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9년 3월 시리아 쿠데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9년 3월 시리아 쿠데타는 후스니 알자임 참모총장이 주도하여 발생했으며, 대통령 슈크리 알쿠와틀리를 체포하고 정부를 전복시켰다. 쿠데타 과정에서 미국의 개입 의혹이 제기되었으나, 알자임의 쿠데타 계획은 이미 1947년부터 시작되었다는 증거도 존재한다. 쿠데타 이후 시리아는 이스라엘과 휴전 협정을 체결하고 시리아 유대인의 이민을 허용했으나, 알자임은 1949년 8월 쿠데타로 축출되었다. 이 쿠데타는 시리아 정치와 중동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9년 시리아 - 1949년 휴전 협정
1949년 휴전 협정은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후 이스라엘과 주변 아랍 국가들 간에 랠프 번치의 중재로 체결된 일련의 협정으로, 휴전선 설정 및 비무장 지대 설정 등의 내용이 담겼으나, 이후 분쟁과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 시리아의 쿠데타 - 1963년 시리아 쿠데타
1963년 시리아 쿠데타는 아랍 사회주의 바트당 시리아 지부 군사위원회가 주도하여 나짐 알쿠드씨 정권을 전복시키고 바트당이 시리아의 권력을 장악하게 된 군사 쿠데타로, 사회경제적 불평등, 정치적 불안정, 아랍 민족주의 부상 등이 배경으로 작용했다. - 시리아의 쿠데타 - 1966년 시리아 쿠데타
1966년 시리아 쿠데타는 바트당 내 권력 투쟁으로 발생하여 살라 자디드가 아민 알하피즈를 축출하고 시리아와 이라크 파벌로 분열되었으며, 급진적인 정책과 신바트주의 등장으로 이어졌다. - 미국-시리아 관계 - 테러 지원국
테러 지원국은 미국 정부가 국제 테러 행위를 지원한다고 판단하여 지정하는 국가로, 경제 제재와 무기 수출 금지 등의 제재를 받으며 국제적인 논란이 있다. - 미국-시리아 관계 - 행정명령 13769호
행정명령 13769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서명한 특정 국가 출신자들의 미국 입국을 제한하는 행정명령으로, 논란과 법적 challenges에 직면하다가 조 바이든 대통령에 의해 폐지되었다.
1949년 3월 시리아 쿠데타 - [전쟁]에 관한 문서 | |
---|---|
분쟁 개요 | |
분쟁 | 1949년 3월 시리아 쿠데타 |
부분 | 냉전 |
날짜 | 1949년 3월 29일 |
장소 | 시리아 |
결과 | 쿠데타 성공, 슈크리 알콰틀리 정권 붕괴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 시리아 제1공화국 정부' ' 시리아 국민당' |
교전국 2 | ' 시리아군 쿠데타 세력' ' 시리아 사회민족당' ' (의심)' ' 중앙정보국 (의심)' |
지휘관 | |
지휘관 1 | 슈크리 알콰틀리 ( 시리아의 대통령) |
지휘관 2 | 후스니 알자임 (육군 참모총장) 아디브 시샤클리 사미 알히나위 ' 마일즈 코펄런드 주니어 (의심)' ' 스테판 미드 (의심)' |
2. 쿠데타 발생 과정
후스니 알자임은 1947년 3월부터 쿠데타를 계획하기 시작했다.[1] 1949년 3월 29일, 알자임 참모총장은 쿠데타 시 각자가 맡을 역할에 대한 지침을 고위 장교 4명에게 보냈고, 장교들은 자정까지 기다렸다가 지침을 보며 그전까지는 완전히 비밀로 할 것을 요구했다.[1]
중앙정보국(CIA)이 1949년 3월 시리아 쿠데타를 기획하고 지원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0] 마일스 코펄런드 주니어와 스티븐 J. 미드가 알자임과 긴밀히 협력하며 쿠데타를 도왔다는 주장이 있으나,[10] 알자임은 미국 외에도 영국 등 다른 국가에도 쿠데타 계획을 알렸고, 미국의 지원 없이 독자적으로 쿠데타를 계획했다는 증거도 존재한다.[10]
1949년 3월 30일 새벽 2시 30분, 쿠데타가 시작되었다. 쿠데타는 "정부 장관 경호원 3명이 사망한 것 이외"에는 사상자가 거의 없이 성공하여, 스스로 "시리아 군부 군사 계획의 걸작"이라 평가했다.[1] "위궤양과 심장 질환"을 앓고 있던 슈크리 알쿠와틀리 대통령은 다마스쿠스를 급습한 6개 군부대 중 하나에게 병원에서 체포되었고, 정부 건물도 순차적으로 점령당했다.[1] 새벽에는 시리아 정부 교체를 알리는 알자임의 선언이 시리아 라디오 방송국을 통해 방송되었다.[1]
3. 미국의 개입 의혹
당시 시리아에서 미국에게 가장 중요했던 정책적 목표는 시리아 의회에서 보류 중이던 아라비아 횡단 파이프라인(TApline) 건설 허용이었다. 알자임은 쿠데타 이후 5월 16일 '탭라인' 프로젝트를 승인했다.[11]
3. 1. 미국의 개입 의혹에 대한 엇갈린 주장
제임스 휴 킬리 주니어(James Hugh Keeley, Jr.)가 이끄는 시리아 주재 미국 공사관과 중앙정보국(CIA)이 쿠데타를 기획했다는 주장은 "매우 논란이 많다".[10] 당시 미국의 군사부관이자 CIA의 위장 장교였던 스티븐 J. 미드(Stephen J. Meade)는 쿠데타가 일어나기 수 주 전부터 알자임 대령과 친밀하게 지냈으며 알자임의 짧은 집권기간 "주요 서방계 측근"으로 알려졌다. CIA의 다마스쿠스 지부장이었던 마일스 코플랜드 주니어(Miles Copeland Jr.)는 미드를 "쿠데타의 설계자"라고 주장했다.[10] 코플런드는 이후 여러 권의 책을 통해 시리아 등 여러 국가의 CIA 작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담았는데, 이는 "지금까지 전직 미군 정보장교가 저술해 출간된 책 중 가장 폭로적인 서술" 중 하나라고 평가받았다. 그러나 코펄런드의 회고록은 문학적인 특성이 강했고 여러 과장이 포함되어 있어 그가 묘사했던 여러 사건들의 역사적인 정확성을 가늠하기 어렵다.[10] 또한 코펄런드는 1989년 자신의 자서전과 1969년 저서의 묘사가 서로 모순된다.[10]
코펄런드는 저서에서 시리아가 아랍권에서 유럽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이룬 최초의 식민지였으며, 미국은 시리아를 "미국이 아랍 국가에 민주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능력"의 시험 사례로 인식했다고 말했다. 코펄런드는 CIA가 1947년 시리아 의회 선거를 '경찰화'하려 시도했으나 부패 등으로 선거가 망쳐졌다고 주장했다.[10]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에서 시리아가 패배하면서 "미약한 소수정부"가 탄생하자 킬리와 다른 미국 관료들은 시리아가 붕괴 직전에 놓여 시리아 공산당이나 (바트당, 무슬림 형제단과 같은) 급진주의적 세력의 힘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때문에 켈리는 "장기적으로 시리아의 민주주의를 보호하기 위해" 군사 쿠데타에 찬성했다고 말했다.[10] 코펄런드는 켈리의 요청에 따라 미드에게 "알자임과 체계적으로 우정을 쌓았고...(중략) 쿠데타 아이디어를 제안했으며 그 방법을 조언하고 토대를 만드는 복잡한 준비과정을 안내했다"고 말했다.[10]
하지만 또 다른 증거에 따르면 알자임은 미국의 자극도 거의 필요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있는데, 영국군 주재무관에 따르면 알자임은 1947년 3월부터 쿠데타를 구상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쿠데타 직전 알자임은 켈리를 포함한 여러 사람들이 포함된 "공산주의자의 암살 대상" 명단을 작성해 서방의 동정을 받으려 했지만 미국 관료들은 회의적이었다. 알자임은 3월 3일과 7일에 미드에게 쿠데타가 일어날 것이라는 사실을 직접 알렸지만, 미국 외에도 알자임은 영국 관료들에게도 비슷한 시기에 쿠데타가 일어날 예정이라는 소식을 알렸다. 또한 알자임은 미드와의 대화에서 토지 개혁을 포함한 시리아의 여러 진보적인 정치계획과 공산주의의 위협에 관해 설명하면서 "시리아 국민을 진보와 민주주의의 길로 이끌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바로 채찍뿐이다"라고 말했다. 알자임은 영국과는 이라크와 트란스요르단 등 주요 동맹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구축하려는 열망을 말하며 다른 어조를 취했다.[10] 코펄런드는 알자임의 계획에 대해 미국의 여러 지원에 관한 세부 계획을 공개하면서 미드가 쿠데타 성공을 보장하기 위해 점령해야 하는 몇몇 특정 시설을 파악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코펄런드는 알자임이 독자적으로 쿠데타 음모를 꾸몄다는 사실도 인정하며 "처음부터 끝까지 후스니의 쇼였다"라고 서술했다.[10]
더글러스 리틀(Douglas Little)은 조지 C. 맥기(George C. McGhee) 미국 국무부 차관보가 3월 달 다마스쿠스를 방문했을 당시 그 목적이 "표면적으로는 팔레스타인 난민 정착을 논의하기 위해서였으나 실제로는 알자임의 미국 지원을 승인하기 위해서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11] 반면 앤드류 라스멜(Andrew Rathmell)은 이 가설이 "순전히 추측에 불과하다"고 말했다.[12]
4. 쿠데타의 결과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을 종식하기 위한 이스라엘과의 휴전 회담은 다른 아랍 국가들과의 휴전이 체결된 후인 1949년 4월에 시작되었다.[13] 1949년 7월 20일 시리아는 시리아-이스라엘 휴전 협정을 공식적으로 체결하고 국경 분쟁을 종식시켰다.[14] 자임 행정부는 시리아 유대인의 이민을 허용했고, 5,000명이 이스라엘로 떠났다.
시리아 사회민족당(SSNP)의 창립자 안툰 사데흐를 레바논에 넘겨 처형되게 한 알자임의 배신은 장교단 사이에서 반란을 일으켰다.[9] 1949년 8월 14일, 사미 알히나위와 SSNP 장교들은 쿠데타를 일으켜 알자임과 무흐신 알바라지를 처형하고 하심 알아타시를 대통령에 임명했다.
4. 1. 이스라엘과의 휴전 협정 체결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을 종식하기 위한 이스라엘과의 휴전 회담은 다른 아랍 국가들과의 휴전이 이미 체결된 이후인 1949년 4월에 시작되었다.[13] 1949년 7월 20일 시리아는 시리아-이스라엘 휴전 협정을 공식적으로 체결하고 국경에서의 분쟁을 종식시켰다.[14] 이 협정에 따라 시리아군은 비무장 지대가 된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국경 서쪽의 구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영토 대부분에서 군대를 철수했다. 1948년 시리아에는 약 3만 명의 유대인이 살고 있었다. 쿠데타 이후 알자임 대통령은 시리아 유대인의 이민을 허용했고 5천 명의 유대인이 이스라엘로 떠났다.당시 시리아의 총리 무신 알바라지는 이스라엘과의 양국 간 협상을 수행하고 당시 이스라엘의 총리 다비드 벤구리온과 알자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논의하는 임무를 맡았다. 회담은 진전을 보였고 1949년 8월 6일 이스라엘 외무부 장관 모셰 샤레트는 알바라지와 연락해 공식적인 평화 회담 날짜도 논의했다.[9]
4. 2. 시리아 유대인 이민 허용
자임 행정부는 다수의 시리아 유대인의 이민을 허용했으며, 5,000명이 이스라엘로 떠났다.4. 3. 알자임 정권의 몰락
시리아 사회민족당(SSNP)의 창립자이자 당수였던 안툰 사데흐를 레바논에 넘겨 처형당하게 한 알자임의 배신은 장교단 사이에서 반란을 일으켰다.[9]1949년 8월 14일, 사미 알히나위와 SSNP 장교들은 쿠데타를 일으켜 알자임과 무흐신 알바라지를 즉시 처형하고 하심 알아타시를 대통령에 임명했다. 그해 12월에는 또 다른 쿠데타가 일어나 아디브 시샤클리가 주도하여 정권을 사실상 장악했으나, 알아타시는 1951년 12월 3일까지 대통령직을 유지했다. 1950년 10월 31일에는 무신 알바라지의 사촌이었던 헤르쇼 알바라지에게 알히나위가 살해당했다.[15]
5. 쿠데타의 영향과 역사적 의의
1949년 3월 시리아 쿠데타는 시리아 현대 정치사에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이 쿠데타는 시리아의 불안정한 정치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었으며, 이후 시리아 정치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쿠데타 이후 시리아는 여러 차례의 정권 교체와 정치적 혼란을 겪게 되었으며, 이는 시리아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쿠데타는 또한 시리아의 민주주의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군부의 정치 개입은 시리아의 민주적 절차를 약화시켰으며, 이는 장기적인 정치 불안정을 초래하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이 쿠데타는 시리아의 정치적 불안정성을 심화시키고, 군부의 정치 개입을 정당화하는 선례를 남겼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참조
[1]
웹사이트
Keeping an eye on Syria: March 29, 1949
http://www.mideastvi[...]
2009-03-29
[2]
서적
Steel & Silk: Men & Women Who Shaped Syria 1900–2000
https://archive.org/[...]
Cune Press
[3]
간행물
Cold War and Covert Action: The United States and Syria, 1945-1958
1990
[4]
간행물
Copeland and Za'im: Re-evaluating the Evidence
1996-01
[5]
뉴스
Israel-Syria Armistice Agreement
http://www.mfa.gov.i[...]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6]
문서
Israel-Syrian General Armistice Agreement
https://unispal.un.o[...]
2011-07-26
[7]
서적
Damascus Between Democracy and Dictatorship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8]
웹인용
Keeping an eye on Syria: March 29, 1949
http://www.mideastvi[...]
2009-03-29
[9]
서적
Steel & Silk: Men & Women Who Shaped Syria 1900–2000
Cune Press
[10]
뉴스
Cold War and Covert Action: The United States and Syria, 1945-1958
1990
[11]
저널
Cold War and Covert Action: The United States and Syria, 1945-1958
1990
[12]
저널
Copeland and Za'im: Re-evaluating the Evidence
1996-01
[13]
뉴스
Israel-Syria Armistice Agreement
http://www.mfa.gov.i[...]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14]
문서
Israel-Syrian General Armistice Agreement
https://unispal.un.o[...]
2011-07-26
[15]
서적
Damascus Between Democracy and Dictatorship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