략했으나 도안우 공에 의해 격퇴되었고, 도안우 공이 군대를 이끌고 침입자들을 우온(Vũ Ôn, 미확인 지역)까지 추격한 후 포로들을 데리고 돌아왔다고 기록되어 있다.[15] 이 이름은 9세기 중국 작가가 하노이에서 시작하여 서쪽 산맥을 넘어 웬단(Wèndān)으로 이어지는 무역로를 묘사하면서 언급한, 코랏 고원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되는 웬단(Wèndān) 왕국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3. 2. 란쌍 왕국과 비엔티안 왕국

1354년 파응음이 란쌍 왕국을 건국했을 때,[16] 비엔티안은 중요한 행정 도시였다. 1563년 셋타티랏 왕은 버마의 침략을 피해 비엔티안을 란쌍 왕국의 수도로 삼았다.[17] 1707년 란쌍 왕국이 붕괴되자 비엔티안은 독립적인 비엔티안 왕국이 되었다. 1779년에는 차크리 장군이 이끄는 시암군에 정복당해 시암의 속국이 되었다.

아누봉 왕이 반란을 일으켰지만 1827년 시암군에 의해 진압당했다. 도시는 불타고 약탈당했으며, 불상을 비롯한 거의 모든 라오스 유물과 사람들이 약탈당했다.

3. 3. 시암과 프랑스 식민 통치

1354년, 파응음이 란쌍 왕국을 건국했을 때,[16] 비엔티안은 수도는 아니었지만 중요한 행정 도시였다. 셋타티랏 왕은 1563년 버마의 침략을 피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비엔티안을 란쌍 왕국의 수도로 삼았다.[17] 1707년 란쌍 왕국이 붕괴되자 비엔티안은 독립적인 비엔티안 왕국이 되었다. 1779년, 차크리 장군이 이끄는 시암군에 정복당해 시암의 속국이 되었다.

아누봉 왕이 반란을 일으켰지만 1827년 시암군에 의해 진압당했다. 도시는 불타고 약탈당했으며, 불상을 비롯한 거의 모든 라오스 유물과 사람들이 약탈당했다. 프랑스인들이 도착했을 때 비엔티안은 황폐해지고 인구가 감소하여 숲 속으로 사라져 갔다. 결국 1893년 프랑스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1899년 프랑스 보호령 라오스의 수도가 되었다. 프랑스 식민지 시대 동안 도시는 재건되었고 파탓루앙, 호 프라깨우와 같은 여러 불교 사찰이 수리되었다.

프랑스 통치 기간 동안 베트남인들의 라오스 이주가 장려되어 1943년 비엔티안 인구의 53%가 베트남인이 되었다.[18] 1945년 후반까지 프랑스는 베트남인 대규모 인구를 비엔티안 평원, 사바나켓 지역, 볼라벤 고원의 세 곳으로 이주시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으나, 일본의 인도차이나 침공으로 중단되었다.[18] 마틴 스튜어트-폭스에 따르면, 이 계획이 실행되었다면 라오스인들은 자국에 대한 통제권을 상실했을 가능성이 높았다.[18]

제2차 세계 대전 중 비엔티안은 거의 저항 없이 함락되어 사코 마사노리의 지휘하에 있는 일본군에 점령되었다.[19] 1945년 3월 9일 프랑스 공수부대가 도착하여 1945년 4월 24일 도시를 재점령했다.[20]

3. 4. 독립과 라오스 내전

1953년, 비엔티안은 새롭게 독립한 라오스의 수도가 되었다.

라오스 내전이 라오스 왕국 정부와 파텟라오 사이에서 발발하면서 비엔티안은 불안정해졌다. 1960년 8월, 꽁 레가 수도를 장악하고 수반나 푸마를 수상으로 세우라고 주장했다. 12월 중순, 푸미 노사반이 수도를 장악하고 푸마 정부를 전복시킨 후 분 움을 수상으로 임명했다. 1975년 중반, 파텟라오군이 도시로 이동하자 미국인들은 수도에서 철수하기 시작했다. 1975년 8월 23일, 50명의 파텟라오 여성 부대가 상징적으로 도시를 해방시켰다.[20] 1975년 12월 2일, 공산당인 파텟라오가 비엔티안을 장악하고 라오스 왕국을 무너뜨리며 국가 이름을 라오 인민민주공화국으로 바꾸면서 라오스 내전이 종식되었다. 다음 날, 파텟라오가 몽족과 왕당파 세력과 싸우면서 라오스 반란이 정글에서 시작되었다.

4. 지리

비엔티안은 메콩강 굽이에 위치하며, 이 지점에서 태국과 국경을 이룬다. 메콩강은 비엔티안에 이르기까지 협곡을 따라 흘러내리지만, 비엔티안 하류로는 하안 평야를 형성하고 있다. 메콩강 좌안에는 비엔티안 시가지가, 우안에는 우돈타니태국 영토가 펼쳐진다. 강어귀로부터의 거리는 약 1600km이다. 비엔티안은 라오스의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한다.

메콩강을 따라 펼쳐져 있으며, 태국과는 메콩강을 사이에 두고 국경을 접하고 있다. "백단목(ビャクダン)이 있는 성벽 도시"라는 뜻 또는 "달의 도시(月の都)"라는 뜻이 있지만, 라오스 정보문화부는 여러 가지 설을 소개하고 있다. 가로수가 많아 "숲의 도시(森の都)"라고도 불린다.

4. 1. 행정 구역

비엔티안은 비엔티안주 중에서 수도 기능을 가진 5개의 군을 가리킨다.

군 이름
찬타부리군
시코타본군
사이세타군
시사타낙군
하트사이폰군


4. 2. 기후

비엔티안은 뚜렷한 우기건기가 있는 열대 사바나 기후(쾨펜 ''Aw'')를 보인다. 비엔티안의 건기는 11월부터 3월까지 이어진다. 4월은 비엔티안에서 약 7개월 동안 지속되는 우기의 시작을 알린다. 비엔티안은 일 년 내내 매우 덥고 습한 경향이 있지만, 건기의 기온은 우기보다 다소 서늘한 경향이 있다.[52][53][54][55]

1924년 1월 최저 기온은 2.4°C였고, 2024년 4월 최고 기온은 42.6°C였다.[5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29.031.033.434.833.632.631.831.431.731.730.828.931.7
평균 최저 기온 (°C)18.219.321.724.225.025.425.325.024.623.921.519.222.8
월 강수량 (mm)7.416.843.889.4225.6263.8299.8340.8265.087.415.45.01663.2
평균 강수일수 (≥ 1.0 mm)22571518202117821119
평균 상대 습도 (%)70686669788282848378727075
월 평균 일조 시간221.0214.7209.2213.9188.8140.7116.0124.3157.7209.5225.3224.92246.0


5. 인구

ວຽງຈັນ|위앙짠lo의 인구는 2005년 기준 약 70만 명, 2015년 기준 약 82만 명으로 추산된다.[1]

비엔티안 인구 추이
연도인구
2005년70만 명
2015년82만 명


6. 경제

비엔티안은 라오스 경제 변화의 원동력으로, 최근 몇 년 동안 외국인 투자로 급속한 경제 성장을 경험했다.[34] 2011년에는 대한민국의 협력으로 증권거래소가 상장 기업 주식 두 개를 가지고 개장했다.[35]

6. 1. 주요 산업

비엔티안 시내는 중국 자본의 영향을 많이 볼 수 있다.

7. 교통

메콩강은 비엔티안에 이르기까지 협곡을 따라 흘러내리지만, 비엔티안 하류로는 하안 평야를 형성하고 있다. 메콩강 좌안에는 비엔티안 시가지가, 우안에는 우돈타니태국 영토가 펼쳐진다. 강어귀로부터의 거리는 약 1600km이다. 비엔티안은 라오스의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한다.

메콩강을 사이에 두고 태국 논카이 주와 경계를 접하고 있으며, 비엔티안 교외 하항에서 맞은편 태국 영토로 가는 배편이 출발한다. 비엔티안 주민은 비자 없이 논카이까지 갈 수 있도록 국제 협정에 의해 허용되고 있다. 1994년 4월에는 태국-라오스 우호의 다리가 개통되어 논카이로 건너갈 수 있으며, 비엔티안에서 방콕행 등 국경을 넘나드는 버스도 운행되고 있다.

태국-라오스 우호의 다리


중국-라오스 고속도로 비엔티안 요금소

7. 1. 도로

비엔티안 버스 터미널과 국내 다른 지역을 연결하는 정기 버스 서비스가 있다. 비엔티안에서는 비엔티안 수도국영버스기업이 시내를 운행하는 정기 버스 서비스를 제공한다.[37] 이 버스들은 일본국제협력기구의 지원을 받아 설립 및 운영된다.

비엔티안과 태국의 논카이, 우돈타니, 콘깬 사이를 매일 운행하는 직행 버스 서비스가 있다.

메콩강을 사이에 두고 태국의 논카이 주 경계에 접해 있으며, 비엔티안 교외에서 맞은편 태국 영토로 가는 배가 하항에서 출발하며, 비엔티안 주민은 비자 없이 논카이까지 갈 수 있도록 국제 협정에 의해 허용되고 있다.

논카이에는 1994년 4월에 개통된 태국-라오스 우호의 다리(미타파브)를 건너서도 갈 수 있으며, 비엔티안 출발 방콕행 등 국경을 넘나드는 버스도 운행되고 있다.

중국-라오스 고속도로 **비엔티안 - 방비엥 구간 109km가 2020년12월 20일에 개통되었다. 국도 13호선 북선과 450번 도로가 교차하는 시쿠엣(Sikuet) 교차로가 기점이다.

  • 비엔티안 고속도로 1호선(건설 중): 타틀라안 습지 특정 경제 구역에서 행정기관 이전지인 돈마크카이(Donmarkkai)까지 15.3km
  • 13번 국도 북선 (아시아 고속도로 12호선): 방비엥, 루앙프라방, 중국 방면
  • 13번 국도 남선 (아시아 고속도로 11호선): 사바나켓, 팍세, 캄보디아 방면
  • 10번 국도: , 남응음댐 방면
  • 11번 국도: 사이냐불리주 빡라이 방면

7. 2. 항공

왓타이 국제공항


비엔티안은 왓타이 국제공항을 통해 싱가포르, 홍콩, 말레이시아, 태국, 대한민국, 일본, 중국 등 다른 아시아 지역과의 국제선을 운항하고 있다.[42] 라오항공은 루앙프라방행 항공편(매일 여러 편)과 기타 국내 목적지로의 주간 항공편을 포함하여 국내 여러 지역으로 정기편을 운항한다.[42] 왓타이 공항의 주요 연결 지점 중 하나인 태국의 우돈타니 국제공항은 90km가 채 되지 않는 거리에 있다.

왓타이 국제공항에서는 라오스 국내 및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각지를 연결하는 여객 정기편이 운항되고 있다.

7. 3. 철도

1990년대에 건설된 제1 태국-라오스 우정의 다리는 태국의 농카이시에서 메콩 강을 가로지르며, 2009년 3월 5일에 이 다리를 가로지르는 미터궤 철도 연결선이 공식 개통되었다.[38][39] 이 철도는 이전에는 비엔티안에서 동쪽으로 20km 떨어진 타날렝 기차역에서 종착했다.[38][39] 2010년 11월, 라오스 당국은 이 역을 화물열차의 화물 철도 터미널로 전환하여 방콕에서 라오스로의 화물 수송을 더 저렴하게 할 계획이었다.[40]

이후 철도 연결선은 도시 안쪽으로 7.5km 더 연장되어, 비엔티안(캄사밧) 기차역에서 종착하게 되었으며, 2024년 7월 20일 방콕의 크룽텝 아피왓 중앙역에서 첫 승객 열차가 도착했다.

보텐-비엔티안 철도(중국-라오스 철도)는 수도 비엔티안과 중국과의 국경에 있는 보텐 마을을 잇는 전철화 철도로, 2021년 12월 3일에 공식 개통되었다.[41]

2023년 10월 30일, 비엔티엔역 (캄사와트)가 개업하였으며,[45] 2024년 7월부터 비엔티안에서 방콕, 우돈타니를 잇는 열차가 각각 1일 1회 왕복 운행되고 있다.

2021년 12월 3일에 중국-라오스 철도가 개통되고, 비엔티엔역이 개업하였다.[46][47] 비엔티엔 교외에는 다음과 같은 역이 있다.

  • 비엔티엔 북역 (화물역) 사업 중 - 나사이톤 군 나사프 촌
  • 비엔티엔역 (주요 화물·여객역) - Xaythany District|사이타니 군영어 사이 촌
  • 비엔티엔 남역 (화물역) - 하드사이폰 군, 태국 국철 동북 본선 타날렝 기차역 부근

비엔티안 기차역

7. 4. 대중교통

비엔티안 버스 터미널과 국내 다른 지역을 연결하는 정기 버스 서비스가 있다. 비엔티안에서는 비엔티안 수도국영버스기업이 시내를 운행하는 정기 버스 서비스를 제공한다.[37] 이 버스들은 일본국제협력기구의 지원을 받아 설립 및 운영된다.

비엔티안과 태국의 논카이, 우돈타니, 꼰깬 사이를 매일 운행하는 직행 버스 서비스가 있다.

메콩강을 사이에 두고 태국 논카이 주 경계에 접해 있으며, 비엔티안 교외에서 맞은편 태국 영토로 가는 배가 하항에서 출발하며, 비엔티안 주민은 비자 없이 논카이까지 갈 수 있도록 국제 협정에 의해 허용되고 있다. 논카이에는 1994년 4월에 개통된 태국-라오스 우호의 다리(미타파브)를 건너서도 갈 수 있으며, 비엔티안 출발 방콕행 등 국경을 넘나드는 버스도 운행되고 있다.

시내에는 시내버스가 운행된다.[48][49] 주로 타라트 사오에 인접한 중앙 버스터미널과 시내 서부의 ITECC Mall[50]에서 출발한다.

번호노선
06중앙 버스터미널 - 피아라트
08중앙 버스터미널 - 북부 버스터미널
10중앙 버스터미널 - ITECC
11중앙 버스터미널 - 삼강상장 - 공항 - 시카이 시장
12중앙 버스터미널 - ITECC - 비엔티안역(캄사왓) - 비엔티안역(라오스-중국 철도)
14중앙 버스터미널 - 우호의 다리 -
18중앙 버스터미널 - ITECC - 우호의 다리 - 시엥쿠안
19중앙 버스터미널 - 시키르트 - 후아쿠아
20중앙 버스터미널 - 돈캄산
23중앙 버스터미널 - 남부 버스터미널 - 타곤
25삼강상장 - 돈독 - 남부 버스터미널 - 비엔티안역(라오스-중국 철도)
28중앙 버스터미널 - 남부 버스터미널 - 비엔티안역(라오스-중국 철도)
29중앙 버스터미널 - 남부 버스터미널 - 돈독
30중앙 버스터미널 - 톤폰
31중앙 버스터미널 - 폰톤 - 돈독
32중앙 버스터미널 - 돈파마이 - 존펫
33중앙 버스터미널 - 논타 - 돈독
44중앙 버스터미널 - 공항
47비엔티안역(라오스-중국 철도) - 우호의 다리
49중앙 버스터미널 - 시카이 - 논탄
공항 셔틀공항 - 중앙 버스터미널 - ITECC[51]
ITECC - 하이캄 시장
중앙 버스터미널 - 삼강상장 - 공항 - 케우 로드 시카이



3곳의 버스터미널에서 출발 및 도착한다.


  • 중앙 버스터미널 (CBS)
  • 국제선 버스: 논카이, 우돈타니, 꼰깬, 방콕 방면
  • 남부 버스터미널 (SBT)
  • 빡세, 타케, 사완나켓 등
  • 북부 버스터미널 (NBT)
  • 반비엥, 폰사완, 루앙프라방, 우돔싸이, 보케오 등

8. 문화

비엔티안은 수많은 사원과 불교 유적을 보유하고 있어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도시이다.

8. 1. 관광 명소

비엔티안은 많은 사원과 불교 유적 덕분에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도시이다. 주요 관광 명소는 다음과 같다.

  • 탓 루앙(Pha That Luang): 라오스에서 가장 중요한 국가 문화 유적이자 가장 잘 알려진 탑이다. 1566년 셋타티랏 왕이 건립하고 1953년에 복원되었다. 금빛 탑은 높이 45m이며 부처의 사리를 모셔놓았다고 전해진다.[27]

왓 시 무앙(Wat Si Muang)

  • 왓 시 무앙(Wat Si Muang): 크메르 힌두교 신전 유적 위에 세워진 사원이다. 1563년에 건립되었으며, 낭 시(Nang Si)라는 현지 소녀의 영혼이 지킨다고 믿어진다. 전설에 따르면 낭 시는 임신 중에 기둥이 구멍으로 내려갈 때 희생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한다. 사원 앞에는 시사왕봉 왕의 동상이 있다.[28]

파툭사이(Patuxai)에서 본 비엔티안

  • 파툭사이(Patuxai): 1957년부터 1968년까지 건설된 기념비로, 도시에서 가장 눈에 띄는 랜드마크 중 하나이다.[27] 파리의 개선문(Arc de Triomphe)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킨나리(Kinnari)라는 신화 속 새 여자를 포함한 라오스 특유의 모티프가 디자인에 포함되었다. 기념비 꼭대기에서는 도시의 파노라마 전망을 감상할 수 있다.

불교 공원(Buddha Park)

  • 불교 공원(Buddha Park): 1958년 루앙 푸 붕레우아 술리랏(Luang Pu Bunleua Sulilat)이 건립한 공원으로, 불교와 힌두교 조각품들이 정원과 나무 사이에 흩어져 있다. 비엔티안에서 남쪽으로 28km 떨어진 메콩 강변에 위치한다.[29]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명소들이 있다.

  • 호 프라 카오(Haw Phra Kaew): 이전 사원이었으며, 현재는 박물관과 작은 상점으로 사용되고 있다.
  • 라오 국립 박물관(Lao National Museum)
  • 카이손 폼비한 박물관(Kaysone Phomvihane Museum)
  • 탈랏 사오(Talat Sao): 아침 시장
  • 탓 담(That Dam): 큰 탑
  • 왓 옹 테우 마하위한(Wat Ong Teu Mahawihan): 불교 사찰
  • 왓 스리 촘푸 옹 투에(Wat Sri Chomphu Ong Tue): 불교 사원
  • 왓 시 사켓(Wat Si Saket): 불교 사원
  • 왓 속팔루앙: 시내 중심부에서 남쪽으로 약 2.5km 떨어져 있으며, 약초 사우나와 마사지가 유명하다.
  • 세타 팰리스 호텔(Settha Palace Hotel): 1932년 설립
  • 산장 시장(The Sanjiang Market)[30]
  • 시사켓 박물관
  • 호파깨오 박물관
  • 분수 광장
  • 혁명 기념탑
  • 탈라트 톤캄캄: 비엔티안 최대의 식료품 시장.
  • 탈라트 쿠안딘: 탈라트 사오 옆 버스 정류장에 인접한 노천 시장. 식당도 있다.
  • 이브닝 마켓

9. 국제 관계

제2차 세계 대전대동아공영권이라는 명목으로 프랑스로부터의 식민지 해방과 함께 점령되었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종전 후 일본은 철수하고 다시 프랑스가 주둔했다. 2년 후 라오스 내전이 발발하였고, 내전 이후 복구를 위해 일본 정부로부터 많은 원조금이 지원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관계 개선을 향해 조금씩 나아갔다. 2015년 11월 3일 교토시와 파트너 도시 협정을 체결하는 등 상호 교류가 진행되고 있다.

9. 1. 자매 도시

비엔티안의 자매 도시는 다음과 같다.

국가도시
태국방콕
방글라데시치타공
캄보디아프놈펜
미국올랜도
프랑스파리
대한민국화순군
영국런던
과테말라과테말라
일본교토시
베트남호찌민
인도네시아칠붕


9. 2. 대한민국과의 관계

대한민국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은 주어진 소스에 없으므로,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일본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만 존재하므로,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섹션을 구성해야 합니다. 만약 대한민국과의 관계에 대한 정보가 원본 소스에 추가된다면, 그 내용을 바탕으로 섹션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10. 보건

프랑스 대사관 의료센터는 라오스의 외국인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다. 마호솟 병원(Mahosot Hospital)은 질병 치료 및 연구에 있어 중요한 현지 병원이며, 옥스퍼드 대학교(University of Oxford)와 연계되어 있다. 2011년에는 공항 근처에 태국 병원과 연계된 얼라이언스 클리닉이 개원했다. 셋타티랏 국제 클리닉에는 외국인 의사들이 근무한다. 2010년에 설립된 자원봉사 기반 구조대인 비엔티안 레스큐(Vientiane Rescue)는 24시간 무료 앰뷸런스 서비스를 제공한다.[43]

병원 목록
미타파프 병원
마호솟 병원(Mahosot Hospital)
세타티라트 병원
103군 병원
프렌치 클리닉
얼라이언스 인터내셔널 메디컬 센터


참조

[1] 웹사이트 Results of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5 https://lao.unfpa.or[...] 2016-10-21
[2] 웹사이트 Vientiane Capital https://kpl.gov.la/E[...]
[3] 뉴스 Vientiane Capital Records 4.83% Economic Growth in 2022 https://laotiantimes[...]
[4] 서적 Vientiane: Transformations of a Lao Landsca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서적 Contesting Visions of the Lao Past: Laos Historiography at the Crossroads https://books.google[...] NIAS Press
[6] 백과사전 Definition of 'Viangchan'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7] 웹사이트 The Diffusion of Lao Scripts https://core.ac.uk/d[...] 2019-11-12
[8] 웹사이트 Mon inscription in Laos https://pdfslide.net[...]
[9] 웹사이트 HISTORY OF LAOS http://www.reninc.or[...] Refugee Educators' Network
[10] 웹사이트 HISTORY OF LAOS (including the history of Lonnathai, Chiangmai) http://www.reninc.or[...] Refugee Educators' Network
[1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Lao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8-02-06
[12] 웹사이트 The That Phanom chronicle : a shrine history and its interpretation https://ecommons.cor[...] 1976
[13]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Lao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09
[14] 뉴스 The Mon and Khmer Kingdoms https://vietlongtrav[...] 2015-03-31
[15] 서적 Essays Into Vietnamese Pasts Cornell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17] 뉴스 Vientiane marks 450 years anniversary http://news.asiaone.[...]
[18] 서적 A History of Lao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19] 웹사이트 Far East and Australasia http://www.cpamedia.[...]
[20] 서적 The Far East and Australasia 2003 Psychology Press 2002
[21]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odc.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2] 웹사이트 Klimatafel von Vientiane (Viangchan) / Laos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3] 웹사이트 ru:КЛИМАТ УЛАН-БАТОРА http://www.pogodaikl[...] Pogoda.ru.net
[24] 웹사이트 The Yearbook of Indochina (1939-1940) https://seadelt.net/[...]
[25] 웹사이트 Vientiane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6] 웹사이트 January record low https://www.mherrera[...]
[27] 웹사이트 Lao National Tourism Administration – Tourist Sites in Vientiane Capital http://www.tourismla[...]
[28] 웹사이트 Wat Si Muang http://asiaforvisito[...]
[29] 웹사이트 Buddha Park – Vientiane – Laos – Asia for Visitors http://asiaforvisito[...]
[30] 뉴스 China Gives Southeast Asia's Poorest First Time Access to Consumer Goods – China Briefing News http://www.china-bri[...] 2008-01-23
[31] 웹사이트 National University of Laos (NUOL) http://www.laoairlin[...] NUOL
[32] 웹사이트 Lycée français international de Vientiane Josué-Hoffet https://www.aefe.fr/[...] AEFE
[33] 웹사이트 China Radio International http://laos.cri.cn/
[34] 웹사이트 Work begins on major new Vientiane shopping centre | Lao Voices http://laovoices.com[...]
[35] 뉴스 Laos stocks soar on debut – yes, both of them http://blogs.ft.com/[...]
[36] 웹사이트 Laos 2012 Update: Chinese models keep spreading http://bestsellingca[...] bestsellingcarsblog.com 2012-08-13
[37] 웹사이트 Timetables http://vcsbe.com/en/ VCSBE
[38] 뉴스 Inaugural train begins Laos royal visit http://www.railwayga[...] 2009-03-05
[39] 뉴스 First train to Laos https://www.theguard[...] 2009-02-27
[40] 뉴스 Laos rethinks rail project http://www.ttrweekly[...] TTR Weekly 2010-11-09
[41] 웹사이트 中老铁路今日通车-图片新闻-中华人民共和国交通运输部 https://www.mot.gov.[...]
[42] 웹사이트 Route Map http://www.laoairlin[...]
[43] 웹사이트 About https://vientianeres[...]
[44] 웹사이트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Vientiane http://www.worldweat[...] World Meteorological Organisation
[45] 웹사이트 ビエンチャン(カムサワート)駅が完成 https://www.jetro.go[...] JETRO 2023-11-08
[46] 뉴스 Southern Vientiane Railway Station To Be Complete This Year https://laotiantimes[...] The Laotian Times 2021-03-29
[47] 뉴스 「夢」か「わな」か、東南アジアに広がる“中華鉄道”の終着点は https://www.nishinip[...] 西日本新聞 2021-08-02
[48] Facebook Vientiane City 2 Bus Service https://www.facebook[...]
[49] 웹사이트 Lao-BusNavi https://lao.busnavi.[...]
[50] Facebook ITECC Mall https://www.facebook[...]
[51] 뉴스 Wattay Airport Shuttle Bus Service Set to Resume Operations Next Week https://laotiantimes[...] The Laotian Times 2023-08-14
[52] 웹인용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odc.noa[...] 세계기상기구
[53] 웹인용 Klimatafel von Vientiane (Viangchan) / Laos http://www.dwd.de/DW[...] 독일 기상청
[54] 웹인용 ru:КЛИМАТ УЛАН-БАТОРА http://www.pogodaikl[...] Pogoda.ru.net
[55] 웹인용 The Yearbook of Indochina (1939–1940) https://seadelt.net/[...]
[56] 웹인용 Vientiane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57] 웹인용 January record low https://www.mherre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