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유토지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유토지당은 1848년 결성된 미국의 정당으로, 노예제 확산에 반대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했다. 1840년대 미국 정치에서 노예제 문제가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자, 자유토지당은 "자유 토지, 자유 언론, 자유 노동, 자유인"을 기치로 내걸고, 1848년 대선에서 마틴 밴 뷰런을 대통령 후보로 내세웠으나, 10%의 득표율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1850년 타협안과 도망 노예법 시행으로 당의 세력이 약화되었고, 1854년 캔자스-네브래스카 법 통과 이후 공화당에 흡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8년 설립된 정당 - 콜롬비아 자유당
    콜롬비아 자유당은 1848년 창당되어 콜롬비아 보수당과 양대 정당 체제를 구축하며 1세기 이상 정치를 주도했으나, 잦은 분열과 쇠퇴를 겪었다.
  • 1848년 설립된 정당 - 콜롬비아 보수당
    콜롬비아 보수당은 1849년 창당되어 기독교적 가치와 자유 무역을 옹호하며 국민 통합과 국가 현대화를 추구하고, 19세기 후반부터 1930년까지 집권한 후 국민전선 시대를 거쳐 현재는 평화 협상에 반대하며 야당 활동을 한다.
  • 미국의 해산된 정당 - 연방당
    연방당은 미국 헌법의 제정과 비준을 지지하며 강력한 중앙 정부를 옹호했으나, 민주공화당과의 대립과 1812년 전쟁에 대한 소극적 태도, 내부 분열 등으로 인해 1816년 대선 이후 쇠퇴했다.
  • 미국의 해산된 정당 - 민주공화당 (미국)
    민주공화당은 토머스 제퍼슨과 제임스 매디슨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공화주의를 지향하며 개인의 자유, 농업주의, 제한된 정부를 추구했고, 프랑스 혁명을 지지하며 확장주의를 옹호하다가 1824년 대선 이후 분열되며 해체되었다.
자유토지당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틴 밴 뷰런/찰스 프랜시스 애덤스 시니어 선거 배너
지도자마틴 밴 뷰런
새먼 P. 체이스
존 P. 헤일
창당1848년
해산1854년
분리자유당
합병반버너 민주당
양심적 휘그당
자유당
합병 대상공화당
본부버펄로, 뉴욕주
이념노예제 반대
슬로건"자유 토지, 자유 노동, 자유인"
신문자유 토지 배너
정치적 위치
정치적 스펙트럼중도
전신
전신 정당공화당 (미국)

2. 역사적 배경

1830년대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을 중심으로 노예제 폐지 운동이 전개되었지만, 기존 정치권은 노예제 문제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1840년, 노예제 폐지를 주장하는 소수의 폐지론자들이 자유당(Liberty Party)을 창당했다.[3] 자유당은 노예제의 즉각적인 폐지를 목표로 했지만, 대중적인 지지를 얻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자유당은 1840년 대통령 선거에서 제임스 G. 버니를 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3]

[[File:James_Birney(Cropped).jpg|thumb|upright=0.8|제임스 G. 버니는 자유토지당의 전신인 자유당의 두 번의 대통령 후보였다.

184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텍사스 합병 문제가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민주당은 제임스 K. 포크를 대통령 후보로 지명하고 텍사스와 오리건 컨트리 영토 획득을 주장했다.[12] 포크는 근소한 차이로 휘그당의 헨리 클레이를 꺾고 당선되었다.

1846년, 미국-멕시코 전쟁이 발발했다. 전쟁 중 펜실베이니아 출신 민주당 하원의원 데이비드 윌모트는 멕시코로부터 획득한 영토에서 노예제를 금지하는 윌모트 조항(Wilmot Proviso)을 제안했다.[21] 이 조항은 하원을 통과했지만, 남부 출신 의원이 더 많은 의석을 차지하고 있던 상원에서 부결되었다.[24]

1848년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으로 멕시코로부터 캘리포니아와 뉴멕시코를 할양받으면서, 이 지역의 노예제 허용 여부가 미국 정치의 핵심 쟁점으로 부상했다.[26]

2. 1. 자유토지당의 결성 (1848년)

1848년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루이스 카스가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자, 노예제 확산에 반대하는 민주당 내 '번버너스(Barnburners)' 파벌은 전당대회를 탈퇴했다.[111] 번버너스는 휘그당 내 양심파(Conscience Whigs)와 자유당 세력과 연합하여 뉴욕주 유티카버펄로에서 대회를 열고 자유토지당을 결성했다.[111]

자유토지당은 마틴 밴 뷰런 전 대통령을 대통령 후보로, 찰스 프랜시스 애덤스를 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 이들은 "자유 토지, 자유 언론, 자유 노동, 자유인"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노예제 확산 반대를 주장했다.[111] 당 지도부에는 오하이오주의 새먼 체이스와 뉴햄프셔주의 존 P. 헤일이 있었다.

자유토지당은 워싱턴 D.C.와 모든 미국 영토에서 노예제 폐지를 요구하는 강령을 채택했다. 또한, 낮은 관세, 우편 요금 인하, 항만 개선 등을 주장했다. 노예 제도 폐지 운동을 경시하고 노예 제도의 도덕적 문제를 피하는 대신, 새로운 서부 영토에서 노예 제도가 자유 백인 노동자와 북부 사업가에게 주는 위협을 강조했다.[112]

184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자유토지당은 10%의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선거인단 확보에는 실패했다.

2. 2. 1848년 미국 대통령 선거

184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자유토지당은 마틴 밴 뷰런을 대통령 후보로, 찰스 프랜시스 애덤스 1세를 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37] 자유토지당은 전국 득표의 10.1%를 얻었으나, 선거인단 확보에는 실패했다.[42][41] 이는 미국 역사상 제3당 후보가 전국 득표에서 10% 이상을 획득한 최초의 사례였다.[42]

자유토지당은 1848년 대통령 선거에서 전직 대통령 마틴 반 뷰런을 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


반 뷰런을 위한 1848년 만화


존 반 뷰런을 중심으로 한 바른버너들은 1848년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이탈했는데, 민주당은 윌모트 조항에 반대하는 루이스 캐스와 윌리엄 O. 버틀러를 후보로 지명했기 때문이다.[29] 휘그당은 노예 소유주인 재커리 테일러를 대통령 후보로 지명하여 반노예제 휘그당원들의 반발을 샀다.[32] 이에 바른버너들과 반노예제 휘그당원들은 뉴욕주 버팔로에서 전당대회를 열어 자유토지당을 창당했다.[32]

자유토지당은 워싱턴 D.C.와 모든 미국 영토에서 노예제 폐지를 요구하는 강령을 채택했다.[37] 그러나 반 뷰런의 과거 친노예제 행적 때문에, 일부 자유당 지도자들과 반노예제 휘그당원들은 그의 반노예제 신념에 의구심을 품었다.[34] 역사학자 A. 제임스 라이클리는 반 뷰런의 출마 동기에 대해, 1844년 민주당 전당대회 패배로 인한 분노와 함께 "장기적인 [민주당]과 국가의 복지는 [민주당]이 선거에서 한두 번 잃을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칼훈주의의 영향을 벗어나는 것을 요구한다"는 믿음이 작용했다고 분석했다.[35]

결국 184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휘그당의 재커리 테일러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40] 테일러는 선거인단 과반수와 대중 투표 과반수를 모두 획득했는데, 이는 남부에서의 선전과 북부에서 반 뷰런으로 인한 민주당 지지층 이탈 덕분이었다.[40] 동시 의회 선거에서는 샐먼 체이스가 상원에 당선되었고, 약 12명의 자유토지당 후보가 하원에 당선되었다.[43]

순위이름정당일반득표선거인단 득표
1재커리 테일러휘그당1,361,393
(47.3%)
163
2루이스 캐스민주당1,223,460
(42.5%)
127
3마틴 밴 뷰런자유토지당291,501
(10.1%)
0
4게릿 스미스자유당2,545
(0.1%)
0


2. 3. 1849년-1852년

자유토지당은 1848년 대선 이후에도 존속하며 여러 공직 후보를 내세웠다. 주 차원에서 자유토지당은 노예제에 반대하는 공직자를 선출하기 위해 양대 정당 중 하나와 연합하기도 했다.[44] 윌모트 조항 문제를 피하고자 테일러 행정부는 멕시코 할양지의 토지를 영토 정부 조직 없이 바로 주(州)로 편입하는 방안을 제안했고, 이로써 해당 지역의 노예제 문제는 연방 정부가 아닌 주 정부의 재량에 맡겨지게 되었다.[45]

1850년 1월, 헨리 클레이 상원의원은 캘리포니아를 자유주로 편입하고, 텍사스가 부채 경감을 대가로 북부 및 서부 영토 주장을 일부 포기하며, 뉴멕시코 준주유타 준주를 설립하고, 컬럼비아 특별구의 노예 수입을 금지하며, 더 강력한 도망 노예법을 제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여러 제안을 했다.[45][46] 자유토지당은 이 제안에 강력하게 반대했는데, 특히 도망 노예법에 집중했다.[46]

1850년 7월 테일러 대통령이 사망하고 밀러드 필모어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47] 필모어와 민주당의 스티븐 A. 더글러스는 클레이의 제안을 바탕으로 1850년 타협을 통과시켰다.[47] 휘그당은 타협을 지지하는 필모어와 대니얼 웹스터, 도망 노예법 폐지를 요구한 윌리엄 수어드 등의 타협 반대파로 심각하게 분열되었다.[48] 1850년 말, 보스턴의 폐지론자들은 도망 노예 엘렌과 윌리엄 크래프트 부부가 캐나다로 탈출하도록 도왔는데, 이는 도망 노예법 시행과 관련된 여러 주요 사건 중 첫 번째였다.[49]

도망 노예법과 그 시행은 노예제 폐지 운동가들을 격분시켰지만, 대부분의 북부인들은 이를 남부와의 지역적 평화를 위한 필요한 타협으로 여겨 북부에서 노예제 폐지 운동에 대한 반발이 일어났다.[50] 자유토지당은 이러한 반발과 마틴 밴 뷰런을 포함한 노예제 폐지론자들의 이탈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들 중 상당수는 밴 뷰런의 후보 출마와 1850년 타협 이후 지역적 균형이 회복되었다고 믿었다. 찰스 서머가 제32대 미국 의회에 선출되었지만, 자유토지당은 1850년 및 1851년 미국 하원 선거에서 5석을 잃었다.[51] 1852년 미국 대통령 선거가 다가오면서 자유토지당은 후보를 찾기 위해 고심했다. 밴 뷰런과 토머스 하트 벤턴 상원의원 등 전국적 명성을 가진 잠재적 후보들은 출마를 거절했고, 대법원 판사 레비 우드버리는 1851년에 사망했다.[51]

오하이오 출신의 샐먼 P. 체이스는 자유토지당의 가장 저명한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1850년의 이 정치 만평에서, 작가는 1850년의 폐지론자, 자유 토지, 기타 분파주의적 이익이 연방에 위험하다고 공격한다.

2. 4. 1852년 미국 대통령 선거

185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자유토지당은 존 파커 헤일을 대통령 후보로, 조지 워싱턴 줄리언을 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54] 피츠버그에서 열린 1852년 8월 자유토지당 전당대회에서, 자유토지당은 도망노예법 폐지를 요구하고 노예제를 "신에 대한 죄이자 인간에 대한 범죄"로 규정하는 강령을 채택했다.[54]

1852년 민주당 전당대회는 노예제에 대한 남부의 견해에 공감하는 북부 출신 전 뉴햄프셔 상원 의원인 프랭클린 피어스를 지명했다.[52] 한편, 도망 노예법 시행은 필모어의 북부 지지자들 사이에서 입지를 약화시켰고, 세워드 상원의원의 지원을 받은 윈필드 스콧 장군이 1852년 휘그당 전당대회에서 대통령 후보 지명을 받았다.[52] 휘그당 전당대회는 또한 1850년 타협안과 도망 노예법을 지지하는 강령을 채택했다. 스콧과 그의 고문들은 자유토지당의 지지를 얻기 위해 처음에는 1850년 타협안에 대한 공개적인 지지를 피하려고 했지만, 남부 휘그당에 대한 양보로 스콧은 휘그당 강령을 지지하기로 동의했다.[52] 자유토지당 지도자들은 처음에는 스콧을 지지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스콧이 친 타협안 휘그당 강령을 수락한 후 전국 대회를 조직했다.[53]

자유토지당 지도자들은 피어스보다 스콧을 훨씬 선호했고, 헤일은 반 노예제 민주당 유권자들을 끌어들이는 데 캠페인의 초점을 맞췄다.[55] 그러나 선거 결과, 헤일은 5%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매사추세츠, 버몬트, 위스콘신에서 가장 강세를 보였다.[57] 이러한 지지율 하락의 상당 부분은 반노예제 민주당으로의 밴버너의 복귀로 인해 발생했지만, 1848년에 밴 뷰런에게 투표했던 많은 사람들이 1852년 선거를 보이콧했다.[58] 결국 프랭클린 피어스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고, 스콧은 큰 표차로 패배했으며 휘그당은 여러 의회 및 주 선거에서 패배했다.[56] 휘그당의 결정적인 패배 이후, 많은 자유토지당 지도자들은 자유토지당, 반 노예제 휘그당 및 민주당을 통합하여 더 큰 반 노예제 정당의 형성을 가져올 임박한 재편성을 예측했다.[59]

순위이름정당일반득표선거인단 득표
1프랭클린 피어스민주당1,607,510
(50.8%)
254
2윈필드 스콧휘그당1,386,942
(43.9%)
42
3존 파커 헤일자유토지당155,210(4.9%)0


2. 5. 공화당으로의 흡수 (1854년)

1854년, 스티븐 더글러스 상원의원이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을 발의했는데, 이 법은 미주리 타협을 폐지하고 캔자스와 네브래스카 준주에서 주민투표를 통해 노예제 허용 여부를 결정하도록 했다.[60] 자유토지당은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에 강력히 반대하며, 이를 노예제 확산 시도로 규탄했다. 이들은 "독립 민주당 호소"라는 선언문을 발표하여 법안의 부당성을 비판했다.[61]

1854년 캔자스-네브래스카 법 통과 이후 자유 토지당원들은 다른 단체와 합류하여 공화당을 결성했고, 1856년 대선에서 정치 신인 존 C. 프레몬트를 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


캔자스-네브래스카 법 통과 이후, 노예제 확산에 반대하는 여론이 확산되면서 자유토지당원들은 휘그당, 민주당 내 반노예제 세력과 연합하여 위스콘신주 리폰에서 공화당 창당에 합의했다.[64] 반 네브래스카 운동에 참여한 많은 민주당원과 휘그당원들은 여전히 ​​당적을 유지했지만, 다른 사람들은 스스로를 공화당원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64] 1855년 9월, 시워드는 휘그당의 세력을 이끌고 공화당에 합류하여 휘그당을 독립적이고 중요한 정치 세력으로서 사실상 종식시켰다.[71]

1856년 공화당 전당 대회는 1856년 6월 필라델피아에서 열렸다. 데이비드 윌모트가 의장을 맡은 위원회는 노예 제도, 캔자스-네브래스카 법, 피어스 행정부를 비난하는 강령을 만들었다. 체이스와 시워드가 신생 정당의 가장 저명한 구성원이었지만, 공화당은 대신 존 C. 프레몬트를 지명했는데, 그는 토머스 하트 벤턴의 사위이자 정치 신인이었다. 정당은 "자유로운 언론, 자유로운 출판, 자유로운 사람, 자유로운 노동, 자유로운 영토, 그리고 프레몬트"라는 슬로건으로 선거 운동을 펼쳤다.[74]

1856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민주당, 노우 나싱, 공화당 간의 삼자 대결이 되었다.[75] 제임스 뷰캐넌이 선거에서 승리했지만, 프레몬트는 북부 여러 주에서 승리하며 선전했다.[78]

자유토지당은 1854년 이후 사실상 공화당에 흡수되었다.[92] 자유토지당의 이념과 주장은 공화당 내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공화당은 노예제에 대한 자유토지당의 입장을 높은 관세와 연방 정부 자금 지원 인프라 사업 지원과 같은 휘그당의 경제적 입장과 결합했다.[93]

3. 이념 및 지지 기반

자유토지당은 노예제 확산 반대를 핵심 이념으로 내세웠다. 이들은 노예제가 자유 백인 노동자의 일자리를 위협하고, 서부 개척의 기회를 빼앗는다고 주장했다. 자유토지당은 노예제 자체를 폐지하는 것보다는 서부 영토에서 노예제가 확산되는 것을 막는 데 주력했다.[79] 이는 노예제 폐지론자들뿐만 아니라, 노예제에 대한 도덕적 문제보다는 경제적 이익에 더 관심을 가진 북부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기 위한 전략이었다.

자유토지당 강령은 "자유 토지, 자유 언론, 자유 노동, 자유인"을 깃발에 새기고 싸울 것을 천명했다.[79] 낮은 관세, 우편 요금 인하, 항만 개선을 요구했다.[79] 1852년 당 강령은 노예 제도를 더욱 공개적으로 비난했고, 아이티의 외교적 승인을 요구했다.[54]

1848년 선거에서 자유토지당은 뉴욕, 버몬트, 매사추세츠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81] 일부 노예제 반대 민주당원들은 캐스를 수용하거나, 찰스 프랜시스 애덤스가 포함된 후보에게 투표를 거부했지만, 반 뷰런 후보에 대한 지지의 약 5분의 3은 민주당에서 나왔다. 뉴햄프셔와 오하이오를 제외하고, 비교적 소수의 휘그당원들이 반 뷰런에게 투표했다.[82] 에이브러햄 링컨, 서디어스 스티븐스, 호레이스 그릴리와 같은 노예제에 반대하는 휘그당원들은 주로 테일러를 지지했다.[41]

많은 자유토지당원들은 금주 운동을 지지했다.[80] 다른 자유토지당 지지자들은 여성 권리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세네카 폴스 회의에 참석한 사람들 중 불균형적으로 많은 수가 당과 연관되어 있었다. 여성 권리 운동의 지도자 중 한 명인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턴은 자유토지당 지도자 헨리 브루스터 스탠턴의 아내이자 자유토지당 하원의원 게리트 스미스의 사촌이었다.[84]

1848년 선거에서 자유토지당의 득표율; 짙은 녹색은 더 높은 지지율을 나타냄

4. 주요 인물

마틴 밴 뷰런은 전 미국 대통령이자 1848년 자유토지당 대통령 후보였다. 그는 민주당 출신이었으나 노예제 확산에 반대하여 자유토지당에 합류했다.[86] 존 P. 헤일은 뉴햄프셔 출신 상원의원으로 1852년 자유토지당 대통령 후보로 나섰다. 그는 노예제 폐지론자로 당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86]

찰스 프랜시스 애덤스는 1848년 자유토지당 부통령 후보였다. 그는 존 퀸시 애덤스의 아들이자 저명한 외교관, 정치인이었다.[86] 조지 워싱턴 줄리언은 인디애나 출신 하원의원으로 1852년 자유토지당 부통령 후보였다.[86]

샐먼 P. 체이스는 오하이오 출신 상원의원으로, 자유토지당의 주요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이후 공화당에서 활동하며 에이브러햄 링컨 행정부에서 재무장관과 대법원장을 역임했다.[86] 찰스 서머는 매사추세츠 출신 상원의원으로 노예제 폐지론자이자 자유토지당의 주요 인물이었다. 그는 1856년 상원에서 노예제 찬성론자에게 폭행당한 사건으로 유명하다.

프레데릭 더글러스는 1852년 자유토지당 전국 전당대회의 서기를 역임했다.[85] 월트 휘트먼은 시인이자 언론인으로, 노예 폐지론 지도자 프레데릭 더글러스와 함께 첫 번째 자유토지당 전당대회에 참석했다.[86]

캐시어스 마르셀러스 클레이,[88] 1876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 새뮤얼 J. 틸든, 교육 개혁가 호러스 만, 시인 존 그린리프 휘티어, 몬태나 주지사 시드니 에저턴, 교육자 조나단 블랜차드, 시인 윌리엄 컬렌 브라이언트, 작가 리처드 헨리 다나 주니어 등도 자유토지당과 관련된 주목할 만한 인물이다.

그 외에도, 코네티컷주에서 선출된 미국 하원 의원 월터 부스, 캘리포니아주에서 선출된 미국 상원 의원 데이비드 C. 브로드릭, 메인주 주 의원이자 베이츠 칼리지 설립자인 오렌 B. 체이니, 위스콘신주 검찰 총장 리앤더 F. 프리즈비, 오하이오주에서 선출된 미국 하원 의원이자 아이다호 준주 최고 법원 수석 판사, 몬태나 준주 주지사를 역임한 시드니 에저턴, 오하이오주에서 선출된 미국 하원 의원 조슈아 리드 기딩스, 코네티컷주에서 선출된 미국 상원 의원 프랜시스 질레트, 아이오와주에서 선출된 미국 상원 의원 제임스 할란, 이후 미국의 부통령이 된 헨리 윌슨 등이 자유토지당에서 활동했다.

5. 대한민국 정치/사회에의 시사점

6. 대통령 선거 결과

섬네일


선거후보러닝 메이트득표수
후보
(출생–사망)
출신
러닝 메이트
(출생–사망)
출신
득표율선거인단 득표율
1848년마틴 반 뷰런
(1782–1862)
Martin Van Buren
115px
NY찰스 프랜시스 애덤스
(1807–1886)
115px
MA10.1%0%
1852년존 P. 헤일
(1806–1873)
115px
NH조지 W. 줄리안
(1817–1899)
115px
IN4.9%0%


6. 1. 1848년 미국 대통령 선거



184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자유토지당은 마틴 밴 뷰런을 대통령 후보로, 찰스 프랜시스 애덤스를 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116] 밴 뷰런은 10.1%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3위를 차지했지만, 선거인단 득표는 얻지 못했다.

순위이름정당일반득표선거인단 득표
1재커리 테일러휘그당1,361,393
(47.3%)
163
2루이스 캐스민주당1,223,460
(42.5%)
127
3마틴 밴 뷰런자유토지당291,501
(10.1%)
0
4게릿 스미스자유당2,545
(0.1%)
0


6. 2. 1852년 미국 대통령 선거

185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자유토지당은 존 P. 헤일을 대통령 후보로, 조지 W. 줄리안을 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 헤일은 뉴햄프셔주 출신으로, 4.9%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낙선했다.

순위이름정당일반득표선거인단 득표
1프랭클린 피어스민주당1,607,510
(50.8%)
254
2윈필드 스콧휘그당1,386,942
(43.9%)
42
3존 파커 헤일자유토지당155,210(4.9%)0


7. 의회 구성

'''상원의원'''


  • 로렌스 브레이너드 (버몬트)
  • 샐먼 P. 체이스 (오하이오)
  • 프랜시스 질레트 (코네티컷)
  • 존 P. 헤일 (뉴햄프셔)
  • 찰스 서머 (매사추세츠)
  • 헨리 윌슨 (매사추세츠)


'''하원 의원'''

  • 찰스 앨런 (매사추세츠)
  • 월터 부스 (코네티컷)
  • 알렉산더 드 위트 (매사추세츠)
  • 찰스 더키 (위스콘신)
  • 조슈아 리드 기딩스 (오하이오)
  • 에드워드 웨이드 (오하이오)
  • 존 W. 하우 (펜실베이니아)
  • 조지 워싱턴 줄리안 (인디애나)
  • 프레스턴 킹 (뉴욕)
  • 호레이스 만 (매사추세츠)
  • 조셉 M. 루트 (오하이오)
  • 게릿 스미스 (뉴욕)
  • 아모스 터크 (뉴햄프셔)


의회임기상원[109]rowspan=13 |하원[110]rowspan=13 |대통령
총계민주당휘그당자유 토지당총계민주당휘그당자유 토지당기타
31대1849–1851623525223311310892재커리 테일러
32대1851–1853623623323312785417밀러드 필모어
33대1853–185562382222341577142프랭클린 피어스


7. 1. 상원

:Democratic Party (US)/meta/shading}}" | 민주당style="background-color:" | 휘그당자유 토지당31대1849–1851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62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35style="background-color:" | 25232대1851–1853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62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36style="background-color:" | 23333대1853–1855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62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38style="background-color:" | 222

[109]

7. 2. 하원

의회임기하원[110]
총계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style="background-color:" | 휘그당자유토지당기타
31대1849–1851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233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113style="background-color:" | 10892
32대1851–1853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233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127style="background-color:" | 85417
33대1853–1855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234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157style="background-color:" | 7142


참조

[1] 서적 Free Soil, Free Labor, Free Men: The Ideology of the Republican Party before the Civil Wa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5-04-20
[2] 웹사이트 Free Soil Party http://www.ohiohisto[...] 2017-08-03
[3] 인용 2005
[4] 인용 2005
[5] 인용 1999
[6] 인용 2005
[7] 인용 2005
[8] 인용 2005
[9] 인용 1999
[10] 인용 1999
[11] 인용 1999
[12] 인용 1999
[13] 인용 1999
[14] 인용 2009
[15] 인용 2009
[16] 인용 2009
[17] 인용 2005
[18] 인용 2005
[19] 인용 2005
[20] 인용 2009
[21] 인용 2009
[22] 인용 2005
[23] 인용 2005
[24] 인용 2003
[25] 인용 2005
[26] 인용 2009
[27] 인용 2005
[28] 인용 1999
[29] 인용 2005
[30] 인용 1999
[31] 인용 1999
[32] 인용 2005
[33] 인용 2018
[34] 인용 2005
[35] 인용 2000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Holt 1999
[72] 서적 Wilentz 2005
[73] 서적 Wilentz 2005
[74] 서적 Wilentz 2005
[75] 서적 Holt 1999
[76] 서적 Gara 1991
[77] 서적 Holt 1999
[78] 서적 Wilentz 2005
[79] 서적 Wilentz 2005
[80] 서적 Gienapp 1987
[81] 서적 Wilentz 2005
[82] 서적 Rayback 2015
[83] 서적 Wilentz 2005
[84] 서적 Wilentz 2005
[85] 서적 Wilentz 2005
[86] 서적 Wilentz 2005
[87] 서적 Wilentz 2005
[88] 서적 Downey 1967
[89] 웹사이트 Van Buren Timeline https://vanburenpape[...] 2022-05-21
[90] 서적 Martin Van Buren and the emergence of American popular politics http://archive.org/d[...] Rowman & Littlefield 2002
[91] 서적 Headlines in Ame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Thomas Y. Crowell Company 1937
[92] 서적 McPherson 1988
[93] 서적 Reichley 2000
[94] 서적 Reichley 2000
[95] 서적 Wilentz 2005
[96] 서적 Reichley 2000
[97] 서적 Shortreed 1959
[98] 서적 Reichley 2000
[99] 서적 Shortreed 1959
[100] 서적 Slap 2010
[101] 서적 Downey 1967
[102] 웹사이트 Henry Wilson, 18th Vice President (1873-1875) https://www.senate.g[...] 2019-11-05
[103] 뉴스 Free Soil Gets History Write-up https://news.google.[...] 1981-06-25
[104] 웹사이트 Former Prohibition Party Member Reforms American Free Soil Party http://www.american3[...] American Third Party Report 2018-11-24
[105] 웹사이트 Rev. Dr. James Clifton, ASFP National Director, Running for Millersburg, IN Town Council http://www.american3[...]
[106] 웹사이트 American Free Soil Party Nominates Its 2020 Presidential Election Candidates http://www.american3[...]
[107] 웹사이트 American Free Soil Party Candidate Gets 47% of Vote https://independentp[...] 2019-11-08
[10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9-11-10
[109] 웹사이트 Party Division https://www.senate.g[...]
[110] 웹사이트 Party Divisions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1789 to Present https://history.hous[...]
[111] 웹사이트 Old Court House http://lucky.phpwebh[...] Chuck LaChiusa 2008-03-08
[112] 서적 books.google.com/boo[...]
[113] 서적 Rehearsal for Republicanism: Free Soil and the Politics of Anti-Slavery Kennikat
[114] 웹사이트 Centennial history of Columbus and Franklin County, Ohio http://www.heritagep[...] S. J. Clarke Publishing Co 2012-03-06
[115] 서적 Kalamazoo, Michigan, and the Formation of the Republican Party of Michigan Western Michigan University
[116] 문서 제2대 미국 대통령인 존 애덤스의 손자이자 존 퀸시 애덤스 전 미국 대통령의 아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