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4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미국 하원의원 선출을 위해 각 주별로 다른 시기에 치러졌다. 선거 결과 민주당이 113석, 휘그당이 108석, 자유토지당이 9석, 미국당과 무소속이 각각 1석을 차지하여 총 232석으로 구성되었다. 위스콘신주가 신설되어 3명의 하원 의원을 선출했고, 캘리포니아주는 주 승격을 예상하여 2명의 비례 대표 의원을 선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8년 선거 - 1848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1848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는 프랑스 제2공화국에서 처음 실시된 선거로,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당선되어 프랑스 정치 지형 변화와 제2제정 수립의 기반을 마련했다. - 1848년 선거 - 1848년 프랑스 총선
1848년 프랑스 총선은 2월 혁명 후 제2공화국 헌법 제정을 위해 직접 선거, 비밀 투표, 남성 보통 선거로 치러져 공화파가 압승하였고, 이는 프랑스 정치 지형 변화와 제2공화국 헌법 제정에 영향을 주었으며 대통령 중심제 채택 후 루이 나폴레옹의 권력 강화로 이어져 쿠데타와 제2제국 수립의 배경이 되었다. - 1848년 미국 - 멕시코 할양지
멕시코 할양지는 1848년 미국-멕시코 전쟁 결과로 멕시코가 미국에 할양한, 현재 미국 서부 여러 주의 일부를 포함하는 멕시코 전체 면적의 약 1/3에 달하는 광대한 영토를 의미하며, 이는 미국의 서부 진출에 기여했으나 멕시코의 국토 손실과 미국 내 노예제 갈등을 심화시켰다. - 1848년 미국 -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은 1848년 미국과 멕시코 간에 체결되어 미-멕시코 전쟁을 종식시키고 멕시코가 현재 미국 서남부의 광대한 영토를 미국에 할양하는 대신 미국이 멕시코에 배상금을 지불하도록 규정했으나, 멕시코에는 치욕으로, 미국에는 영토 확장으로 평가되며 양국 관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5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50년-1851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민주당이 127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으며, 휘그당, 입헌통일당, 자유토지당, 주권당, 무소속 의원들이 선출되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위스콘신 준주의 주 승격으로 하원 의석이 증가한 첫 선거로, 휘그당이 근소하게 승리했으며, 텍사스와 아이오와 주의 신설로 의석이 증가하는 등 의회의 정치적 역학 관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184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 |
---|---|
선거 정보 | |
선거 이름 | 1848–49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
국가 | 미국 |
국기 연도 | 1848 |
선거 유형 | 의회 |
선거 진행 여부 | 아니오 |
이전 선거 | 1846–47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846 & 1847 |
다음 선거 | 1850–51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1850 & 1851 |
선출 의석 | 모든 233개 미국 하원 의석 |
과반 의석 | 117 |
선거일 | 1848년 8월 7일 – 1849년 11월 6일 |
정당별 결과 | |
제1정당 | 민주당 |
제1정당 대표 | 하웰 콥 |
제1정당 대표 의석 | 조지아주 제6선거구 |
제1정당 이전 선거 의석 | 110석 |
제1정당 의석 | 113석 |
제1정당 의석 변동 | 3석 증가 |
제1정당 득표수 | 1,212,632 |
제1정당 득표율 | 44.16% |
제1정당 득표율 변동 | 4.27% 감소 |
제2정당 | 휘그당 |
제2정당 대표 | 로버트 C. 윈스럽 |
제2정당 대표 의석 | 매사추세츠주 제1선거구 |
제2정당 이전 선거 의석 | 116석 |
제2정당 의석 | 106석 |
제2정당 의석 변동 | 10석 감소 |
제2정당 득표수 | 1,231,320 |
제2정당 득표율 | 44.84% |
제2정당 득표율 변동 | 0.32% 증가 |
제3정당 | 자유토지당 |
제3정당 이전 선거 의석 | 새로운 정당 |
제3정당 의석 | 9석 |
제3정당 의석 변동 | 9석 증가 |
제3정당 득표수 | 237,714 |
제3정당 득표율 | 8.66% |
제3정당 득표율 변동 | 5.57% 증가 |
제4정당 | 노우 나씽 |
제4정당 이전 선거 의석 | 1석 |
제4정당 의석 | 1석 |
제4정당 의석 변동 | 변동 없음 |
제4정당 득표수 | 10,539 |
제4정당 득표율 | 0.38% |
제4정당 득표율 변동 | 0.83% 감소 |
제5정당 | 독립 |
제5정당 이전 선거 의석 | 3석 |
제5정당 의석 | 3석 |
제5정당 의석 변동 | 변동 없음 |
제5정당 득표수 | 48,223 |
제5정당 득표율 | 1.76% |
제5정당 득표율 변동 | 0.98% 감소 |
하원 의장 | |
선거 전 하원 의장 | 로버트 C. 윈스럽 |
선거 후 하원 의장 | 하웰 콥 |
선거 전 하원 의장 정당 | 휘그당 |
선거 후 하원 의장 정당 | 민주당 |
추가 정보 | |
![]() | |
![]() |
2. 선거 배경
2. 1. 정치적 상황
2. 2. 주요 정당 및 후보
3. 선거 결과
wikitext
주 | 유형 | 날짜 | 총 의석 수 | 민주당 | 자유토지당 | 휘그당 | 기타 | ||||
---|---|---|---|---|---|---|---|---|---|---|---|
의석 수 | 변화 | 의석 수 | 변화 | 의석 수 | 변화 | 의석 수 | 변화 | ||||
아칸소주 (Arkansas) | 전체 | 1848년 8월 7일 | 1 | 1 | 0 | 0 | 0 | ||||
코네티컷주 | 전체 | 1848년 4월 3일 | 4 | 1 | 1 | 0 | 3 | 1 | 0 | ||
델라웨어주 | 전체 | 1848년 11월 7일 | 1 | 0 | 0 | 1 | 0 | ||||
플로리다주 | 전체 | 1848년 11월 6일 | 1 | 0 | 1 | 0 | 1 | 1 | 0 | ||
조지아주 | 전체 | 1848년 10월 2일 | 8 | 3 | 1 | 0 | 5 | 1 | 0 | ||
일리노이주 | 전체 | 1848년 8월 7일 | 7 | 7 | 2 | 0 | 0 | 2 | 0 | ||
인디애나주 | 전체 | 1848년 8월 7일 | 10 | 8 | 3 | 0 | 2 | 3 | 0 | ||
아이오와주 | 전체 | 1848년 8월 7일 | 2 | 2 | 2 | 0 | 0 | 0 | |||
켄터키주 | 전체 | 1848년 8월 7일 | 10 | 2 | 3 | 0 | 8 | 3 | 0 | ||
루이지애나주 | 전체 | 1848년 11월 6일 | 4 | 2 | 0 | 2 | 0 | ||||
메인주 | 전체 | 1848년 9월 11일 | 7 | 6 | 2 | 0 | 1 | 1 | 0 | 1 | |
메릴랜드주 | 전체 | 1848년 10월 4일 | 6 | 2 | 2 | 0 | 4 | 2 | 0 | ||
매사추세츠주 | 전체 | 1848년 11월 13일 | 10 | 0 | 1 | 1 | 9 | 1 | 0 | ||
미시간주 | 전체 | 1848년 11월 6일 | 3 | 1 | 1 | 1 | 1 | 1 | 0 | ||
미시시피주 | 전체 | 1848년 11월 6일 | 4 | 2 | 0 | 2 | 0 | ||||
미주리주 | 전체 | 1848년 8월 7일 | 5 | 5 | 0 | 0 | 0 | ||||
뉴햄프셔주 | 전체 | 1848년 3월 14일 | 4 | 2 | 1 | 2 | 2 | 0 | 1 | 0 | |
뉴저지주 | 전체 | 1848년 11월 7일 | 5 | 1 | 2 | 0 | 4 | 2 | 0 | ||
뉴욕주 | 전체 | 1848년 11월 7일 | 34 | 11 | 5 | 5 | 5 | 18 | 0 | ||
노스캐롤라이나주 | 전체 | 1848년 8월 3일 | 9 | 4 | 1 | 0 | 5 | 1 | 0 | ||
오하이오주 | 전체 | 1848년 10월 10일 | 21 | 10 | 3 | 1 | 9 | 10 | 6 | 0 | |
펜실베이니아주 | 전체 | 1848년 10월 10일 | 24 | 12 | 2 | 0 | 11 | 1 | 1 | 1 | |
로드아일랜드주 | 전체 | 1848년 4월 5일 | 2 | 0 | 0 | 2 | 0 | ||||
사우스캐롤라이나주 | 전체 | 1848년 10월 9일-10일 | 7 | 7 | 0 | 0 | 0 | ||||
테네시주 | 전체 | 1848년 8월 2일 | 11 | 5 | 1 | 0 | 6 | 1 | 0 | ||
텍사스주 | 전체 | 1848년 11월 6일 | 2 | 2 | 0 | 0 | 0 | ||||
버몬트주 | 전체 | 1848년 9월 5일 | 4 | 0 | 1 | 0 | 3 | 1 | 1 | 2 | |
버지니아주 | 전체 | 1848년 4월 | 15 | 13 | 4 | 0 | 2 | 4 | 0 | ||
위스콘신주 | 신설 | 1848년 5월 8일 | 2 | 1 | 1 | 1 | 1 | 0 | 1 | 0 | |
캘리포니아주 | 신설 | 1849년 11월 13일 | 2 | 2 | 2 | 0 | 0 | 0 |
1848년에 위스콘신주에 의석 하나가 추가되었고,[2] 캘리포니아주 신설에 따라 두 의석이 더 추가되었다.[3]
3. 1. 정당별 의석 변화
wikitext정당 | 의석수 |
---|---|
민주당 | 113석 |
휘그당 | 108석 |
자유토지당 | 9석 |
미국당 | 1석 |
무소속 | 1석 |
합계 | 232석 |
1848년에 위스콘신주에 의석 하나가 추가되었고,[2] 캘리포니아주 신설에 따라 두 의석이 더 추가되었다.[3]
style="background:; width:48.71%" | 113 | style="background:; width:4.74%"" | 11 | style="background:; width:46.55%" | 108 |
민주당 | 휘그당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 valign=bottom
! rowspan=2 | 주
! rowspan=2 | 유형
! rowspan=2 | 날짜
! rowspan=2 | 총 의석 수
! colspan=2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민주당
! colspan=2 style="background:#CCCC66"| 자유토지당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휘그당
! colspan=2 | 기타
|-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의석 수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변화
! style="background:#CCCC66"| 의석 수
! style="background:#CCCC66"| 변화
! style="background-color:"| 의석 수
! style="background-color:"| 변화
! 의석 수
! 변화
|-
! 아칸소주 (Arkansas)
| 전체
| 1848년 8월 7일
| 1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1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0
| style="background-color:"|
| 0
|
|-
! 코네티컷주
| 전체
| 1848년 4월 3일
| 4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1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1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3
| style="background-color:"| 1
| 0
|
|-
! 델라웨어주
| 전체
| 1848년 11월 7일
| 1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0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1
| style="background-color:"|
| 0
|
|-
! 플로리다주
| 전체
| 1848년 11월 6일
| 1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0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1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1
| style="background-color:"| 1
| 0
|
|-
! 조지아주
| 전체
| 1848년 10월 2일
| 8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3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1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5
| style="background-color:"| 1
| 0
|
|-
! 일리노이주
| 전체
| 1848년 8월 7일
| 7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7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2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0
| style="background-color:"| 2
| 0
|
|-
! 인디애나주
| 전체
| 1848년 8월 7일
| 10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8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3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2
| style="background-color:"| 3
| 0
|
|-
! 아이오와주
| 전체
| 1848년 8월 7일
| 2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2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2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0
| style="background-color:"|
| 0
|
|-
! 켄터키주
| 전체
| 1848년 8월 7일
| 10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2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3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8
| style="background-color:"| 3
| 0
|
|-
! 루이지애나주
| 전체
| 1848년 11월 6일
| 4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2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2
| style="background-color:"|
| 0
|
|-
! 메인주
| 전체
| 1848년 9월 11일
| 7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6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2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1
| style="background-color:"| 1
| 0
| 1
|-
! 메릴랜드주
| 전체
| 1848년 10월 4일
| 6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2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2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4
| style="background-color:"| 2
| 0
|
|-
! 매사추세츠주
| 전체
| 1848년 11월 13일
| 10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0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style="background:#CCCC66"| 1
| style="background:#CCCC66"| 1
| style="background-color:"| 9
| style="background-color:"| 1
| 0
|
|-
! 미시간주
| 전체
| 1848년 11월 6일
| 3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1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1
| style="background:#CCCC66"| 1
| style="background:#CCCC66"| 1
| style="background-color:"| 1
| style="background-color:"|
| 0
|
|-
! 미시시피주
| 전체
| 1848년 11월 6일
| 4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2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2
| style="background-color:"|
| 0
|
|-
! 미주리주
| 전체
| 1848년 8월 7일
| 5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5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0
| style="background-color:"|
| 0
|
|-
! 뉴햄프셔주
| 전체
| 1848년 3월 14일
| 4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2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1
| style="background:#CCCC66"| 2
| style="background:#CCCC66"| 2
| style="background-color:"| 0
| style="background-color:"| 1
| 0
|
|-
! 뉴저지주
| 전체
| 1848년 11월 7일
| 5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1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2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4
| style="background-color:"| 2
| 0
|
|-
! 뉴욕주
| 전체
| 1848년 11월 7일
| 34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11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5
| style="background:#CCCC66"| 5
| style="background:#CCCC66"| 5
| style="background-color:"| 18
| style="background-color:"|
| 0
|
|-
! 노스캐롤라이나주
| 전체
| 1848년 8월 3일
| 9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4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1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5
| style="background-color:"| 1
| 0
|
|-
! 오하이오주
| 전체
| 1848년 10월 10일
| 21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10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3
| style="background:#CCCC66"| 1
| style="background:#CCCC66"| 9
| style="background-color:"| 10
| style="background-color:"| 6
| 0
|
|-
! 펜실베이니아주
| 전체
| 1848년 10월 10일
| 24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12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2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11
| style="background-color:"| 1
| 1
| 1
|-
! 로드아일랜드주
| 전체
| 1848년 4월 5일
| 2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0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2
| style="background-color:"|
| 0
|
|-
! 사우스캐롤라이나주
| 전체
| 1848년 10월 9일-10일
| 7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7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0
| style="background-color:"|
| 0
|
|-
! 테네시주
| 전체
| 1848년 8월 2일
| 11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5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1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6
| style="background-color:"| 1
| 0
|
|-
! 텍사스주
| 전체
| 1848년 11월 6일
| 2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2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0
| style="background-color:"|
| 0
|
|-
! 버몬트주
| 전체
| 1848년 9월 5일
| 4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0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1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3
| style="background-color:"| 1
| 1
| 2
|-
! 버지니아주
| 전체
| 1848년 4월
| 15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13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4
| style="background:#CCCC66"| 0
| style="background:#CCCC66"|
| style="background-color:"| 2
| style="background-color:"| 4
| 0
|
|-
! 위스콘신주
| 신설
| 1848년 5월 8일
| 2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1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