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휴그 비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휴 비닝은 17세기 스코틀랜드의 신학자, 목사, 철학자였다. 그는 13세에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으며, 18세에 섭정 및 철학 교수가 되었다. 26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지만, 그의 설교는 사후에 출판되어 큰 영향을 미쳤다. 비닝은 칼뱅주의와 언약 신학을 따랐으며, 철학과 신학을 병행하여 가르쳤다. 그는 정치적으로 항의파였으며, 찰스 1세에 반대했다. 그의 저술은 주로 설교 모음집으로, 대표작으로는 《기독교의 일반 원리》, 《죄인의 성소》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스코틀랜드 사람 - 웨일스 공 헨리 프레더릭
    1594년 스코틀랜드 왕족으로 태어나 1610년 웨일스 공이 된 헨리 프레더릭은 제임스 6세의 장남으로 로테세이 공작, 콘월 공작 등의 작위를 받았으며 학문, 스포츠, 예술에 능했으나 18세에 장티푸스로 사망했다.
  • 17세기 스코틀랜드 사람 - 존 로
    존 로는 중앙은행 설립과 지폐 발행을 주장한 스코틀랜드 출신의 경제 이론가이자 금융가였으나, 미시시피 회사 투기 열풍과 붕괴로 몰락하며 프랑스 경제에 공과를 남겼다.
  • 1627년 출생 - 이토 진사이
    이토 진사이는 1627년에 태어나 1705년에 사망한 에도 시대의 유학자로, 주자학의 경전 해석 방식을 비판하고 고의학을 제창하며 『논어고의』 등의 저서를 남겼다.
  • 1627년 출생 - 자크베니뉴 보쉬에
    자크베니뉴 보쉬에는 프랑스 성직자이자 사상가로, 왕권신수설을 옹호하며 루이 14세 시대에 큰 영향을 미쳤고, 웅변술의 대가로 평가받았다.
  • 1653년 사망 - 로버트 필머
    로버트 필머는 17세기 영국의 정치철학자로, 아담으로부터 시작된 가부장적 권위의 계승으로 왕권을 옹호하는 왕권신수설을 주장하여 당대 정치 논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653년 사망 - 메고히메
    메고히메는 1579년 다테 마사무네와 결혼하여 갈등을 겪었지만 관계를 회복하고 자녀를 낳았으며, 교토에서 외교관 역할을 수행하고 불교에 귀의하여 요토쿠인이라는 법명을 받았다가 1653년에 사망했다.
휴그 비닝
기본 정보
휴그 비닝의 서명, 엄숙한 동맹과 언약 (1643년 12월 5일)
휴그 비닝의 서명, 엄숙한 동맹과 언약(1643년 12월 5일)
직업교수, 목사
교회고반
이전 직책윌리엄 윌키
이후 직책데이비드 베이치
서임1650년 1월 8일
배우자메리 심슨
종교기독교
모교글래스고 대학교
출생알 수 없음
사망1653년 9월

2. 생애

휴 비닝은 잉글랜드의 찰스 1세가 잉글랜드, 아일랜드, 스코틀랜드의 군주가 된 지 2년 후인 17세기 초에 태어났다. 당시 각 나라는 같은 군주를 공유하는 독립 국가였으나, 이후 1707년 연합법으로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가 통합되어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이, 1800년 연합법으로 아일랜드가 통합되어 그레이트 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이 형성되었다.

국가 언약 서명. 빅토리아 시대 화가 윌리엄 홀은 1638년 사건의 중심에 알렉산더 헨더슨을 배치했다.


당시는 세 독립 국가 간의 정치적, 종교적 갈등이 극심했던 시기였다. 종교적으로는 종교 결정권이 군주에게 있는지, 국민에게 있는지, 개인이 하나님과 직접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 중개자가 필요한지 등의 논쟁이 있었다. 시민 사회에서는 왕의 권한 범위, 특히 피치자의 동의 없는 세금 및 군대 징수권 (왕권신수설)을 둘러싼 논쟁이 벌어졌다. 이러한 갈등은 결과적으로 왕과 신하 간의 관계를 변화시켰다.

1638년,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는 주교제를 폐지하고 찰스 1세가 강요한 ''공동 기도서''를 폐지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대중 시위가 발생했고, 이는 세 왕국 전쟁으로 이어졌다. 첫 번째 갈등은 1639년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간의 주교 전쟁으로, "군대가 싸우고 싶어하지 않은 전쟁"으로 불리기도 한다.

찰스 1세는 잉글랜드 내 권력 유지를 위해 가톨릭 아일랜드, 장로교 스코틀랜드와 비밀 동맹을 맺고 잉글랜드를 침공하려 했으며, 각 국가에 별도의 국교 설립을 약속했다. 이 사실이 장기 의회에 알려지자 회중주의 파 (올리버 크롬웰이 주도)는 왕과 별개 군대를 설립했다. 1649년 찰스 1세 처형 후 크롬웰 통치와 연방이 수립되었고, 갈등은 1660년 영국 왕정 복고와 찰스 2세 즉위로 마무리되었다.

1649년 스코틀랜드 의회는 왕당파의 정치/군사적 직책을 금지하는 계급법을 통과시켰다. 망명 중이던 찰스 2세는 브레다 조약 (1650년)을 통해 장로교 국교 확립 등을 약속하고 1651년 스코틀랜드 왕으로 즉위했다. 그러나 1651년 9월 스코틀랜드는 잉글랜드에 병합, 입법 기관 폐지, 장로교 해체, 찰스 2세의 프랑스 망명으로 이어졌다.

1651년 스코틀랜드 의회는 계급법을 폐지했고, 이는 사회 내 분열을 야기했다. 계급법 폐지 지지파(왕정과 스튜어트 왕가 지지)는 해결주의자, 크롬웰과 연방 지지파는 항의주의자로 불렸다. 비닝은 항의주의자 편에 섰으며,[14] 크롬웰의 장로교 및 스코틀랜드 교회 해체 시도에 반대했다.

1651년 4월, 크롬웰은 글래스고에서 스코틀랜드 침략을 비난하는 세 목사의 설교를 듣고, 그날 저녁 목사들을 소환하여 토론을 벌였다. 비닝은 이 논쟁에서 크롬웰 측 목사들을 논파하여 침묵시켰다고 전해진다.[14]

휴 비닝의 정치/신학적 견해는 언약도 운동(1638년 그레이프라이어스 교회 묘지의 국가 언약, 1643년 엄숙 동맹 및 언약)에 기반을 두었다. 그는 항의자로도 묘사될 수 있었는데, 두 입장 모두 종교적 함의를 지녔다. 비닝은 "분파 조장자"가 아니라 "기독교 사랑에 관한 논문"을 저술하며 당시 정치의 악에 대응했다.[15]

정치와 종교가 얽힌 혼란의 시대에 비닝은 칼뱅주의자이자 존 녹스의 추종자였다. 그는 철학신학에 종속되어야 한다고 믿었고, 두 학문을 병행하여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의 저술은 주로 설교 모음집이며, "17세기 스코틀랜드 철학(칼뱅주의 지배)과 18세기 철학(독립성 재확립, 인문 과학과의 연합) 사이의 중요한 다리 역할"을 한다.[16]

종교적으로 비닝은 복음주의 칼뱅주의자였다. 그는 구원의 근거로서 하나님의 사랑을 강조하며, "우리의 구원은 그리스도만의 일이 아니며, 온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깊이 관여... 아버지는 그 근원이시며, 그의 사랑은 모든 것의 샘"이라고 말했다.[17]

'속죄' 범위와 관련, 비닝은 구원 제안이 선택된 자에게만 적용된다고 주장하지 않고, "믿음의 궁극적인 근거는 하나님의 선택하시는 뜻에 있다"고 말했다. 1600년대 스코틀랜드에서 속죄 관련 질문은 제안 표현 조건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비닝은 "용서는 그리스도의 죽음에 근거하며, 이는 만족과 희생으로 이해된다"고 설명했다.[16]

비닝 시대의 고반. 블라우의 1654년 스코틀랜드 지도 일부. 현대 고반은 ''Mekle Gouan''("큰 고반")으로 표시된 위치에 있다. 글래스고의 작은 마을은 클라이드강 북쪽 기슭에 위치하며, ''Litle Gouan''("작은 고반") 맞은편에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휴 비닝은 스트레이턴의 존 비닝과 사우스 에어셔 스트레이턴 달베넌의 마가렛 맥켈의 아들이었다. 마가렛은 스코틀랜드 보스웰 교구의 목사이자 에든버러의 목사인 휴 맥켈의 누이인 매튜 맥켈의 딸이었다. 비닝은 아버지의 달베넌 영지에서 태어났다. 이 가족은 캐릭의 메이볼뿐만 아니라 콜모넬 교구와 스트레이턴 교구에도 다른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1]

조숙한 아이였던 비닝은 13세의 나이에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하도록 허가받았다. 비닝은 "조숙한 학습과 천재성의 특별한 사례"로 묘사되었다.[1]

1645년, 휴의 철학 스승인 제임스 달림플, 초대 스테어 자작이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은퇴한다고 발표했다. 달림플은 후에 치안 법원장과 스테어 자작이 되었다. 교수진의 후임자를 전국적으로 찾은 후, 세 명의 남자가 그 자리를 놓고 경쟁하기 위해 선정되었다. 비닝은 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지만, 극심한 젊음과 귀족 출신이 아니라는 점 때문에 불리했다. 그러나 그는 기존 교수진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는데, 후보자들이 후보자가 선택한 모든 주제에 대해 즉석에서 연설하도록 제안했다. 휴의 연설을 들은 후, 다른 후보자들은 물러났고, 휴는 18세에 불과한 나이에 섭정과 철학 교수가 되었다.[1]

1648년 2월 7일, (21세에) 휴는 치안 법원 변호사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에 그는 아일랜드의 목사인 제임스 심슨의 딸인 바바라 심슨(때로는 메리라고 불림)과 결혼했다. 그들의 아들 존은 1650년에 태어났다.[1]

비닝은 1649년 10월 25일에 목사가 되었다. 고반의 목사로서 그는 윌리엄 윌키의 후계자였다. 그의 서품은 1649년 1월 8일에 이루어졌으며, 당시 데이비드 딕슨이 주재했는데, 그는 글래스고 대학의 신학 교수 중 한 명이자 ''테라퓨티카 사크라''의 저자였다. 그는 1월에 22세의 나이로 서품을 받았으며, 그해 5월 14일까지 섭정직을 맡았다. 당시 고반은 글래스고의 일부가 아닌 별도의 도시였다.[1]

2. 2. 목회 활동과 결혼

제임스 달림플, 초대 스테어 자작이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은퇴한 후, 18세의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휴 비닝은 섭정과 철학 교수가 되었다. 1648년 2월 7일(21세)에는 치안 법원 변호사로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에 아일랜드 목사의 딸인 바바라 심슨(때로는 메리라고 불림)과 결혼했다. 1650년에는 아들 존 비닝이 태어났다.[1]

1649년 10월 25일, 비닝은 목사로 임명되었다. 그는 윌리엄 윌키의 후임으로 고반의 목사가 되었으며, 1649년 1월 8일에 데이비드 딕슨의 주재로 서품을 받았다. 비닝은 22세가 되던 1월에 서품을 받았고, 그해 5월 14일까지 섭정직을 맡았다. 당시 고반은 글래스고의 일부가 아닌 별도의 도시였다.[1]

그는 1653년 9월 26세의 나이에 소모성 질환으로 사망하여 고반의 교회 묘지에 묻혔다. 당시 글래스고 대학교 총장이었던 패트릭 길레스피는 그의 친구로서 라틴어 비문을 새긴 기념비를 세웠다.[1]

2. 3. 사망과 유산

휴 비닝은 1653년 9월경 고반의 교회 묘지에 묻혔다. 당시 글래스고 대학교 총장이었던 패트릭 길레스피는 라틴어로 비문을 새긴 기념비를 세우도록 지시했는데, 그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이 번역된다.

휴의 미망인 바바라(또는 메리)는 아일랜드 컴버의 성공회 사제 제임스 고든과 재혼했다. 그들은 딸 진을 낳았는데, 진은 보스웰 다리 전투에서 윌리엄 램지 중령(후에 달하우지 3세 백작) 휘하의 기수로 봉사하며 승리한 다니엘 맥켄지와 결혼했다.

비닝의 아들 존 비닝은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한나 키어와 결혼했다. 비닝 가문은 찰스 2세의 복귀에 반대하는 저항 운동인 코버넌터였다. 그들은 1679년 보스웰 다리 전투에서 패배했다. 처형되지 않은 대부분의 반군은 아메리카로 추방되었으며, 약 30명의 코버넌터가 1684년 캐롤라이나 상인에 의해 캐롤라이나로 추방되었다. 전투 후 존과 한나는 헤어졌다.

보스웰 다리 전투 이후 휴 비닝의 미망인(현재는 바바라 고든)은 존과 그의 아내가 의붓아버지에게 상당한 돈을 빚졌다고 말하며 달베넌의 가족 영지를 되찾으려 했다. 이 소송은 성공했고 달베넌은 존의 이복 여동생 진과 그녀의 남편 다니엘 맥켄지의 소유가 되었다. 또한 진은 한나 키어의 아일랜드 재산을 소유하게 되었다.

1683년까지 진은 과부가 되었다. 존 비닝은 반역자로 낙인 찍혀 사형을 선고받고 그의 재산은 왕실에 몰수되었다. 존의 아내(한나 키어)는 반역자로 낙인 찍혀 아일랜드의 재산을 몰수당했다. 1685년, 진은 비닝 가문의 달베넌 저택과 기타 재산, 키어 재산을 제임스 2세 (스코틀랜드 제임스 7세)의 스코틀랜드 변호사이자 캐릭의 베일리인 로데릭 맥켄지에게 "기증"했다. 스코틀랜드 의회의 법에 따르면, 로데릭 맥켄지는 "이 왕국의 서부와 다른 시의 반항적이고 광신적인 당을 억압하고 그들에게 강력한 법 집행을 가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보스웰 다리 이후 한나는 당국을 피해 숨어 지냈다. 1685년, 한나는 에든버러에서 반체제 인사 소탕 작전 중에 발견되어 도시청사이자 감옥이었던 에든버러 톨부스에 투옥되었다. 한나와 함께 체포된 사람들은 북미로 추방되었지만, 그녀는 이질에 걸려 뒤에 남았다. 1687년, 죽음에 가까워진 한나는 스코틀랜드 추밀원에 석방을 청원했고, 그녀는 아일랜드에 있는 가족에게 추방되어 1692년경 사망했다.

1690년, 스코틀랜드 의회는 존의 벌금과 몰수를 취소했지만, 그는 가족의 영지를 회복할 수 없었고, 법원은 그가 몰수가 아닌 부채 탕감을 대가로 달베넌에 대한 그의 권리를 포기했다고 제안했다.

그의 아내가 죽은 후 존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다. 존은 의회가 비닝의 저작권에 대한 저작권을 그에게 연장한 후 그의 아버지의 작품에 대한 로열티로 약간의 수입을 받았다. 그러나 수입은 크지 않았고 존은 스코틀랜드 의회에 돈을 요청하는 여러 청원을 했으며, 마지막 청원은 1717년에 이루어졌다. 그는 영국 남서부의 서머셋 카운티에서 사망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는 1653년 9월 26세의 나이에 소모성 질환으로 사망했다. 그는 설교자로서 매우 인기가 있었고, "그 시대의 가장 뛰어난 철학자이자 신학자였으며 스코틀랜드의 키케로로 불렸다"고 여겨졌다.[4] 그는 (1650년 5월 17일에) 메리(1694년 페이즐리에서 사망)와 결혼하여 달베넌의 아들 존을 두었다. 그녀는 스푸루스턴의 목사인 리처드 심슨의 딸이었다. 존이 일찍 죽은 후 메리는 아일랜드 컴버의 목사인 제임스 고든과 재혼했다. 고전 라틴어로 된 비문이 있는 대리석 판이 그의 친구 패트릭 길레스피 씨에 의해 세워졌는데, 그는 당시 글래스고 대학교 총장이었다. 그것은 현재의 교구 교회의 현관에 놓였다. 그의 모든 작품은 사후 출판되었다.[5]

그는 제임스 달림플의 추종자였다. 만년에 그는 복음주의 기독교 신자로 널리 알려졌다.

3. 사상과 신학

휴 비닝은 칼뱅주의자이자 존 녹스의 추종자였다. 그는 복음주의 칼뱅주의자로, 구원의 근거로서 하나님의 사랑을 중요하게 생각했다.[17] '속죄'의 범위와 관련하여, 휴 비닝은 구원의 제안이 선택된 자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믿음의 궁극적인 근거는 하나님의 선택하시는 뜻에 있다"고 말했다. 1600년대 스코틀랜드에서 속죄에 관한 질문은 그 제안이 표현되는 조건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비닝은 "용서는 그리스도의 죽음에 근거하며, 이는 만족과 희생으로 이해된다"고 했다. 그는 '만약 그가 어떤 만족도 없이 죄를 사하셨다면 얼마나 풍성한 은혜였을까! 그러나 진실로, 어린 양을 준비하고, 스스로 희생하시며, 대가를 찾으시고, 우리를 위해 자신의 아들에게 그것을 요구하시는 것은 그보다 훨씬 뛰어난 자비와 은혜의 증거입니다. 그러나 그의 정의는 이 일에서 매우 뚜렷합니다'라고 하였다.[17]

3. 1. 칼뱅주의와 언약 신학

휴 비닝은 칼뱅주의자이자 존 녹스의 추종자였다. 직업적으로 비닝은 철학을 공부했으며, 철학신학의 종속적 위치에 있다고 믿었다. 그는 철학과 신학을 병행하여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했다. 비닝의 저술은 주로 설교 모음집이며, "스코틀랜드에서 철학이 칼뱅주의에 의해 크게 지배되던 17세기와 프랜시스 허치슨과 같은 인물들이 이 둘 사이의 더 큰 독립성을 재확립하고 철학을 발전하는 인문 과학과 연합했던 18세기 사이에 중요한 다리 역할을 한다."[16]

종교적으로 휴 비닝은 오늘날 우리가 부르는 복음주의 칼뱅주의자였다. 그는 구원의 근거로서 하나님의 사랑의 우선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우리의 구원은 그리스도만의 일이 아니며, 온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깊이 관여하시며, 누가 가장 사랑하고 가장 좋아하시는지 말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아버지는 그 근원이시며, 그의 사랑은 모든 것의 샘입니다."[17]

'속죄'의 범위와 관련하여, 휴 비닝은 구원의 제안이 선택된 자에게만 적용된다고 주장하지 않고, "믿음의 궁극적인 근거는 하나님의 선택하시는 뜻에 있다"고 말했다.

3. 2. 정치적 입장: 항의파

휴 비닝은 언약도이자 항의파였다. 언약도는 1638년 그레이프라이어스 교회 묘지에서 시작된 국가 언약과 1643년 엄숙 동맹 및 언약으로 이어지는 운동이었다. 엄숙 동맹 및 언약은 잉글랜드 장기 의회와 스코틀랜드 간의 조약으로, 종교 개혁의 보존을 위해 아일랜드 가톨릭 군대가 왕당파 군대에 합류하는 것을 막기 위해 체결되었다. 비닝은 항의파로 분류될 수 있었는데, 이 두 정치적 입장은 종교적 함의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당시 정치의 악을 인지하고 있었고, "분파를 조장하는 자"가 아니라 이에 대한 응답으로 "기독교 사랑에 관한 논문"을 저술했다.[15]

1651년, 스코틀랜드 의회는 계급법을 폐지했는데, 이는 스코틀랜드 사회 내의 분열을 야기했다. 이 갈등에서 계급법 폐지를 지지하며 왕정과 스코틀랜드 스튜어트 왕가를 지지하는 이들은 해결주의자로, 올리버 크롬웰과 연방을 지지하는 이들은 항의주의자로 불렸다. 비닝은 항의주의자 편에 섰다.[14] 그는 1651년에 항의주의자에 합류했다. 크롬웰이 스코틀랜드를 침공하여 군대를 보내자, 장로교와 스코틀랜드 교회를 해체하려 했고, 비닝은 이에 반대했다.

1651년 4월 19일, 크롬웰은 글래스고에 입성했고, 다음 날 스코틀랜드 침략을 비난하는 세 명의 목사들의 설교를 들었다. 그날 저녁, 크롬웰은 그 목사들과 다른 사람들을 소환하여 토론을 벌였다. 크롬웰의 사제들, 존 오웬 박사, 조셉 캐릴 등과 스코틀랜드 목사들 간에 논쟁이 벌어졌다. 비닝은 독립교인들을 당황하게 만들었고, 크롬웰은 그가 누구인지 물었다. 비닝이라고 하자 그는 "정말 잘 묶었군"이라고 말하며 "하지만 칼에 손을 대며, 이것이 모든 것을 다시 잃게 만들 것이다." 고 덧붙였다. 로버트 베일리는 당시 글래스고 대학교 신학 교수였으며, 이 논쟁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논쟁에서 휴 비닝 목사는 크롬웰의 목사들을 완전히 논파하여 그들을 침묵시켰다고 한다.[14]

3. 3. 철학과 신학의 관계

휴 비닝은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았으며, 당시 정치와 종교는 불가분하게 얽혀 있었다. 비닝은 칼뱅주의자이자 존 녹스의 추종자였다. 그는 직업적으로 철학을 공부했으며, 철학신학의 종속적 위치에 있다고 믿었다. 그는 철학과 신학을 병행하여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했다. 비닝의 저술은 주로 설교 모음집이며, "스코틀랜드에서 철학이 칼뱅주의에 의해 크게 지배되던 17세기와 프랜시스 허치슨과 같은 인물들이 이 둘 사이의 더 큰 독립성을 재확립하고 철학을 발전하는 인문 과학과 연합했던 18세기 사이에 중요한 다리 역할을 한다."[16]

종교적으로 휴 비닝은 오늘날 우리가 부르는 복음주의 칼뱅주의자였다. 그는 구원의 근거로서 하나님의 사랑의 우선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우리의 구원은 그리스도만의 일이 아니며, 온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깊이 관여하시며, 누가 가장 사랑하고 가장 좋아하시는지 말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아버지는 그 근원이시며, 그의 사랑은 모든 것의 샘입니다."[17]

'속죄'의 범위와 관련하여, 휴 비닝은 구원의 제안이 선택된 자에게만 적용된다고 주장하지 않고, "믿음의 궁극적인 근거는 하나님의 선택하시는 뜻에 있다"고 말했다.

비닝은 "용서는 그리스도의 죽음에 근거하며, 이는 만족과 희생으로 이해된다: '만약 그가 어떤 만족도 없이 죄를 사하셨다면 얼마나 풍성한 은혜였을까! 그러나 진실로, 어린 양을 준비하고, 스스로 희생하시며, 대가를 찾으시고, 우리를 위해 자신의 아들에게 그것을 요구하시는 것은 그보다 훨씬 뛰어난 자비와 은혜의 증거입니다. 그러나 그의 정의는 이 일에서 매우 뚜렷합니다'."

3. 4. 속죄론

휴 비닝은 칼뱅주의자이자 존 녹스의 추종자였다. 그는 복음주의 칼뱅주의자로, 구원의 근거로서 하나님의 사랑의 우선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우리의 구원은 그리스도만의 일이 아니며, 온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깊이 관여하시며, 누가 가장 사랑하고 가장 좋아하시는지 말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아버지는 그 근원이시며, 그의 사랑은 모든 것의 샘입니다."[17]

'속죄'의 범위와 관련하여, 휴 비닝은 구원의 제안이 선택된 자에게만 적용된다고 주장하지 않고, "믿음의 궁극적인 근거는 하나님의 선택하시는 뜻에 있다"고 말했다.

비닝은 "용서는 그리스도의 죽음에 근거하며, 이는 만족과 희생으로 이해된다: '만약 그가 어떤 만족도 없이 죄를 사하셨다면 얼마나 풍성한 은혜였을까! 그러나 진실로, 어린 양을 준비하고, 스스로 희생하시며, 대가를 찾으시고, 우리를 위해 자신의 아들에게 그것을 요구하시는 것은 그보다 훨씬 뛰어난 자비와 은혜의 증거입니다. 그러나 그의 정의는 이 일에서 매우 뚜렷합니다'."라고 하였다.

4. 저술 활동

휴 비닝의 모든 작품은 사후에 출판되었으며, 주로 그의 설교 모음집이었다. 그의 설교 스타일에 대해 "어떠한 가식도 없는 독창성, 공상적이거나 외향적인 면이 없는 풍부한 상상력, 비열하거나 하찮은 점이 없는 최고의 단순함"이라고 평가받았다.[18]


  • ''기독교의 일반 원리, 명확하게 증명되고, 특별히 개선됨; 또는 실용적인 교리 문답''(The Common Principles of the Christian Religion, Clearly Proved, and Singularly Improved; or, A Practical Catechism)은 1660년 패트릭 길레스피에 의해 출판되었다.[19]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을 분석한 이 작품은 1678년 플랑드르의 슬루이스 목사인 제임스 콜먼에 의해 네덜란드어로 번역되었다. 이 책에서 비닝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하나님의 사랑에 관하여''

:::사랑은 영혼이 하나님께로 향하는 바로 그 움직임이 아니겠는가? 그리고 그것을 얻을 때까지, 그 안에 있을 때, 안식할 곳을 찾을 수 없다.[20]

::''복음의 은혜에 관하여''

:::나는 죄인이며, 혼자 서 있을 때 그것에 대해 아무 말도 할 수 없다. 그러나 내가 만족할 수 없고, 가지지 못하지만, 한 분, 예수 그리스도께서 많은 사람을 위한 속량으로 자신의 생명을 주셨고, 하나님께서 죄를 위한 화목제로 주셨다. 그는 내 이름으로 빚을 갚았고, 그가 그것을 맡았으니, 아니, 그가 그것을 행했고, 면제되었으니, 보증인을 체포하라.[21]

::''배움에 관하여''

:::짐승처럼 무지하지 말라. 짐승들은 떼를 따르는 것 외에는 다른 것을 알지 못한다. quæ pergunt, non quo eundum est, sed quo itur; ''그들은 가야 할 곳이 아니라, 대다수가 가는 곳을 따른다''. 너희는 사람이요, 너희 안에 이성적인 영혼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간청하건대, 관습과 예시에 따라, 즉 짐승처럼 조성되고 형성되지 말고, 어떤 내면의 지식과 이성에 따라 조성되라. 무리에서 물러나 하나님께 진심으로 물어라. 길이 무엇이냐? 그를 경외하는 자에게 그가 선택해야 할 길을 가르치시리라. 그의 복된 끝으로 가는 길은 매우 좁고, 매우 어렵다. 너희는 그 안에 안내자를 가져야 한다. 너희는 그 안에 등불과 빛을 가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너희는 잘못 갈 수밖에 없다.[22]

  • ''죄인의 성소, 로마서 8장의 첫 번째 절에서 열여덟 번째 절까지의 40편의 설교''는 1670년에 처음 출판된 논문이다.

  • ''하나님과의 교제, 요한1서 1장과 2장 1절, 2절, 3절에 대한 28편의 설교''는 "우리의 가장 사랑하는 주님과 구세주의 복음 안에서 그의 종"이라고 자칭하는 "A.S."에 의해 1671년에 처음 출판된 논문이다.

  • ''마음의 겸손 또는 여러 특별한 경우에 설교한 잡설''은 "하나님과의 교제"를 출판한 동일한 A.S.에 의해 1676년에 처음 출판되었다. 설교 중 첫 번째 설교는 1650년 7월에 설교되었다.

  • ''https://web.archive.org/web/20120205212853/http://www.covenanter.org/HBinning/binningucc.html 양심의 유용한 사례, 우상 숭배자, 이교도, 이단자, 악당 또는 진리와 경건의 알려진 다른 적들과의 연관 및 동맹에 관한 학문적이고 정확하게 논의되고 해결됨.'' 이 논문은 코버넌트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1693년 네덜란드에서 처음 출판된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1683년 5월 28일 에든버러에서... 사회 사람들의 일반 모임"에서 언급되었다. 이 논문에서 비닝은 스코틀랜드가 비교적 절대적인 왕권에 제한을 가하지 않고, 장로교 종교를 유지할 수 있다는 보장 없이 찰스 1세를 지지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을 표명했다.[23] 이 문서들은 휴 비닝의 아들 존 또는 그의 미망인 바바라 고든(1657년경 제임스 고든과 재혼)에 의해 사회에 제시된 것으로 보인다. 비닝은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하나님께서 자연법이나 그의 말씀으로 우리에게 자유를 주셨을 때, 어떤 왕도 우리를 정당하게 묶을 수 없으며, 하나님께서 이들 중 하나로 우리를 묶고 의무를 지우실 때, 어떤 왕이나 의회도 우리를 풀거나 풀 수 없다.[24]

  • ''기독교적 사랑에 관한 논문''은 요한복음 13:35절("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이로써 모든 사람이 너희가 내 제자인 줄 알리라")과 고린도전서 13장에 근거한 설교이다. 비닝은 그리스도를 믿는 자로서,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사랑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는 개념을 탐구한다.[25] 그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마지막 말씀은 애정의 통일성이 더 본질적이고 근본적임을 설득한다. 이것이 그가 그의 제자들에게 남긴 표지이다. 만약 우리가 마음의 다른 모든 이해에 대해 이것을 버린다면, 우리는 우리의 주인을 부인하고, 그의 표징과 표지를 부인하는 것이다.[26]

::''자선에 관하여''

:::자선은 "악을 생각하지 않는다." [고린도전서 13:5] 자선은 모든 것을 가장 좋은 의미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만약 어떤 것이 다양한 해석을 가질 수 있다면, 그것은 가장 좋은 해석을 할 수 있다. 그것은 그 자체로 매우 선하고 좋아서 다른 사람을 의심하는 경향이 없다. 그것은 어떤 사람도 정죄하려는 욕망이 없으며, 이성과 양심이 허락하는 한 모든 사람을 기꺼이 용서하려 한다. 그것은 복수를 하려는 욕망과는 거리가 멀어서, 다른 사람이 이미 잘못했기 때문에 스스로를 잘못하는 것 외에는 어떤 부상에도 화를 내거나 괴로워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것은 다른 사람에게 잘못하는 것과 거리가 멀어서 기꺼이 그들에 대해 악을 생각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만약 필요하다면, 자선은 정의를 실행하고 징계를 가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불행에 대한 욕망이 아니라 인류에 대한 사랑과 연민에서 그렇게 한다. Charitas non punit quia peccatum est, sed ne peccaretur, ''그것은 과거의 잘못에 대한 복수보다 미래의 죄를 예방하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리고 의사가 분노 없이 정맥을 절개하는 것처럼, 정신의 어떤 동요 없이 모든 것을 할 수 있다. Quis enim cut medetur irascitur? "''누가 자신의 환자에게 화를 내는가''?"[27]

  • 1735년, 비닝의 작품집은 사후에 출판되었으며, 고반 교구에서 휴의 후임 목사인 M. 레이시만이 편집했으며, 이전에는 출판되지 않은 설교가 포함되어 있었다. ''휴 비닝 목사의 완전한 작품''에 대한 여러 판이 있었으며, 가장 최근의 것 중 하나(Classic Reprint)는 2012년 Forgotten Books에 의해 출판되었다.[23]

5. 평가 및 영향

휴 비닝은 짧은 생애에도 불구하고 스코틀랜드 교회와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설교는 명료하고 설득력이 있었으며, 그의 신학은 깊이와 통찰력을 갖추고 있었다. 또한 그는 논쟁에 능숙했으며, 온화하고 겸손한 성품으로 많은 이들에게 존경을 받았다.[11]

그의 저작들은 스코틀랜드아일랜드 등지에서 널리 읽혔다.

5. 1. 후대의 영향

휴 비닝의 사후 출판된 저작들은 다음과 같다.

제목출판 연도출판 장소비고
《기독교의 일반 원리, 또는 실용적인 교리 문답(The Common Principles of the Christian Religion, or a Practical Catechism)》1659년에든버러
《죄인의 성소(The Sinner's Sanctuary)》1670년에든버러
《하나님과의 교제(Fellowship with God)》1671년에든버러
《마음의 겸손, 또는 잡다한 설교(Heart Humiliation, or Miscellany Sermons)》1676년에든버러
《유용한 양심 사례(A Useful Case of Conscience)》1693년
《작품집(Works)》1735년 (에든버러), 1842년 (글래스고)에든버러, 글래스고총회에서 출판을 권고 (1704년 3월 28일 및 1717년 5월 10일)
《기독교적 사랑에 관한 논문(A Treatise of Christian Love)》1743년에든버러
《실용적인 종교의 가장 중요한 주제에 관한 설교(Sermons on the most important subjects of Practical Religion)》1760년글래스고
《복음적 아름다움(Evangelical Beauties)》1829년화이트번의 존 브라운 목사의 저자 전기 포함



그의 저작들은 스코틀랜드아일랜드 등지에서 널리 읽혔으며, 그의 사상과 신학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그의 설교집은 실용적인 신앙생활의 지침으로 널리 활용되었다.

참조

[1] 문서 Binning, Hugh; Kindle Locations 20469-20474
[2] 문서 "Matthew M’Kell, was a minister in the parish of [[Bothwell]], near Glasgow. ""After having been, on different occasions brought before the Privy council, and imprisoned, he was, on the 8th of January, 1674, upon his refusing to engage not to preach, ordered to confine himself to the parish of [[Carluke]], and security was required from him that he would appear before the Council at their summons ... He died at Edinburgh, in March 1681"". (Works of Hugh Binning: Kindle Locations 20469-20474)"
[3] 문서 Binning, Hugh; Kindle Locations 20476-20478
[4] 문서 Some authors suggest that Matthew M'Kell was either the grandfather or uncle to Hugh M'Kail (sometimes Hugh M'Kell), which would make Hugh M'Kail a brother-in-law to Hugh Binning. The spelling of names was not as precise in those days, e.g. when describing Hugh Binning in the same document, there are variations of the spelling of the Binning name. Hugh M’Kell was arrested for being concerned in the insurrection at [[Pentland Rising]]. Hugh M'Keil was imprisoned and tortured (his foot was mangled to the point of compound fractures using the [[Boot (torture)|boot]]). In the end, M'Kell was executed in Edinburgh on 22 December 1666 because he would not sign the [[Test Act]]—because his preaching would not conform to the Anglican tradition. "The address of young M’Kail on the scaffold concluded with these sublime expressions—"“Farewell, father and mother, friends and relations. Farewell the world, and all delights. Farewell meat and drink. Farewell sun, moon and stars. Welcome God and Father! Welcome sweet Lord Jesus the Mediator of the new covenant! Welcome blessed Spirit of grace, and God of all consolation! Welcome glory! Welcome eternal life! Welcome death!" We are told by Kirkton that “when Mr. M’Kail died, there was such a lamentation as was never known in Scotland before, not one dry cheek upon all the street or in all the numberless windows in the market place". It was discovered afterwards, that [[Alexander Burnet]], then the archbishop of Glasgow, had in his possession at the time, a letter from the king, forbidding any more blood to be shed. But to the disgrace of his sacred profession, and of his feelings as a man, "Burnet let the execution go on, before he produced his letter, pretending there was no council day between". (Binning, Hugh (24 March 2011) The Works of the Rev. Hugh Binning (Kindle Locations 20474-20487))
[5] 서적 The Scots Worthies W. R. M'Pun 1830
[6] 웹사이트 Renwick's Intercepted Letter of 1685: John Binning of Dalvennan, Mrs Binning, Edinburgh and Eaglesham http://drmarkjardine[...] Jardine's Book of Martyrs 2012-02-15
[7]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Eminent Scotsmen ... Embellished with ..., Volume 1 https://books.google[...] Blackie & Son
[8] 문서 Scottish Worthies p 203
[9] 문서 Binning, Hugh (24 March 2011). ''The Works of the Rev. Hugh Binning'' (Kindle Locations 990-992). Kindle Edition.
[10] 웹사이트 The Departed: The Covenanters Banished on the Carolina Merchant in 1684 http://drmarkjardine[...] 2012-07-25
[11] 웹사이트 Ratification in favour of Mr Roderick MacKenzie of Dalvennan http://www.rps.ac.uk[...] Parliamentary Register, Charters: Ratifications 1685-06-16
[12] 웹사이트 Remit to the committee for fines and forfeitures in favour of Mr. Roderick MacKenzie, advocate, anent the gift of forfeiture of the lands of Dalvennan http://www.rps.ac.uk[...] Parliamentary Register, Prodedure: remit to committee 1690-07-22
[13] 문서 [[Andrew Pyle (philosopher)|Andrew Pyle]] (editor), ''Dictionary of Seventeenth Century British Philosophers'' (2000), article pp. 90-95.
[14] 웹사이트 The Life of Mr. Hugh Binning. http://christianbook[...] Biographia Scoticana (Scots Worthies)
[15] 서적 Lives of the Scottish Covenanters; a Brief Historical Account of the most Eminent Noblemen, Gentlemen, Ministers, and Others... from the beginning of the 16th Century to the year 1688. W. R. M’Phun
[16] 웹사이트 Hugh Binning 1627-1653 -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Scottish Philosophy http://www.scottishp[...]
[17] 서적 The Works of the Rev. Hugh Binning
[18] 서적 The Religious Magazine; Or, Spirit of the Foreign Theological Journals and Reviews https://books.google[...] E Littell, Chestnut Street, Philadelphia. Clark & Raser, Printers, 33 Carter’s Alley, Volume=4 1829-07-01/1830-06-30
[19] 서적 The Common Principles of the Christian Religion, Clearly Proved, and Singularly Improved; or, A Practical Catechism Solus Christus
[20] 서적 The Works of the Rev. Hugh Binning 2011-03-24
[21] 문서 Kindle Locations 2597-2600
[22] 문서 Kindle Locations 1446-1451
[23] 서적 The Works of the Rev. Hugh Binning Forgotten Books 2012-08-17
[24] 문서 Binning, Hugh; Kindle Locations 15527-15528
[25] 서적 Treatise of Christian Love Puritan, Paperback Edition: Banner of Truth 2004-05-01
[26] 문서 Binning, Hugh; Kindle Locations 16396-16398
[27] 문서 Kindle Locations 16505-16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