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리드스캴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흘리드스캴프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오딘의 옥좌로, 오딘이 앉아 세상의 모든 것을 볼 수 있는 곳으로 묘사된다. 《고 에다》와 《신 에다》에 언급되며, 특히 《길피의 속임수》에서 자세히 묘사된다. 오딘과 그의 아내 프리그가 아그나르와 게이로르를 보거나, 프레이가 요툰헤임의 거인 여성 게르드를 보고 사랑에 빠지는 등, 신화 속 중요한 사건들과 관련되어 언급된다.
《길피의 속임수》에서 스노리는 흘리드스캴프를 네 번에 걸쳐 언급한다. 처음에는 흘리드스캴프를 옥좌가 아닌 저택으로 묘사하는 듯하다.[10]
2. 문헌상의 출전
:"만물의 아버지가 흘리드스캴프라고 불리는 곳의 높은 자리에 앉아 온 세상을 내려다보며 모든 사람의 행동을 보고, 자신이 본 모든 것을 알았다."
하지만 나중에는 흘리드스캴프가 옥좌 자체를 가리키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11]
:"발라스캴프라는 또 다른 훌륭한 거처가 있는데, 오딘이 그 거처를 소유하고 있다. 신들이 그것을 만들었고 순수한 은으로 지붕을 이었으며, 이 홀에는 흘리드스캴프, 즉 높은 자리가 있다. 만물의 아버지가 그 자리에 앉을 때마다 모든 땅을 굽어본다."
스노리는 《스키르니르의 말》을 인용하여 게르드의 구애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흘리드스캴프를 세 번째로 언급한다.[12] 마지막으로, 스노리는 오딘이 높은 자리를 사용하여 발드르를 살해한 후 현장에서 도망친 로키를 찾아낸 방법을 이야기한다.[13]
2. 1. 고 에다
《고 에다》에서는 〈그림니르가 말하기를〉과 〈스키르니르가 말하기를〉에 흘리드스캴프가 언급된다.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에서 오딘과 프리그는 흘리드스캴프에 앉아 그들의 양아들인 아그나르와 게이로트를 살펴보았다. 〈스키르니르가 말하기를〉에서는 프레이가 흘리드스캴프에 앉아 요툰헤임을 엿보다 게르드에게 반하게 된다.
2. 1. 1. 그림니르가 말하기를
오딘과 프리그는 흘리드스캴프에 앉아 그들의 양자인 아그나르와 게이로트를 보았다. 아그나르는 거인 여인과 함께 동굴에서 살고 있었고, 게이로트는 왕이 되었다. 프리그는 게이로트가 손님에게 인색하고 냉대한다고 오딘에게 말했고, 진실 여부를 두고 서로 내기를 한 후 오딘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게이로트를 방문하기로 했다.
2. 1. 2. 스키르니르가 말하기를
프레이가 흘리드스캴프에 몰래 앉아 세상구경을 하다가, 요툰헤임의 아름다운 여성 거인 게르드를 보고는 그녀에게 반하게 된다.[14] --
2. 2. 신 에다
《신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에서는 스노리가 흘리드스캴프를 네 번 언급한다. 스노리는 처음에 흘리드스캴프를 옥좌가 아닌 저택으로 묘사하는 듯하다가, 나중에는 옥좌 자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명확히 한다. 세 번째 언급은 〈스키르니르의 말〉을 인용한 것이고, 마지막 언급은 발드르가 죽은 후 로키를 찾기 위해 오딘이 옥좌를 사용했다는 내용이다.[3][10][11][12][13]
2. 2. 1. 흘리드스캴프에 대한 묘사
〈길피의 속임수〉에서 스노리는 흘리드스캴프를 네 번 언급한다. 처음에는 흘리드스캴프가 옥좌가 아니라 저택을 가리키는 것으로 묘사한다.[10]
:"흘리드스캴프라는 집이 있으니, 지고자가 그 집 안의 높은 자리에 앉아, 모든 세계와 모든 인간 행동을 볼 수 있으며, 자신이 보는 것을 모두 알 수 있다."
하지만 두 번째 언급에서는 옥좌의 이름이 흘리드스캴프라고 명확히 한다.[11]
:"발라스캴프라는 또다른 장엄한 집이 있으니, 바로 오딘의 것이다. 신들이 그 저택을 짓고 순은으로 지붕을 올렸으니, 그 저택 안에 소위 흘리드스캴프라 하는 높은 자리가 있다. 지고자가 그 자리에 앉기만 하면, 그는 모든 땅을 둘러볼 수 있다."
세 번째 언급은 〈스키르니르의 말〉을 인용한 프레이의 게르드 구애 때이다.[12]
마지막으로 언급되는 것은 발드르가 죽고 나서 도망친 로키를 잡기 위해 오딘이 옥좌를 사용했다는 것이다.[13]
오딘의 집인 발라스캴프의 왕좌 홀 안에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오딘이 그 자리에서 자신의 세상을 내려다본다고 한다.[3]
2. 2. 2. 신화 속 사건
〈길피의 속임수〉에서는 프레이가 게르드에게 구애한 이야기와, 발드르를 살해하고 도망친 로키를 찾기 위해 오딘이 흘리드스캴프를 사용한 이야기가 언급된다.[3][10][11][12][13]
참조
[1]
서적
Old Norse Religion in Long-term Perspectives: Origins, Changes, and Interactions: an International Conference in Lund, Sweden. June 3-7, 2004
https://books.google[...]
Nordic Academic Press
2006
[2]
웹사이트
HLIÐSKJÁLF
https://norse-mythol[...]
2023-04-25
[3]
서적
Norse Mythology
https://books.google[...]
S. C. Griggs
2023-04-25
[4]
문서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などにみられる表記。
[5]
문서
『北欧の神話 神々と巨人のたたかい』([[山室静]]著、[[筑摩書房]]〈世界の神話 8〉、1982年、ISBN 978-4-480-32908-0)などにみられる表記。
[6]
문서
『エッダ/グレティルのサガ』([[松谷健二]]訳、筑摩書房〈筑摩文庫〉、1986年、ISBN 978-4-480-02077-2)などにみられる表記。
[7]
문서
『北欧神話と伝説』(ヴィルヘルム・グレンベック著、山室静訳、新潮社、1971年、ISBN 978-4-10-502501-4)などにみられる表記。
[8]
문서
『スカルド詩人のサガ コルマクのサガ/ハルフレズのサガ』([[森信嘉]]著、[[학교법인東海大学출판회|東海大学出版会]]、2005年、ISBN 978-4-486-01696-0)123頁にみられる表記。
[9]
문서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52頁。
[10]
문서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231頁。
[11]
문서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240頁。
[12]
문서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253頁。
[13]
문서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273頁。
[14]
문서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63頁。
[15]
간행물
Old Norse Religion in Long-term Perspectives: Origins, Changes, and Interactions: an International Conference in Lund, Sweden. June 3-7, 2004
http://books.google.[...]
Nordic Academic Press
2014-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