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4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은 1948년 런던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의 다이빙 종목을 의미한다. 남자 경기는 3m 스프링보드와 10m 플랫폼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여자 경기는 3m 스프링보드와 10m 플랫폼으로 진행되었다. 미국은 금메달 4개, 은메달 4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며 다이빙 종목에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다. 21개국이 이 대회에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에서 개최된 다이빙 대회 - 201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201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은 2012년 7월 29일부터 8월 11일까지 개인 및 싱크로나이즈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중국이 금메달 6개로 종합 1위를 기록했다.
  • 영국에서 개최된 다이빙 대회 - 190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190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은 런던에서 남자 스프링보드와 플랫폼 두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독일과 스웨덴이 금메달을 각각 1개씩 획득했고, 특히 스웨덴은 남자 10m 플랫폼에서 메달을 모두 석권했다.
  • 1948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48년 하계 올림픽 육상
    1948년 하계 올림픽 육상은 1948년 런던에서 개최되었으며, 미국이 메달 집계 1위를 차지했고, 여자 육상 종목에서 새로운 올림픽 기록이 다수 수립되었다.
  • 1948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48년 하계 올림픽 역도
    1948년 런던 하계 올림픽 역도는 남자 역도 경기로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 김성집이 동메달을 획득하여 해방 이후 대한민국 최초의 올림픽 메달을 기록했다.
194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개요
종목다이빙
대회194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픽토그램
개최지웸블리 아레나
기간1948년 7월 30일 ~ 1948년 8월 5일
참가 종목 수4
참가 선수63
참가 국가22
올림픽 다이빙 연혁
이전 대회1936
다음 대회1952

2. 경기 결과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서는 경기를 3m 스프링보드와 10m 플랫폼으로 명명했으며,[3] 1948년 공식 보고서에는 각각 '스프링보드 다이빙'과 '하이보드 다이빙'으로 나타났다.[4]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
남자 3m 스프링보드브루스 할란 (미국)밀러 앤더슨 (미국)새미 리 (미국)
남자 10m 플랫폼새미 리 (미국)브루스 할란 (미국)호아킨 카피야 (멕시코)
여자 3m 스프링보드비키 드레이브스 (미국)조앤 올슨 (미국)패치 엘스너 (미국)
여자 10m 플랫폼비키 드레이브스 (미국)패치 엘스너 (미국)비르테 크리스토페르센 (덴마크)


2. 1. 남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서는 경기를 3m 스프링보드와 10m 플랫폼으로 명명했으며,[3] 1948년 공식 보고서에는 각각 '스프링보드 다이빙'과 '하이보드 다이빙'으로 나타났다.[4]

종목
3m 스프링보드브루스 할란 (미국)밀러 앤더슨 (미국)새미 리 (미국)
10m 플랫폼새미 리 (미국)브루스 할란 (미국)호아킨 카피야 (멕시코)


2. 1. 1. 3m 스프링보드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서는 경기를 3m 스프링보드와 10m 플랫폼으로 명명했으며,[3] 1948년 공식 보고서에는 각각 '스프링보드 다이빙'과 '하이보드 다이빙'으로 나타났다.[4]

  • 7월 30일・8월 3일


순위선수국가합계
1브루스 할란미국163.64
2밀러 앤더슨미국157.29
3새뮤얼 리미국145.52


2. 1. 2. 10m 플랫폼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서는 10m 플랫폼 경기를 '하이보드 다이빙'으로 명명했다.[4]

  • 8월 1일・8월 2일・8월 3일


순위선수국가합계
1새미 리130.05
2브루스 할란122.30
3호아킨 카피야113.52


2. 2. 여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서는 경기를 3m 스프링보드와 10m 플랫폼으로 명명했으며,[3] 1948년 공식 보고서에는 각각 '스프링보드 다이빙'과 '하이보드 다이빙'으로 나타났다.[4]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
3m 스프링보드비키 드레이브스 (미국)조앤 올슨 (미국)패치 엘스너 (미국)
10m 플랫폼비키 드레이브스 (미국)패치 엘스너 (미국)비르테 크리스토페르센 (덴마크)


2. 2. 1. 3m 스프링보드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서는 경기를 3m 스프링보드와 10m 플랫폼으로 명명했으며,[3] 1948년 공식 보고서에는 각각 '스프링보드 다이빙'과 '하이보드 다이빙'으로 나타났다.[4]

  • 7월 31일, 8월 2일, 8월 3일


순위선수국가합계
1빅토리아 드레이브스미국108.74
2조이앤 올슨-젠슨미국108.23
3패트리샤 엘스너미국101.30


2. 2. 2. 10m 플랫폼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서는 10m 플랫폼 경기를 '하이보드 다이빙'으로 명명했다.[4]

  • 결승: 8월 6일


순위선수국가합계
1빅토리아 드레이브스-- 미국68.87
2패트리샤 엘스너-- 미국66.28
3비르테 크리스토퍼센-한슨-- 덴마크66.04


3. 메달 집계

순위국가/지역금메달은메달동메달총 메달 수
1미국44210
2덴마크0011
멕시코0011
합계44412


4. 참가국

21개 국가 및 지역에서 63명의 선수가 194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에 참가했다.

국가참가 선수
오스트레일리아 (AUS)1
오스트리아 (AUT)4
브라질 (BRA)3
캐나다 (CAN)2
칠레 (CHI)1
쿠바 (CUB)1
덴마크 (DEN)3
이집트 (EGY)4
핀란드 (FIN)1
프랑스 (FRA)5
영국 (GBR)11
헝가리 (HUN)1
아일랜드 (IRL)1
멕시코 (MEX)4
네덜란드 (NED)2
노르웨이 (NOR)2
남아프리카 공화국 (RSA)1
시리아 (SYR)1
스웨덴 (SWE)3
스위스 (SUI)2
미국 (USA)7


참조

[1] 간행물 Diving at the 1948 London Summer Games https://www.sports-r[...] 2020-05-14
[2] 웹사이트 Diving at the 1948 Summer Olympics http://www.olympedia[...] 2020-05-15
[3] 웹사이트 IOC medals database http://olympic.org/u[...]
[4] 서적 The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XIV Olympiad London 1948, p. 63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