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흑가오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흑가오리는 미요시 야스노리가 1939년 기술한 가오리 종이다. 일본, 대한민국, 러시아 동해 등 주변 대륙붕에서 발견되며, 수심 40-60m의 연안 해역에 주로 서식한다. 체형은 오각형이고, 등쪽은 보라색을 띠는 검정색이며, 꼬리에는 독극이 있다. 자연사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으며, 기생충에 감염되기도 한다. 일본 연안에서 어업의 혼획으로 잡히며 식용으로 사용되나, 어획량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이 종을 정보 부족 종으로 등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9년 기재된 물고기 - 서인도양실러캔스
    서인도양실러캔스는 1938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처음 발견된 실러캔스목 어류로, 서부 인도양 심해에 서식하며 난태생으로 번식력이 낮아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되고, 게놈 해독을 통해 육상 척추동물 진화 연구에 기여하는 살아있는 화석이다.
  • 1939년 기재된 물고기 - 남방잠꾸러기상어
    남방잠꾸러기상어는 심해에 서식하며 최대 4.4m까지 성장하고, 그린란드 상어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며, 주로 오징어와 물고기를 먹는 매복 포식자이다.
  • 색가오리과 - 노랑가오리
    노랑가오리는 동아시아 연안에 분포하며 최대 2m까지 자라는 가오리류의 일종으로, 꼬리에 독가시가 있고 갑각류를 먹으며,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 색가오리과 - 꽁지가오리
    꽁지가오리는 가오리목 꽁지가오리과에 속하는 어류로, 꼬리에 가시가 있으며 열대 및 아열대 해역 얕은 물에서 발견되고, 꼬리지느러미 형태 등으로 분류되며, 식용되지만 독성 가시 때문에 주의해야 하고,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으로 분류되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흑가오리
기본 정보
흑가오리
흑가오리
학명Dasyatis matsubarai (Miyosi, 1939)
이명Bathytoshia brevicaudata
분포 및 서식지
서식 수심수심 40~60m
최대 크기전장 2m, 폭 2.8m
보존 상태
IUCNDD (자료 부족)

2. 분류

일본의 어류학자 미요시 야스노리는 1939년 일본 생물지리학회 회보에 일본 미야자키현 동부의 휴가나다 해에서 수집된 표본을 바탕으로 흑가오리를 기술했다.[2] 니시다와 나카야는 1990년에 가시자이언트가오리(''D. multispinosa'')를 이 종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했는데,[4] 이는 2016년 Last 외 연구진의 연구에 의해 확인되었다.[3]

3. 분포 및 서식지

점박이매가오리는 물기둥에서 높이 헤엄치는 반원해성일 수 있다.


점박이매가오리는 일본 주변의 대륙붕에서 발견되며, 특히 홋카이도혼슈 북부에서 풍부하게 서식한다.[4] 또한 대한민국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근처의 동해에서도 기록되었다.[1][5] 점박이매가오리는 일반적으로 수심 40m~60m의 연안 해역에 서식하는 저서생물이다. 그러나 동해에서 수심 3000m의 수면 근처에서 한 개체가 잡힌 것으로 보아 이 종은 원해 습성을 가질 수도 있다.[1]

4. 특징

체형은 오각형이고 주둥이는 짧다. 꼬리는 매우 가늘고 길며, 등쪽에는 1개의 날카로운 독침이 있다. 배쪽에는 새공이 좌우로 5쌍 있고, 마지막 새공 사이에는 앞을 향하는 홈이 있다. 몸의 등쪽은 보라색을 띤 검정색이며, 주둥이에서 몸의 뒤쪽 끝까지 흰색 감각공이 양쪽 측면으로 분포한다. 배는 흰색이다.[10]

점박이 가오리는 위쪽이 짙은 회색이며 작은 흰색 반점이 있다.


점박이 가오리(ja)는 다이아몬드 모양의 가슴지느러미 원반을 가지고 있으며, 이 원반은 길이가 넓이보다 길다. 거의 직선인 앞쪽 가장자리가 둔각으로 주둥이 끝으로 모아지며, 뒤쪽 가장자리는 둥글다. 입 안쪽 바닥에는 0개에서 12개의 유두가 있으며, 보통 3, 7, 2개씩 3열로 배열된다. 위턱의 치열은 34~44개, 아래턱의 치열은 33~46개이다. 다섯 번째 쌍의 아가미 갈라진 틈 뒤 중앙, 원반 아래쪽에는 독특한 W자 모양의 홈이 있다.[4] 이 특징은 홈배지느러미가오리(*Dasyatis hypostigma*)와 공유하는 점이다.[6]

꼬리는 채찍 모양이며 길이는 원반 너비의 75~122%에 달하고, 등쪽 표면에 1~3개의 가시를 지닌다.[4] 꼬리 가시는 수컷의 경우 평균 6.5cm 길이에 90개의 톱니가 있으며, 암컷의 경우 평균 7.7cm 길이에 87개의 톱니가 있다.[7] 가시 뒤에는 낮은 등쪽 용골(ridge)이 있으며, 원반 너비의 절반보다 짧은 배지느러미 주름이 있다. 성숙한 개체는 주둥이 끝에 2~10개의 결절, 등에 3~5개의 결절, 가시 앞에 1~8개의 결절을 가지고 있다. 꼬리는 끝부분으로 갈수록 피부 소치로 덮여 있다. 이 종은 등쪽이 짙은 회색이고 꼬리 주름은 더 어두우며, 배쪽은 흰색 바탕에 회색의 불규칙한 반점과 지느러미 가장자리가 있다. 원반의 등쪽 표면에는 흰색으로 둘러싸인 많은 작은 구멍들이 있다.[4] 점박이 가오리는 원반 너비가 2m까지 자랄 수 있다.[1]

일본의 공공 수족관인 시마 마린랜드에서는 28년 동안 사육된 개체가 원반 너비 2.05m, 전체 길이 2.85m에 도달했다는 기록이 있다.[8]

5. 생태

흑가오리의 자연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1] 이 종은 기생충인 프라니자 유충의 단각류 등각류에 기생하며, 이는 아가미에 부착된다.[9] 다른 가오리류와 마찬가지로, 번식은 아마도 무태반성 난태생일 것으로 추정된다.[5]

6. 인간과의 관계

흑가오리(구멍가오리)는 일본 연안 어업에서 혼획으로 잡힌다. 이때 연승 어업, 자망, 고정망 등이 사용되며, 잡힌 것은 식용으로 판매된다. 그러나 다른 가오리 종류에 비해 흑가오리가 전체 어획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 결과,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이 종을 정보 부족으로 등재했다.[1]

참조

[1] 간행물 "''Dasyatis matsubarai''" https://www.iucnredl[...] 2010-01-09
[2] 웹사이트 Catalog of Fishes (Online Version) http://researcharchi[...] 2010-01-09
[3] 논문 A revised classification of the family Dasyatidae (Chondrichthyes: Myliobatiformes) based on new morphological and molecular insights
[4] 논문 "Taxonomy of the genus ''Dasyatis'' (Elasmobranchii, Dasyatididae) from the North Pacific."
[5] 웹사이트 2010-01
[6] 논문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of whiptailed stingray from the southwestern Atlantic Ocean (Chondrichthyes, Myliobatiformes, Dasyatidae) 2004
[7] 논문 Tail spine characteristics of stingrays (Order Myliobatiformes) frequenting the FAO fishing area 61 (20°N 120°E – 50°N 150°E) of the Northwest Pacific Ocean 2007-01-31
[8] 웹사이트 "「国内最長、飼育28年のホシエイ死亡 志摩マリンランド」" http://blog.livedoor[...]
[9] 서적 Fish Diseases and Disorders https://archive.org/[...] CABI
[10] 저널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of whiptailed stingray from the southwestern Atlantic Ocean (Chondrichthyes, Myliobatiformes, Dasyatidae)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