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연맹의 위임 통치 하에 영국이 팔레스타인 지역을 통치한 시기를 의미한다. 이 시기는 1920년부터 1948년까지 이어졌으며, 명칭은 '팔레스타인'으로 정해졌다. 영국은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통해 팔레스타인을 공동 통치하기로 했고, 발포어 선언을 통해 유대인 민족 고향 건설을 지원했다. 이러한 정책은 아랍인과 유대인 간의 갈등을 심화시켰으며, 1930년대에는 아랍 반란과 분할 시도가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은 팔레스타인 문제를 유엔에 이관했고, 유엔의 분할안에 따라 내전이 발발했다. 1948년, 이스라엘이 독립을 선언하면서 위임통치령은 종료되었고, 아랍-이스라엘 전쟁이 시작되었다. 위임통치령 기간 동안 팔레스타인 인구는 증가했으며, 유대인과 아랍인 간의 경제적, 사회적 격차가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이스라엘 관계 - 밸푸어 선언
    밸푸어 선언은 1917년 영국 외무장관이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민족 국가 건설을 지지하는 서한을 보낸 것으로, 비유대인의 권리 침해 금지 단서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건국과 아랍-이스라엘 분쟁의 배경이 되었다.
  • 영국-이스라엘 관계 - 아인 사크리 연인상
    아인 사크리 연인상은 1933년 발견된 말기 구석기 시대의 조각상으로, 두 연인이 마주보는 모습을 표현하며,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사이크스–피코 협정 - 시리아 (지역)
    시리아는 루위어에서 유래하여 고대 그리스에서 아시리아를 지칭했으며, 역사적으로 키질이르마크 강에서 이집트까지, 또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 지중해 동쪽, 유프라테스 강 서쪽, 아라비아 사막 북쪽, 타우루스 산맥 남쪽을 포함하는 지역을 의미했고, 현재는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터키 남부 일부를 포함하며 '샴'이라고도 불리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 아브라함계 종교 관련 유적지가 많은 지역이다.
  • 사이크스–피코 협정 -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는 프랑스가 국제연맹으로부터 위임받아 1920년부터 1946년까지 통치한 시리아 지역으로, 프랑스의 분할 통치와 시리아 민족주의 운동의 저항을 겪었으며, 1946년 독립 후에도 위임 통치 시대의 유산이 남아있다.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팔레스타인
일반 명칭팔레스타인
상태국제 연맹 위임 통치령
소속 국가영국
이전 국가점령지 행정 (Occupied Enemy Territory Administration)
계승 국가이스라엘, 요르단의 서안 지구 합병, 전 팔레스타인 보호국
데모님팔레스타인인
수도예루살렘
공용어영어, 아랍어, 히브리어
종교이슬람교, 유대교, 기독교, 바하이교, 드루즈교
영국의 국기
국기
팔레스타인 위임 통치령 공인 인장
공인 인장
1946년 팔레스타인 위임 통치령 지도 (주요 도시 영어 표기)
1946년 팔레스타인 위임 통치령 지도
정치
통치영국
대표고등 판무관
최초 고등 판무관허버트 새뮤얼 경 (1920–1925)
최종 고등 판무관앨런 커닝햄 경 (1945–1948)
의회최고 무슬림 의회 (무슬림 공동체 의회)
대표자 총회 (팔레스타인 위임 통치령) (유대인 공동체 의회)
역사
시대전간기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시작위임 통치령 할당 (1920년 4월 25일)
영국 공식 통치 시작 (1923년 9월 29일)
종결이스라엘 독립 선언 (1948년 5월 14일)
면적
면적25,585.3 제곱킬로미터
인구
1922년 인구 조사757,182명
통화
통화이집트 파운드 (1927년까지)
팔레스타인 파운드 (1927년부터)
현재 국가
현재 국가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

2. 명칭

위임통치령의 명칭은 현지 팔레스타인 아랍 및 오스만 제국의 사용법[9][10][11]과 유럽의 전통에 따라 "팔레스타인"으로 명명되었다. 위임통치 헌장은 위임통치 팔레스타인의 공식 언어를 영어, 아랍어, 히브리어의 3개로 규정했다.

1926년, 영국 당국은 영어 이름에 해당하는 전통적인 아랍어 표기인 ''Filasţīn'' (فلسطين)과 그 히브리어 음역인 ''Pālēśtīnā'' (פּלשׂתינה)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유대인 지도부는 정식 히브리어 명칭을 ''ʾĒrēts Yiśrāʾel'' (ארץ ישׂראל, 이스라엘 땅)로 제안했다. 최종 타협안은 공식 문서에서 위임통치령의 이름을 히브리어로 언급할 때마다 히브리어로 제안된 이름의 머리글자인 알레프-요드(א״י)를 ''Pālēśtīnā'' 뒤에 괄호 안에 덧붙이는 것이었다.[13][14] 아랍 지도부는 이 타협안을 위임통치 조항 위반으로 간주했다. 일부 아랍 정치인들은 아랍어 명칭으로 "남부 시리아" (سوريا الجنوبية)를 제안했으나, 영국 당국은 이 제안을 거부했다.[15]

형용사 "위임통치"는 해당 실체의 법적 지위가 국제 연맹 위임통치령에서 파생되었음을 나타낸다.[16]

3. 역사적 배경

1917년~1918년 오스만 제국의 멸망과 1920년 7월 영국 민정 행정 시작 사이의 팔레스타인 역사에 대해서는 점령지 적국 행정을 참조.

제1차 세계 대전오스만 제국이 중앙 동맹국 측으로 참전하면서 수에즈 운하가 위협받게 되자, 영국지중해와 페르시아 만 사이 지역을 확보하는 전략을 세웠다. 이를 위해 팔레스타인 지역 확보가 중요해졌다.

1916년, 영국과 프랑스는 비밀리에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맺어 중동을 분할하고, 팔레스타인을 공동 통치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영국은 맥마흔 서한을 통해 후세인에게 아랍인의 독립 국가 건설을 약속하고, 1917년 '''발포어 선언'''을 통해 월터 로스차일드 경에게 유대인의 "민족 고향" 건설을 지지하는 등 상반된 약속을 했다.

1918년 10월 30일, 오스만 제국은 무드로스 휴전 협정으로 항복했다. 1918년 11월 23일 영국 군정관이 통치하는[168] OETA 남은 시나이 반도의 이집트 국경에서 팔레스타인·레바논으로 뻗어 북쪽은 아코나블루스까지, 동쪽은 요르단강까지였다.

1919년 도빌 회담에서 영국 수상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와 프랑스 조르주 클레망소는 1918년 12월 1일-4일의 영불 합의를 최종 확인했다. 이 합의는 시리아 및 레바논에서 프랑스의 세력 확립을 영국이 지원하는 대신, 사이크스-피코 협정에서 프랑스 세력권이었던 모술과 공동 통치였던 팔레스타인을 영국 세력권으로 한다는 것이었다.[169]

1920년 4월 산레모 회의에서 연합국 최고 위원회는 위임 통치령 팔레스타인과 위임 통치령 메소포타미아를 영국에, 위임 통치령 시리아와 위임 통치령 레바논을 프랑스에 각각 부여하기로 합의했다. 1920년 8월, 이들 원칙은 세브르 조약에서 공식적으로 공개되었다.

1920년 3월 7일, 파이살은 시리아 아랍 왕국 국왕 즉위를 선언했지만, 산레모 회의 결과를 받은 프랑스는 프랑스-시리아 전쟁을 시작했다. 시리아는 1920년 7월 23일 마이살룬 전투에서 패배하여, 파이살은 다마스쿠스에서 영국으로 망명했다.

1919년 1월 3일 파이살과 하임 바이츠만은 회담을 갖고 서로의 민족 국가 건설에 협력한다는 파이살-바이츠만 합의를 했지만[171], 발효되지는 않았다.

1920년대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의 공식 명칭은 "팔레스타인"으로 정해졌다.[12] 위임통치 헌장은 영어, 아랍어, 히브리어를 공식 언어로 지정했다. 1926년 영국 당국은 아랍어 표기 ''Filasţīn''(فلسطين)과 히브리어 음역 ''Pālēśtīnā''(פּלשׂתינה)를 공식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유대인 지도부는 히브리어 명칭을 ''ʾĒrēts Yiśrāʾel''(이스라엘 땅)로 제안했지만, 최종 타협으로 공식 문서에서 히브리어 ''Pālēśtīnā'' 뒤에 괄호 안에 ''ʾĒrēts Yiśrāʾel''의 머리글자인 알레프-요드(א״י)를 붙이기로 했다.[13][14]

1920년대 야파의 팔레스타인인


영국 통치 초기, 아랍인들은 주요 도시에 무슬림-기독교 협회를 설립하고,[17] 1919년 예루살렘에서 첫 팔레스타인 아랍 회의를 개최하여 대표 정부 구성과 밸푸어 선언 반대를 목표로 했다.[18][19] 한편, 시온주의 위원회는 시온주의 목표를 추진했다.

1920년 7월, 고등 판무관이 이끄는 민간 행정부가 군정을 대체했다.[21] 초대 고등 판무관 허버트 새뮤얼 경은 시온주의자로, 1920년 6월 20일 팔레스타인에 도착해 7월 1일부터 임무를 시작했다.

예루살렘을 영국 통치로 공식 이관하는 모습. "토착 사제"가 다윗 탑 계단에서 선언문을 낭독하고 있다.


허버트 새뮤얼 경의 도착. 왼쪽부터: T. E. 로렌스, 압둘라 에미르, 제프리 샐먼드 경, 윈덤 디데스 경 등


새 민간 행정부는 주요 경제 자산에 대한 양보를 시작했다. 1921년, 유대인 기업가 핀하스 루텐버그에게 전력 생산 및 배분 양보를 허가했고, 루텐버그는 곧 전기 회사를 설립했다. 영국은 전력화가 경제 발전을 촉진하고 유대인 민족 고향 건설 약속을 보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23]

새뮤얼은 자치 기관 설립을 시도했지만, 아랍 지도부는 유대인 참여 기관에 협력하지 않았다.[24] 1921년 3월 카밀 알 후세이니 사망 후, 새뮤얼은 그의 이복형제 무하마드 아민 알-후세이니를 예루살렘 대무프티로 임명했다. 1922년 알-후세이니는 최고 무슬림 위원회 의장으로 선출되었고,[25][26] 위원회는 막대한 와크프 자금과 고아 자금을 통제했으며, 이는 유대교 기구 예산보다 적었다.[28] 그는 또한 팔레스타인의 이슬람 법원을 통제했다.

1922년 팔레스타인 칙령[29]은 입법 위원회를 설립했는데, 아랍인들은 의석 배분에 반대하며 선거를 보이콧했고, 결과는 무효화되었다.[30][31]

1930년 셰이크 리즈 앗딘 알카삼은 반 시온주의 및 반 영국 무장 조직인 검은 손을 조직했다. 1935년 11월, 그의 조직원 두 명이 팔레스타인 경찰과 교전하여 경찰관 1명이 사망했고, 이후 영국 식민 경찰은 알카삼을 포위하여 사살했다.[34]

영국에 대항하는 아랍 반란


알카삼의 죽음은 아랍 사회에 광범위한 분노를 불러일으켰고, 1936년 4월, 아랍 민족의 총파업이 발발했다. 1936년 10월까지 지속되었다. 영국이 조사를 위해 필 위원회를 파견하면서 폭력 사태는 약 1년 동안 잠잠해졌다.[36]

아랍이 필 위원회 권고를 거부한 후, 1937년 가을에 반란이 재개되었다. 그 후 18개월 동안 영국은 나블루스헤브론을 잃었다. 찰스 오데 윙게이트 영국 장교는 특수 야간 부대를 조직하여 아랍 마을을 습격했다.[40][41] 유대 민병대인 이르군은 아랍 민간인을 대상으로 "보복 행위"로 폭력을 사용했으며,[42] 시장에서 버스를 공격했다.

1939년 3월 반란이 종결될 무렵, 5000명 이상의 아랍인, 400명의 유대인, 200명의 영국인이 사망했으며 최소 15000명의 아랍인이 부상을 입었다.[43] 총 아랍 성인 남성 인구의 10%가 사망, 부상, 투옥 또는 추방되었다.[44] 영국은 1939년 백서로 대응하여 유대인의 토지 구매와 이민을 엄격하게 제한했다.

1942년 텔아비브의 호주 군인들


1940년 6월 10일, 제2차 세계 대전이탈리아 왕국대영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나치 독일 편에 섰다. 한 달 안에 이탈리아는 공중에서 팔레스타인을 공격하여 텔아비브하이파를 폭격하여[55] 다수의 사상자를 냈다.

1942년에는 독일군 에르빈 롬멜 장군이 북아프리카를 가로질러 수에즈 운하를 향해 동진하면서 ''이슈브''에 큰 우려를 낳았고, 팔레스타인을 정복할 것이라는 두려움이 일었다. 이 시기를 "공포의 200일"이라고 불렀다. 이 사건은 영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팔마흐''[56]의 창설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1943년 발포어 선언 기념일에 ''Reichsführer-SS'' 하인리히 힘러와 외무장관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는 예루살렘 대무프티 무하마드 아민 알-후세이니에게 베를린에서 열린 지지자 집회를 위한 라디오 방송을 할 수 있도록 지지 전보를 보냈다.[58][59]

1944년 7월 3일, 영국 정부는 유대인 여단(Jewish Brigade)을 영국 육군(British Army) 내에 설립하는 데 동의했다. 1944년 9월 20일, 영국 국방부(War Office)는 영국 육군의 유대인 여단 그룹의 창설을 공식 발표했다. 이후 유대인 여단의 참전 용사들은 이스라엘 방위군(IDF) 창설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15년부터 시오니스트 지도자이자 친영파인 제에브 자보틴스키는 영국에게 시오니스트 의용군을 결성할 것을 촉구했다. 영국은 결국 수송 부대인 "시온 노새 부대"의 결성을 받아들였다. 그들은 갈리폴리 전투에서 보급 등에 활약했다.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수상이 되자 영국은 에드먼드 알렌비 장군의 지휘 아래 시나이-팔레스타인 작전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때 영국은 여러 대대로 구성된 유대 군단(Jewish Legion)의 창설을 인정하고 시나이-팔레스타인 작전에 참여시켰다.

1947년 10월, 하이파 항에 입항하는 하가나의 이민선 "Jewish State"


유대인 지도부는 1939년 백서에 반발하여, 이후 "불법 이민 기관"을 설립하고, 이민 쿼터를 무시한 불법 이민(알리야 베트)을 실행했지만, 이는 밀항선 사고나 나포와 같은 비극도 발생시켰다. 1942년 2월에는 스트루마호(SS Struma)가 루마니아에서 팔레스타인으로 가려다 흑해에서 소련 잠수함의 공격을 받아 800명 이상이 사망했다.

우익 유대인 무장 조직 레히와 이르군(에첼)은 1940년1944년 두 차례에 걸쳐 반영 무장 봉기를 일으켰다. 1944년11월 6일에는 카이로에서 월터 기네스 초대 모인 남작(주 카이로 영국 공사 겸 중동 담당 장관) 암살을 감행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5년 여름, 하가나, 이르군, 레히 세 조직은 연합하여 '유대인 저항 운동'을 결성하고, 영국의 행정 및 군에 대한 무장 봉기를 시작했다. 1946년6월 29일에 경찰 및 군이 유대인 무장 조직의 지도자를 일망타진한 작전('검은 토요일') 직후, 1946년7월 22일, 이르군은 폭파 사건을 일으켰다.

이러한 테러 사건의 연이은 발생과 미국 등으로부터 팔레스타인에 유대인을 이민시키라는 압력을 계속 받으면서, 영국 국민의 다수는 팔레스타인 통치를 부담스럽게 느끼게 되었다.

3. 1. 오스만 제국에 대한 전략

1915년, 오스만 제국제1차 세계 대전에 중앙 동맹국 측으로 참전하면서 수에즈 운하가 위협받게 되자, 영국지중해와 페르시아 만 사이 지역을 확보하는 전략을 세웠다. 이 전략은 수에즈 운하를 대체하고, 인도와의 연락을 보호하며, 러시아의 남하를 견제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166] 이를 위해 팔레스타인 지역 확보가 중요해졌다.

영국은 오스만 제국의 전후 처리에 대한 프랑스의 제안에 따라 1915년에 데 번센 위원회(De Bunsen Committee)를 설립하여 전후 영국의 터키 및 아시아 정책 방향을 검토했다. 위원회는 오스만 제국을 여러 국가로 구성된 연방으로 만드는 안을 제시했다.[167] 영국은 프랑스와 함께 갈리폴리 전투를 시작했지만, 오스만 군에 패배했다.

1916년, 영국과 프랑스는 비밀리에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맺어 중동을 분할하고, 팔레스타인을 공동 통치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영국은 맥마흔 서한을 통해 후세인에게 아랍인의 독립 국가 건설을 약속하고, 1917년 '''발포어 선언'''을 통해 월터 로스차일드 경에게 유대인의 "민족 고향" 건설을 지지하는 등 상반된 약속을 했다. 이는 유럽미국유대인 지원을 얻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었다.

1915년부터 제에브 자보틴스키는 영국에게 시오니스트 의용군 결성을 촉구했고, 영국은 "시온 노새 부대" 결성을 승인하여 갈리폴리 전투에 투입했다.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수상이 된 후, 영국은 에드먼드 알렌비 장군 지휘 아래 시나이-팔레스타인 작전을 시작했다. 영국은 유대 군단(Jewish Legion) 창설을 허용하여 작전에 참여시켰고, 토마스 에드워드 로렌스 등은 후세인과 함께 아랍 반란을 일으켜 오스만 제국에 대항했다.

이 전투에서 오스만 군은 패배하고, 오스만 제국령 시리아는 영국군에 점령되어 영국, 프랑스, 아랍 연합군의 군정이 실시되었다. --

3. 2. 상반된 약속들

1918년 10월 30일, 오스만 제국은 무드로스 휴전 협정으로 항복했다. 1918년 11월 23일, 에드먼드 알렌비 원수는 점령 하의 오스만 제국령 시리아를 통괄하는 OETA(점령 하 적국령 정청)를 분할한다고 포고하여, 중동은 3개의 OETA로 나뉘었다. 영국 군정관이 통치하는[168] OETA 남은 시나이 반도의 이집트 국경에서 팔레스타인·레바논으로 뻗어 북쪽은 아코나블루스까지, 동쪽은 요르단강까지였다. 이 외에 프랑스 군정관이 통치하는 OETA 북(레바논)과, 후세인 이븐 알리의 아들로 다마스쿠스에 입성한 파이살의 부하 알리 리자 엘=리카비가 통치하는 OETA 동(시리아 내륙과 트란스요르단)이 있었다. OETA는 위임 통치령 팔레스타인 성립 시까지 팔레스타인의 통치를 지속했다.

1919년 도빌 회담에서 영국 수상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와 프랑스 조르주 클레망소는 1918년 12월 1일-4일의 영불 합의를 최종 확인했다. 이 합의는 시리아 및 레바논에서 프랑스의 세력 확립을 영국이 지원하는 대신, 사이크스-피코 협정에서 프랑스 세력권이었던 모술과 공동 통치였던 팔레스타인을 영국 세력권으로 한다는 것이었다.[169]

1919년 10월, 시리아의 영국군과 요르단강 동쪽 기슭의 영국 부대는 철수하여, 다마스쿠스의 파이살이 이들 토지(OETA 동)의 유일한 통치자가 되었다. 그러나 프랑스는 시리아에서 군사적·정치적 영향을 강화했고, 파이살 정부는 프랑스에 의해 다마스쿠스에서 퇴거 명령을 여러 번 받는 등 궁지에 몰렸다. 영국은 아랍의 권리를 주장하며 프랑스를 견제했다. 파리 강화 회의에서 영국 수상 로이드 조지는 프랑스 수상 클레망소와 다른 연합국 대표에게 맥마흔 서한은 조약 의무라고 설명했다. 그는 후세인 이븐 알리와의 서한은 사이크스-피코 협정의 기초가 되었으며, 프랑스는 창설 예정의 위임 통치를 이용하여 이 서한에 의한 동의를 깨뜨려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또한 프랑스는 시리아의 홈스, 하마, 다마스쿠스, 알레포 및 그보다 동쪽의 독립 아랍 왕국이 만들어질 장소를 군사 점령하지 않기로 동의했음도 지적했다.[170]

영국은 시리아에서 프랑스의 지배를 승인했다. 파리 강화 회의에서 시작된 오스만 제국 분할 협상은 1920년 런던 회의로 넘어가, 1920년 4월 산레모 회의에서 최종 결정되었다. 연합국 최고 위원회는 위임 통치령 팔레스타인과 위임 통치령 메소포타미아를 영국에, 위임 통치령 시리아와 위임 통치령 레바논을 프랑스에 각각 부여하기로 합의했다. 1920년 8월, 이들 원칙은 세브르 조약에서 공식적으로 공개되었다.

1920년 3월 7일, 파이살은 시리아 국민 회의의 지지로 시리아 아랍 왕국 국왕 즉위를 선언했지만, 산레모 회의 결과를 받은 프랑스는 프랑스-시리아 전쟁을 시작했다. 시리아는 1920년 7월 23일 마이살룬 전투에서 패배하여, 파이살은 다마스쿠스에서 영국으로 망명했다. 이로써 아랍 독립국의 한 축이었던 시리아는 프랑스령이 되었다.

한편, 시오니스트와 아랍 대표도 파리 강화 회의에 참석했고, 후세인 왕의 대리인 파이살과 하임 바이츠만은 회담을 갖고 서로의 민족 국가 건설에 협력한다는 파이살-바이츠만 합의를 1919년 1월 3일에 했지만[171], 발효되지는 않았다.

3. 3. 1920년대: 위임통치의 시작과 갈등

1920년대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의 공식 명칭은 현지 아랍 및 오스만 제국의 용례[9]와 유럽의 전통에 따라 "팔레스타인"으로 정해졌다.[12] 위임통치 헌장은 영어, 아랍어, 히브리어를 공식 언어로 지정했다.

1926년 영국 당국은 아랍어 표기 ''Filasţīn''(فلسطين)과 히브리어 음역 ''Pālēśtīnā''(פּלשׂתינה)를 공식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유대인 지도부는 히브리어 명칭을 ''ʾĒrēts Yiśrāʾel''(이스라엘 땅)로 제안했지만, 최종 타협으로 공식 문서에서 히브리어 ''Pālēśtīnā'' 뒤에 괄호 안에 ''ʾĒrēts Yiśrāʾel''의 머리글자인 알레프-요드(א״י)를 붙이기로 했다.[13][14] 아랍 지도부는 이를 위임통치 조항 위반으로 여겼고, 일부는 "남부 시리아"(سوريا الجنوبية)를 아랍어 명칭으로 제안했으나 영국은 거부했다.[15]

영국 통치 초기, 아랍인들은 주요 도시에 무슬림-기독교 협회를 설립하고,[17] 1919년 예루살렘에서 첫 팔레스타인 아랍 회의를 개최하여 대표 정부 구성과 밸푸어 선언 반대를 목표로 했다.[18][19] 한편, 시온주의 위원회는 시온주의 목표를 추진했다. 1920년 4월 19일, 팔레스타인 유대인 공동체의 대표 의회를 위한 선거가 실시되었다.[20]

1920년 3월 텔하이 전투에서 아랍인들이 유대인 마을 텔하이를 공격했고, 4월에는 예루살렘에서 유대인 공격 사건이 발생했다.

1920년 7월, 고등 판무관이 이끄는 민간 행정부가 군정을 대체했다.[21] 초대 고등 판무관 허버트 새뮤얼 경은 시온주의자로, 1920년 6월 20일 팔레스타인에 도착해 7월 1일부터 임무를 시작했다. 새뮤얼은 마운트 스코푸스의 아우구스타 빅토리아 병원에 본부를 두었다.[22]

1929년 로우다트 엘 마레프 홀에서 열린 아랍 "항의 모임". 왼쪽부터: 미상 – 아민 알 후세이니 – 무사 알 후세이니 – 라기브 알 나샤시비 – 미상


새 민간 행정부는 주요 경제 자산에 대한 양보를 시작했다. 1921년, 유대인 기업가 핀하스 루텐버그에게 전력 생산 및 배분 양보를 허가했고, 루텐버그는 곧 전기 회사를 설립했다. 팔레스타인-아랍인들은 이를 영국이 시온주의를 선호한다는 증거로 보았지만, 영국은 전력화가 경제 발전을 촉진하고 유대인 민족 고향 건설 약속을 보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23]

1921년 5월, 야파 폭동으로 거의 100명이 사망했다.

새뮤얼은 자치 기관 설립을 시도했지만, 아랍 지도부는 유대인 참여 기관에 협력하지 않았다.[24] 1921년 3월 카밀 알 후세이니 사망 후, 새뮤얼은 그의 이복형제 무하마드 아민 알-후세이니를 예루살렘 대무프티로 임명했다. 아민 알-후세이니는 시온주의 반대 운동의 핵심 인물이었다. 1922년 알-후세이니는 최고 무슬림 위원회 의장으로 선출되었고,[25][26] 위원회는 막대한 와크프 자금과 고아 자금을 통제했으며, 이는 유대교 기구 예산보다 적었다.[28] 그는 또한 팔레스타인의 이슬람 법원을 통제했다.

1922년 팔레스타인 칙령[29]은 입법 위원회를 설립했는데, 23명 중 12명은 선출직(무슬림 아랍인 8명, 기독교 아랍인 2명, 유대인 2명)이었다.[31][30] 아랍인들은 의석 배분에 반대하며 선거를 보이콧했고, 결과는 무효화되었다.[30][31]

1923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제1차 세계 유대 여성 회의는 유대인들에게 팔레스타인의 사회 경제적 재건과 유대인 정착 지원을 촉구했다.[32]

1923년 10월, 영국은 1920-1922년 팔레스타인 행정 보고서를 국제 연맹에 제출했다.[33]

1929년 8월, 폭동으로 250명이 사망했다.

1939년 예루살렘에서 백서에 반대하는 유대인 시위

3. 4. 1930년대: 아랍 대반란과 분할 시도

1930년 셰이크 리즈 앗딘 알카삼은 프랑스령 시리아 및 레바논 위임통치령에서 팔레스타인으로 건너와 반 시온주의 및 반 영국 무장 조직인 검은 손을 조직했다. 그는 농민들을 군사 훈련시켰고, 1935년까지 200명에서 800명의 대원을 확보하여 시온주의 정착민들을 상대로 폭탄과 총기를 사용하고, 정착민들의 과수원과 영국이 건설한 철도 노선을 파괴했다.[34] 1935년 11월, 그의 조직원 두 명이 팔레스타인 경찰과 교전하여 경찰관 1명이 사망했고, 이후 영국 식민 경찰은 알카삼을 포위하여 사살했다.[34]

알카삼의 죽음은 아랍 사회에 광범위한 분노를 불러일으켰고, 1936년 4월, 아랍 민족의 총파업이 발발했다. 이 파업은 아민 알 후세이니가 이끄는 아랍 최고 위원회에 의해 시작되어 1936년 10월까지 지속되었다. 그해 여름 동안, 수천 에이커의 유대인 농장과 과수원이 파괴되었고, 유대인 민간인들이 공격을 받아 살해되었으며, 일부 유대인 공동체는 더 안전한 지역으로 도망쳤다.[35] 영국이 조사를 위해 필 위원회를 파견하면서 폭력 사태는 약 1년 동안 잠잠해졌다.[36]

아랍 반란 초기, 알후세이니와 나샤시비 씨족 간의 경쟁으로 인해 라기브 나샤시비는 이집트로 도망가야 했다.[37]

아랍이 필 위원회 권고를 거부한 후, 1937년 가을에 반란이 재개되었다. 그 후 18개월 동안 영국은 나블루스헤브론을 잃었다. 6,000명의 무장한 유대인 보조 경찰의 지원을 받은 영국군은[38] 광범위한 폭동을 진압했다. 찰스 오데 윙게이트 영국 장교는 특수 야간 부대를 조직하여 아랍 마을을 습격했다.[40][41] 유대 민병대인 이르군은 아랍 민간인을 대상으로 "보복 행위"로 폭력을 사용했으며,[42] 시장에서 버스를 공격했다.

1939년 3월 반란이 종결될 무렵, 5000명 이상의 아랍인, 400명의 유대인, 200명의 영국인이 사망했으며 최소 15000명의 아랍인이 부상을 입었다.[43] 총 아랍 성인 남성 인구의 10%가 사망, 부상, 투옥 또는 추방되었다.[44]

아랍인들의 유대인에 대한 공격은 세 가지 지속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첫째, 하가나를 중심으로 유대인 지하 민병대의 형성과 발전을 이끌었다. 둘째, 두 공동체가 화해할 수 없다는 것이 분명해졌고, 분할이라는 아이디어가 생겨났다. 셋째, 영국은 1939년 백서로 대응하여 유대인의 토지 구매와 이민을 엄격하게 제한했다. 백서 정책은 유대인 인구의 일부를 급진화했다.

반란은 팔레스타인 아랍 지도부, 사회적 결속력, 군사적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1948년 전쟁의 결과에 기여했다.[244]

3. 5. 제2차 세계 대전과 유대인 봉기



1940년 6월 10일, 제2차 세계 대전이탈리아 왕국대영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나치 독일 편에 섰다. 한 달 안에 이탈리아는 공중에서 팔레스타인을 공격하여 텔아비브하이파를 폭격하여[55] 다수의 사상자를 냈다.

1942년에는 독일군 에르빈 롬멜 장군이 북아프리카를 가로질러 수에즈 운하를 향해 동진하면서 ''이슈브''에 큰 우려를 낳았고, 팔레스타인을 정복할 것이라는 두려움이 일었다. 이 시기를 "공포의 200일"이라고 불렀다. 이 사건은 영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팔마흐''[56] - 주로 예비군으로 구성된 준군사 조직인 하가나에 속한 고도로 훈련된 정규 부대 - 의 창설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대부분의 아랍 세계와 마찬가지로, 팔레스타인 아랍인들 사이에서도 제2차 세계 대전의 교전국에 대한 입장에 대한 만장일치는 없었다. 많은 지도자와 공인들은 추축국의 승리를 유력한 결과로 보고 시오니스트와 영국으로부터 팔레스타인을 되찾는 방법으로 보았다. 나치 인종 이론에 의해 높이 평가받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나치는 영국의 패권에 대한 반대 세력으로서 아랍의 지지를 장려했다.[57] 1943년 발포어 선언 기념일에 ''Reichsführer-SS'' 하인리히 힘러와 외무장관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는 예루살렘 대무프티 무하마드 아민 알-후세이니에게 베를린에서 열린 지지자 집회를 위한 라디오 방송을 할 수 있도록 지지 전보를 보냈다.[58][59]

1944년 7월 3일, 영국 정부는 엄선된 유대인 및 비유대인 고위 장교들로 구성된 유대인 여단(Jewish Brigade)을 영국 육군(British Army) 내에 설립하는 데 동의했다. 1944년 9월 20일, 영국 국방부(War Office)는 영국 육군의 유대인 여단 그룹의 창설을 공식 발표했다. 유대인 여단은 이후 이탈리아, 유고슬라비아, 오스트리아의 국경 삼각지대 근처인 타르비시오(Tarvisio)에 주둔했으며, 이곳에서 유럽에서 팔레스타인으로 탈출하려는 유대인들을 돕기 위한 브리하(Berihah)의 노력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이 역할은 여단이 해산된 후에도 많은 구성원들이 계속 수행했다. 이후 유대인 여단의 참전 용사들은 이스라엘 방위군(IDF) 창설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팔레스타인 연대에서 유대인 1개 소대(어니스트 벤자민(Ernest Benjamin) 준장 지휘)와 아랍인 1개 소대 등 2개 소대가 이탈리아 전역 (제2차 세계 대전)(Italian Campaign (World War II))의 연합군에 합류하여 1945년 이탈리아 봄 공세(Spring 1945 offensive in Italy)에 참여했다.

1915년부터 시오니스트 지도자이자 친영파인 제에브 자보틴스키는 영국에게 시오니스트 의용군을 결성할 것을 촉구했다. 독립 전투 부대 결성은 인원 및 편견 등으로 인해 어려워지자, 영국은 결국 수송 부대인 "시온 노새 부대"의 결성을 받아들였다. 그들은 갈리폴리 전투에서 보급 등에 활약했다.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수상이 되자 영국은 에드먼드 알렌비 장군의 지휘 아래 시나이-팔레스타인 작전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때 영국은 여러 대대로 구성된 유대 군단(Jewish Legion)의 창설을 인정하고 시나이-팔레스타인 작전에 참여시켰다.

유대인 지도부는 1939년 백서에 반발하여, 이후 "불법 이민 기관"을 설립하고, 이민 쿼터를 무시한 불법 이민(알리야 베트)을 실행했지만, 이는 밀항선 사고나 나포와 같은 비극도 발생시켰다. 직후 제2차 세계 대전홀로코스트가 격화되면서, 연 15,000명의 이민 쿼터는 유럽을 탈출한 유대인으로 순식간에 꽉 채워졌고, 많은 유대인이 불법 이민으로 팔레스타인에 들어갔다. 1942년 2월에는 스트루마호(SS Struma)가 루마니아에서 팔레스타인으로 가려다 흑해에서 소련 잠수함의 공격을 받아 800명 이상이 사망했다. 유대인의 영국에 대한 협력 자세는 흩어졌고, 우파 유대인은 반영 테러 활동을 시작했다.

팔레스타인의 유대인 중에도, 나치 독일에 접촉하여 협력을 제안한 레히처럼, 추축국에 협력하여 영국과 싸우려고 하는 극단적인 의견이 존재했다. 그러나 독일 측은 소수 세력인 레히의 제안을 거절했다. 팔레스타인의 주류 유대인을 대표하는 유대 기관은 여전히 영국에 유대인 이민을 재개시키기를 희망하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영국 편에 섰다. 팔레스타인의 아랍인 6,000명과 유대인 30,000명이 영국군에 참전했다.

전후에는 팔레스타인으로의 불법 이민도 다시 활발해졌다. 유럽의 난민 캠프에는 25만 명의 유대인이 수용되어 있었지만, 영국은 이민 억제를 지속했다.

우익 유대인 무장 조직 레히와 이르군(에첼)은 1940년1944년 두 차례에 걸쳐 반영 무장 봉기를 일으켰다. 1944년11월 6일에는 카이로에서 월터 기네스 초대 모인 남작(주 카이로 영국 공사 겸 중동 담당 장관) 암살을 감행했다. 모인 남작 암살 후, 주류 유대인 무장 조직 하가나는 이르군 멤버에 대한 납치, 심문, 영국군 인도 등을 시작하여 유대인 간의 전투가 일어났다(이 사태를 '사냥의 계절' Hunting Season이라고 부른다). 내전을 피하기 위해 이르군은 멤버들에게 폭력에 의한 저항을 하지 않도록 지시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5년 여름, 하가나, 이르군, 레히 세 조직은 연합하여 '유대인 저항 운동'을 결성하고, 영국의 행정 및 군에 대한 무장 봉기를 시작했다. 1946년6월 16일 심야에는 하가나 멤버가 팔레스타인에서 인접 국가로 향하는 도로 교량 및 철도 교량을 동시에 폭파하는 'Night of the Bridges|다리들의 밤영어' 사건이 일어났다. 1946년6월 29일에 경찰 및 군이 유대인 무장 조직의 지도자를 일망타진한 Operation Agatha|아가타 작전영어('검은 토요일') 직후, 1946년7월 22일, 이르군은 아가타 작전으로 압수된 유대 기관에 관한 자료를 말소하기 위해 예루살렘의 최고급 호텔 킹 데이비드 호텔에 대한 폭파 사건을 일으켰다. 이 호텔의 남쪽 별관은 영국 위임 통치 당국 및 군 사령부가 사용하고 있었으며, 호텔의 남서부가 붕괴되어 90명 이상이 사망했다. 이 테러 사건 후, 영국 당국은 유대인 불법 이민을 키프로스로 추방했다.

이러한 테러 사건의 연이은 발생과 미국 등으로부터 팔레스타인에 유대인을 이민시키라는 압력을 계속 받으면서, 영국 국민의 다수는 팔레스타인 통치를 부담스럽게 느끼게 되었다. 유대인의 반영 운동을 억제하기 위해 10만 명 규모의 영국군 주둔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팔레스타인 통치 지속에 대한 의구심을 높였다. 또한 이르군 및 레히 멤버에 의한 테러 사건은 영국에 충격을 주었다.

3. 6. 유엔 분할안과 위임통치 종료

유엔 분할안


팔레스타인 문제로 인한 부정적인 여론은 영국 내에서 위임통치에 대한 지지를 약화시켰고, 미국 의회가 영국의 재건을 위한 중요 대출을 지연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영국 노동당은 1945년 선거 전 팔레스타인으로의 대규모 유대인 이주를 허용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집권 후 이 약속을 철회했다. 반영국 유대인 군사 행동이 증가했고, 이로 인해 10만 명 이상의 영국군이 팔레스타인에 주둔해야 했다. 아크 감옥 탈옥 사건과 이르군에 의한 영국 하사관의 보복 교수형 이후, 영국은 위임통치령을 종료하고 1948년 8월 초까지 철수하겠다는 의사를 발표했다.[21]

1946년 앵글로-미국 조사 위원회는 영국과 미국이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입국 정책에 합의하기 위한 공동 시도였다. 4월에 위원회는 만장일치로 결정을 내렸다고 보고했다. 위원회는 유럽에서 팔레스타인으로 즉시 10만 명의 유대인 난민을 수용하라는 미국의 권고를 승인했다. 또한 아랍 국가나 유대 국가가 없어야 한다고 권고하며, 유대인이 아랍인을 지배해서는 안 되며, 아랍인이 유대인을 지배해서는 안 된다는 원칙을 밝혔다.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10만 명의 난민 지원은 승인했지만, 나머지 결정 사항은 인정하지 않아 영국 정부를 분노하게 했다. 영국은 미국의 지원을 요청했으나, 미국 전쟁부는 30만 명의 병력을 무기한 파병해야 하며, 10만 명의 새로운 유대인 이민자를 수용하는 것은 아랍 봉기를 유발할 것이라고 밝혔다.[67]

이러한 사건들은 영국이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을 종료하고 팔레스타인 문제를 국제 연맹의 후계자인 유엔에 제기하겠다는 의사를 발표하도록 강요한 결정적인 요인이었다. 1947년 5월 15일, 유엔은 11개국 대표로 구성된 UNSCOP (유엔 팔레스타인 특별 위원회)를 설립했다. UNSCOP은 8월 31일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7명의 위원(캐나다, 체코슬로바키아, 과테말라, 네덜란드, 페루, 스웨덴, 우루과이)은 예루살렘을 국제 행정 하에 두고 독립적인 아랍 국가와 유대 국가를 창설할 것을 권고했다. 3명의 위원(인도, 이란, 유고슬라비아)은 단일 연방 국가 창설을 지지했고, 호주는 기권했다.[68]

1947년 11월 29일, 유엔 총회는 33 대 13, 기권 10표로 찬성하여 결의안 181 (II)로 ''경제 연합을 포함한 분할 계획'' 채택과 이행을 권고했다.[69][70] 분할은 영국 철수일에 발효될 예정이며, 제안된 국가들은 인종, 종교,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완전한 시민권을 부여해야 했다. 유엔 총회 결의안 181은 법적 구속력이 없었지만,[71] 미국과 소련은 지지했고, 아이티, 라이베리아, 필리핀은 미국과 시온주의 조직의 압력으로 마지막 순간에 투표를 변경했다.[72][73][74] 아랍 연맹의 5개 회원국은 반대했다.

유대 기구는 이 계획을 받아들였고, 팔레스타인의 거의 모든 유대인들이 기뻐했다. 반면 팔레스타인 아랍 지도부와 대부분의 아랍인들은 거부했다. 1947년 11월과 12월 카이로 회의에서 아랍 연맹은 군사적 해결을 지지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영국은 분할 계획을 수용했지만, 아랍인들이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이유로 시행을 거부했다. 1947년 9월, 영국 정부는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이 1948년 5월 14일 자정에 종료될 것이라고 발표했다.[77][78][79] 이르군 지도자 메나헴 베긴은 "조국의 분할은 불법이다."라고 발표했다.[80]

1948년 영국군이 하이파를 떠나고 있다


1946년 요르단 에미리트가 하심 왕국 요르단으로 독립하자, 국제 연맹 총회와 유엔 총회는 환영 결의안을 채택했다.[81] 유대 기구는 요르단이 팔레스타인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UN 헌장 제80조에 따라 유대인들은 해당 영토에 대한 권리를 보장받았다고 주장하며 반대했다.[82]

팔레스타인에 대한 유엔 총회 토론 과정에서 요르단 영토 일부를 제안된 유대 국가에 통합하자는 제안이 있었다. 1947년 11월 29일 결의안 181 (II) 채택 며칠 전, 미국의 마셜 국무장관은 유대 국가가 네게브와 "홍해 및 아카바 항구로의 출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언급했다.[83] 하임 바이츠만은 1947년 11월 19일 트루먼 대통령을 방문하여 네게브와 아카바 항구가 유대 국가 안에 있어야 한다고 말했고,[84] 트루먼은 유엔 미국 대표단에게 바이츠만의 입장을 지지한다고 말했다.[85] 그러나 트랜스요르단 양해 각서는 요르단 에미리트 영토를 어떠한 유대인 정착지에서도 제외했다.[86]

유엔 결의안 직후, 내전이 발발했고, 영국의 권위는 무너지기 시작했다. 1947년 12월 16일, 팔레스타인 경찰은 텔아비브 지역에서 철수하여 법과 질서 유지를 유대 경찰에게 넘겼다.[87] 영국군은 팔레스타인에서 점차 철수했지만, 때때로 개입했다. 영국은 예루살렘하이파에 강력한 주둔군을 유지했으며, 예루살렘이 포위 공격을 받자 전투에 개입했다. 팔레스타인 경찰은 무력화되었고, 정부 서비스는 중단되었다. 1948년 3월, 모든 영국 판사가 영국으로 돌아갔다.[88] 1948년 4월, 영국은 하이파 대부분에서 철수했지만, 항구 지역과 RAF 라마트 다비드는 유지했다. 이 도시는 하이파 전투에서 하가나에게 빠르게 점령되었다.

영국은 1948년 8월 1일 이전에 위임통치령을 종료하겠다고 유엔에 통보했다.[92][93] 1948년 초, 영국은 5월 15일에 종료하겠다고 발표했고,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분할 대신 유엔 신탁 통치를 제안하는 성명을 발표했다.[94] 영국 의회는 1948년 4월 29일 팔레스타인 법안을 통과시켜 위임통치령 종료를 위한 법률을 제정했다.[95]

선포 당일, 엘리아후 엡스타인은 해리 S. 트루먼에게 국가가 "1947년 11월 29일 유엔 총회 결의안에 의해 승인된 국경 내에서" 선포되었다고 편지를 썼다.


1948년 1월 1일 텔아비브에서 이쇼브 국기 게양


1948년 5월 14일, 팔레스타인에 남아 있는 유일한 영국군은 하이파 지역과 예루살렘에 있었다. 같은 날, 예루살렘의 영국 수비대가 철수했고, 알란 커닝엄 경이 도시를 떠나 하이파로 향했다. 다비드 벤구리온을 비롯한 유대 지도부는 에레츠-이스라엘에 이스라엘 국가를 선포했으며,[96] 1948년 5월 14일 오후(히브리력으로 5708년 5월 14일 이야르 5일) 위임통치령이 자정에 종료되는 시점에 효력이 발생했다.[97][98][99] 이스라엘 임시 정부는 미국의 승인을 요청했고,[100] 미국은 즉시 "임시 정부를 사실상의 권위"로 인정했다.[101]

1948년 5월 14/15일 자정에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이 만료되었고, 이스라엘이 건국되었다. 팔레스타인 정부는 공식적으로 존재를 멈추었고, 1948년 팔레스타인 추방과 탈출은 위임통치령 종료 전과 후에 모두 일어났다.[103][104]

다음 며칠 동안 레바논, 시리아, 이라크, 이집트 군대가 팔레스타인으로 진입하여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을 시작했다.[105] 존 배곳 글럽 장군을 포함한 트랜스요르단 군대도 예루살렘 및 그 주변 지역에 진입했다.[106] 1949년까지 지속될 전쟁으로 이스라엘은 이전 영국 위임통치령 영토의 약 78%를 차지했고, 트랜스요르단은 서안 지구를 점령 및 합병했으며, 이집트 왕국가자 지구를 점령했다. 영국군은 하이파 항구 지역에 집중되었고, 5월 26일 RAF 라마트 다비드를 이스라엘에 넘겨주었으며, 6월 30일 마지막 영국군이 하이파에서 철수했다.

4. 위임통치 결의

위임통치령의 명칭은 현지 팔레스타인 아랍 및 오스만 제국의 사용법[9]과 유럽의 전통에 따라 "팔레스타인"으로 명명되었다.[12] 위임통치 헌장은 위임통치 팔레스타인의 공식 언어를 영어, 아랍어, 히브리어의 3개로 규정했다.

1926년, 영국 당국은 영어 이름에 해당하는 전통적인 아랍어 표기 ''Filasţīn'' (فلسطين)과 히브리어 음역 ''Pālēśtīnā'' (פּלשׂתינה)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유대인 지도부는 정식 히브리어 명칭을 ''ʾĒrēts Yiśrāʾel'' (ארץ ישׂראל, 이스라엘 땅)로 제안했다. 최종 타협안은 공식 문서에서 위임통치령의 이름을 히브리어로 언급할 때마다 히브리어로 제안된 이름의 머리글자 알레프-요드를 괄호 안에 (א״י) ''Pālēśtīnā'' 뒤에 덧붙이는 것이었다.[13][14] 아랍 지도부는 이 타협안을 위임통치 조항 위반으로 간주했다. 일부 아랍 정치인들은 아랍어 명칭으로 "남부 시리아" (سوريا الجنوبية)를 제안했으나, 영국 당국은 이 제안을 거부했다.[15]

제1차 세계 대전 중부터 종전까지 영국은 팔레스타인 지역의 통치와 장래 분할에 관여하며, 갈등의 근원이 되는 다양한 행보를 보였다. 발포어 선언, 맥마흔 서한, 사이크스-피코 협정, 1922년에 발표된 처칠 백서(발포어 선언에 대한 영국의 입장을 기술한 백서) 등이 이에 해당한다. 1920년 산레모 회의 시점에서는 위임 통치령의 범위와 경계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188]

영국과 프랑스의 세력권 경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1920년 12월 영불 경계 합의로 대략적인 윤곽이 결정되었다.[189] 이 합의에서 골란 고원 대부분은 프랑스 관할로 정해졌으며, 경계를 지면에 설치하는 공동 위원회도 설치되었다.[189] 공동 위원회는 1922년 2월 3일에 최종 보고서를 발행하고, 몇 가지 수정을 거쳐 1923년 9월 29일에 영국 및 프랑스 정부가 승인했다.[190][191] 이 합의에 따라 시리아와 레바논 주민은 훌라 호수, 갈릴리 호수, 요르단 강에서 어업 및 항행 권리를 팔레스타인 주민과 동등하게 인정받았으며, 이 수역의 경찰권은 팔레스타인에 부여되었다.

경계 획정 과정에서 세계 시오니스트 기구는 팔레스타인 측에 조금이라도 더 많은 수원지를 포함시키도록 양국 정부에 압력을 가했다. 그 결과, 갈릴리 호수 전체, 그 상류의 요르단 강 양안, 훌라 호수, 단의 샘, 야르무크 강의 일부가 팔레스타인 영토가 되었다.

영국 외무 장관 커즌 경은 프랑스 및 이탈리아 정부와 공동으로 위임 통치 결의의 초기 초안을 거부했다. 여기에는 "또한 유대 민족과 팔레스타인의 역사적 관계와 그로 인해 그곳에 그들의 민족 고향을 재건하려는 주장을 인식하고..."라는 문구가 있었기 때문이다. 외무성이 설치한 팔레스타인 위원회는 이 "주장"에 대한 언급을 삭제하도록 제안했다. 연합국은 세브르 조약에서 이미 "역사적 관계"를 언급했으며 유대인의 법적 주장은 인정하지 않았다.

바티칸, 프랑스, 이탈리아는 성좌 보호령안과 프랑스 예루살렘 보호령안에 기초한 자체 법적 주장을 계속했다. 성지에 대한 주장을 해결하기 위한 국제 관리라는 아이디어는 세브르 조약 제95조에 명문화되었으며, 팔레스타인 위임 통치 결의 제14조(다른 종교 공동체 간의 성지 등에 대한 의견을 판단하는 위원회 설립)에도 다시 언급되었다. 이에 대한 협상이 위임 통치 결의 성립을 늦추는 요인이 되었다. 영국은 위임 통치 결의 제13조(각 종교의 성지 보호 및 권리 승인)를 토대로 성지에 대한 자신의 책임을 주장했다. 결국 제14조에 따른 성지에 관한 위원회나 종교 간 문제 해결을 위한 위원회는 만들어지지 않았다.[193]

국제 연맹의 산 레모 회의영어에서는 국제 연맹 헌장 22조(위임 통치의 원칙)에 의거하여 영국에 의한 팔레스타인 위임 통치를 인정했다.[194] 연합국은 영국에게 발포어 선언 실현에 책임을 질 것을 결정했다. 1922년 6월, 국제 연맹은 위임 통치령 시리아에 대한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분쟁이 해결될 때까지 발효되지 않는다는 규정 하에 팔레스타인 위임 통치 조건을 허가했다. 이 문제는 1923년 9월에 해결되었고, 국제 연맹은 1923년 9월 29일 회합에서 두 개의 위임 통치령을 유효한 것으로 결의했다.[195]

4. 1. 트란스요르단의 분리

초기의 영국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


맥마흔 서한과 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따라 요르단강 동쪽을 아랍인 지역으로 하고, 유대인 민족의 고향 범위에서 요르단강 동쪽을 제외할 필요가 생겼다. 1920년에 개최된 연합국 회의와 산레모 회의에 기초한 팔레스타인 위임통치 결의안에는, 트란스요르단을 정의하기 위해 나중에 삽입된 제25조("요르단강에서 최종적으로 결정될 팔레스타인 동부 경계 사이의 지역")는 포함되지 않았다.[179]

트란스요르단은 한때 오스만 제국에서 다마스쿠스를 중심으로 하는 시리아 주에 속했다. 다마스쿠스에 있던 파이살 왕과 하심 알-아타시 총리의 민족주의 정부도 시리아 내륙과 요르단강 동쪽을 지배했다. 이 정부가 1920년 7월 프랑스에 의해 무너지자, 영국은 시리아 범위와 시리아에 트란스요르단 포함 여부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1920년 7월, 영국은 프랑스가 지배하려는 "시리아"에 팔레스타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트란스요르단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려고 했다.[179] 프랑스가 파이살의 왕국을 다마스쿠스에서 몰아낸 후, 영국 외무 장관 조지 커즌 경은 팔레스타인의 동부 국경 확정을 연기하도록 지시했고, 1921년 3월 21일 외무성·식민지성 법률 고문단이 "제25조" 도입을 결정했다. 1921년 3월 31일 커즌 경이 승인했고, 1922년 7월 22일에는 25조를 포함한 (트란스요르단을 영역에 포함한) 팔레스타인 위임통치 결의 최종안이 국제 연맹에 제출되었다. 결의안 25조는 맥마흔 서한에도 배려를 한 것이었다. 이 조항에서는 위임통치국에 대해, 그 시점의 지역 상황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된 위임통치의 적용을 연기하거나 보류하도록 규정했다.

파이살이 다마스쿠스를 떠나 영국으로 망명하자, 커즌 외무 장관은 1920년 8월, 팔레스타인에 둔 고등 판무관 허버트 새뮤얼에게, 사이크스-피코 협정의 라인 남쪽에는 프랑스의 지배가 미치지 않으며, 라인 남쪽의 트란스요르단은 팔레스타인과는 독립적이지만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서한을 보냈다.[180] 새뮤얼은 이에 답하여, 요르단강 동쪽의 부족과 족장들은 기존 파이살의 다마스쿠스 정부에 불만을 품고 있으며, 그 부활을 받아들이는 것은 어렵다고 보고,[181] 최종적으로 트란스요르단은 영국의 위임통치 범위 내에 있다고 선언했다.[182] 새뮤얼은 런던의 지시 없이 트란스요르단의 당시 중심 도시 사트에 들어가 지도자들에게 이 지역이 다마스쿠스에서 독립하여 위임통치령에 편입되고, 트란스요르단이 팔레스타인에 병합되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182] 커즌 경은 새뮤얼의 행동에 대한 관여를 나중에 부인했다.[183] 한편, 파이살의 형제 압둘라가 파이살의 시리아 왕권을 지지하기 위해 히자즈에서 군대를 이끌고 트란스요르단으로 북상하여 긴장되는 국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당시 식민지 장관 윈스턴 처칠은 1921년 3월 카이로 회의를 소집했다. 그는 팔레스타인 및 메소포타미아 위임통치령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토마스 에드워드 로렌스, 거트루드 벨 등 중동 전문가를 이 회의에 초청했다. 큰 과제는 중동의 영국 세력권에서 반 프랑스 군사 행동을 일으키지 않기 위해 트란스요르단에 어떤 정책을 적용해야 하는가 하는 것이었다. 이 회의에서의 결론은 시리아에서 쫓겨난 파이살에게 영국 위임통치령 메소포타미아를 주어 이라크 국왕으로 하고, 그의 형제 압둘라에게 트란스요르단의 수장 지위를 부여하며, 트란스요르단 토후국은 아랍인 지역으로서 팔레스타인을 구성한다는 것이었다. 이 회의 결론에 따라 히자즈 왕국의 왕자들이 중동의 영국 세력권에 국가를 갖게 되었고, 맥마흔 서한의 약속은 지켜졌다고 처칠은 생각했다. 처칠과 압둘라의 예루살렘에서의 추가 회담에서, 트란스요르단이 압둘라 수장의 명목상 지배하에 놓인다는 조건으로 영국의 위임통치령에 편입되고, 트란스요르단은 요르단강 서쪽에 세워질 "유대인 민족의 고향(내셔널 홈)"의 일부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서로 확인했다.[184][185] 이 합의는 위임통치령이 공식적으로 성립되기 전에 문서화되었으며, 영국은 요르단강 동쪽에는 "유대인 민족의 고향(내셔널 홈)"에 관한 규정을 연기하거나 영구적으로 보류할 수 있었다.[186][187]

시오니스트 우파(수정주의 시오니스트)의 무장 조직, 이르군의 엠블럼. 요르단강을 사이에 두고 펼쳐진 팔레스타인과 트란스요르단을 그리고 있다.


유대인 시오니스트 주류도 트란스요르단에는 민족의 고향이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조건을 승인하고, 발포어 선언의 범위를 요르단강 서쪽으로 축소하는 것을 이해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요르단강 동쪽에서의 트란스요르단 성립으로 팔레스타인에서의 아랍 국가 성립은 이미 이루어졌으며, 그 때문에 요르단강 서안에서의 아랍인 국가 창설을 부정한다고 주장하는 입장과, 트란스요르단의 성립조차 인정하지 않고 요르단강을 사이에 두고 펼쳐진 "대 이스라엘"을 건설하려는 강경한 민족주의자(수정주의 시오니스트)도 시오니스트 내에서 등장했다.

이후 영국은 요르단강 서쪽(초기 팔레스타인 전체의 23%)을 "팔레스타인"으로, 요르단강 동쪽(77%)을 "트란스요르단"으로 통치했다. 이 두 위임통치령은 한 명의 영국인 고등 판무관에 의해 통치되었다. 트란스요르단에서는 아랍 정부에 대한 권한 이양이 점차 진행되어 1923년에는 지방 행정이 승인되었고, 1928년에는 대부분의 행정 기능이 이관되었다. 그러나 1928년 2월 20일 영국 및 토후국 정부 간의 합의 이후에도 위임통치의 지위는 변하지 않았다. 이 합의로 트란스요르단에서의 독립 정부 존재가 승인되었고, 그 권력의 범위와 한계가 정해졌다. 1929년 10월 31일에 합의가 비준되어 교환되었다. 영국은 1946년 요르단 하심 왕국이 독립할 때까지 이 지역에 대한 위임통치를 지속했다.

5. 정치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의 정치 상황은 복잡했다. 1922년 8월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법령에 따라 행정 구역이 구획으로 나뉘고, 영국 팔레스타인 최고 판무관이 관리했다.[156] 영국은 오스만 제국의 ''밀레트'' 제도를 유지하여 종교 공동체별 자치를 허용했지만, 이는 공동체 간 갈등을 심화시키기도 했다.

위임통치령 행정부는 유대인과 아랍인 간의 인종적 적대감으로 인해 신뢰를 잃고, 인력 부족과 과도한 중앙 집권화 문제를 겪었다. 유대인을 대표하는 유대인 기구와 아랍인을 대표하는 아랍 고등 위원회는 각각 자체적인 평행 정부로 성장하여 "국가 안의 국가"와 같은 상황이 되었다.[108]

1937년 필 위원회는 팔레스타인을 유대 국가와 아랍 국가로 분할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나, 아랍 측의 즉각적인 거부로 무산되었다. 1939년 런던 회담 이후 영국 정부는 백서를 발표하여 유대인의 이민과 토지 매입을 제한하고 10년 내 독립 국가를 수립하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이는 ''이슈브''(팔레스타인 내 유대인 공동체)에게 배신으로 여겨졌다.

이에 시온주의자들은 알리야 베트라는 불법 이민을 조직하고, 레히와 같은 극단주의 단체는 무장 투쟁을 전개했다. 유대 기관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과 협력했지만, 이후 유대 지하 조직들이 유대 저항 운동을 결성하여 영국에 대한 공격을 강화했다. 1946년 이르군의 킹 데이비드 호텔 폭탄 테러는 92명의 사망자를 냈고, 영국은 불법 이민자들을 키프로스에 수용했다. 1948년 레히는 유엔 중재자 폴케 베르나도트를 암살했다.

팔레스타인 문제로 영국 내 여론이 악화되고 미국의 지원이 지연되자, 영국은 1948년 8월 초 위임통치령을 종료하고 철수하겠다고 발표했다. 1946년 앵글로-미국 조사 위원회는 유대인 난민 10만 명의 즉시 수용과 아랍/유대 국가 불가론을 권고했으나, 해리 S. 트루먼의 일부 결정 불인정으로 영국을 분노하게 했다.

유엔은 UNSCOP (유엔 팔레스타인 특별 위원회)를 통해 국제 행정 하의 독립적인 아랍 및 유대 국가, 또는 연방 국가 창설을 권고했다.[68] 1947년 11월 29일, 유엔 총회는 결의안 181 (II)로 ''경제 연합을 포함한 분할 계획''을 채택했으나,[69][70] 아랍 측의 거부로 시행되지 못했다. 1947년 9월, 영국은 1948년 5월 14일에 위임통치령이 종료될 것이라고 발표했다.[77][78][79] 이르군 지도자 메나헴 베긴은 분할을 불법으로 규정하며 저항을 선언했다.[80]

역대 대법원장은 다음과 같다.

이름재임 기간
토마스 헤이크래프트 경1921–1927
마이클 맥도넬 경1927–1936
해리 트러스티드 경[157]1936–1941 (1938년 기사 작위 수여)
프레데릭 고든-스미스1941–1944
윌리엄 피츠제럴드 경1944–1948



1932년 게르숀 아그론에 의해 창간된 지역 신문 ''팔레스타인 포스트''는 1950년 ''예루살렘 포스트''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23년 핀하스 루텐베르크는 팔레스타인 전력 회사(1961년 이스라엘 전력 공사가 됨)를 설립했다.

5. 1. 아랍인 공동체

1937년 필 위원회는 아랍인 인구를 이주시켜야 하는 작은 유대 국가와 트란스요르단 토후국에 병합될 아랍 국가로의 분할을 제안했지만, 아랍인들은 이를 즉각 거부했다. 하임 바이츠만다비드 벤구리온은 시온주의자 대회를 설득하여 필 위원회의 권고를 더 많은 협상을 위한 기초로 승인하게 했다.[45][46][47][48][49] 1937년 10월 아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벤구리온은 분할이 "토지 전체를 소유"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50][51][52]

1939년 2월과 3월에 열린 런던 회담 이후, 영국 정부는 백서를 발표하여 유대인 이민 및 토지 매입을 제한하고, 10년 이내에 위임통치령을 대체할 독립 국가를 만들겠다고 제안했다. 이는 유럽에서 유대인 박해가 심해지는 상황에서 ''이슈브''에 의해 배신으로 여겨졌다. 시온주의자들은 알리야 베트라는 불법 이민 프로그램을 조직했고, 레히는 영국을 상대로 무장 공격을 감행했다. 그러나 유대 기관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과 협력했다.

이후 유대 지하 조직들이 통합하여 유대 저항 운동을 결성, 영국 행정부를 공격했다. 1946년 이르군은 킹 데이비드 호텔을 폭파해 92명이 사망했다. 영국 정부는 불법 유대인 이민자들을 키프로스에 수용했다. 1948년 레히는 유엔 중재자 폴케 베르나도트를 암살했다.

팔레스타인 상황은 영국 내에서 위임통치령의 인기를 떨어뜨렸고, 미국 의회가 영국의 재건을 위한 대출을 지연시키도록 했다. 영국 노동당1945년 선거 전 유대인 이주를 허용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집권 후 이 약속을 어겼다. 반영국 유대인 군사 행동이 증가했고, 10만 명 이상의 영국군이 주둔해야 했다. 아크 감옥 탈옥 사건과 이르군에 의한 영국 하사관 교수형 이후, 영국은 위임통치령을 종료하고 1948년 8월 초까지 철수하겠다고 발표했다.[21]

1946년 앵글로-미국 조사 위원회는 유대인 난민 10만 명의 팔레스타인 즉시 수용과 아랍 국가나 유대 국가가 없어야 한다는 권고를 내렸다. 해리 S. 트루먼은 10만 명 난민 지원 성명을 발표했지만, 나머지 결정을 인정하지 않아 영국을 분노하게 했다. 미국 전쟁부는 아랍 반란에 맞서 질서를 유지하는 데 30만 명의 병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67]

이러한 사건들로 영국은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을 종료하고 팔레스타인 문제를 유엔에 제기했다. 유엔은 UNSCOP (유엔 팔레스타인 특별 위원회)를 설립, 1947년 8월 31일에 보고서를 발표했다. 다수 위원은 국제 행정 하의 독립적인 아랍 및 유대 국가 창설을, 소수 위원은 연방 국가 창설을 권고했다.[68]

1947년 11월 29일, 유엔 총회는 결의안 181 (II)로 ''경제 연합을 포함한 분할 계획''을 채택했다.[69][70] 미국과 소련이 지지했고, 아랍 연맹 5개국은 반대했다. 유대 기구는 이 계획을 받아들였지만, 팔레스타인 아랍 지도부와 대부분의 아랍인들은 거부했다. 1947년 11월과 12월 카이로 회의에서 아랍 연맹은 군사적 해결을 지지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영국은 분할 계획을 수용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아랍인들이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이유로 시행을 거부했다. 1947년 9월, 영국 정부는 1948년 5월 14일에 위임통치령이 종료될 것이라고 발표했다.[77][78][79] 일부 유대 조직도 이 제안에 반대했다. 이르군 지도자 메나헴 베긴은 조국 분할은 불법이며 결코 인정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80]

산 레모 회의 결의안에는 비유대인 공동체의 기존 권리를 보호하는 조항이 포함되었다. 위임 통치는 국제 상설 재판소의 강제 관할권을 발동했다.[110] 베를린 조약 제62조는[111] 종교의 자유와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를 다루었다.[112]

국제 사법 재판소 (ICJ)는 국제 연맹 규약이 팔레스타인 공동체를 임시 독립 국가로 인정했다고 밝혔다.[113] 히긴스 판사는 팔레스타인 국민이 자기 결정을 행사하고 국가를 가질 권리가 있다고 설명했다.[114] 재판소는 베를린 조약 (1878)에 포함된 이동의 자유와 성지 접근 보장이 유지되었다고 밝혔다.[115]

역사학자 라시드 할리디에 따르면, 위임 통치는 아랍인의 정치적 권리를 무시했다. 아랍 지도자들은 영국에 대표 정부와 같은 민족적 권리를 부여하도록 압력을 가했지만, 영국은 위임 통치 조건 수용을 전제 조건으로 내세웠다. 1922년 팔레스타인 법령에서 입법 의회가 제안되었으나, 아랍인에게는 "자살"과 같아 받아들일 수 없었다. 아랍인들은 1923년 의회 선거를 보이콧했고, 이는 무효화되었다.[116] 영국은 다수결 원칙을 거부했다. 위임 통치 조건은 팔레스타인과 트란스요르단 모두에 자치 기구를 설립하도록 요구했다. 1947년 어니스트 베빈은 영국이 자치 기구 발전에 실패했다고 인정했다.[117]

영국 위임통치 당국은 "무프티"를 "팔레스타인의 대무프티"로 격상시켰고, 최고 무슬림 위원회(SMC)를 설치했다.

대무프티가 된 무함마드 아민 알 후세이니 (하지 아민 알 후세이니)


영국 당국은 엘리트 가문과 협상했고, 1921년 하지 아민 알 후세이니를 대무프티로 선출했다. 그의 경쟁자 라기브 베이 알 나샤시비는 1934년까지 예루살렘 시장을 역임했다. 위임통치 기간, 특히 후반에는 대무프티 후세이니와 예루살렘 시장 나샤시비의 대립이 팔레스타인 정치를 독점했다.

1920년1921년, 1929년에는 유대인 이민에 대한 폭동이 발생했다. 1920년대부터 1930년대 초반, 유대인 이민 증가에 대한 아랍인들의 불만이 커졌고, 무슬림 형제단의 영향을 받은 청년 무슬림 협회, 팔레스타인 독립당, "검은 손" 등 풀뿌리 반영 및 반 시온주의 움직임이 나타났지만, 위임통치 당국과 아랍인 지도자들에 의해 진압되었다.

5. 1. 1. 아랍 지도부와 민족주의 운동

영국 위임통치령 하에서, 전통적으로 권한과 지리적 범위가 제한되었던 "예루살렘의 무프티" 직함은 "팔레스타인의 대무프티"로 개편되었다. 또한 종교 재산 관리, 종교 재판관 및 지역 무프티 임명 등 다양한 임무를 부여받은 최고 이슬람 위원회(SMC)가 설립되었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이러한 임무가 콘스탄티노플(이스탄불)의 제국 관료에 의해 수행되었다.[108] 영국은 팔레스타인 아랍인들과의 관계에서 중·하류층이 아닌 엘리트 계층과 협상했다.[108] 그들은 하지 아민 알후세이니를 대무프티로 선택했는데, 그는 젊었고 예루살렘의 이슬람 지도자들로부터 가장 적은 표를 받았다.[108] 무프티의 경쟁자 중 한 명인 라기브 베이 알나샤시비는 이미 예루살렘 시장으로 임명되어 있었다.[108] 위임통치령 기간 전체, 특히 후반기에는 무프티와 알나샤시비 사이의 경쟁이 팔레스타인 정치계를 지배했다.

아랍 여성들이 영국 위임통치령에 반대하여 예루살렘에서 시위하는 모습 (1930년). 표지판에는 "위임통치령 종결 전까지는 대화도, 협상도 없다"라고 적혀 있다.


1920년대 아랍어 신문 ''팔라스틴''의 사설은 후세이니-나샤시비의 경쟁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118]

1921년과 1929년에 유대인에 대한 폭동, 공격, 학살이 발생했다. 1930년대에 유대인 이민에 대한 팔레스타인 아랍 대중의 불만이 커졌다. 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 초, 팔레스타인 사회의 여러 파벌, 특히 젊은 세대는 팔레스타인 엘리트의 내부 분열과 무능함에 참을성을 잃었고, 청년 이슬람 협회와 같은 단체에 의해 조직된 풀뿌리 반(反)영국 및 반(反)시온주의 활동에 참여했다. 또한 급진 민족주의 독립당(''히즈브 알이스티클랄'')에 대한 지지가 있었는데, 이 당은 인도 국민 회의와 같은 방식으로 영국에 대한 보이콧을 요구했다. 일부는 언덕으로 가서 영국과 유대인과 싸웠다. 이러한 대부분의 계획은 위임 통치 행정부의 봉급을 받는 유력 인사들, 특히 무프티와 그의 사촌 자말 알후세이니에 의해 제압되고 패배했다. 1936년의 6개월간의 총파업은 대 아랍 반란의 시작을 알렸다.[108]

5. 2. 유대인 공동체

1917년 영국군이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팔레스타인을 점령했을 당시, 이 지역에는 무슬림, 기독교인, 유대인 등 다양한 민족이 섞여 살고 있었다. 이 시기 팔레스타인의 유대인 공동체(이슈브)는 수세기 동안 존재해 온 도시의 전통적인 유대인 공동체(''올드 이슈브'')와 1870년대 이후 새롭게 설립된 시온주의 농업 공동체(''뉴 이슈브'')로 구성되었다.[120] 위임통치령이 수립되면서 팔레스타인의 유대인 공동체는 자신들의 이익을 대표하기 위해 시온주의 위원회를 결성했다.

1929년, 팔레스타인 유대인 기구는 시온주의 위원회로부터 유대인 공동체의 대표 기능과 행정 업무를 인계받았다. 위임통치령 기간 동안, 유대인 기구는 유대인 공동체의 행정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준정부 조직이었다. 지도부는 전 세계 유대인에 의해 비례대표제로 선출되었다.[121] 유대인 기구는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이민, 토지 구매, 시온주의 지도부의 일반 정책 계획을 지원하는 임무를 맡았다. 또한 학교와 병원을 운영하고 하가나를 결성했다. 영국 당국은 ''아랍 기구'' 창설을 제안했지만, 아랍 지도자들은 이를 거부했다.[122]

유대인 공동체에 대한 아랍의 공격에 대응하여, 1920년 6월 15일 유대인 거주민을 방어하기 위해 유대 민병대 조직인 하가나가 결성되었다. 긴장은 1921년(야파 폭동), 1929년(1929년 헤브론 학살 등 주로 아랍인들의 유대인 공격) 및 1936–1939년 등 여러 차례 광범위한 폭력 사태로 이어졌다. 1936년부터 이르군, 레히와 같은 유대인 단체들은 영국군 및 아랍 목표물을 상대로 폭력적인 캠페인을 벌였다.

5. 2. 1. 유대인 정당

1920년에 성립된 히스타드루트(Histadrut, 시오니스트 노동 동맹 팔레스타인)는 노동조합 조직으로, 노동자의 지위 향상을 위한 활동 외에도 정착, 주택, 건강, 예금, 오락, 문화, 자위 등 다양한 사회 사업과 경제 활동을 시작하여, 훗날 이스라엘에서 다수의 단체나 국영 기업을 거느리는 등 경제의 많은 부분을 관리하는 조직이 되었다.[223] 노동 시오니스트들이 만든 포알레 치온(Poale Zion, 시온의 노동자)은 노동당의 모체가 되었다.[223] 포알레 치온의 우파 중에서 다비드 벤구리온 등이 이끄는 아흐두트 하아보다(Ahdut HaAvoda)가 나타났고, 1930년에는 하포엘 하차이르(Hapoel Hatzair, 젊은 노동자)와 합병하여, 노동자 정당 우파의 마파이당(에레츠 이스라엘 노동자당)이 되었다.[223] 이 정당은 1960년대 후반까지, 위임 통치기 후반의 팔레스타인 및 이스라엘 건국 초기에 있어서 시오니즘 운동의 중심이 되었다.[223]

한편, 세속 우파 유대인 중에는 수정주의 시오니즘과 거기에서 파생된 가나안주의를 주장하는 자들도 있었다.[223] 그들은 마파이당의 무장 조직인 하가나에 대항하여 독자적인 무장 조직 에체르(이르군)를 만들었다.[223] 이르군의 정치 부문은 1948년에 헤루트당이라는 정당이 되었고, 이것이 현재 리쿠드의 모체가 되었다.[223]

이 외에도 유대교 정통파 등에 의한 종교 정당이 생겼으며, 좌우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시오니스트가 일반 시오니스트(General Zionists)라는 정당을 만들어 중도 정당이 되었다.[223] 이것은 후에 자유당이 되어, 리쿠드에 합류했다.[223] 1923년공산주의 정당이 병합하여 성립한 팔레스타인 공산당은 시오니즘을 "영국 제국주의와 유대인 부르주아의 결탁"으로 거부하고, 영국 통치와 유대인의 정착 확대를 반대했다.[223] 이스라엘 독립 후에는 마키(이스라엘 공산당)가 되어 많은 아랍인 당원이 참가하고 있다.[223]

5. 2. 2. 유대인과 아랍인의 충돌

영국이 도착한 후 아랍인들은 주요 도시에 무슬림-기독교 협회를 설립했다.[17] 1919년에는 예루살렘에서 첫 번째 팔레스타인 아랍 회의를 개최하기 위해 연합했다.[18] 이는 주로 대표 정부와 밸푸어 선언에 대한 반대를 목표로 했다.[19] 이와 동시에 1918년 3월에 결성된 시온주의 위원회는 팔레스타인에서 시온주의 목표를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1920년 4월 19일, 선거가 팔레스타인 유대인 공동체의 대표 의회를 위해 치러졌다.[20]

1920년 3월에는 유대인 마을 텔하이에 대한 아랍인들의 공격이 있었다. 4월에는 예루살렘에서 유대인에 대한 또 다른 공격이 있었다.

새로 설치된 민간 행정부의 첫 번째 조치 중 하나는 주요 경제 자산에 대한 위임 통치 정부로부터의 양보를 시작하는 것이었다. 1921년 정부는 유대인 기업가인 핀하스 루텐버그에게 전력 생산 및 배분에 대한 양보를 허가했다. 루텐버그는 곧 시온주의 단체, 투자자, 자선가들이 주주인 전기 회사를 설립했다. 팔레스타인-아랍인들은 이를 영국이 시온주의를 선호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증거로 보았다. 영국 행정부는 전력화가 국가 전체의 경제 발전을 촉진하는 동시에 경제적 수단을 통해 유대인 민족 고향을 쉽게 만들겠다는 약속을 보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23]

1921년 5월, 경쟁 유대 좌익 시위대 간의 소란과 그 후 아랍인들의 유대인 공격으로 인해 야파에서 폭동이 발생하여 거의 100명이 사망했다.

고등 판무관 새뮤얼은 위임 통치에 의해 요구되는 대로 팔레스타인에 자치 기관을 설립하려 했지만, 아랍 지도부는 유대인의 참여를 포함하는 모든 기관에 협력하는 것을 거부했다.[24] 카밀 알 후세이니, 예루살렘 대무프티가 1921년 3월 사망하자, 고등 판무관 새뮤얼은 그의 이복형제인 무하마드 아민 알-후세이니를 그 자리에 임명했다. 예루살렘의 알-후세이니 가문 출신인 아민 알-후세이니는 아랍 민족주의자이자 무슬림 지도자였다. 대무프티로서, 그리고 이 기간 동안 그가 맡았던 다른 영향력 있는 직책에서, 알-후세이니는 시온주의에 대한 폭력적인 반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1922년 알-후세이니는 1921년 12월 새뮤얼이 설립한 최고 무슬림 위원회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25][26] 위원회는 연간 수만 파운드에 달하는 와크프 자금과 연간 약 5만 파운드에 달하는 고아 자금을 통제했으며, 이는 유대교 기구의 연간 예산인 60만 파운드에 비해 훨씬 적었다.[28] 또한 그는 팔레스타인의 이슬람 법원을 통제했다. 이러한 법원은 다른 기능 중에서도 교사와 설교자를 임명할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1922년 팔레스타인 칙령[29]은 입법 위원회를 설립했는데, 이는 23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었다: 12명은 선출직, 10명은 임명직, 고등 판무관 1명.[31] 12명의 선출직 위원 중 8명은 무슬림 아랍인, 2명은 기독교 아랍인, 2명은 유대인이었다.[30] 아랍인들은 인구의 88%를 차지하면서도 의석의 43%만 차지하는 것은 불공정하다고 주장하며 의석 배분에 반대했다.[30] 선거는 1923년 2월과 3월에 치러졌지만, 아랍인들의 보이콧으로 인해 결과가 무효화되었고 12명의 자문 위원회가 설립되었다.[31]

1923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제1차 세계 유대 여성 회의에서 "따라서 모든 유대인은 팔레스타인의 사회 경제적 재건에 협력하고 그 나라의 유대인 정착을 지원할 의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결정되었다.[32]

1929년 8월, 250명이 사망한 폭동이 발생했다.

1935년 11월 20일 알-카삼의 죽음은 아랍 사회에 광범위한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엄청난 인파가 카삼의 시신을 하이파의 무덤까지 따라갔다. 몇 달 후인 1936년 4월, 아랍 민족의 총파업이 발발했다. 이 파업은 아민 알-후세이니가 이끄는 아랍 최고 위원회에 의해 시작되어 1936년 10월까지 지속되었다. 그해 여름 동안, 수천 에이커의 유대인 농장과 과수원이 파괴되었다. 유대인 민간인들이 공격을 받아 살해되었으며, 베이산 (베이트셰안)과 아크레와 같은 일부 유대인 공동체는 더 안전한 지역으로 도망쳤다.[35] 영국이 조사를 위해 필 위원회를 파견하면서 폭력 사태는 약 1년 동안 잠잠해졌다.[36]

아랍 반란의 초기 단계에서 팔레스타인 아랍인들 사이에서 알-후세이니와 나샤시비 씨족 간의 경쟁으로 인해 라기브 나샤시비는 아민 알-후세이니가 지시한 여러 차례의 암살 시도 후 이집트로 도망가야 했다.[37]

아랍이 필 위원회 권고를 거부한 후, 1937년 가을에 반란이 재개되었다. 그 후 18개월 동안 영국은 나블루스와 헤브론을 잃었다. 6,000명의 무장한 유대인 보조 경찰의 지원을 받은 영국군은[38] 압도적인 무력으로 광범위한 폭동을 진압했다. 찰스 오데 윙게이트 영국 장교 (종교적 이유로 시오니스트 부흥을 지지했다[39])는 이기갈 알론과 같은 영국 군인과 유대인 자원봉사자로 구성된 특수 야간 부대를 조직했다. 이들은 아랍 마을을 습격하여 "갈릴리 하부와 예즈레엘 계곡에서 아랍 반군에 대항하여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40][41] 유대 민병대인 이르군은 또한 아랍 민간인을 대상으로 "보복 행위"로 폭력을 사용했으며,[42] 시장에서 버스를 공격했다.

1939년 3월 반란이 종결될 무렵, 5,000명 이상의 아랍인, 400명의 유대인, 200명의 영국인이 사망했으며 최소 15,000명의 아랍인이 부상을 입었다.[43] 총 아랍 성인 남성 인구의 10%가 사망, 부상, 투옥 또는 추방되었다.[44] 1936년부터 1945년까지 영국은 유대인 기구와 협력적인 보안 협정을 체결하면서 아랍인으로부터 13,200정의 총기를, 유대인으로부터 521정의 무기를 압수했다.

아랍인들의 유대인에 대한 공격은 세 가지 지속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첫째, 이는 1948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하가나를 중심으로 유대인 지하 민병대의 형성과 발전을 이끌었다. 둘째, 두 공동체가 화해할 수 없다는 것이 분명해졌고, 분할이라는 아이디어가 생겨났다. 셋째, 영국은 아랍의 반대에 대해 1939년 백서로 대응하여 유대인의 토지 구매와 이민을 엄격하게 제한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이 감소된 이민 쿼터조차 달성되지 못했다. 백서 정책 자체는 전쟁 후 더 이상 영국과 협력하지 않을 유대인 인구의 일부를 급진화했다.

반란은 또한 팔레스타인 아랍 지도부, 사회적 결속력, 군사적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1948년 전쟁의 결과에 기여했다. 왜냐하면 "1947-49년에 팔레스타인인들이 가장 운명적인 도전에 직면했을 때, 그들은 여전히 1936-39년의 영국의 탄압으로 고통받고 있었고, 사실상 통일된 지도부가 없었다. 사실, 그들은 거의 어떤 지도력도 없이 있었다고 주장할 수 있다."

1937년, 필 위원회는 아랍인 인구를 이주시켜야 하는 작은 유대 국가와 트란스요르단 토후국에 병합될 아랍 국가 간의 분할을 제안했으며, 이 토후국 역시 더 넓은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의 일부였다. 이 제안은 아랍인들에 의해 즉각 거부되었다. 두 주요 유대인 지도자인 하임 바이츠만다비드 벤구리온은 시온주의자 대회를 설득하여 필 위원회의 권고를 더 많은 협상의 기초로 모호하게 승인하게 했다.[45][46][47][48][49] 1937년 10월 아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벤구리온은 분할이 "토지 전체를 소유"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50][51][52] 같은 감정이 1938년 6월 유대 기관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벤구리온에 의해 기록되었으며,[53] 하임 바이츠만에 의해서도 기록되었다.[52][54]

1939년 2월과 3월에 열린 런던 회담 이후, 영국 정부는 유럽으로부터의 유대인 이민 제한, 유대인 토지 매입 제한, 그리고 10년 이내에 위임통치령을 대체할 독립 국가 창설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백서를 발표했다. 이는 특히 유럽에서 유대인에 대한 박해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슈브''에 의해 위임 통치 조건에 대한 배신으로 여겨졌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시온주의자들은 팔레스타인으로의 불법 이민 프로그램인 ''알리야 베트''를 조직했다. 레히라는 소규모 극단적 시온주의자 단체는 팔레스타인에서 영국 당국을 상대로 무장 공격을 감행했다. 그러나 주류 시온주의 지도부와 대부분의 유대인 인구를 대표하는 유대 기관은 여전히 영국이 유대인 이민을 재개하도록 설득하길 희망했고,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과 협력했다.

6. 인구

1920년,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지역은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었으며, 인구는 약 750,000명이었다. 이 중 대다수는 아랍어를 사용하는 무슬림이었고, 베두인족(1922년 인구 조사 기준 103,331명)도 포함되었다. 유대인은 전체 인구의 약 11%를 차지했으며, 드루즈, 시리아인, 수단인, 소말리아인, 체르케스인, 이집트인, 콥트인, 그리스인, 헤자즈 아랍인 등 소수 민족도 거주했다.[152]

1922년 첫 번째 인구 조사에서는 총 757,182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78%는 무슬림, 11%는 유대인, 10%는 기독교인이었다. 1931년 두 번째 인구 조사에서는 총 인구가 1,035,154명으로 증가했으며, 무슬림은 73.4%, 유대인은 16.9%, 기독교인은 8.6%를 차지했다. 두 인구 조사 사이의 불일치로 인해, 약 9,000명의 유대인과 4,000명의 아랍인이 불법 이민한 것으로 추정되었다.[152]

1938년 예루살렘 YMCA의 아랍 기독교 팔레스타인 소년들


이후 공식적인 인구 조사는 없었지만, 출생, 사망, 이민 통계를 통해 인구 변화를 추적했다. 1936년 말, 총 인구는 약 1,300,000명으로 추산되었고, 유대인은 384,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30%를 차지했다. 아랍인 인구도 오스만 제국의 징병제 중단, 말라리아 퇴치 캠페인, 의료 서비스 개선 등의 영향으로 빠르게 증가했다.[153]

1939년 백서에서는 유대인 인구가 약 450,000명으로 증가하여 전체 인구의 약 3분의 1에 육박한다고 밝혔다. 1945년 인구 통계 연구에서는 총 인구가 1,764,520명으로, 무슬림 1,061,270명, 유대인 553,600명, 기독교인 135,550명, 기타 14,100명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총계무슬림유대인기독교인기타
1922752,048589,177
(78%)
83,790
(11%)
71,464
(10%)
7,617
(1%)
19311,036,339761,922
(74%)
175,138
(17%)
89,134
(9%)
10,145
(1%)
19451,764,5201,061,270
(60%)
553,600
(31%)
135,550
(8%)
14,100
(1%)
연평균 인구 증가율 1922–19453.8%2.6%8.6%2.8%2.7%



1945년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의 지방 자치 단체별 인구 지도

  • 150,000명 이상
  • 100,000명
  • 50,000명
  • 20,000명
  • 10,000명
  • 5,000명
  • 2,000명
  • 1,000명
  • 500명
  • 500명 미만
  • 네게브 사막의 유목 지역


다음은 1945년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의 16개 구역별 종교 인구 통계이다.[154]

1945년 구역별 팔레스타인 인구 통계
구역하위 구역무슬림유대인기독교인총계
%%%
하이파하이파95,97038%119,02047%33,71013%253,450
갈릴리아크51,13069%3,0304%11,80016%73,600
베이산16,66067%7,59030%6803%24,950
나사렛30,16060%7,98016%11,77024%49,910
사파드47,31083%7,17013%1,6303%56,970
티베리아스23,94058%13,64033%2,4706%41,470
리다야파95,98024%295,16072%17,7904%409,290
람레95,59071%31,59024%5,8404%134,030
사마리아제닌60,00098%negligible<1%1,2102%61,210
나블루스92,81098%negligible<1%1,5602%94,600
툴카름76,46082%16,18017%3801%93,220
예루살렘헤브론92,64099%300<1%170<1%93,120
예루살렘104,46041%102,52040%46,13018%253,270
라말라40,52083%negligible<1%8,41017%48,930
가자베르셰바6,27090%5107%2103%7,000
가자145,70097%3,5402%1,3001%150,540
총계1,076,78058%608,23033%145,0609%1,845,560



다음은 1922년 1922년 팔레스타인 인구 조사 기준 팔레스타인 자치구역별 인구이다.

자치구역무슬림유대인기독교인드루즈사마리아인바하이교도메타윌레힌두교도시크교도합계
예루살렘13,41333,97114,6996000484562,578
자파20,69920,1526,85008000047,709
하이파9,3776,2308,86312015200024,634
가자16,7225470100030017,480
헤브론16,0744307300000016,577
나블루스15,238165442147000015,947
사페드5,4312,9863431000008,761
리다7,166119260000008,103
나사렛2,486534,8850000007,424
람레5,837351,4400000007,312
티베리아스2,0964,4274221040006,950
베들레헴81825,8380000006,658
아크레4,883781,3441301020006,420
마지달5,0640330000005,097
칸 유니스3,8661230000003,890
툴카렘3,109232081810003,350
라말라12572,9720000003,104
베이트 잘라4103,0600000003,101
제닌2,3077108000021232,637
베르셰바2,0129823511000002,356
셰파-암르62301,263402000002,288
베이산1,687412130000001,941
합계139,07468,62255,04344916325936968264,317


7. 경제

1922년부터 1947년까지 위임 통치 기간 동안, 팔레스타인 경제는 유대인과 아랍인 부문 모두 성장했다. 유대인 경제 부문의 연간 성장률은 13.2%였고, 1인당 성장률은 4.8%였다. 이는 이민과 외국 자본 유입의 영향이 컸다. 반면 아랍인 경제 부문의 연간 성장률은 6.5%였고, 1인당 성장률은 3.6%였다. 1936년까지 유대인은 아랍인보다 2.6배 더 많은 소득을 올렸다.[228] 팔레스타인 아랍인의 소득은 다른 아랍 국가의 아랍인들보다 약간 더 높았다.[229]

1939년인간 개발 지수를 기준으로 팔레스타인 유대인은 36개국 중 15위, 팔레스타인 아랍인은 30위, 이집트는 33위, 터키는 35위였다.[231] 1942년 기준으로 팔레스타인 유대인의 76.2%는 도시에 거주했고, 아랍인의 68.3%는 농촌에 거주했다.[232]

위임 통치 기간 동안 팔레스타인의 산업과 교육은 크게 발전했다. 1919년 유대인 사회는 중앙 집권적인 히브리어 초등 교육 시스템을 구축했고, 1924년에는 하이파테크니온(이스라엘 공과대학)이, 1925년에는 예루살렘에 히브리 대학교가 설립되었다.[234]

야파 전기 회사(Jaffa Electric Company)는 1923년 핀하스 루텐베르크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나중에 팔레스타인 전기 공사(Palestine Electric Corporation)로 흡수되었다. 요르단 수력 발전소(First Jordan Hydro-Electric Power House)는 1933년에 개설되었다. 팔레스타인 항공(Palestine Airways)은 1934년에, 엔젤 제과점(Angel Bakeries)은 1927년에, 트누바(Tnuva) 유제품 회사는 1926년에 설립되었다. 전기는 주로 유대인 산업에 공급되었으며, 텔아비브하이파에 집중되었다. 1930년대 초반까지 두 도시의 산업용 전력 수요는 거의 같았다.[158]

이 나라에서 가장 큰 산업 지역은 하이파였으며, 그곳에는 많은 주택 프로젝트가 건설되었다.[159]

영국 통치로 전환된 후에도 팔레스타인의 농지 대부분은 오스만 제국 시대와 마찬가지로 강력한 아랍 씨족과 지역 무슬림 셰이크 등이 소유하고 있었다.

1931년 기준으로, 영국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의 영토는 26625600dunam였으며, 이 중 8252900dunam (33%)가 경작 가능했다. 1945년 기준으로 유대인들은 팔레스타인 전체의 1393531dunam (5.23%)를 소유했다.[141] 1948년 5월까지 유대인과 유대인 회사는 국가 전체 경작지의 20%를 소유했다.[142]

1940년 2월, 팔레스타인 영국 정부는 ''토지 양도 규정''을 공포하여 팔레스타인을 세 지역으로 나누고 토지 판매에 대한 제한을 두었다.

다음 표는 구역별 1945년 팔레스타인의 토지 소유권을 보여준다.

1945년 구역별 팔레스타인의 토지 소유권
구역하위 구역아랍 소유유대인 소유공공/기타
하이파하이파42%35%23%
갈릴리아크레87%3%10%
베이산44%34%22%
나사렛52%28%20%
사파드68%18%14%
티베리아스51%38%11%
리다야파47%39%14%
람레77%14%9%
사마리아제닌84%<1%16%
나블루스87%<1%13%
툴카름78%17%5%
예루살렘헤브론96%<1%4%
예루살렘84%2%14%
라말라99%<1%1%
가자브엘세바15%<1%85%
가자75%4%21%
데이터는 팔레스타인의 토지 소유권에서 가져옴[145]



다음 표는 1945년 12월 31일 기준, 팔레스타인 지역의 주요 유대인 기업 소유 토지 규모(제곱킬로미터)를 나타낸다.

1945년 12월 31일 기준, 주요 유대인 기업의 팔레스타인 토지 소유 규모(제곱킬로미터)
기업면적
JNF659.8km2
PICA193.7km2
팔레스타인 토지 개발 회사97km2
Hemnuta Ltd165km2
아프리카 팔레스타인 투자 회사99km2
베이사이드 토지 회사85km2
팔레스타인 쿠파트 암 은행84km2
합계9068km2
자료 출처: 팔레스타인 조사 (1권, 245쪽).[146][147]


8. 교육

영국 위임통치령 시기 팔레스타인은 경제, 문화적으로 발전했다. 1919년 유대인 공동체는 중앙 집중식 히브리어 학교 시스템을 설립했고, 1924년에는 하이파테크니온(이스라엘 공과대학)이, 1925년에는 예루살렘히브리 대학교가 설립되었다.[234]

1932년 기준 문맹률은 유대인이 86%였던 반면, 팔레스타인 아랍인은 22%였지만, 아랍인의 문맹률은 꾸준히 증가했다. 팔레스타인 아랍인의 문맹률은 이집트와 터키보다는 높았지만, 레바논보다는 낮았다.[230]

참조

[1] 웹사이트 Palestine seal https://www.royalmin[...] 2024-02-12
[2] 서적 Village Statistics, April, 1945 https://www.nli.org.[...] Government of Palestine
[3] 웹사이트 1922 Census of Palestine https://ecf.org.il/i[...] 2024-02-19
[4] 웹사이트 League of Nations decision confirming the Principal Allied Powers' agreement on the territory of Palestine https://unispal.un.o[...]
[5] 서적 Allenby in Palestine: The Middle East Correspondence of Field Marshal Viscount Allenby June 1917 – October 1919 Sutton Publishing Ltd
[6] 웹사이트 Article 22, The Covenant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avalon.law.ya[...] 2011-07-26
[7] 문서 Legal Consequences of the Construction of a Wall in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Advisory Opinion of 9 July 2004, 2004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63.
[8] 서적 From Coexistence to Conquest, International Law and the Origins of the Arab-Israeli Conflict, 1891–1949 Pluto Press
[9] 서적 Palestine: A Four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Zed
[10] 서적 Hamidian Palestine: Politics and Society in the District of Jerusalem 1872–1908 https://books.google[...] BRILL 2013-05-17
[11] 문서 The 1915 Filastin Risalesi ("Palestine Document") is a country survey of the VIII Corps (Ottoman Empire) of the Ottoman Army, which identified Palestine as a region including the sanjaqs of Akka (the Galilee), the Sanjaq of Nablus, and the Sanjaq of Jerusalem (Kudus Sherif)
[12] 서적 Palestine A Four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Zed Books 2018
[13] 간행물 ZIONIST VISIONS OF PALESTINE, 1917–19361 https://doi.org/10.1[...] 1994
[14] 문서 Orientations
[15] 문서 Minutes of the Ninth Session https://unispal.un.o[...] League of Nations, Permanent Mandate Commission 2011-06-28
[16] 잡지 Mandatory Palestine: What It Was and Why It Matters https://time.com/344[...] 2014-09-29
[17] 문서 A History of Islamic Societies
[18] 문서 A History of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Second Edition
[19] 웹사이트 First Arab Congress 1919 Paris Resolution (in Arabic) http://content.ecf.o[...]
[20] 웹사이트 Palestine Through History: A Chronology (I) http://www.palestine[...] 2016-02-14
[21] 웹사이트 United Nations Maintenance Page https://unispal.un.o[...]
[22] 뉴스 A Colonial Room With a View of Jerusalem https://www.haaretz.[...] Haaretz 2012-04-24
[23] 서적 Current Flow: The Electrification of Palestine Stanford University Press
[24] 서적 Palestine Jewry and the Arab Question, 1917 – 1925 F. Cass
[25] 백과사전 al-Husayni, Amin Facts On File
[26] 문서 Confronting an Empire, Constructing a Nation: Arab Nationalists and Popular Politics in Mandate Palestine I.B.Tauris
[27] 문서 Islamic Endowments in Jerusalem under British Mandate Frank Cass
[28] 문서 A Broken Trust: Herbert Samuel, Zionism and the Palestinians 1920–1925 I.B. Tauris
[29] 웹사이트 1922 Palestine Order in Council https://unispal.un.o[...]
[30] 웹사이트 Legislative Council (Palestine) http://www.answers.c[...] 2018-10-15
[31] 뉴스 Palestine. The Constitution Suspended. Arab Boycott Of Elections. Back To British Rule The Times 1923-05-30
[32]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uncil of Jewish Women https://jwa.org/ency[...] International Council of Jewish Women 2018-11-20
[33] 문서 Official Journal League of Nations 1923-10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37] 서적 Palestine and the Arab–Israeli Conflict: A History with Documents
[38] 서적
[39] 간행물 Covenant https://web.archive.[...] IDC 2014-08-04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Holy War in Judaism: The Fall and Rise of a Controversial Ide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3] 웹사이트 Aljazeera: The history of Palestinian revolts https://web.archive.[...] 2005-12-15
[44] 서적
[45] 서적 Ends of British Imperialism: The Scramble for Empire, Suez, and Decolonization https://books.google[...]
[46] 서적 One State, Two States: Resolving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47] 서적 The Birth of the Palestinian Refugee Problem Revisite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2-12
[48] 뉴스 Zionists Ready To Negotiate British Plan As Basis The Times 1937-08-12
[49] 서적 Arab-Israel Peacemaking Continuum
[50] 문서 Letter from David Ben-Gurion to his son Amos, written 5 October 1937 http://www.palestine[...]
[51] 서적 Righteous Victims: A History of the Zionist-Arab Conflict, 1881–1998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52] 서적 Beyond Chutzpah: On the Misuse of Anti-semitism and the Abuse of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3] 서적 Expulsion of the Palestinians: The Concept of "Transfer" in Zionist Political Thought, 1882–1948 https://archive.org/[...] Inst for Palestine Studies
[54] 서적 Expulsion of the Palestinians: The Concept of "Transfer" in Zionist Political Thought, 1882–1948 https://archive.org/[...] Inst for Palestine Studies
[55] 웹사이트 Why Italian Planes Bombed Tel-Aviv? https://web.archive.[...]
[56] 웹사이트 How the Palmach was formed http://www.historyce[...]
[57] 문서 http://www.nationala[...]
[58] 서적 Mufti of Jerusalem; the story of Haj Amin el Husseini V. Gollancz 1947
[59] 서적 Germany and the Middle East: From Kaiser Wilhelm II to Angela Merkel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18-12-17
[60] 뉴스 12,000 Palestinians Fought for U.K. in WWII alongside Jewish Volunteers, Historian Finds. https://www.haaretz.[...] Haaretz 2019-05-31
[61] 서적 The Second World War Thomas Dunne Books
[62] 서적 The Mauritius Affair, The Boat People of 1940–41 R Lenk
[63] 웹사이트 Who Perished on the Struma And How Many? http://www.jewishgen[...] JewishGen.org
[64] 웹사이트 http://flot.sevastop[...] 2000–2013
[65] 웹사이트 מפקורה SS Mefküre Mafkura Mefkura http://www.wertheime[...] 2011-09-27
[66] 학술 United States: British Collaboration on Illegal Immigration to Palestine, 1945-1947 https://www.jstor.or[...] JSTOR 2023-12-06
[67] 서적 Attlee
[68] 문서 UNSCOP and the Partition Recommendation. http://yorkspace.lib[...] Centre for Refugee Studies, York University
[69] 웹사이트 A/RES/181(II) of 29 November 1947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2012-01-11
[70] 서적 Survey of Arab-Israeli Relat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71] 문서 Article 11 of the United Nations Charter
[72] 논문 The Partition of Palestine: A lesson in pressure politics
[73] 서적 Truman, the Jewish vote, and the creation of Israel https://archive.org/[...] Hoover Institution
[74] 논문 The question of Palestine and United States behavior at the United Nations
[75]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3-07-24
[76]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ONCILIATION COMMISSION FOR PALESTINE A/AC.25/W/19 30 July 1949: (Working paper prepared by the Secretariat) http://unispal.un.or[...] 2013-08-24
[77] 웹사이트 Palestine http://school.eb.com[...]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School Edition 2006-05-15
[78] 간행물 Palestine, British Mandate for ABC-CLIO
[79] 서적 Mandate Days: British Lives in Palestine, 1918–1948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80] 웹사이트 The Revolt https://www.jewishvi[...]
[81] 문서 See Mandates, Dependencies and Trusteeship Carnegie Endowment
[82] 웹사이트 The Mandate is Indivisble http://www.jpress.or[...] 1946-04-09
[83] 웹사이트 The Near East and Africa http://digicoll.libr[...]
[84] 서적 Truman, the Jewish vote, and the creation of Israel https://books.google[...] Hoover Press
[85] 웹사이트 The Near East and Africa, Volume V (1947) http://digicoll.libr[...]
[86] 웹사이트 The British Empire in the Middle East, 1945–1951 https://books.google[...] William Roger Louis, Clarendon Press 1984
[87] 웹사이트 Violence Ebbs; British Police Withdrawn from Tel Aviv and Its Environs – Jewish Telegraphic Agency http://www.jta.org/1[...] 1947-12-16
[88] 서적 Britain's Moment in Palestine: Retrospect and Perspectives, 1917–1948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2-24
[89] 웹사이트 British Forces in Jerusalem Alerter Following Haifa Victory; Fear Haganah Raid on City – Jewish Telegraphic Agency http://www.jta.org/1[...] 1948-04-23
[90] 웹사이트 PALESTINE BILL https://api.parliame[...] 1948-03-10
[91] 문서 The Arab-Israeli Wars: War and Peace in the Middle East from the 1948 War of Independence to the Present
[92] 웹사이트 'U.N. Resolution 181 (II). Future Government of Palestine, Part 1-A, Termination of Mandate, Partition and Independence' http://domino.un.org[...] 2017-05-20
[93] 웹사이트 U.N. Resolution 181 (II). Future Government of Palestine, Part 1-A, Termination of Mandate, Partition and Independence http://www.yale.edu/[...]
[94] 웹사이트 President Truman's Trusteeship Statement – 1948 http://www.mideastwe[...]
[95] 서적 Whitaker's Britai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96] 웹사이트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Declaration of Establishment of State of Israel: 14 May 1948 http://www.mfa.gov.i[...] 2012-04-09
[97] 문서 For the sake of Jerusalem Mazo Publishers
[98] 문서 Declar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e of Israel 1948-05-14
[99] 논문 Law and Judicial Practice in Israel
[100] 웹사이트 Copy of telegram from Epstein to Shertok https://www.archives[...] Government of Israel 2013-05-03
[101] 웹사이트 Our Documents – Press Release Announcing U.S. Recognition of Israel (1948) http://www.ourdocume[...] 2021-04-09
[102] 웹사이트 Palestine Passports Cease to Give British Protection After May Govt. Announces – Jewish Telegraphic Agency http://www.jta.org/1[...] 1948-03-26
[103] 문서 Expulsion of the Palestinians Institute for Palestine Studies
[104] 웹사이트 In 1948 half of Palestine's 1.4 million Arabs were uprooted from their homes and became refugees https://books.google[...]
[105] 문서 The Arab Expeditionary Forces to Palestine, 15/5/48
[106] 문서 Bayliss, 1999, p. 84.
[107] 서적 Zionism's Maritime Revolution: The Yishuv's Hold on the Land of Israel's Sea and Shores, 1917–1948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9-07-08
[108] 웹사이트 Plan of partition - Summary of the UK Palestine Royal Commission (Peel Commission) report - League of Nations/Non-UN document https://www.un.org/u[...]
[109] 웹사이트 The Paris Peace Conference http://digicoll.libr[...]
[110] 웹사이트 Summary of the work of the League of Nations, January 1920 – March 1922 https://archive.org/[...] London
[111] 웹사이트 Internet History Sourcebooks http://www.fordham.e[...] 2010-01-12
[112] 문서 See Defending the Rights of Others, by Carol Fink, Cambridge University, 2006,
[113] 웹사이트 See the Statement of the Principal Accredited Representative, Hon. William Ormsby-Gore, 4th Baron Harlech, C.330.M.222, Mandate for Palestine http://domino.un.org[...] 2011-06-03
[114] 웹사이트 See the Judgment in "Legal Consequences of the Construction of a Wall in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http://www.icj-cij.o[...] 2011-01-12
[115] 간행물 See paragraphs 49, 70, and 129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Advisory Opinion, Legal Consequences of the Construction of a Wall in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http://www.icj-cij.o[...] 2010-07-06
[116] 뉴스 Palestine. The Constitution Suspended., Arab Boycott Of Elections., Back To British Rule The Times 1923-05-30
[117] 문서 Se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47. The Near East and Africa Volume V, p. 1033
[118] 웹사이트 Filastin http://web.nli.org.i[...] 2019-03-04
[119] 학술지 Anatomy of the 1936–39 Revolt: Images of the Body in Political Cartoons of Mandatory Palestine https://www.academia[...] 2008-01-01
[120] 문서 'In June 1947, the British Mandate Government of Palestine had published the following statistics: "It is estimated that over a quarter of the Jewish population in Palestine are Sephardic Jews of whom some 60,000 were born of families resident in Palestine for centuries. The bulk of the Sephardic community, however, consists of oriental Jews emanating from Syria, Egypt, Persia, Iraq, Georgia, Bokhara and other Eastern countries. They are confined mainly to the larger towns ..." (From: Supplement to Survey of Palestine – Notes compiled for the information of the United Nations Special Committee on Palestine – June 1947, Gov. Printer Jerusalem, pp. 150–151)'
[121] 웹사이트 Jewish Agency History http://www.jewishage[...] 2012-01-29
[122] 문서 Palestine Jewry and the Arab Question, 1917–1925 F. Cass
[123] 서적 A Survey of Palestine: Prepared in December 1945 and January 1946 for the Information of the Anglo-American Committee of Inquiry Govt. printer
[124] 서적 A Survey of Palestine: Prepared in December 1945 and January 1946 for the Information of the Anglo-American Committee of Inquiry Govt. printer
[125] 서적 The population of Palestine: population history and statistics of the late Ottoman period and the Mandate Darwin Press
[126] 문서 Supplement to Survey of Palestine – Notes compiled for the information of the United Nations Special Committee on Palestine – June 1947 Gov. Printer Jerusalem
[127] 서적 The Statehood of Palestine: International Law in the Middle East Conflic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8] 문서 See History of Zionism (1600–1918), Volume I, Nahum Sokolow, 1919 Longmans, Green, and Company, London, pp. xxiv–xxv
[129] 웹사이트 The Avalon Project : The Palestine Mandate http://avalon.law.ya[...]
[130] 웹사이트 British White Paper of June 1922 http://avalon.law.ya[...]
[131] 문서 See the report of the United Nations Special Committee on Palestine, UN Document A/364, 3 September 1947
[132] 문서 Memorandum by the Secretary of State for the Colonies, "Palestine: High Commissioners Views on Policy", March 1930, UK National Archives Cabinet Paper CAB/24/211, formerly C.P. 108 (30)
[133] 웹사이트 PERMANENT MANDATES COMMISSION MINUTES OF THE TWENTY-SECOND SESSION https://unispal.un.o[...] LEAGUE OF NATIONS 2010-06-08
[134] 문서 Partner to Partition: The Jewish Agency's Partition Plan in the Mandate Era Routledge
[135] 웹사이트 FRUS: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diplomatic papers, 1937. The British Commonwealth, Europe, Near East and Africa: Palestine http://digicoll.libr[...]
[136] 문서 See Letters to Paula and the Children, David Ben Gurion, translated by Aubry Hodes,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971 pp. 153–157
[137] 문서 See Righteous Victims: A History of the Zionist–Arab Conflict, 1881–1999, by Benny Morris, Knopf, 1999,
[138] 문서 See Scars of war, Wounds of Peace: The Israeli–Arab Tragedy, by Shlomo Ben-Ami,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6,
[139] 웹사이트 Avalon Project – Anglo-American Committee of Inquiry – Chapter V http://avalon.law.ya[...]
[140] 문서 Se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46, The Near East and Africa Volume VII, pp. 692–693
[141] 간행물 Land Ownership in Palestine CZA, KKL5/1878. The statistics were prepared by the Palestine Lands Department for the Anglo-American Committee of Inquiry, 1945, ISA, Box 3874/file 1 1991
[142] 서적 Jewish Property Claims Against Arab Countrie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3-08-13
[143] 서적 Facts and Fables (RLE Israel and Palestine): The Arab-Israeli Conflic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144] 논문 Whose Land? Land Tenure in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Century Palestine http://www.tandfonli[...]
[145] 웹사이트 Land Ownership of Palestine https://www.un.org/u[...] 2024-02-26
[146] 웹사이트 Table 2 showing Holdings of Large Jewish Lands Owners as of December 31st, 1945, British Mandate: A Survey of Palestine: Volume I – Page 245. Chapter VIII: Land: Section 3., prepared by the British Mandate for the United Nations http://www.palestine[...] Survey of Palestine 2021-06-18
[147] 서적 A Survey of Palestine: Prepared in December, 1945 and January, 1946 for the Information of the Anglo-American Committee of Inquiry Institute for Palestine Studies
[148] 웹사이트 Ownership of land in Palestine, Share of Palestinan (sic) Arabs and Jews as of 1 April 1943, prepared by the British Mandate for the United Nations http://www.palestine[...] Survey of Palestine 2018-09-29
[149] 문서 ibid Supplement p30
[150] 문서 A Survey of Palestine http://www.palestine[...] Government Printer of Jerusalem 1945
[151] 웹사이트 Hope Simpson report, Chapter III http://www.zionism-i[...] Zionism-israel.com 1930-10
[152] 간행물 Census of Palestine, 1931 UK government 1932
[153] 웹사이트 The Political History of Palestine under British Administration https://web.archive.[...] Memorandum to the United Nations Special Committee
[154] 서적 A Survey of Palestine: Prepared in December, 1945 and January, 1946 for the Information of the Anglo-American Committee of Inquiry Institute for Palestine Studies
[155] 문서 J. B. Barron, ed. Palestine, Report and General Abstracts of the Census of 1922. Government of Palestine
[156] 웹사이트 The Palestine Order in Council, 10 August 1922, article 11 https://unispal.un.o[...] 2014-09-16
[157] 웹사이트 H.h. Trusted Named Chief Justice of Palestine http://www.jta.org/1[...] Jewish Telegraphic Agency 1936-10-27
[158] 서적 Current Flow: The Electrification of Palestin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3
[159] 뉴스 Haifa's glass house transparent, but still an Israeli mystery http://www.haaretz.c[...] 2012-04-05
[160] 웹사이트 Why Only a Hebrew University? The Tale of the Arab University in Mandatory Jerusalem https://www.palestin[...] Institute for Palestine Studies 2023
[161] 간행물 Palestine Royal Commission Report 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State for the Colonies to Parliament by Command of His Majesty, July 1937, Cmd. 5479 http://unispal.un.or[...] His Majesty’s Stationery Office., London 1937
[162] 웹사이트 The Palestine Mandate, The Avalon Project http://avalon.law.ya[...]
[163] 간행물 Digest of International Law US State Department 1963
[164] 서적 The White Man's Burden: Why the West's Efforts to Aid the Rest Have Done So Much Ill and So Little Good Penguin (Non-Classics) 2007-02-27
[165] 간행물 Minutes of the Ninth Session http://domino.un.org[...] League of Nations, Permanent Mandate Commission 1926
[166] 웹사이트 Tom Segev's New Mandate, Yehoshua Porath http://www.jewishage[...]
[167] 서적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in World Politics: A Documentary Record Yale University Press 1979
[168] 웹사이트 See also "The Armistice in the Middle East," in http://www.encyclope[...]
[169] 서적 Allenby and British Strategy in the Middle East, 1917–1919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9
[170] 문서 minutes of the meeting of the Council of Four http://digicoll.libr[...]
[171] 웹사이트 http://www.mideastwe[...]
[172] 웹사이트 Excerpts from League of Nations Official Journal dated June 1922, pp. 546–549 http://unispal.un.or[...]
[173] 웹사이트 The Sykes-Picot Agreement: 1916, Avalon Project http://www.yale.edu/[...]
[174] 웹사이트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Statement of Emir Faisal to the Council of Ten http://digicoll.libr[...]
[175] 뉴스 DESIRES OF HEDJAZ STIR PARIS CRITICS; Arab Kingdom's Aspirations Clash With French Aims in Asia Minor http://query.nytimes[...]
[176] 웹문서 Statement of the Zionist Organization regarding Palestine, 3 February 1919 http://domino.un.org[...]
[177] 웹문서 The King-Crane Commission Report, 28 August 1919 Confidential Appendix http://www.hri.org/d[...]
[178] 서적 The Vatican and Zionism: Conflict in the Holy Land, 1895–1925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990
[179] 문서 Hubert Young to Ambassador Hardinge (Paris), 27 July 1920
[180] 문서 Telegram from Earl Curzon to Sir Herbert Samuel, dated 6 August 1920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1963
[181] 문서 Telegram 7 August 1920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1963
[182] 서적 Jordan: A Study in Political Development 1923–1965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72
[183] 웹사이트 Samuel, Herbert Louis, first Viscount Samuel (1870–1963)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04-09
[184] 서적 Palestine Papers, 1917–1922 George Braziller 1973
[185] 서적 For the Land and the Lord: Jewish Fundamentalism in Israel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186] 웹문서 Article 25 of the Mandate for Palestine http://www.yale.edu/[...]
[187] 서적 A History of Modern Palestine: One Land, Two Peop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8] 서적 The Boundaries of Modern Palestine, 1840–1947 https://books.google[...] Routledge
[189] 문서 Franco-British Convention on Certain Points Connected with the Mandates for Syria and the Lebanon, Palestine and Mesopotamia, signed 23 December 1920 1922
[190] 문서 Agreement between His Majesty's Government and the French Government respecting the Boundary Line between Syria and Palestine from the Mediterranean to El Hámmé, Treaty Series No. 13 (1923), Cmd. 1910 http://untreaty.un.o[...]
[191] 웹문서 FSU Law http://www.law.fsu.e[...]
[192] 문서 Text in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193] 웹문서 The End of the French Religious Protectorate in Jerusalem (1918–1924) http://bcrfj.revues.[...]
[194] 웹문서 San Remo Convention http://wwi.lib.byu.e[...]
[195] 뉴스 League of Nations Official Journal
[196] 서적 History of Zionism (1600–1918), Volume I Longmans, Green, and Company
[197] 보고서 report of the United Nations Special Committee on Palestine 1947-09-03
[198] 웹사이트 PERMANENT MANDATES COMMISSION MINUTES OF THE TWENTY-SECOND SESSION http://unispal.un.or[...] LEAGUE OF NATIONS 2010-06-08
[199] 문서 "PALESTINE: HIGH COMMISSIONERS VIEWS ON POLICY" 1930-03
[200] 서적 Letters to Paula and the Children University of Pittsburg Press
[201] 서적 Righteous victims: a history of the Zionist-Arab conflict, 1881–1999 Knopf
[202] 서적 Scars of war, wounds of peace: the Israeli-Arab tragedy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3] 보고서 Official Records of the Second Session of the General Assembly http://domino.un.org[...] 1947-09-03
[204] 웹사이트 Jewish Virtual Library https://www.jewishvi[...]
[205] 서적 The Letters and Papers of Chaim Weizmann: August 1898 – July 1931 Transaction Publishers
[206] 서적 Palestine and the Arab-Israeli conflict 2001
[207] 서적 The Balfour Declaration: The Origins of the Arab-Israeli Conflict A&C Black
[208] 문서 Vital, Zionism, p. 83
[209] 서적 La Question de Palestine Fayard, Paris
[210] 문서 League of Nations, Official Journal 1923-10
[211] 간행물 Palestine Mandate Conven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Great Britain http://digicoll.libr[...]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1924-12-03
[212] 간행물 The Paris Peace Conference, 1919 http://digicoll.libr[...]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1919
[213] 간행물 Summary of the work of the League of Nations, January 1920 – March 1922 https://archive.org/[...] League of Nations Union 1922
[214] 문서 Article 62 (LXII) of the Treaty of Berlin http://www.fordham.e[...]
[215] 서적 Defending the Rights of Others Cambridge University 2006
[216] 간행물 Mandate for Palestine – Minutes of the Permanent Mandates Commission/League of Nations 32nd session http://domino.un.org[...] League of Nations 1937-08-18
[217] 문서 Legal Consequences of the Construction of a Wall in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http://www.icj-cij.o[...]
[218] 논문 Legal Consequences of the Construction of a Wall in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http://www.icj-cij.o[...]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219] 서적 The Iron Cage: The Story of the Palestinian Struggle for Statehood https://books.google[...] Beacon Press 2006
[220] 문서 The Palestine Order in Council, of 1922 http://domino.un.org[...]
[221] 서적 2006
[222] 서적 2006
[223] 간행물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47. The Near East and Africa Volume V
[224] 웹사이트 A Survey of Palestine: Prepared in December 1945 and January 1946 for the Information of the Anglo-American Committee of Inquiry Govt. printer 1946
[225] 기타 Ibid.
[226] 서적 The population of Palestine: population history and statistics of the late Ottoman period and the Mandate Darwin Press
[227] 뉴스 Palestine Through History: A Chronology (I) http://www.palestine[...] The Palestine Chronicle
[228] 서적 2006
[229] 서적 2006
[230] 서적 2006
[231] 서적 2006
[232] 서적 2006
[233] 서적 2006
[234] 웹사이트 The Jewish Community under the Mandate http://www.jewishvir[...]
[235] 서적 2006
[236] 서적 2006
[237] 서적 2006
[238] 서적 2006
[239] 서적 One Palestine, Complete Metropolitan Books
[240] 뉴스 Zionists Ready To Negotiate British Plan As Basis The Times 1937-08-12
[241] 서적 Arab-Israel Peacemaking The Continuum Political Encyclopedia of the Middle East 2002
[242] 서적 2001
[243] 뉴스 Aljazeera: The history of Palestinian revolts https://web.archive.[...] Aljazeera
[244] 서적 2001
[245] 문서 アトラス作戦 http://www.nationala[...]
[246] 웹사이트 Why Italian Planes Bombed Tel-Aviv? http://www.isracast.[...]
[247] 웹사이트 How the Palmach was formed http://www.historyce[...]
[248] 서적 American Jewish History American Jewish Historical Society
[249] 문서 Article 11 of the United Nations Charter
[250] 논문 The Partition of Palestine: A lesson in pressure politics 1948
[251] 서적 Truman, the Jewish vote, and the creation of Israel Hoover Institution 1974
[252] 논문 The question of Palestine and United States behavior at the United Nations 2004
[253] 웹사이트 Palestine http://school.eb.com[...] 2006-05-15
[254] Encyclopedia Palestine, British Mandate for ABC- CLIO
[255] 서적 Mandate Days: British Lives in Palestine, 1918-1948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56] 웹사이트 Extracts from Time Magazine of that time http://www.time.com/[...]
[257] 서적 The Birth of the Palestinian refugee problem revisited 2004
[258] 서적 2006
[259] 서적 2002
[260] 뉴스 The Times The Times 1948-03-01
[261] 서적 Palestine and the United Nations: Prelude to a Solution Greenwood Press 1971
[262] 간행물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diplomatic papers, 1945. General: the United Nations Volume I http://digicoll.libr[...]
[263] 서적 Mandates, Dependencies and Trusteeship Carnegie Endowment 1948
[264] 서적 The Seat of Pilate; an Account of the Palestine Mandate Cresset Press 1959
[265] 뉴스 The Mandate is Indivisble http://www.jpress.or[...] Palestine Post, Tel Aviv University, National Archive 1946-04-09
[266] 간행물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diplomatic papers, 1941.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Near East and Africa Volume III (1941), pages 809–810; and Statement of General de Gaulle of 29 November 1941, concerning the Mandate for Syria and Lebanon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67] 간행물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46. The Near East and Africa Volume VII (1946) http://digicoll.libr[...]
[268] 간행물 Minutes of the 57th Session of the Security Council http://doc.un.org/Do[...]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8
[269] 간행물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47. The Near East and Africa Volume V http://digicoll.libr[...]
[270] 서적 Truman, the Jewish vote, and the creation of Israel https://books.google[...] Hoover Press 1974
[271] 간행물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The Near East and Africa, Volume V (1947) http://digicoll.libr[...]
[272] 웹사이트 ' U.N. Resolution 181 (II). Future Government of Palestine, Part 1-A, Termination of Mandate, Partition and Independence' http://domino.un.org[...]
[273] 웹사이트 United States Proposal for Temporary United Nations Trusteeship for Palestine Source: Department of State Bulletin, vol. 18, No. 457, 4 April 1948, p. 451 http://www.mideastwe[...]
[274] 서적 For the sake of Jerusalem Mazo Publishers 2006
[275] 기타 The Arab Expeditionary Forces to Palestine, 15/5/48 19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