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꽁지가오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꽁지가오리는 가오리목에 속하는 해양 어류로, 꼬리에 있는 가시와 독성으로 인해 주의가 필요한 종이다. 꼬리지느러미 형태, 지느러미 모양, 체형, 색상, 크기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며,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통해 푸른점가오리과에 속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인도양과 태평양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의 얕은 물에 서식하며, 주로 조개, 갑각류 등을 먹고 산다. 난태생으로 번식하며, 귀상어와 큰돌고래가 주요 천적이다. 꽁지가오리는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하지만 꼬리의 가시에 독이 있어 찔리면 통증과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현재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전 노력이 진행 중이며, IUCN 적색 목록에서는 관심대상으로 분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색가오리과 - 노랑가오리
    노랑가오리는 동아시아 연안에 분포하며 최대 2m까지 자라는 가오리류의 일종으로, 꼬리에 독가시가 있고 갑각류를 먹으며,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 색가오리과 - 범무늬소녀가오리
    범무늬소녀가오리는 다이아몬드 모양 몸통과 반점 무늬가 특징인 가오리목 어류로,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멸종 위협에 직면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1775년 기재된 물고기 - 무명갈전갱이
    무명갈전갱이는 태평양과 인도양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는 전갱이과 어류로, 자이언트 트레발리라고도 불리며 스포츠 피싱 대상어로 인기가 높지만, 시구아테라 독을 가진 경우가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하고, 하와이에서는 울루아라고 불리며 존경받는다.
  • 1775년 기재된 물고기 - 갯장어
    갯장어는 날카로운 이빨과 긴 몸을 가진 뱀장어목 갯장어과의 바닷물고기로, 서태평양과 인도양의 열대, 온대 해역에 서식하며 한국, 일본 등지에서 식용으로 이용된다.
꽁지가오리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납작하고 원반 모양의 물고기 사진으로, 네온 블루 반점이 있는 녹황색 몸체와 꼬리를 따라 두 개의 네온 블루 줄무늬가 있으며 산호 파편 위에 놓여 있음
루리호시 에이
학명Taeniura lymma
명명자페테르 포르스칼, 1775
이명Raja lymma Forsskål, 1775
Trygon ornatus Gray, 1830
다른 이름Bluespotted ribbontail ray (영어)
꽁지가오리 (한국어)
루리호시에이 (일본어)
분포인도양, 태평양
서식지산호초
보존 상태IUCN: 관심 필요
마지막 평가: 2021년 11월 19일
평가자: Sherman, C.S., Simpfendorfer, C., Bin Ali, A., Derrick, D., Dharmadi, Fahmi, Fernando, D., Haque, A.B., Maung, A., Seyha, L., Tanay, D., Utzurrum, J.A.T., Vo, V.Q., Yuneni, R.R.
남아프리카에서 호주 북부, 동남아시아 (필리핀, 뉴기니 포함)까지 인도양 주변부에 파란색으로 색칠된 세계 지도
루리호시 에이의 분포도

2. 분류 및 계통

꽁지가오리는 연골어류의 일종으로, 1775년 스웨덴의 박물학자 페테르 포르스콜이 ''Raja lymma''라는 학명으로 처음 기재하였다.[37][2] 이후 독일생물학자 요하네스 페터 뮐러와 야콥 헨레에 의해 ''Taeniura'' 으로 재분류되었다.[39][40][4][5] 이 종의 종명 ''lymma''는 "오물" 또는 "진흙"을 의미한다.[3][38]

꽁지가오리의 계통 발생학적 위치에 대해서는 연구 방법에 따라 다른 결과가 제시되어 왔다. 형태학적 분석과 분자계통 분석 결과가 서로 다른 분류학적 관계를 시사하고 있어,[6][41][42] 정확한 계통학적 위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2. 1. 명명 및 학명

코모도 국립공원 개체


꽁지가오리는 1775년 스웨덴의 박물학자 페테르 포르스콜에 의해 ''Raja lymma''라는 학명으로 처음 기재되었다.[37] 종소명 ''lymma''는 라틴어로 "진흙"을 의미한다.[38] 포르스콜은 모식 표본을 지정하지 않았다.[37] 1837년, 독일생물학자 요하네스 페터 뮐러와 야콥 헨레는 ''Taeniura'' 을 새로 만들고, 현재 꽁지가오리의 이명으로 간주되는 ''Trygon ornatus''를 이 속에 포함시켰다.[39][40]

형태학적 연구에서는 꽁지가오리가 아마존강상어과(Potamotrygonidae)와 가까운 관계에 있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나,[41] 분자계통 분석 결과로는 매가오리 속(''Dasyatis'')과 더 가깝다는 결과가 나왔다.[42]

2. 2. 형태학적 분석



꽁지가오리는 1775년 스웨덴의 박물학자 페테르 포르스콜에 의해 ''Raja lymma''라는 학명으로 처음 기재되었다.[37][2] 종소명 ''lymma''는 라틴어로 "진흙" 또는 "오물"을 의미한다.[38][3] 포르스콜은 모식 표본을 지정하지 않았다.[37][2] 이후 1837년, 독일의 생물학자 요하네스 페터 뮐러와 야콥 헨레는 ''Taeniura'' 속을 새로 만들고, 현재 꽁지가오리의 이명으로 여겨지는 ''Trygon ornatus''를 이 속에 포함시켰다.[39][40][4][5]

형태학적 검토 결과, 꽁지가오리는 겉모습이 비슷한 동족 얼룩무늬 부채가오리(''T. meyeni'')보다 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하는 ''Himantura'' 속 가오리들('H. pacifica''와 ''H. schmardae'') 및 강가오리과(Potamotrygonidae)와 유전적으로 더 가까운 관계인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얼룩무늬 부채가오리는 ''Dasyatis'' 속 및 인도-태평양의 ''Himantura'' 속 가오리들과 더 가깝다.[6] 일부 형태학적 연구에서는 꽁지가오리가 아마존강상어과와 가깝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으나,[41] 최근의 분자계통 분석 결과는 매가오리속과 더 가깝다는 것을 시사한다.[42]

2. 3. 분자계통학적 분석

형태학적 연구에서는 아마존강상어과와 근연으로 여겨지기도 했지만[41], 분자계통 분석에서는 매가오리속과 근연이라는 결과가 얻어졌다[42]. 이는 기존의 형태에 기반한 분류와 차이를 보이는 결과이다.

3. 분포 및 서식지

꽁지가오리는 열대 인도-태평양 지역의 연안 해역에 널리 분포하며,[1][7][36][43] 주로 산호초 인근의 모래 바닥과 같은 얕은 곳에서 서식하는 저서생물이다.[1][8][36][44] 일반적으로 30m보다 깊지 않은 수심에서 발견되며,[1][36] 조간대나 조수웅덩이에서도 자주 관찰된다.[1][8][36][44] 매년 여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해안에 많은 수가 모이기도 한다.[3][38]

3. 1. 지리적 분포

꽁지가오리는 열대 인도-태평양 지역의 연안 해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1][36] 인도양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아라비아 반도를 거쳐 동남아시아에 이르는 지역에 서식하며, 마다가스카르, 모리셔스, 잔지바르, 세이셸, 스리랑카, 몰디브 등의 섬에서도 발견된다.[1][7][36][43] 다만, 페르시아만오만만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1][7][36][43]

태평양에서는 필리핀에서 북부 오스트레일리아까지 분포하며, 멜라네시아, 폴리네시아의 여러 섬과 솔로몬 제도에서도 발견된다.[1][36]

꽁지가오리는 저서생물로, 주로 산호초와 인접한 모래 평원에 서식한다.[1][36] 일반적으로 30m보다 얕은 수심에서 생활하며, 이보다 깊은 곳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1] 조간대나 조수웅덩이에서도 흔히 발견되며, 해초 서식지 근처에서도 목격된다.[1][8][36][44] 매년 여름에는 상당수의 꽁지가오리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해안에 모여든다.[3][38]

3. 2. 서식 환경

열대 인도-태평양 지역의 연안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1][7][36][43] 주로 산호초와 그 인근의 모래 평원에서 서식하는 저서생물이다.[1][8][36][44] 일반적으로 30m 이내의 얕은 수심을 선호하며, 이보다 깊은 곳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1][36] 조간대와 조수웅덩이에서도 흔히 발견되며, 해초 서식지 근처에서도 목격된다.[1][8][36][44]

4. 형태

꽁지가오리는 타원형의 체반과 그 길이의 약 1.5배에 달하는 길고 납작한 꼬리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43][45] 등쪽은 황갈색에서 녹색 바탕에 수많은 밝은 푸른색 점무늬가 흩어져 있어 눈에 잘 띈다.[38][44] 꼬리에는 보통 2개의 톱니 모양 가시가 있으며, 이는 독성을 지니고 있다.[43][45] 일반적으로 피부는 매끄러우나 등 중앙에 작은 가시가 드물게 나타나기도 한다.[45] 성체는 보통 체반 폭 35cm, 전체 길이 80cm, 몸무게 5kg 정도까지 자란다.[40][46]

4. 1. 체반

독특한 체색을 지닌 꽁지 가오리


체반은 타원형이며, 폭은 길이의 약 4/5 정도이다. 주둥이 끝은 둥글거나 둔각으로 뾰족하다. 눈은 크고 튀어나와 있으며, 그 바로 뒤에는 큰 분수공이 있다. 콧구멍 사이에는 짧은 비주름이 있으며, 이 비주름의 뒷가장자리는 가늘고 술 모양으로 되어 입까지 이어진다. 아래턱의 중앙은 움푹 들어가 있으며, 입가에는 깊은 홈이 있다. 각 턱에는 15~24개의 이빨 줄이 있으며, 이는 쇄석(아스팔트) 모양의 판으로 배열되어 있다. 입 바닥에는 두 개의 큰 유두 돌기가 있다.[38][45]

배지느러미는 작고 뾰족하다. 꼬리는 굵고 세로로 납작하며, 길이는 체반의 약 1.5배이다. 꼬리 뒤쪽에는 톱니 모양의 가시가 1개 또는 2개(보통 2개) 자란다. 꼬리의 복부 표면에는 끝까지 이어지는 폭넓은 지느러미 막이 있으며, 등쪽 표면의 중심에는 낮게 솟은 융기선이 뻗어 있다.[43][45]

피부는 전체적으로 매끄럽지만, 등 가운데 부분에 작은 가시가 드문드문 있는 경우도 있다.[45] 등쪽 면의 색상은 특징적인데, 황갈색에서 녹색에 이르는 바탕색에 수많은 밝은 청색의 둥근 반점이 흩어져 있다. 이 반점들은 체반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고 밀집되는 경향을 보인다. 꼬리 양쪽에는 뿌리 부분에서 가시가 있는 위치까지 파란색 줄무늬가 뻗어 있다. 눈은 밝은 노란색이며, 배쪽 면은 흰색이다.[38][44] 아프리카 남부에서 발견되는 개체 중에는 꼬리에 파란색 줄무늬가 없는 경우도 있다.[48] 꽁지가오리는 체반 폭 35cm, 전체 길이 80cm, 체중 5kg까지 성장할 수 있다.[40][46]

4. 2. 꼬리

꼬리는 굵고 세로로 납작하며, 체반 길이의 약 1.5배에 달한다.[7][9][43][45] 꼬리 뒤쪽에는 톱니 모양의 가시가 1개 또는 2개(보통 2개) 있다.[7][9][43][45] 꼬리의 복면(아랫면)에는 꼬리 끝까지 이어지는 폭넓고 깊은 지느러미 막(주름)이 있으며, 등면(윗면)에는 낮은 중간 융기선이 뻗어 있다.[7][9][43][45] 꼬리 양쪽에는 뿌리부터 가시 위치까지 이어지는 파란색 줄무늬가 두 개 있다.[3][8][38][44] 다만, 남아프리카에서 발견되는 개체는 이 파란색 꼬리 줄무늬가 없는 경우도 있다.[12][48]

4. 3. 기타 특징



체반(가슴지느러미 원반)은 타원형이며, 폭은 길이의 약 4/5 정도이다. 주둥이 끝은 둥글거나 넓게 각진 형태를 띤다. 눈은 크고 튀어나와 있으며 밝은 노란색이다. 눈 바로 뒤에는 큰 분수공이 있다. 콧구멍 사이에는 짧고 좁은 피부 조각(비주름)이 있는데, 그 뒷가장자리는 술 모양으로 처리되어 입까지 이어진다. 아래턱의 중앙 부분은 움푹 들어가 있으며, 입 가장자리에는 깊은 홈이 파여 있다. 각 턱에는 15~24개의 이빨 줄이 있으며, 이는 쇄석상(자갈을 깐 모양)으로 촘촘하게 배열되어 있다. 입 바닥에는 두 개의 큰 유두 돌기가 있다.[3][9][38][45]

배지느러미는 좁고 각진 모양이다. 꼬리는 두껍고 납작하며, 길이는 체반 길이의 약 1.5배에 달한다. 꼬리 기부 뒤쪽에는 톱니 모양의 가시가 보통 2개(때로는 1개) 있다. 꼬리의 아래쪽 표면에는 꼬리 끝까지 이어지는 깊고 넓은 지느러미 주름이 있으며, 위쪽 표면에는 가운데를 따라 낮은 능선이 뻗어 있다.[7][9][43][45]

피부는 일반적으로 매끄럽지만, 등 가운데 부분에 작은 가시가 드물게 흩어져 있는 경우도 있다.[9][45] 등쪽의 색깔은 매우 눈에 띄는데, 황갈색 또는 녹색 바탕에 수많은 원형의 밝은 파란색 반점이 흩어져 있다. 이 반점들은 체반 가장자리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고 더 촘촘하게 나타난다. 꼬리에는 양쪽으로 가시가 있는 곳까지 이어지는 파란색 줄무늬가 두 개 있다. 배 부분은 흰색이다.[3][8][38][44] 남아프리카에서 발견되는 개체 중에는 꼬리의 파란색 줄무늬가 없는 경우도 있다.[12][48] 꽁지가오리는 체반 폭이 35cm, 전체 길이가 80cm, 몸무게가 5kg까지 자랄 수 있다.[5][10][40][46]

5. 생태

꽁지가오리는 인도-태평양산호초 지대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가오리 중 하나이다.[8][9][34][44][45][70] 주로 야행성으로, 낮에는 동굴이나 산호 가장자리, 난파선과 같은 구조물 아래에 숨어 지내는 경우가 많으며, 밤에는 조수를 따라 얕은 모래밭으로 이동하여 먹이를 찾는다.[8][9][11][34][47] 다른 가오리들과 달리 모래 속에 몸을 파묻는 행동은 거의 하지 않는다.[11][47]

먹이로는 모래 속의 연체동물, 다모류, 새우, 와 같은 갑각류, 그리고 작은 저서생물 경골어류 등을 선호하며, 몸통으로 먹이를 덮어 입으로 가져가 섭취한다.[12][13][48][49] 번식은 늦봄부터 여름 사이에 이루어지며, 무태생식 방식으로 새끼를 낳는다.[13][49] 임신 기간은 4개월에서 12개월 사이로 추정되며, 한 번에 최대 7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1][14][47][50]

주요 포식자로는 귀상어큰돌고래 등이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기생충에 감염되기도 한다.[11][15][47][51] 위협을 느끼면 지그재그 형태로 빠르게 헤엄쳐 도망간다.[8][44]

5. 1. 행동

블루스팟 리본꼬리 가오리는 낮 동안 산호 가장자리에서 숨어있다.


인도-태평양 산호초에 서식하는 가장 흔한 가오리 중 하나로, 주로 야행성이다. 낮 동안에는 보통 단독으로 동굴이나 산호 가장자리, 또는 난파선과 같은 기타 잔해 아래에 숨어 지내며, 종종 꼬리만 보이기도 한다.[8][9][34] 밤이 되면 작은 무리를 지어 조수가 상승하는 것을 따라 얕은 모래 평원으로 이동하여 먹이를 찾는다. 다른 많은 가오리들과 달리, 이 종은 모래 속에 몸을 파묻는 경우가 거의 없다.[11]

블루스팟 리본꼬리 가오리는 모래 바닥을 파헤쳐 연체동물, 다모류, 새우, , 그리고 작은 저서생물 경골어류 등을 찾아 먹는다. 먹이를 발견하면 자신의 원반 모양 가슴지느러미로 먹이를 덮어 누른 뒤 입으로 가져간다. 이 과정에서 염소돔과 같은 다른 물고기들이 가오리를 따라다니며 가오리가 놓친 먹이를 얻어먹기도 한다.[12][13]

번식은 늦봄부터 여름 사이에 이루어진다. 수컷은 암컷을 따라다니며 구애 행동으로 암컷의 원반 가장자리를 쪼다가, 결국 물어서 고정한 뒤 교미를 한다.[13] 때때로 블루스팟 리본꼬리 가오리 수컷이 자신보다 작은 블루스팟 가오리 수컷의 원반을 무는 행동이 관찰되기도 했는데, 이는 종을 혼동한 결과일 수 있다. 성체 수컷들이 얕은 물에 모이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했는데, 이는 번식 활동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34]

다른 가오리들처럼, 블루스팟 리본꼬리 가오리도 무태생식을 한다. 즉, 배아는 처음에는 난황으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지만, 이후 어미가 생산하는 '자궁 우유'(histotroph)라 불리는 점액, 지방, 단백질이 풍부한 분비물을 통해 추가적인 영양을 공급받는다. 임신 기간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4개월에서 12개월 사이로 추정된다. 암컷은 한 번에 최대 7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갓 태어난 새끼는 성체의 축소판 형태로 원반 너비가 약 13cm에서 14cm 정도이다.[11][14] 수컷은 원반 너비가 20cm에서 21cm 정도가 되면 성적 성숙에 도달하지만, 암컷의 성숙 크기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5][14]

블루스팟 리본꼬리 가오리의 주요 포식자로는 귀상어(Sphyrna)와 큰돌고래(Tursiops)가 알려져 있다. 그 외 다른 대형 어류나 해양 포유류에게도 잡아먹힐 수 있다.[11][15] 위협을 느끼면, 이 가오리는 포식자를 따돌리기 위해 지그재그 형태로 빠르게 헤엄쳐 도망가는 경향이 있다.[8]

이 종에서는 다양한 기생충이 발견되었다. 확인된 기생충으로는 촌충류인 ''Aberrapex manjajiae'',[16] ''Anthobothrium taeniuri'',[17] ''Cephalobothrium taeniurai'',[18] ''Echinobothrium elegans'' 및 ''E. helmymohamedi'',[19][20] ''Kotorelliella jonesi'',[21] ''Polypocephalus saoudi'',[22] ''Rhinebothrium ghardaguensis'' 및 ''R. taeniuri'';[23] 단생류인 ''Decacotyle lymmae'',[24] ''Empruthotrema quindecima'',[25] ''Entobdella australis'',[26] ''Pseudohexabothrium taeniurae'';[27] 편형동물인 ''Pedunculacetabulum ghardaguensis'' 및 ''Anaporrhutum albidum'';[28][29] 선충류인 ''Mawsonascaris australis'';[30] 요각류인 ''Sheina orri'';[31] 그리고 원생동물인 ''Trypanosoma taeniurae'' 등이 있다.[32]

또한, 블루스팟 리본꼬리 가오리는 자신의 원반과 골반 지느러미 가장자리를 들어올리는 행동을 통해 푸른점청소놀래기(Labroides dimidiatus)에게 몸을 청소해 달라는 신호를 보내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했다.[34]

5. 2. 먹이

밤이 되면 작은 무리를 지어 조수가 상승하는 것을 따라 얕은 모래 평원으로 이동하여 먹이를 찾는다.[9][34][45][70] 다른 많은 가오리들과는 달리 모래 속에 몸을 잘 파묻지 않는 특징이 있다.[11][47] 모래를 파서 연체동물, 다모류, 새우, 와 같은 갑각류, 그리고 작은 저서생물 경골어류를 주로 사냥한다.[12][13][48][49] 먹이를 발견하면 몸통으로 먹이를 가두고 원반 모양의 몸을 이용해 입으로 가져가 섭취한다.[12][13][48][49] 꽁지가오리가 먹이를 사냥할 때 염소돔(풀돔)과 같은 다른 물고기들이 주변을 따라다니며 꽁지가오리가 놓친 먹이를 얻어먹기도 한다.[12][13][48][49]

5. 3. 번식

꽁지가오리의 번식은 늦봄부터 여름 사이에 이루어진다.[13][49] 수컷은 암컷을 따라다니며 암컷의 원반(몸통)을 쪼거나 물어서 교미를 시도한다.[13][49] 때로는 수컷 꽁지가오리가 더 작은 블루스팟 가오리(''Neotrygon kuhlii'') 수컷의 원반을 붙잡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했는데, 이는 종을 혼동한 사례일 수 있다. 성체 수컷들이 얕은 물에 모이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하는데, 이는 번식 활동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34][70]

다른 가오리들처럼 꽁지가오리는 무태생식 방식으로 번식한다. 즉, 배아는 처음에 난황을 통해 영양분을 얻지만, 이후에는 어미가 생산하는 '자궁 우유'(히스토트로프)로 영양을 보충받는다. 이 자궁 우유에는 점액, 지방, 단백질 등이 포함되어 있다. 임신 기간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4개월에서 12개월 사이로 추정된다. 암컷은 한 번에 최대 7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갓 태어난 새끼는 성체의 축소판 형태로 크기는 약 13cm에서 14cm 사이이다.[11][14][47][50] 수컷은 원반 너비가 20cm에서 21cm 사이일 때 성적 성숙에 도달하지만, 암컷이 성적으로 성숙하는 크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5][14][40][50]

5. 4. 천적 및 기생충

꽁지가오리의 알려진 포식자로는 귀상어( ''Sphyrna'')와 큰돌고래( ''Tursiops'')가 있다. 다른 큰 물고기나 해양 포유류에게도 잡아먹힐 수 있다.[11][15][47][51] 위협을 받으면 이 가오리는 추적자를 따돌리기 위해 지그재그 패턴으로 빠르게 도망치는 경향이 있다.[8][44]

이 종에서는 수많은 기생충이 확인되었다. 여기에는 촌충류인 ''Aberrapex manjajiae'',[16][52] ''Anthobothrium taeniuri'',[17][53] ''Cephalobothrium taeniurai'',[18][54] ''Echinobothrium elegans'' 및 ''E. helmymohamedi'',[19][20][55][56] ''Kotorelliella jonesi'',[21][57] ''Polypocephalus saoudi'',[22][58] ''Rhinebothrium ghardaguensis'' 및 ''R. taeniuri''[23][59] 등이 포함된다. 또한 단생류인 ''Decacotyle lymmae'',[24][60] ''Empruthotrema quindecima'',[25][61] ''Entobdella australis'',[26][62] ''Pseudohexabothrium taeniurae'',[27][63] 편형동물(흡충)인 ''Pedunculacetabulum ghardaguensis'' 및 ''Anaporrhutum albidum'',[28][29][64][65] 선충인 ''Mawsonascaris australis'',[30][66] 요각류인 ''Sheina orri'',[31][67] 원생동물인 ''Trypanosoma taeniurae''[32][68] 등도 발견되었다.

꽁지가오리는 가슴지느러미(원반)와 배지느러미(골반 지느러미)의 가장자리를 들어 올려 푸른점청소놀래기(''Labroides dimidiatus'')에게 청소를 요청하는 행동이 관찰되기도 한다.[34][70]

6. 인간과의 관계

꽁지가오리는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소심하고 직접적인 해를 끼치지 않지만[11][47], 꼬리에 있는 가시에 찔리면 고통스러운 상처를 입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11][47] 독특하고 아름다운 외모와 비교적 작은 크기 덕분에 관상어로서 인기가 높아 수족관 거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이지만,[33][69] 환경 변화에 민감하여 개인 수조에서의 사육은 상당히 어려운 편이다.[34][70] 일부 공공 수족관에서는 번식에 성공한 사례도 있다.[35][71]

동아프리카, 동남아시아, 호주 등 일부 지역에서는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하며,[1][14][36][50] 안강망, 연승, 작살, 정치망 등 다양한 어업 방식을 통해 어획되거나 혼획된다.[1][14][36][50]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꽁지가오리의 보전 상태를 최소관심종(LC)으로 평가하고 있다.[1][36] 비교적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개체 수도 적지 않지만, 주 서식지인 산호초가 독극물 투하 어업이나 다이너마이트 낚시와 같은 파괴적인 어업 방식 및 연안 개발로 인해 지속적으로 위협받고 있다.[1][36] 또한 전통 어업과 상업 어업에 의한 남획, 관상어 거래를 위한 포획 역시 개체 수에 상당한 압박을 가하고 있어 장기적인 보호 노력이 요구된다.[1][36]

6. 1. 관상어 거래

더 딥 수족관에 있는 임신한 꽁지가오리.


꽁지가오리는 매력적인 외모와 비교적 작은 크기 때문에 관상어로 인기가 높아 가정 수족관 거래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가오리 중 하나이다.[33][69] 사람에게 소심하고 무해하지만, 꼬리에 있는 가시로 고통스러운 상처를 입힐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11][47]

하지만 꽁지가오리는 포획 상태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편이어서, 소수의 숙련된 애호가들만이 오랫동안 기르는 데 성공한다.[34] 많은 개체가 수족관 환경에서 먹이를 거부하며,[34][70] 겉보기에 건강하던 개체도 갑자기 원인 불명으로 죽거나 먹이를 끊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34][70]

반면, 공공 수족관에서는 상대적으로 사육 성공률이 높다.[34] 유럽 동물원 및 수족관 협회(EAZA)에서는 꽁지가오리 사육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일례로 리스본 오션나리움에서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총 15마리의 새끼가 태어나는 등 번식 성공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35][71]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꽁지가오리를 최소관심종으로 평가했지만,[1][36] 관상어 거래를 위한 포획 역시 개체수에 압력을 가하는 요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1][36]

6. 2. 식용

꽁지가오리는 동아프리카, 동남아시아, 호주 등지에서 식용으로 이용된다.[1][14][36][50] 주로 안강망, 연승, , 울타리 덫, 자망, 작살, 정치망 등의 어구를 사용하여 의도적으로 잡거나 다른 어종을 잡을 때 함께 혼획되기도 한다.[1][14][36][50]

6. 3. 독성

꽁지가오리는 겁이 많아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직접적인 해를 가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꼬리에 있는 가시에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만지거나 찔릴 경우 매우 고통스러운 상처를 입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1][47]

7. 보전 상태

꽁지가오리는 넓은 분포 지역을 가지며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지만[1], 서식지 파괴와 남획이라는 주요 위협에 직면해 있다. 주요 서식지인 산호초는 연안 개발과 청산가리나 다이너마이트를 이용한 파괴적인 어업 방식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으며,[1][36] 식용 및 관상어 거래를 위한 어업 활동으로 인해 개체 수가 압박을 받고 있다.[1][14][36][50][33][69] 이러한 요인들은 꽁지가오리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7. 1. IUCN 적색 목록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꽁지가오리를 최소관심종(Least Concern, LC)으로 평가하고 있다.[1][36] 이는 꽁지가오리가 비교적 흔하고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하기 때문이다.[1]

하지만 꽁지가오리는 서식지 파괴와 남획이라는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 서식지 전반에 걸친 개발 행위와 청산가리나 다이너마이트를 사용하는 파괴적인 어업 방식으로 인해 주요 서식지인 산호초가 지속적으로 파괴되고 악화되고 있다.[1][36] 또한, 수공 어업 및 상업 어업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혼획되거나 식용으로 어획되며,[1][14][36][50] 관상어로서 수족관 거래를 위한 포획 압력도 강하게 받고 있다.[1][36][69]

7. 2. 보전 노력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꽁지가오리를 최소관심종(LC)으로 평가하고 있다.[1][36] 이는 비교적 흔하고 넓은 지역에 분포하기 때문이지만, 서식지 전반에 걸쳐 여러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어 지속적인 관심과 보전 노력이 요구된다.[1][36]

주요 위협 요인 중 하나는 산호초 서식지의 지속적인 파괴와 악화이다. 연안 개발과 더불어, 청산가리나 다이너마이트를 사용하는 불법적이고 파괴적인 어업 방식이 서식 환경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1][36] 또한, 꽁지가오리는 동아프리카, 동남아시아, 호주 등지에서 식용으로 이용되며 자망, 연승, 작살, 정치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어획되거나 의도치 않게 혼획된다.[1][14][36][50] 아름다운 외형 때문에 관상어로서 인기가 높아 수족관 거래를 위한 포획 압력 또한 상당하다.[33][69]

이처럼 서식지 파괴와 과도한 어획 압력은 꽁지가오리의 생존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꽁지가오리는 포획 상태에서 잘 적응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어 개인 수족관에서의 장기 사육은 어려운 편이다.[34][70] 다만, 일부 공공 수족관에서는 번식 성공 사례가 있으며, 유럽 동물원 수족관 협회(EAZA) 주관 하에 사육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등 종 보전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예: 리스본 해양수족관에서 2011년~2013년 사이 총 15마리 번식 성공).[35][71]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연 서식지 보호와 파괴적인 어업 관행 근절, 지속 가능한 어업 관리 등 근본적인 보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참조

[1] 간행물 "''Taeniura lymma''" 2021
[2] 간행물 "''lymma, Raja''" 2010-01-15
[3] 서적 A Guide to the Common Sea Fishes of Southern Africa https://archive.org/[...] Struik
[4] 간행물 "''Taeniura''" 2010-01-15
[5] 간행물 FishBase
[6] 논문 Systematics of myliobatoid elasmobranchs: with emphasis on the phylogeny and historical biogeography of neotropical freshwater stingrays (Potamotrygonidae: Rajiformes)
[7] 서적 Coastal Fishes of Oman University of Hawaii Press
[8] 서적 Sharks https://archive.org/[...] Firefly Books
[9] 서적 The Living Marine Resources of the Western Central Pacific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10] 서적 A Photographic Guide to Sea Fishes of Southern Africa https://archive.org/[...] Struik
[11] 웹사이트 Biological Profiles: Bluespotted Ribbontail Ray http://www.flmnh.ufl[...]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Ichthyology Department 2009-11-13
[12] 서적 Coastal Fishes of Southern Africa https://archive.org/[...] NISC and SAIAB
[13] 웹사이트 "''Taeniura lymma''" https://animaldivers[...] 2009-11-13
[14] 서적 Sharks and Rays of Australia Harva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The Biology of Traditions: Models and Evid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논문 A new species of ''Aberrapex'' Jensen, 2001 (Cestoda: Lecanicephalidea) from ''Taeniura lymma'' (Forsskal) (Myliobatiformes: Dasyatidae) from off Sabah, Malaysia 2006-06
[17] 논문 On a new cestode, ''Anthobothrium taeniuri'' n. sp. (Tetraphyllidea) from the Red Sea Sting Ra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nthobothrium'' van Beneden, 1850, ''Rhodobothrium'' Linton, 1889 and ''Inermiphyllidium'' Riser, 1955
[18] 논문 A review of the cestode genus ''Rhinebothrium'' Linton, 1889 (Tetraphyllidae), with a description of two new species of the sting ray ''Taeniura lymma'' from the Red Sea
[19] 논문 Tapeworms of elasmobranchs (part II) a monograph on the Diphyllidea (Platyhelminthes, Cestoda)
[20] 논문 On ''Echinobothrium helmymohamedi'' n. sp. (Cestoda: Diphyllidea): a parasite of the sting ray ''Taeniura lymma'' from the Red Sea
[21] 논문 Tentaculariid cestodes of the order Trypanorhyncha (Platyhelminthes) from the Australian region 2002-05
[22] 논문 "''Polypocephalus saoudi'' n. sp. Lecanicephalidean cestode from ''Taeniura lymma'' in the Red Sea" 1982-12
[23] 논문 A review of the cestode genus ''Rhinebothrium'' Linton, 1889 (Tetraphyllidae), with a description of two new species of the sting ray ''Taeniura lymma'' from the Red Sea
[24] 논문 Anterior adhesive areas and adjacent secretions in the parasitic flatworms ''Decacotyle lymmae'' and ''D. tetrakordyle'' (Monogenea: Monocotylidae) from the gills of stingrays http://digital.libra[...]
[25] 논문 "''Empruthotrema quindecima'' sp. n. (Monogenea: Monocotylidae) from the nasal fossae of ''Taeniura lymma'' (Dasyatididae) from Heron Island and Lizard Island, Great Barrier Reef, Queensland, Australia" http://www.paru.cas.[...]
[26] 논문 Glands associated with the anterior adhesive areas of the monogeneans, ''Entobdella'' sp. and ''Entobdella australis'' (Capsalidae) from the skin of ''Himantura fai'' and ''Taeniura lymma'' (Dasyatididae) 1998-04
[27] 논문 "''Pseudohexabothrium taeniurae'' n. sp. (Monogenea: Hexabothriidae) from the gills of ''Taeniura lymma'' (Dasyatididae) from the Great Barrier Reef, Australia" 1996-02
[28] 논문 Two trematodes of genus ''Pedunculacetabulum'' Yamaguti, 1934 from Red Sea fishes
[29] 논문 Sur quelques trematodes digenes de poissons de Nossibe (Madagascar)
[30] 논문 Some ascaridoid nematodes of fishes: ''Paranisakis'' and ''Mawsonascaris'' n. g
[31] 논문 Redescription of ''Sheina orri'' Harding, 1966, a myodocopid ostracode collected on fishes off Queensland, Australia
[32] 논문 Haematozoa of fishes from Heron I., Australia, with the description of two new species of Trypanosoma
[33] 서적 Dr. Burgess's Atlas of Marine Aquarium Fishes T.F.H. Publications
[34] 서적 Reef Sharks and Rays of the World – A Guide To Their Identification, Behavior and Ecology Sea Challengers
[35] 간행물 Breeding and juvenile growth of the ribbontail stingray Taeniura lymma at Oceanário de Lisboa http://repositorio.u[...] University of Lisbon
[36] iucn "''Taeniura lymma''" 2021
[37] 웹사이트 "lymma, Raja" http://research.cala[...] 2012-02-21
[38] 서적 A Guide to the Common Sea Fishes of Southern Africa https://archive.org/[...] Struik
[39] 웹사이트 Taeniura http://research.cala[...] 2012-02-21
[40] FishBase
[41] 논문 Systematics of myliobatoid elasmobranchs: with emphasis on the phylogeny and historical biogeography of neotropical freshwater stingrays (Potamotrygonidae: Rajiformes)
[42] 논문 A revised classification of the family Dasyatidae (Chondrichthyes: Myliobatiformes) based on new morphological and molecular insights
[43] 서적 Coastal Fishes of Oman University of Hawaii Press
[44] 서적 Sharks https://archive.org/[...] Firefly Books
[45] 서적 The Living Marine Resources of the Western Central Pacific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46] 서적 A Photographic Guide to Sea Fishes of Southern Africa https://archive.org/[...] Struik
[47] 웹사이트 Biological Profiles: Bluespotted Ribbontail Ray http://www.flmnh.ufl[...] 2016-01-04
[48] 서적 Coastal Fishes of Southern Africa https://archive.org/[...] NISC and SAIAB
[49] 웹사이트 "Taeniura lymma (On-line)" http://animaldiversi[...]
[50] 서적 Sharks and Rays of Australia Harvard University Press
[51] 서적 The Biology of Traditions: Models and Evid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 논문 A new species of ''Aberrapex'' Jensen, 2001 (Cestoda: Lecanicephalidea) from ''Taeniura lymma'' (Forsskal) (Myliobatiformes: Dasyatidae) from off Sabah, Malaysia 2006-06
[53] 논문 On a new cestode, ''Anthobothrium taeniuri'' n. sp. (Tetraphyllidea) from the Red Sea Sting Ra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nthobothrium'' van Beneden, 1850, ''Rhodobothrium'' Linton, 1889 and ''Inermiphyllidium'' Riser, 1955
[54] 논문 Cestodes of the genus ''Cephalobothrium'' Shipley and Hornel, 1906 (Lecanicephaliidae), with description of ''C. ghardagense'' n. sp. and ''C. taeniurai'' n. sp. from the Red Sea fishes
[55] 논문 Tapeworms of elasmobranchs (part II) a monograph on the Diphyllidea (Platyhelminthes, Cestoda)
[56] 논문 On ''Echinobothrium helmymohamedi'' n. sp. (Cestoda: Diphyllidea): a parasite of the sting ray ''Taeniura lymma'' from the Red Sea
[57] 논문 Tentaculariid cestodes of the order Trypanorhyncha (Platyhelminthes) from the Australian region 2002-05
[58] 논문 "''Polypocephalus saoudi'' n. sp. Lecanicephalidean cestode from ''Taeniura lymma'' in the Red Sea" 1982-12
[59] 논문 A review of the cestode genus ''Rhinebothrium'' Linton, 1889 (Tetraphyllidae), with a description of two new species of the sting ray ''Taeniura lymma'' from the Red Sea
[60] 논문 Anterior adhesive areas and adjacent secretions in the parasitic flatworms ''Decacotyle lymmae'' and ''D. tetrakordyle'' (Monogenea: Monocotylidae) from the gills of stingrays https://hdl.handle.n[...]
[61] 논문 "''Empruthotrema quindecima'' sp. n. (Monogenea: Monocotylidae) from the nasal fossae of ''Taeniura lymma'' (Dasyatididae) from Heron Island and Lizard Island, Great Barrier Reef, Queensland, Australia" http://folia.paru.ca[...]
[62] 논문 Glands associated with the anterior adhesive areas of the monogeneans, ''Entobdella'' sp. and ''Entobdella australis'' (Capsalidae) from the skin of ''Himantura fai'' and ''Taeniura lymma'' (Dasyatididae) 1998-04
[63] 논문 "''Pseudohexabothrium taeniurae'' n. sp. (Monogenea: Hexabothriidae) from the gills of ''Taeniura lymma'' (Dasyatididae) from the Great Barrier Reef, Australia" 1996-02
[64] 논문 Two trematodes of genus ''Pedunculacetabulum'' Yamaguti, 1934 from Red Sea fishes
[65] 논문 Sur quelques trematodes digenes de poissons de Nossibe (Madagascar)
[66] 논문 Some ascaridoid nematodes of fishes: ''Paranisakis'' and ''Mawsonascaris'' n. g
[67] 논문 Redescription of ''Sheina orri'' Harding, 1966, a myodocopid ostracode collected on fishes off Queensland, Australia
[68] 논문 Haematozoa of fishes from Heron I., Australia, with the description of two new species of Trypanosoma
[69] 서적 Dr. Burgess's Atlas of Marine Aquarium Fishes T.F.H. Publications
[70] 서적 Reef Sharks and Rays of the World – A Guide To Their Identification, Behavior and Ecology Sea Challengers
[71] Citation Breeding and juvenile growth of the ribbontail stingray Taeniura lymma at Oceanário de Lisboa https://hdl.handl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