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은 1947년 유엔의 팔레스타인 분할 결의안에 대한 아랍 측의 반발로 시작되어, 이스라엘 독립 선언 이후 아랍 연맹 5개국이 이스라엘에 전쟁을 선포하면서 본격화되었다. 이스라엘은 전쟁에서 승리하여 독립을 유지하고 영토를 확장했지만, 약 70만 명의 팔레스타인 난민이 발생했으며, 이스라엘 내 아랍인에 대한 차별 정책이 시행되었다. 아랍 국가들은 패배로 정치적 혼란을 겪었고, 전쟁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기원이 되어 현재까지 중동 지역의 불안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쟁 명칭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관련 분쟁1948년 팔레스타인 전쟁, 아랍-이스라엘 분쟁
날짜1948년 5월 15일 – 1949년 3월 10일
장소이전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시나이 반도, 남부 레바논
결과이스라엘의 승리
이스라엘 건국
요르단의 서안 지구 합병
이집트가자 지구 점령
팔레스타인의 패배
팔레스타인인 추방 및 이주
팔레스타인 페다인 봉기 시작
교전 세력
교전국 1이스라엘
교전국 1 상세1948년 5월 26일 이전: 이슈브
준군사 조직:
하가나
팔마흐
히쉬

이르군
레히
동맹 베두인 부족
1948년 5월 26일 이후: 이스라엘 방위군
소수자 부대
외국인 자원 봉사자: 마할
교전국 2아랍 연맹:
이집트 왕국
전 팔레스타인 보호령 (1948년 9월 22일 이후)
성전군 (1948년 9월 22일 이후)
트란스요르단
이라크 왕국
시리아
레바논
사우디 아라비아
예멘 왕국
비정규군:
아랍 해방군
알-나자다
성전군
지휘관
이스라엘다비드 벤구리온
이스라엘 갈릴리
야코프 도리
이가엘 야딘
미키 마르커스
이갈 알론
이츠하크 라빈
다비드 샬티엘
모셰 다얀
시몬 아비단
모셰 카르멜
이츠하크 사데
아랍 연맹아잠 파샤
파루크 1세
아흐메드 알리 알-무와위
무함마드 나기브
압둘라 1세
존 바고트 글럽
하비스 마잘리
무자힘 알-파차치
슈크리 알-쿠와틀리
하즈 아민 알-후세이니
하산 살라마
파우지 알-카우크지
병력 규모
이스라엘초기: 29,677명
최종: 117,500명
아랍 연맹이집트: 초기 10,000명, 증가하여 20,000명
요르단: 7,500 – 10,000명
이라크: 초기 2,000명, 증가하여 15,000 – 18,000명
시리아: 2,500 – 5,000명
레바논: 1,000명
사우디 아라비아: 800 – 1,200명 (이집트 지휘)
예멘: 300명
아랍 해방군: 3,500 – 6,000명
총합:
초기: 13,000명
최소: 51,100명
최대: 63,500명
사상자 및 피해
이스라엘6,373명 사망 (약 4,000명 전투원 및 2,400명 민간인)
아랍 연맹 및 팔레스타인아랍 군대: 3,700 – 7,000명 사망
팔레스타인 아랍인: 3,000 – 13,000명 사망 (전투원 및 민간인)

2. 배경

1947년 11월 29일, 유엔 총회는 영국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을 아랍 국가와 유대 국가, 그리고 예루살렘시로 분할하는 계획을 채택 및 시행할 것을 권고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23]

분할 결의안은 유대인 공동체에서는 환영받았지만, 아랍 세계에서는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팔레스타인에서는 즉시 폭력이 발생하여 보복과 반보복의 소용돌이로 이어졌다. 영국은 긴장이 고조되어 저강도 분쟁으로 번지면서 개입을 자제했고, 이는 곧 전면적인 내전으로 확대되었다.[24]

1월부터 작전은 점점 더 군사화되었으며, 팔레스타인 내 여러 아랍 해방군 연대가 개입하여 각기 다른 해안 도시 주변의 다양한 구역에서 활동했다. 그들은 갈릴리와 사마리아에서 그들의 존재를 강화했다.[25] 압드 알-카디르 알-후세이니는 성전 군대의 수백 명의 병력과 함께 이집트에서 왔다. 수천 명의 자원병을 모집한 알-후세이니는 예루살렘의 유대인 주민 10만 명을 봉쇄했다.[26]

이에 맞서 이슈브 당국은 최대 100대의 장갑차를 동원하여 도시에 물자를 공급하려 했지만, 구호 수송대의 사상자가 급증하면서 작전은 점점 더 비현실적으로 변했다. 3월이 되자 알-후세이니의 전술이 효과를 보았다. 하가나의 거의 모든 장갑차는 파괴되었고 봉쇄는 완전히 시행되었으며, 도시에 물품을 반입하려던 수백 명의 하가나 회원들이 사망했다.[27] 매우 고립된 네게브와 갈릴리 북부의 유대인 정착지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상황은 더욱 심각했다.

유대인들은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모든 지역을 사수하라는 엄격한 명령을 받았지만,[28] 아랍인들은 국가가 노출된 일반적인 불안정의 상황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하이파, 자파, 예루살렘 또는 유대인이 지배하는 지역의 도시 상류층과 중산층 출신 아랍인 최대 10만 명이 해외로 피난하거나 동쪽 아랍 중심지로 이동했다.[29]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미국은 분할 계획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고, 아랍 연맹은 아랍 해방군에 의해 강화된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이 계획을 종식시킬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 그러나 영국은 1948년 2월 7일, 팔레스타인의 아랍 지역을 트란스요르단에 합병하는 것을 지지하기로 결정했다.[30]

다비드 벤구리온은 하가나를 재조직하고 징병을 의무화했다. 모든 유대인 남성과 여성은 군사 훈련을 받아야 했다. 골다 메이어가 미국 내 동조자들로부터 모금한 자금과 요시프 스탈린이 시온주의를 지지하기로 결정한 덕분에 팔레스타인의 유대인 대표들은 동방에서 매우 중요한 무기 계약을 체결할 수 있었다. 다른 하가나 요원들은 제2차 세계 대전의 비축 물품을 회수하여 군대의 장비와 물류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발락 작전을 통해 3월 말까지 무기와 기타 장비를 처음으로 수송할 수 있었다.[31]

팔마흐 M4 셔먼 탱크가 호송대를 이끌고 있다


벤구리온은 이가엘 야딘에게 영국군의 예상되는 철수에 맞춰 공격 계획을 수립할 책임을 부여했다. 달레트 계획이라고 불리는 이 전략은 3월까지 준비되어 4월 말에 실행되었다.[32] 별도의 계획인 나흐손 작전은 예루살렘 포위를 풀기 위해 고안되었다. 하가나의 기바티 여단과 팔마흐의 하렐 여단의 병력 1,500명이 4월 5일부터 20일까지 도시로 가는 길을 확보하기 위해 출동했다. 양측은 유대인과 아랍인의 관할권이 없는 ''코르푸스 세파라툼''으로 예루살렘을 예상한 분할 계획에 반하여 공격적으로 행동했다. 아랍인들은 계획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유대인들은 도시의 국제화를 반대하고 유대 국가의 일부로 확보하기로 결심했다.[33] 작전은 성공적이었고, 유대인들에게 배포할 수 있는 2개월 분량의 식량이 트럭으로 예루살렘에 수송되었다.[34] 작전의 성공은 알-후세이니가 전투에서 사망하면서 더욱 뒷받침되었다.

이 기간 동안 이르군과 레히의 전투원들은 데이르 야신에서 상당수의 팔레스타인인을 학살했다. 이 공격은 널리 알려졌고, 팔레스타인 인구의 사기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아랍 인구의 엑소더스를 초래하는 데 기여했다.[35]

동시에, 아랍 해방군은 첫 대규모 작전인 미슈마르 하에메크에서 완패했으며,[36] 그들의 드루즈 동맹국들이 이탈하면서 손실을 입었다.[37]

1948년 4월, 하이파에서 추방되는 팔레스타인인


달레트 계획 실행과 함께, 하가나, 팔마흐, 이르군 부대는 혼합 구역을 정복하기 시작했다. 티베리아스, 하이파, 사페드, 베이산, 자파, 아크레가 모두 점령되고 25만 명 이상의 팔레스타인 아랍인이 도망치거나 추방되면서 팔레스타인 아랍 사회는 흔들렸다.[38]

영국군은 병력을 철수했고, 인접한 아랍 국가들은 개입했지만, 준비가 부족하여 상황을 반전시킬 수 없었다.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의 희망은 트란스요르단의 아랍 군단에 있었지만, 압둘라 1세 국왕은 영국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 영토를 합병하고 싶어했기 때문에 팔레스타인 아랍 국가를 만들 의도가 없었다. 그는 아랍 연맹과 마찬가지로 유대 당국과도 접촉하면서 이중적인 게임을 하고 있었다.

하가나는 예프타 작전[39]과 벤-'아미 작전을 성공적으로 시작하여 갈릴리의 유대인 정착지를 확보했고, 킬숀 작전으로 예루살렘 주변에 통일 전선을 구축했다.

1948년 5월 14일, 다비드 벤구리온은 이스라엘국의 수립을 선언했고, 1948년 팔레스타인 전쟁은 아랍 국가 군대의 개입과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의 시작과 함께 두 번째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2. 1. 시온주의 운동과 아랍 민족주의의 대두

시온주의 운동은 유대인들이 포그롬 등의 박해를 피해 "시온으로의 귀환"과 "유대인 국가 건국"을 목표로 한 이념으로, 1900년 전후로 வலு를 얻었다.[249] 이미 오스만 제국 치하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하는 사람들도 있었으며, 1907년에는 군사 조직 하가나의 전신인 바르 기오라가 창설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은 유대인의 협력을 얻기 위해 1917년 밸푸어 선언을 발표했고, 이에 따라 영국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에는 유대인 정착민이 증가했다. 영국은 팔레스타인을 제외한 아랍인의 독립을 약속한 후세인-맥마흔 협정과는 모순되지 않으며, 팔레스타인에는 유대인의 "향토" 건설 여지가 있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유대인 정착과 시온주의는 아랍계 팔레스타인인과의 갈등을 야기했고, 팔레스타인인유대인을 습격하는 통곡의 벽 사건이나 아랍인의 반란 등 폭력 사태로 이어졌다.

아랍인의 반란 발생 후 1937년 영국 필 위원회는 팔레스타인 면적의 15%를 유대인 국가로 분할하는 안을 제시했지만, 아랍 측은 이를 거부했다. 1939년 영국은 분할안이 불가능하다고 판단, 맥도널드 백서를 통해 "영국은 유대인 국가를 상정하고 있지 않으며 밸푸어 선언은 이행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고 유대인 이민을 제한, 10년 이내 아랍인과 유대인의 혼합 국가(팔레스타인 독립)를 요구했다. 그러나 이는 건국을 긍정해 온 시온주의자들의 반발을 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대인 국가 건국에 부정적이며 이민 제한을 유지하는 영국에 대해 무력 투쟁을 벌이는 유대인 정착민도 나타났다.

2. 2. 영국의 위임통치와 밸푸어 선언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연맹팔레스타인 지역을 영국에 위임통치하도록 결정했다.[249] 영국은 1917년 밸푸어 선언을 통해 유대인 국가 건설을 지지했지만, 동시에 팔레스타인을 제외한 아랍인의 독립을 약속한 후세인-맥마흔 협정과는 모순되지 않으며 팔레스타인에는 유대인의 "향토" 건설 여지가 있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점차 유대인 정착과 이에 따른 시온주의는 아랍계 팔레스타인인과의 무력 갈등으로 이어졌고, 팔레스타인인이 정착해 온 유대인을 습격하는 통곡의 벽 사건이나 아랍인의 반란 등의 폭력 사건이 발생했다.

아랍인의 반란 발생 후 1937년 영국 필 위원회는 15% 정도의 면적을 유대인 국가와 분할하는 안을 제시했지만, 아랍 측이 거부했다. 1939년 영국은 분할안이 불가능하다고 보고 맥도널드 백서를 통해 "영국은 유대인 국가를 상정하고 있지 않으며 밸푸어 선언은 이행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고 유대인 이민을 제한, 10년 이내에 아랍인과 유대인의 혼합 국가(팔레스타인으로서의 독립)를 요구했지만, 시온주의자들은 이에 반발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홀로코스트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대인 국가 건국에 부정적이며 이민 제한을 계속하던 영국에 대해, 유대인 정착민 중 일부는 무력 투쟁에 나서기도 했다.

2. 4. 유엔의 팔레스타인 분할 결의안 (1947년)

1945년 후반부터 팔레스타인에서 레히, 이르군 츠바이 레우미, 팔마흐 등 유대인 조직의 무장 투쟁이 활발해졌다. 영국은 육군 부대를 파견하여 치안 유지 활동을 펼쳤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1946년 6월 29일 유대인 조직을 일제히 구금하여 3,000명 이상을 체포했으나, 이르군이 반격하여 7월 22일 영국군 사령부가 있는 예루살렘의 킹 데이비드 호텔을 폭파했다(킹 데이비드 호텔 폭파 사건). 이로 인해 사령부 요원 다수가 사망했다.[253]

영국은 위임 통치 초기부터 이어진 유대인의 시온주의 운동과, 시온주의를 강하게 혐오하는 아랍계 팔레스타인인 사이에서 고립되어 여러 해결책을 구상했지만, 잘 풀리지 않았다. 종전 후 홀로코스트로 동정을 얻은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이민 요구가 있었지만, 관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었다.

팔레스타인 통치에 어려움을 느낀 영국 정부1947년 2월 18일 팔레스타인 통치 문제를 국제 연합에 의뢰한다고 발표했다. 유엔에서의 논의에서 미국소련아랍인과 유대인의 분할 통치를 지지했고, 11월 29일 유엔 총회는 유엔 결의안 181호를 통해 팔레스타인 분할 결의안을 결의했다.[23]

이는 팔레스타인을 아랍인 지역, 유대인 지역, 유엔 통치 지역(예루살렘 주변)으로 삼분하는 것이었다. 당시 팔레스타인 지역에는 이미 유대인이 상당수 있었고, 유엔은 지역별 인구 비율이나 토지 이용법 등 다양한 고려를 하여 배분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193만 명의 인구 중 1/3인 유대인에게 56%의 토지를 주는, 면적상 불공평한 형태가 되었다. 1945년 3월 31일 기준 유대인의 점유지는 6%였고, 영국의 관리지를 쌍방에 나눠주는 형태였지만, 아랍 연맹 국가 및 아랍인들은 유대인의 건국을 인정하는 이 결의에 일제히 반발했다.[24]

유엔 총회 분할 결의안 채택 다음 날부터 팔레스타인은 사실상 내전 상태가 되었다. 결의에 반발한 아랍인의 습격, 방화 등이 일어나고 유대인도 응전을 강요받았다. 영국군은 더 이상 치안 유지 능력이 없어, 내전은 방치되었다.

1947년 11월 29일 분할 결의안 직후인 12월 4일, 영국 각료 회의에서 1948년 5월 14일 자정으로 위임 통치를 종료하고 철수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유엔은 분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그동안의 팔레스타인 관리를 유엔과 공유할 것을 요구했지만, 영국은 거부했다.

3. 전쟁의 발발 (1948년 5월)

1947년 유엔에서 팔레스타인 분할 결의안이 채택된 직후, 팔레스타인은 사실상 내전 상태에 돌입했다. 1948년 5월 14일, 영국 위임통치가 종료되자 유대인 지도자들은 텔아비브에서 이스라엘 건국을 선포했다.

같은 날, 레바논, 시리아, 요르단(당시 트란스요르단), 이라크, 이집트아랍 연맹 5개국은 이스라엘에 전쟁을 선포했다. 이후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모로코도 부대를 파견했다. 다음 날인 5월 15일, 아랍 연합군은 팔레스타인을 침공하며 제1차 중동전쟁이 발발했다.

개전 당시 아랍 측은 15만 명의 병력을 보유한 반면, 이스라엘 측은 민병대를 포함하여 3만 명에 불과했다. 아랍 측의 주력 부대는 아랍 군단이라 불리는 요르단군과 시나이반도에서 진격하는 이집트군이었다. 이스라엘은 유엔에 의해 무력 보유가 금지된 상태였기 때문에, 하가나와 같은 게릴라 부대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바라크 작전을 통해 밀수입한 소총 등으로 저항했다.

5월 18일 요르단군이 예루살렘을 포위했고, 5월 28일에는 구시가지 유대인 방위 부대가 항복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텔아비브의 지원을 받으며 신시가지를 사수했고, 6월에는 버마 로드라는 우회로를 통해 보급에 성공하며 전세를 유리하게 이끌었다.

3. 1. 초기 군사적 상황

이스라엘 공군의 Avia S-199, 1948년 6월


1946년, 벤 구리온은 팔레스타인 아랍인과 인접 아랍 국가 모두를 상대로 스스로를 방어해야 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서방에서 대규모의 은밀한 무기 획득 작전"을 시작했고, 적대 행위가 시작된 몇 달 동안 훨씬 더 많은 무기를 획득했다.[41]

이슈브는 영국의 봉쇄가 해제되자 팔레스타인으로 이송하기 위해 해외에서 무기와 군사 장비를 은밀하게 축적했다. 미국에서는 이슈브 요원들이 보잉 B-17 플라잉 포트리스 폭격기 3대(그 중 한 대는 1948년 7월 카이로를 폭격), 커티스 C-46 코만도 수송기 몇 대, 하프 트랙 수십 대를 구매했는데, 이들은 다시 칠해져 "농업 장비"로 정의되었다. 서유럽에서 하가나 요원들은 65mm 프랑스 산악포 50문, 120mm 박격포 12문, H-35 경전차 10대, 다수의 하프 트랙을 축적했다. 5월 중순경, 이슈브는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아비아 S-199 전투기( 메서슈미트 Bf 109의 열등한 버전) 25대, 중기관총 200대, 경기관총 5,021대, 소총 24,500대, 탄약 5,200만 발을 구매했는데, 이는 모든 부대를 장비하기에 충분했지만 중화기는 부족했다.[42]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진행된 공중 무기 밀수 작전은 발라크 작전이라는 암호명으로 불렸다.

1947년 11월, 하가나는 1920년 1920년–21년 아랍 폭동, 1929년 폭동, 1936-39년 대봉기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고도로 조직화된 전국적인 병력으로 존재했던 지하 군사 조직이었다.[47] 하가나는 정규군(남녀) 2,000명과 예비군(모두 18세에서 25세 사이) 10,000명으로 구성된 기동 부대인 히쉬(HISH)와 전투원 2,100명과 예비군 1,000명으로 구성된 정예 부대인 팔마흐(Palmach)를 보유하고 있었다.

1948년 3월까지 이수브는 하가나에 동원 및 배치된 전투원 35,780명,[53][54] 레히(Lehi)와 이르군(Irgun) 휘하의 병력 3,000명, 그리고 수천 명의 무장 정착민을 포함하여 수적 우위를 점했다.[55] 이르군은 결국 유대인 방위군에 흡수되었다.[56]

베니 모리스에 따르면, 1947년 말까지 팔레스타인인들은 이미 "이슈브의 군사력에 대한 건전하면서도 사기를 저하시키는 존경심을 갖고 있었으며" 전투가 벌어진다면 팔레스타인인들은 패배할 것으로 예상했다. 11월 29일 예루살렘에서 첫 폭력 사태가 발생했을 때, 아랍 최고 위원회는 무장의 부족을 잘 알고 있었기에 3일간의 파업을 요구했다. 예루살렘에서 가장 호전적인 팔레스타인 단체는 전투원 44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소총 12정, 권총 몇 정, 폭발물 몇 킬로그램을 지급받았다.[57]

일부 역사학자들은 아랍 전투원의 실질적인 수가 12,000명으로 증가했다고 기록했고,[58] 다른 사람들은 최종 아랍 병력 총수를 약 23,500명으로 계산했다.[59] 그러나 이스라엘이 전쟁 중 가장 유능한 시민 대부분을 동원한 반면, 아랍군은 훨씬 더 많은 인구의 소수였기 때문에 이슈브의 병력은 전쟁 중 꾸준히 그리고 극적으로 증가했다.[59]

이 내전 상태를 보고 아랍 측에서는 각국에서 의용병이 모여, 1948년 2월에 아민 알 후세이니 등이 이끄는 아랍 구세군과 파우지 알 카우크지가 이끄는 아랍 해방군이 결성되었다. 아랍 연맹의 초대 사무총장 압드 알 라흐만 아잠은 유대계 상점이나 시나고그 파괴 등 반유대주의 행위를 비난하는 인물이었지만,[250] 이 상황에 대해 '개인적으로 이것은 배제의 전쟁이 되어 몽골의 대살육이나 십자군 전쟁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위험한 학살의 싸움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 유대인은 우리에게 전쟁을 강요하지 말았으면 좋겠다. 의용병은 팔레스타인 인구를 훨씬 넘어설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우려를 표명했고,[251] 자치권을 시야에 둔 한 국가에서 아랍인과 유대인의 평화적인 공존을 요구했다.[252]

유대인 측도 민병 조직 하가나를 중심으로 소집을 걸었고, 해외에 거주하는 종군 경험이 있는 유대인에게도 권유하여 7만 명 정도를 동원했다. 특히 종군 경험이 있는 유대인의 참여는 유대인 측의 군사적 능력을 크게 높였다. 또한 무기는 대전 종결 직후의 유럽 각지에서 구입하거나 사기 행위로 입수했다. 그중에서도 영국군으로부터 훔쳐낸 M4 중전차 및 크롬웰 순항전차 총 6대는 사막에서의 전투를 제압하기 위한 귀중한 기갑 전력이 되었다.

1948년 3월경부터 아랍인 부대는 예루살렘을 포위하고, 유대인의 수송 트럭을 습격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아랍인 부대와 유대인 부대의 충돌이 이어졌고, 데르 야신 학살 사건이나 하다사 의료 종사자 학살 사건 등 쌍방에 의한 학살 사건도 일어났다. 특히 데르 야신 학살 사건은 현지에 거주하는 아랍인에게 큰 공포감을 주어 팔레스타인으로부터의 탈출과 난민 발생이 시작되었다.

1948년 5월 15일의 공식적인 전쟁 이전부터 이미 팔레스타인은 주변 아랍 연맹의 개입을 초래했고, 팔레스타인 내전 상태는 5월 15일을 넘어 그대로 전쟁으로 돌입했다. 또한 아랍 연맹 각국은 5월 15일 침공에 맞춰 국경에 병사를 배치하는 등 전쟁 준비를 시작해 갔다.

영국군이 팔레스타인에서 철수하는 1948년 5월 14일, 유대 국민 평의회는 텔아비브에서 이스라엘 독립 선언을 발표했다. 그리고 이날 레바논, 시리아, 트란스요르단, 이라크, 이집트아랍 연맹 5개국은 이스라엘에 전쟁을 선포했다(이후 사우디 아라비아, 예멘, 모로코도 부대를 파견). 아랍 연합군은 다음 날 5월 15일 팔레스타인에 침공하여 제1차 중동 전쟁이 발발했다.

개전 당시 아랍 측 병력은 15만 명이었고, 유대인은 민병을 합쳐 3만 명으로 압도적인 차이를 보였다. 아랍 측 주력은 아랍 군단으로 불리는 정예 부대를 가진 요르단군과 시나이 반도에서 진격하는 이집트군이었다. 반면 이스라엘 측은 유엔에 의해 무력 보유가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에 게릴라 부대인 하가나체코슬로바키아에서 밀수입(바라크 작전)된 소총 등으로 응전했다. 5월 18일 요르단군이 예루살렘을 포위했고, 5월 28일에는 구시가지 유대인 방위 부대가 항복했다.

4. 주요 전투 및 사건

1948년 전쟁은 여러 지역에서 복잡하게 전개되었다. 아랍 연맹유엔의 팔레스타인 분할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거부하고 팔레스타인 지역에 대한 군사 개입을 결정했다.

1948년 5월 15일 아랍 연맹의 전문 10조, 영토 진입 이유 설명


아랍 연맹은 1947년 말 팔레스타인인들이 유대인에 맞서 승리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했지만, 정규군 투입은 배제한 채 무력 저항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68][69] 1948년 4월, 팔레스타인 군대의 패배와 팔레스타인 난민 발생, 그리고 아랍 여론의 압력으로 인해 아랍 지도자들은 팔레스타인을 침공하기로 결정했다.[68]

1948년 5월 15일, 아랍 연맹은 팔레스타인 침공 이유를 밝힌 전문을 유엔에 보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70]

  • 아랍 국가들은 팔레스타인에 법과 질서를 회복하고 더 이상의 유혈 사태를 막기 위해 개입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 팔레스타인에 대한 위임 통치가 종료되어 합법적인 권한이 부재하게 되었다.
  • 팔레스타인 문제의 유일한 해결책은 단일 팔레스타인 국가를 수립하는 것이다.


영국 외교관 알렉 키크브라이드는 1976년 회고록에서 아랍 연맹 사무총장 아잠 파샤가 전쟁 직전 "유대 군대의 규모는 중요하지 않다. 우리는 그들을 바다로 쓸어버릴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기록했다.[71] 겔버에 따르면, 아랍 국가들은 팔레스타인 아랍인과 아랍 해방군의 붕괴로 인해 전쟁에 개입하게 되었으며, 주요 목표는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의 완전한 몰락과 더 많은 난민 발생을 막는 것이었다.[72]

1948년 3월경부터 아랍인 부대는 예루살렘을 포위하고, 유대인의 수송 트럭을 습격했다. 이 때문에 아랍인 부대와 유대인 부대의 충돌이 이어졌고, 데이르 야신 학살이나 하다사 의료 종사자 학살 사건 등 쌍방에 의한 학살 사건도 일어났다.[251]

4. 1. 예루살렘 공방전

요르단 군단은 약 10,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 영국 장교들이 훈련시키고 지휘했다. 1948년 5월 29일, 요르단군은 예루살렘 전투에서 구시가지를 장악했다.[73] 이들은 성묘 교회를 점령하기도 했다.

1948년 5월 29일, 요르단군이 예루살렘 전투에서 구시가지를 장악한 다음 날, 성묘 교회 밖의 압둘라 1세


압둘라 1세는 전쟁에 참여한 아랍 군대 중 가장 강력한 아랍 군단의 사령관이었다.[73] 그는 스스로를 "아랍군의 최고 사령관"으로 여겼고, "아랍 연맹을 설득하여 그를" 이 직책에 임명하도록 했다.[82] 그의 지도력을 통해, 아랍인들은 압둘라의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1948년 전쟁을 치렀다.

4. 2. 네게브 사막 전투

아랍 연맹유엔의 팔레스타인 분할 결의안에 반대하며 팔레스타인 지역에 대한 군사적 개입을 결정했다. 이집트의 파루크 왕은 팔레스타인 남부를 이집트에 병합하려는 야심을 가지고 있었다.[76] 1948년 5월 15일, 아랍 연맹은 팔레스타인 침공 이유를 밝힌 전문을 유엔에 보냈는데,[70]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아랍 국가들은 팔레스타인에 법과 질서를 회복하고 더 이상의 유혈 사태를 막기 위해 개입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 팔레스타인에 대한 위임 통치가 종료되어 합법적인 권한이 부재하게 되었다.
  • 팔레스타인 문제의 유일한 해결책은 단일 팔레스타인 국가를 수립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팔레스타인 아랍인과 아랍 해방군의 붕괴로 인해 아랍 국가들이 전쟁에 개입하게 되었으며, 아랍 정부의 주요 목표는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의 완전한 몰락과 더 많은 난민 발생을 막는 것이었다.[72]

4. 3. 갈릴리 지역 전투

아랍 연맹유엔의 팔레스타인 분할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거부하고, 아랍 국가와 유대 국가의 공존을 공식적으로 반대했다.[68] 1947년 말, 아랍 연맹은 팔레스타인인들이 유대인에 맞서 승리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했지만, 정규군 투입은 배제한 채 무력 저항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69]

1948년 4월, 팔레스타인 군대의 패배와 팔레스타인 난민 발생, 그리고 아랍 여론의 압력으로 인해 아랍 지도자들은 팔레스타인을 침공하기로 결정했다.[68] 아랍 연맹은 팔레스타인 침공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70]

  • 법과 질서 회복 및 추가적인 유혈 사태 방지
  • 팔레스타인 위임 통치 종료로 인한 합법적 권한 부재
  • 단일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


영국 외교관 알렉 키크브라이드는 1976년 회고록에서 아랍 연맹 사무총장 아잠 파샤가 전쟁 직전 "유대 군대의 규모는 중요하지 않다. 우리는 그들을 바다로 쓸어버릴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기록했다.[71]

겔버에 따르면, 아랍 국가들은 팔레스타인 아랍인과 아랍 해방군의 붕괴로 인해 전쟁에 개입하게 되었으며, 주요 목표는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의 완전한 몰락과 더 많은 난민 발생을 막는 것이었다.[72]

4. 4. 데이르 야신 학살

1948년 3월경부터 아랍인 부대는 예루살렘을 포위하고, 유대인의 수송 트럭을 습격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아랍인 부대와 유대인 부대의 충돌이 이어졌고, 데이르 야신 학살이나 하다사 의료 종사자 학살 사건 등 쌍방에 의한 학살 사건도 일어났다. 특히 데이르 야신 학살은 현지에 거주하는 아랍인에게 큰 공포감을 주어 팔레스타인으로부터의 탈출·난민 발생이 시작되었다.[251]

5. 휴전과 종전 (1949년)

유엔의 중재로 여러 차례 휴전이 이루어졌지만, 전투는 계속되었다. 7월 9일 휴전이 종료되자 이스라엘 방위군은 아랍군에 대한 반격을 시작했고, 유엔은 다시 휴전 결의를 가결하여 7월 18일부터 제2차 휴전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 휴전은 소규모 교전을 계기로 소멸되었고, 전면적인 전투가 재개되었다. 제1차 휴전 기간 동안 재편성을 통해 군비를 강화한 이스라엘군은 아랍군을 각지에서 격파해 나갔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군이나 영국군 군인으로 참전했던 조종사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중고 전투기를 활용하여 제공권을 확보했다.

9월 17일에는 스웨덴 적십자 총재 폴케 베르나도트가 예루살렘에서 유대인 조직 슈테른에 의해 암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국제 여론이 이스라엘에 대해 엄격해지기도 했다.

1948년 12월, 이스라엘군은 남부 네게브 사막에서 공세를 펼쳐 일시적으로 시나이 반도에 침공했으나, 이집트를 영향권 아래에 두고 있던 영국의 경고를 받고 철수했다.

5. 1. 휴전 협정의 결과

1949년 1월부터 전쟁에 지친 각국은 랄프 번치의 중재[254][255]로 휴전 협상을 시작하여, 2월 23일 이스라엘과 이집트의 휴전 협정이 체결된 것을 시작으로, 7월까지 각국과 정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1949년 휴전선.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지역 대부분을 점령했지만, 정전 당시 이집트군이 점령하고 있던 가자 지구는 이집트가 실효 지배하고, 요르단군이 점령하고 있던 예루살렘 구시가지를 포함한 요르단강 서안 지구12월 부분적인 팔레스타인인의 찬동과 트란스요르단 의회의 결의에 의해 트란스요르단령으로 편입되었고, 국명은 요르단 하심 왕국으로 변경되었다. 이 경계선은 그린 라인이라고 불린다.

6. 전쟁의 결과 및 영향

제1차 중동전쟁은 중동 지역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이집트, 트란스요르단,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 등 5개 아랍 국가와 사우디 아라비아, 예멘정규군을 파견하여 전쟁에 참여했다. 전쟁 직전 아랍군 병력은 23,500명에서 26,500명 사이였다.[108] 이들은 영국과 프랑스 교관들에게 훈련받았으며, 특히 존 글럽 경(글럽 파샤)이 지휘하는 요르단의 아랍 군단이 그러했다.[108]

7월 9일 휴전이 종료되자, 이스라엘 방위군은 반격을 시작했다. 유엔의 재휴전 결의로 7월 18일부터 제2차 휴전이 이루어졌으나, 곧 소규모 교전으로 소멸되었고, 전면적인 전투가 재개되었다. 1차 휴전 기간 동안 군비를 강화한 이스라엘군은 아랍 측을 각지에서 격파했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경험이 있는 조종사들이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전투기 등을 몰면서 제공권을 장악했다.

9월 17일, 스웨덴 적십자 총재 폴케 베르나도트가 예루살렘에서 유대인 조직 슈테른에 의해 암살당하면서 국제 여론이 이스라엘에 대해 엄격해졌다.

1948년 12월, 이스라엘군은 네게브 사막에서 공세를 펼쳐 일시적으로 시나이 반도에 침공했으나, 영국의 경고를 받고 철수했다.

6. 1. 이스라엘의 생존과 영토 확장

이스라엘은 전쟁에서 승리하여 독립 국가로서의 생존을 확고히 했다. 초기에는 홀로코스트의 재현을 우려하여 생존을 위한 방어적 목표에 집중했으나, 전쟁이 진행되면서 유엔 분할안보다 더 넓은 영토를 확보하려는 목표가 나타났다.[60] 이는 고립된 유대인 정착촌을 통합하고, 방어 가능한 경계를 확보하기 위함이었다.[60]

달레트 계획(왈리드 할리디와 일란 파페에 따르면 팔레스타인 지역 정복과 팔레스타인인 추방을 목표[50][64])등을 통해, 이스라엘은 군사적 우위를 확보하고 영토를 확장해 나갔다. 이집트의 파루크 왕은 팔레스타인 남부 전체를 병합하려 했고[76], 이라크의 누리 알사이드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 전체를 장악하려는 야망을 품고 있었다.[76] 시리아와 레바논도 팔레스타인 북부 지역에 대한 영토적 욕심을 드러냈다.[76]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의 무기 지원과 발라크 작전을 통한 전투기 확보, 그리고 영국군이 철수하면서 남긴 무기를 획득하는 등[105] 이스라엘은 군사력을 강화했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경험이 있는 조종사들이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전투기 등을 몰면서 제공권을 장악했다.[107]

이스라엘군은 전쟁 초기 몇 달 동안 병력을 꾸준히 늘려 1948년 말에는 88,033명의 군인을 보유하게 되었다.[98][99] 이들은 여러 여단으로 편성되어 다양한 작전에 투입되었다.

여단지휘관규모[100]작전
골라니모셰 만4,500명데켈 작전, 히람 작전
카르멜리모셰 카르멜2,000명히람 작전
알렉산드로니דן אבן|단 에벤he5,200명라트룬 전투, 하메츠 작전
키르야티마이클 벤-갈1,400명다니 작전, 하메츠 작전
기바티시몬 아비단5,000명하메츠 작전, 바라크 작전, 플레셰트 작전
에치오니데이비드 샬티엘예루살렘 전투, 시프시폰 작전, 예부시 작전, 라마트 라헬 전투
제7 기갑슐로모 샤미르라트룬 전투
제8 기갑이츠하크 사데다니 작전, 요아브 작전, 호레브 작전
오데드아브라함 요페요아브 작전, 히람 작전
하렐이츠하크 라빈[101]1,400명나크숀 작전, 다니 작전
이프타흐이가엘 알론4,500명 (일부 골라니 포함)이프타흐 작전, 다니 작전, 요아브 작전, 라트룬 전투
네게브나훔 사리그2,400명요아브 작전



1948년 12월, 이스라엘군은 네게브 사막에서 공세를 펼쳐 시나이 반도까지 진출했으나, 영국의 경고로 철수했다.

6. 2.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 발생

1948년 전쟁으로 인해 수많은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삶의 터전을 잃고 난민이 되었다. 전쟁 결과, 약 70만 명의 팔레스타인인들이 고향을 떠나 주변 아랍 국가들과 팔레스타인 지역에 난민촌을 형성하며 살아가게 되었다.[8] 이 난민촌은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의 시작점이 되었다.

6. 3. 아랍 국가들의 패배와 정치적 혼란

الهزيمة والفوضى السياسية للدول العربيةar

아랍 국가들은 전쟁 패배로 인해 극심한 정치적, 사회적 혼란을 겪었다.[8] 이집트에서는 자유장교단이 주도한 쿠데타가 발생하여 왕정이 무너지고 가말 압델 나세르가 권력을 잡았다. 이집트는 이후 수에즈 운하 국유화와 같은 과감한 정책을 추진하며 아랍 민족주의의 중심지로 부상했다.[131]

요르단은 전쟁의 결과로 서안 지구를 합병하여 영토를 크게 확장했다. 요르단은 팔레스타인 난민들을 대거 수용하면서 인구 구성에 큰 변화를 겪었고, 이는 요르단 사회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다. 요르단의 압둘라 1세는 이러한 영토 확장을 통해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으나, 이는 주변 아랍 국가들과의 갈등을 야기하기도 했다.

6. 4. 중동 지역의 갈등 심화

에프라임 카르쉬에 따르면, 발라크 작전의 일환으로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물품이 도착하기 전, 유대인 병사 3명당 무기 1개 정도만이 지급되었고, 팔마흐조차 소속 병력 3명 중 2명에게만 무장을 시킬 수 있었다.[49] 반면, 왈리드 할리디는 "이 병력들이 보유한 무기는 풍부했다."라고 주장했다.[50]

유대인 자치 기구(Yishuv)의 병력은 초기 9개 여단에서, 이스라엘 독립 이후 12개 여단으로 확장되었다. 이스라엘 사회의 점진적인 동원과 매달 평균 10,300명의 이민자 유입으로 이스라엘군은 꾸준히 증가했다.[98] 1948년 말, 이스라엘 방위군은 88,033명의 군인을 보유했으며, 이 중 60,000명이 전투 병력이었다.[99]

여단지휘관규모[100]작전
골라니모셰 만4,500명데켈 작전, 히람 작전
카르멜리모셰 카르멜2,000명히람 작전
알렉산드로니דן אבן|단 에벤he5,200명라트룬 전투, 하메츠 작전
키르야티마이클 벤-갈1,400명다니 작전, 하메츠 작전
기바티시몬 아비단5,000명하메츠 작전, 바라크 작전, 플레셰트 작전
에치오니데이비드 샬티엘예루살렘 전투, 시프시폰 작전, 예부시 작전, 라마트 라헬 전투
제7 기갑슐로모 샤미르라트룬 전투
제8 기갑이츠하크 사데다니 작전, 요아브 작전, 호레브 작전
오데드아브라함 요페요아브 작전, 히람 작전
하렐이츠하크 라빈[101]1,400명나크숀 작전, 다니 작전
이프타흐이가엘 알론4,500명 (일부 골라니 포함)이프타흐 작전, 다니 작전, 요아브 작전, 라트룬 전투
네게브나훔 사리그2,400명요아브 작전



체코슬로바키아는 전쟁 기간 동안 vz. 24 소총, MG 34, ZB 37 기관총, 수백만 발의 탄약 등 막대한 양의 무기를 이스라엘에 공급했다.[102] 또한 아비아 S-199 전투기를 포함한 전투기도 제공했다. 서유럽의 하가나 요원들은 65mm 프랑스 산악포, 120mm 박격포, H-35 경전차, 하프 트랙 등을 비축했다.[102][103]

이스라엘 제8 기갑 여단의 셔먼 전차, 1948년


이스라엘 독립 이후, 이스라엘군은 버려진 영국 군수품 창고에서 셔먼 전차 3대를 만들 수 있었다.[104]



1948년 6월, 이스라엘에 동조하는 영국 군인 두 명이 크롬웰 전차 두 대를 훔쳐 이스라엘 방위군에 합류시켰고, 이는 이스라엘 장갑군의 기초가 되었다.[106]

이스라엘 방위군 삼손의 여우 부대원들이 노획한 이집트군 브렌 건 캐리어를 타고 진격하고 있다.


1948년 7월, 1차 휴전 이후, 이스라엘은 공군, 해군, 전차 대대를 창설했다.[103] 2차 휴전 이후, 체코슬로바키아는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전투기를 공급했으며, 이는 벨베타 작전을 통해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이스라엘로 운송되었다.[107]

이집트, 트란스요르단,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 등 5개 아랍 국가는 정규군을 파견하여 전쟁에 참여했다. 사우디 아라비아와 예멘에서도 추가 병력이 파견되었다. 전쟁 직전 투입 가능한 아랍군 병력은 23,500명에서 26,500명 사이였다.[108] 존 글럽 경(글럽 파샤)이 지휘하는 요르단의 아랍 군단은 영국 장교들에게 훈련받은 가장 효과적인 아랍 군대로 여겨졌다.[108]

요르단의 아랍 군단은 8,000~12,000명 규모로, 4개의 보병/기계화 연대, 약 40문의 포병, 75대의 장갑차로 구성되었다.[110] 1948년 1월까지 3,000명 규모의 트란스요르단 국경 부대가 증원되었다.[111] 최대 48명의 영국 장교가 아랍 군단에서 복무했다.[112] 군단의 지휘관인 글럽 파샤는 그의 부대를 다음과 같이 4개 여단으로 조직했다.

군사 부문지휘관[113][114]계급작전 군사 지역
제1여단 (제1연대와 제3연대 포함)데스몬드 골디대령나블루스 군사 지역
제2여단 (제5연대와 제6연대 포함)샘 시드니 아서 쿡준장지원 부대
제3여단 (제2연대와 제4연대 포함)틸 애쉬턴대령라말라 군사 지역
제4여단아흐마드 수드키 알-준디대령지원: 라말라, 헤브론, 람라



아랍 군단은 1948년 5월에 전쟁에 참여했지만, 요르단이 확보하길 원했던 동 예루살렘을 포함한 서안 지구에서만 전투를 벌였다.

1948년, 이라크군은 12개 여단에 21,000명의 병력을 보유했으며, 이라크 공군은 주로 영국산 100대의 항공기를 보유했다. 초기 이라크는 4개의 보병 여단, 1개의 장갑 대대 및 지원 인력을 포함하여 약 3,000명의 병력[115]을 전쟁에 투입했다. 이들은 요르단의 지침에 따라 작전을 수행했다.[116] 1948년 4월, 누르 앗-딘 마흐무드 장군의 지휘 아래 이라크 최초의 병력이 요르단에 도착했다.[117]

1948년, 이집트군은 최대 약 40,000명의 병력을 투입할 수 있었다. 초기에 아흐메드 알리 알-무아위 소장 지휘 하에 10,000명의 원정군이 팔레스타인으로 파견되었다. 이 부대는 5개 보병 대대, 영국제 Light Tank Mk VI와 Matilda 전차로 무장한 1개 장갑 대대, 16문의 25 파운더포 대대, 8문의 6 파운더포 대대, 그리고 지원 병력을 갖춘 1개 중기관총 대대로 구성되었다.

이집트 공군은 30대 이상의 스핏파이어, 4대의 허리케인 그리고 폭격기로 개조된 20대의 C47s를 보유했다.[118]

시리아는 1948년 전쟁 시작 시점에 12,000명의 병력을 보유했으며, 3개의 보병 여단과 약 대대 규모의 장갑 부대로 구성되었다. 시리아 공군은 50대의 항공기를 보유했다.

레바논군은 아랍 국가 중 가장 작은 군대였으며, 3,5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전쟁 동안 1,000명만 투입되었다.[111]

두 번째 휴전 시점에, 이집트는 13개 대대에 20,000명의 병력을 투입했으며, 135대의 전차와 90문의 포를 갖추고 있었다.[121]

첫 번째 휴전 동안, 이라크군은 병력을 약 10,000명으로 늘렸다.[122] 궁극적으로, 이라크 원정군은 약 18,000명으로 늘어났다.[123]

사우디 아라비아는 수백 명의 지원병을 파견했다. 1948년 2월, 약 800명의 부족민이 아카바 근처에 모였으나, 사우디의 경쟁자 압둘라 국왕이 요르단 영토를 통과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자 이집트로 건너갔다.[124] 사우디군은 전쟁 내내 이집트 사령부에 배속되었으며,[125] 그들의 총 병력은 최대 1,200명으로 추산되었다.[126][127]

첫 번째 휴전 동안, 수단은 6개 정규군 중대를 이집트와 함께 싸우도록 파견했다.[131] 예멘 또한 전쟁 노력에 소규모의 원정군을 투입했으며, 모로코에서 온 병력도 아랍 군대에 합류했다.[8]

팔레스타인 위임통치 시기 내전은 1948년 5월 14일 이스라엘 독립 선언으로 인해 국가 간의 전쟁으로 변모했다. 이는 팔레스타인에 대한 영국의 위임 통치가 종료되기 몇 시간 전이었다. 다음날 아침, 인접한 아랍 국가들의 정규군은 유엔 팔레스타인 분할안에 따라 미래 아랍 국가로 할당된 전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을 침공했다.[134][135]

달렛 계획을 통해 시오니스트 세력은 4월 1일부터 5월 14일까지 유대 국가에 할당된 지역 밖에서 13개의 대규모 군사 작전 중 8개를 이미 수행했으며, 작전 사령관 이가엘 알론은 아랍의 침공이 없었다면 하가나의 군대가 '서부 이스라엘의 자연 국경'에 도달했을 것이라고 밝혔다.[136]

니림의 이스라엘 군인


네게브의 이스라엘 군인


아랍 군대 중 가장 큰 규모였던 이집트군은 남쪽에서 침공했다. 1948년 5월 15일, 이집트군은 니림과 크파르 다롬을 공격했다. 이집트군은 포병, 전차, 항공기를 사용했으나 공격은 실패했다. 5월 19일, 이집트군은 야드 모르데차이를 공격했는데, 100명의 이스라엘군이 2,500명의 이집트군과 장갑차, 포병, 공군 부대의 지원을 받는 군대를 5일 동안 저지했다.[140]

이집트군의 두 주요 열 중 하나는 해안선을 따라 북쪽으로, 다른 열은 베르셰바 방향으로 동쪽으로 진격했다.[141][142] 이집트군은 측면을 확보하기 위해 네게브의 여러 키부츠를 공격하고 포위했는데, 그중에는 크파르 다롬, 니림, 야드 모르데차이, 네그바가 있었다.[141][143] 이스라엘 방어군은 며칠 동안 격렬하게 저항했다.

5월 28일 이집트군은 북쪽으로 진격을 재개하여 이스두드 북쪽의 파괴된 다리에서 멈췄다. 이집트군이 텔아비브 방향으로 북쪽 진격을 계속 원했다면 이를 막을 이스라엘군은 없었을 것이다.[144][145]

5월 29일부터 6월 3일까지 이스라엘군은 작전 플레셰트에서 이집트군의 북쪽 진격을 저지했다. 이스라엘 신생 공군이 수행한 첫 번째 전투 임무에서 4대의 아비아 S-199기가 이스두드로 향하는 500대의 이집트 장갑차 열을 공격했다. 이 공격으로 이집트군은 흩어졌고, 재집결했을 때는 주도권을 잃었다. 공습 후 이스라엘군은 ''나폴레옹치크'' 포로 이스두드의 이집트군을 포격했고, IDF 순찰대는 이집트군 전선에서 소규모 공격을 가했다. 또 다른 공습 후 기바티 여단이 반격을 시작했다. 반격은 격퇴되었지만, 이집트군이 전략을 공격에서 방어로 전환하면서 이집트군의 공세는 중단되었고 주도권은 이스라엘로 넘어갔다.[146]

6월 6일, 니차님 전투에서 이집트군은 니차님 키부츠를 공격했고, 이스라엘 방어군은 5일간의 저항 끝에 항복했다.

휴전 종료일인 7월 9일, 이스라엘 방위군은 아랍군에 대한 반격을 시작하여 전투가 재개되었다. 유엔은 다시 휴전 결의를 가결했고, 7월 18일부터 제2차 휴전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 휴전은 곧 소멸되었고, 전면적인 전투가 재개되었다. 제1차 휴전 기간 동안 재편성을 실시하여 군비를 강화한 이스라엘군은 아랍 측을 각지에서 격파했다. 특히 중고 전투기에 의해 제공권을 확보했는데, 조종사들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미국군이나 영국군 군인으로서 싸운 경험을 살렸다.

9월 17일스웨덴 적십자 총재 폴케 베르나도트가 예루살렘에서 유대인 조직 슈테른에 의해 암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국제 여론이 이스라엘에 대해 엄격해졌다.

1948년 12월에 이스라엘군은 남부 네게브 사막에서 공세를 펼쳐 일시적으로 시나이 반도에 침공했으나, 영국의 경고를 받고 철수했다.

6. 5. 이스라엘 내 아랍인 문제

이스라엘은 자국 내에 남은 아랍인들을 '현재 부재자'로 규정하고 재산을 몰수하는 등 차별 정책을 시행했다.[134]

7. 한국의 관점에서의 고찰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외세의 개입과 이념 대립으로 인해 분단과 전쟁을 경험했다는 점에서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7. 1. 분단과 전쟁의 비극

라트룬에 주둔한 요르단군은 서예루살렘으로의 보급을 차단했다.[149] 이스라엘군은 식량, 물, 탄약이 심각하게 부족했다.[149]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 교무처장(Provost)이었던 수학 교수 미하엘 페케테는 예루살렘 포위 기간 동안 물 배급을 받았다.

예루살렘 포위 기간 동안 물 배급을 받는 미하엘 페케테 교수


압둘라 1세 국왕의 명령을 받은 글럽 파샤는 5월 17일 예루살렘에 진입했다. 아랍 군단은 하루에 10,000발의 포탄과 박격포탄을 발사했고,[149] 서예루살렘을 저격했다. 5월 19일부터 28일 사이에 치열한 시가전이 벌어졌으며, 아랍 군단은 결국 예루살렘의 아랍인 거주 지역과 구시가지의 유대인 지구에서 이스라엘군을 몰아내는 데 성공했다.[149] 구시가지 유대인 지구의 유대인 주민 1,500명이 추방되었고, 수백 명이 구금되었다. 유대인들은 학살하려는 팔레스타인 아랍 폭도들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아랍 군단의 호위를 받아야 했다.[152]

5월 22일, 아랍군은 예루살렘 남쪽의 키부츠 라마트 라헬을 공격했다. 격렬한 전투 끝에 라마트 라헬의 수비대가 철수했고, 다음 날 키부츠를 부분적으로 탈환했다. 전투는 5월 26일까지 계속되었고, 키부츠 전체가 다시 점령되었다. 레이더 언덕 또한 아랍 군단으로부터 빼앗겼고, 요르단군이 이스라엘군 19명과 요르단군 2명의 사망자를 낸 전투에서 다시 점령한 5월 26일까지 점령되었다.[153]

같은 날, 토마스 C. 와슨 예루살렘 주재 미국 총영사이자 UN 휴전 위원회의 위원이 서예루살렘에서 총에 맞아 사망했다.

1948년 10월 중순에서 후반에 하렐 여단은 예루살렘 회랑을 확보하기 위해 하-하르 작전으로 알려진 공세를 시작했다.

2개의 보병 여단과 1개의 기갑 여단으로 구성된 이라크군은 요르단강을 건너 요르단 북부에서 이스라엘의 게셰르 정착촌을 공격했지만 거의 성공하지 못했다. 이 패배 이후, 이라크군은 나블루스, 제닌, 툴카름으로 경계가 이루는 전략적 삼각지대로 이동했다. 5월 25일, 그들은 네타냐로 향하고 있었지만 저지당했다.[159] 5월 29일, 이라크군에 대한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제닌을 두고 3일간의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지만, 이라크군은 그들의 점령지를 지켜냈다.[159] 이 전투 이후, 이라크군은 정체되었고 그들의 전쟁 참여는 사실상 끝났다.[117][159]

아풀라에 있는 이스라엘 군인들


이라크군은 게셰르에서 이스라엘 정착촌에 대한 공격에 실패했고, 대신 제닌, 나블루스, 툴카름 주변에 방어 위치를 점령했다.[154] 5월 25일, 이라크군은 툴카름에서 진격하여 게울림을 점령하고 툴카름-네타냐 도로에서 크파르 요나와 아인 베레드에 도달했다. 그 후 알렉산드로니 여단이 이라크군의 진격을 막고 게울림을 되찾았다. IDF 카르멜리 여단과 골라니 여단은 5월 31일에 시작된 공세 과정에서 제닌을 점령하려 했지만, 이라크군의 반격으로 인한 전투에서 패배했다.

7. 2. 민족 자결주의와 국제 협력의 중요성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מלחמת העצמאותhe)은 민족 자결주의의 중요성과 국제 사회의 지지 및 협력을 통한 평화 정착의 필요성을 동시에 보여준다.

7. 3. 중도진보적 관점에서의 평가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양측 모두에게 깊은 상처를 남긴 비극적인 사건이었다. 이스라엘은 독립을 쟁취했지만, 수많은 팔레스타인인들은 고향을 잃고 난민이 되는 고통을 겪었다.

예루살렘 공방전 기간 동안 민간인들은 극심한 물자 부족에 시달렸는데, 히브리 대학교 교무처장(Provost)인 미하엘 페케테 교수가 물 배급을 받는 모습에서 이를 엿볼 수 있다.[149] 라트룬을 장악한 요르단군이 서예루살렘으로의 보급을 차단하면서 식량, 물, 연료, 의약품 부족은 더욱 심각해졌다.[149]

글럽 파샤의 지휘 아래 아랍 군단은 예루살렘에 맹렬한 포격을 가했고,[149] 저격병들은 서예루살렘 주민들을 공포에 몰아넣었다. 치열한 시가전 끝에 아랍 군단은 유대인 지구에서 이스라엘군을 몰아냈고, 1,500명의 유대인 주민들이 추방되었다.[149] 이들은 팔레스타인 아랍 폭도들의 위협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아랍 군단의 호위를 받아야 했다.[152]

라마트 라헬과 레이더 언덕에서도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고, 양측 모두 많은 사상자를 냈다.[153]

북부 전선에서는 이라크군이 게셰르 정착촌을 공격했으나 실패하고, 나블루스, 제닌, 툴카름을 잇는 삼각지대로 이동했다. 네타냐로 진격하던 이라크군은 저지당했고,[159] 제닌 전투에서 이스라엘군과 격전을 벌였으나, 결국 방어 태세로 전환했다.[117][159]

시리아군은 갈릴리 호수 동쪽과 남쪽 해안을 공격하여 사마크를 점령했지만,[155] 데가니아 알레프에서 지역 민병대와 카르멜리 여단 병력의 결사적인 저항에 부딪혀 화염병PIAT에 의해 전차가 파괴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158] 이후 시리아군은 미쉬마르 하야르덴을 점령했지만, 오데드 여단에 의해 저지당하고 방어 태세로 전환했다.[160]

레바논 육군은 알 말키야와 카다스를 점령했지만, 곧 아랍 해방군에게 넘겨주고 철수했다.[12]

이처럼 1948년 전쟁은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 간의 군사적 충돌뿐만 아니라, 팔레스타인 민간인들에게도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이는 강대국들의 개입과 지역 갈등의 복잡성, 그리고 민족주의의 양면성이 빚어낸 비극이었다.

8. 역사적 유산과 현재적 의미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은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 간의 첫 번째 대규모 무력 충돌로, 그 결과는 오늘날까지도 중동 지역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쟁 초기, 이스라엘 공군은 셰루트 아비르라는 이름으로 스데 도브 공항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당시 이스라엘 공군은 경비행기 위주여서 T-6 텍산, 스핏파이어, C-47, 아브로 앤슨 등으로 무장한 아랍 공군에 비해 열세였다.[162] 1948년 5월 15일 전쟁 발발과 함께 셰루트 아비르는 이스라엘 공군으로 재편되었다.

1948년 5월 15일 텔아비브 상공에서 격추된 이집트 스핏파이어


이집트가 텔아비브를 폭격하는 동안 부상자를 대피시키는 자원 봉사자


개전 초기, 이집트 공군은 텔아비브를 여러 차례 폭격하여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했다.[163] 특히 5월 18일에는 텔아비브 중앙 버스 터미널이 공격받아 42명이 사망하고 100명이 부상당했다.[163] 그러나 이스라엘의 방공망이 강화되면서 이집트 공군의 피해가 커졌고, 공습 빈도도 줄어들었다.

이스라엘의 첫 번째 전투기인 Avia S-199


이스라엘 스핏파이어 F Mk


비행 중인 이스라엘 B-17s


1948년 5월 20일, 체코슬로바키아에서 Avia S-199 전투기 25대가 이스라엘에 도착하면서 공중전의 균형이 이스라엘 쪽으로 기울기 시작했다. 5월 28일, 셰루트 아비르는 이스라엘 공군이 되었다.[165] 6월 3일, 이스라엘 조종사 모디 알론은 텔아비브를 폭격하던 이집트 DC-3 2대를 격추하며 이스라엘 공군 최초의 공중전 승리를 기록했다. 이후 이스라엘 공군은 제공권을 장악하고 아랍 공군에 대한 우위를 확보해 나갔다.[167]

이스라엘 공군은 암만, 아리시, 가자, 다마스쿠스, 카이로 등 아랍 도시들을 폭격하기도 했다.[168][169]

8. 1.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기원

מלחמת העצמאותhe, حرب 1948ar로도 알려진 제1차 중동 전쟁은 현재까지 이어지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핵심적인 기원이다. 이 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영토 문제, 난민 문제, 예루살렘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있다.

압둘라 1세는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에 참여한 아랍 군대 중 가장 강력한 아랍 군단의 사령관이었다.[73] 그는 스스로를 "아랍군의 최고 사령관"으로 여겼으며,[82] 그의 지도력 아래 아랍인들은 그의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쟁을 치렀다.

1946-47년, 압둘라는 팔레스타인 분할과 유대 국가 건설을 방해할 의사가 없다고 밝혔다.[75] 그는 아랍 국가에 할당된 영국 위임 통치령의 서안 지구를 요르단에 합병하려는 의도로 분할을 지지했다.[78] 압둘라는 골다 메이어가 대표로 참여한 유대인 기구와 비밀 회담을 가졌고, 서안 지구의 요르단 합병에 유대인이 간섭하지 않으며, 요르단이 유엔 분할 결의안에 포함된 유대 국가 지역을 공격하지 않겠다는 합의에 도달했다.[79]

그러나 인접한 아랍 국가들은 압둘라에게 새로 창설된 이스라엘 국가에 대한 "전 아랍 군사 침공"에 참여하도록 압력을 가했다.[75] 요르단은 미래의 아랍 국가에 할당된 지역만 점령하겠다고 거듭 확언했지만, 전쟁 직전 다른 아랍 군대가 이스라엘을 향해 진격하면 요르단도 따를 것이라고 영국에 말했다.[80]

8. 2. 중동 지역 불안정의 요인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은 중동 지역의 불안정을 심화시켰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중동전쟁과 테러, 분쟁으로 이어졌다.[172]

8. 3. 국제 사회의 역할에 대한 교훈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은 국제 사회가 분쟁 해결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함을 보여준다. 유엔은 1948년 5월 29일에 휴전을 선포했고, 이는 6월 11일에 발효되어 28일 동안 지속되었다.[173] 휴전 기간 동안 무기 금수 조치가 선포되었으나, 양측 모두 이를 존중하지 않고 제한 조치를 회피하여 자신들의 입지를 강화했다.[173][174]

참조

[1] 서적 "L'imaginaire d'Israël : histoire d'une culture politique" 2005
[2] 서적 2008
[3] 뉴스 "Israel's Bedouin Warriors" Palestine Post 1948-08-12
[4] 뉴스 Bedouin army trackers scale Israel social ladder http://english.alara[...] Al Arabiya 2015-05-07
[5] 서적 2003
[6] 서적 2008
[7] 서적
[8] 서적 "1948: The First Arab-Israeli War"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008
[9] 서적 2006
[10]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A Statistical Encyclopedia of Casualty and Other Figures, 1492–2015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2020-09-28
[11] 서적 The Encyclopedia of Middle East Wars: The United States in the Persian Gulf https://books.google[...] ABC-CLIO 2019-10-05
[12] 간행물 Lebanon's Armed Forces and the Arab-Israeli War, 1948–49 2005-Winter
[13] 서적 2008
[14] 간행물 Plan Dalet: Master Plan for the Conquest of Palestine https://www.tandfonl[...] 1988-10-01
[15] 서적 War in Palestine, 1948: Israeli and Arab Strategy and Diplomacy
[15] 서적 Israel and the Arab coalition in 1948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11-19
[15] 웹사이트 Book: What Happened Whe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2-12-22
[15] 서적 War in Palestine, 1948: Israeli and Arab Strategy and Diplomacy http://worldcat.org/[...] Routledge 2022-08-13
[16] 서적 2008
[17] 서적 Defending the Holy Land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9
[18] 서적 2007
[19] 서적 1997
[20] 서적 Immigrants in Turmoil: Mass Immigration to Israel and Its Repercussions in the 1950s and After Syracuse University Press 2024-02-18
[21] 서적 2001
[22] 서적 Jewish Property Claims Against Arab Countrie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8
[23] 웹사이트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A/RES/181(II): 29 November 1947: Resolution 181 (II). Future government of Palestine http://domino.un.org[...] 2012-05-24
[24]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Causes of War: Patterns of Interstate Conflict from World War 1 to Iraq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7
[24] 서적 Imperial Endgame: Britain's Dirty Wars and the End of Empire https://books.google[...] Palgrave/Macmillan 2011
[24] 서적 2000
[24]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5-11-14
[24] 서적 2002
[24] 서적 2003
[25] 서적 2006
[26] 서적 1971
[27] 서적 2003
[28] 서적 1971
[29] 서적 2003
[30] 서적 2005
[31] 서적 1974
[32] 서적 War in Palestine, 1948: Israeli and Arab Strategy and Diplomacy Routledge 2004
[33] 서적
[34] 서적 1971
[35] 간행물 The 1948 Massacre at Deir Yassin Revisited 2001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Sword and the Olive: A Critical History of the Israeli Defense Force Public Affairs
[43] 서적
[44] 웹사이트 A Wing and a Prayer https://web.archive.[...] 2015-12-15
[45] 뉴스 Al Schwimmer, Founder of Israel Aircraft Industries, Dies at 94 https://www.haaretz.[...] 2023-12-07
[46] 뉴스 How a Fake Kibbutz Was Built to Hide a Bullet Factory http://www.haaretz.c[...] 2013-04-15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간행물 'Plan Dalet: Master Plan for the Conquest of Palestine'
[51] 서적 The faithful city: the siege of Jerusalem, 1948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52] 서적 "Jerusalem Embattled – A Diary of the City under Siege." Cassels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Genesis 1948"
[56] 웹사이트 Mi5 Files of Jewish Interest "the activities of Irgun, the Jewish organisation involved or implicated in numerous acts of terrorism in the closing years of the British mandate in Palestine" https://web.archive.[...] Nationalarchives.gov.uk 2014-06-29
[57] 서적 La Question de Palestine Fayard
[58] 서적 La Question de Palestine Fayard
[59] 서적 Israel's Wars : A History Since 1947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5-04-19
[60] 서적
[61] 서적 Social Mobilization in the Arab/Israeli War of 1948: On the Israeli Home Front Routledge
[62] 서적 Dear Palestine:A Social History of the 1948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63] 뉴스 'Unsettling 1948: A Review of Shay Hazkani''s ‘Dear Palestine’' https://mondoweiss.n[...] Mondoweiss 2021-06-24
[64] 서적 The Ethnic Cleansing of Palestine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La Question de Palestine Fayard
[70] 웹사이트 Cablegram dated 15 May 1948 addressed to the Secretary-General by the Secretary-General of the League of Arab States https://digitallibra[...] UN.org 1948-05-16
[71] 서적 Kirkbride's memoirs https://books.google[...] Morris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The Politics of Partition: King Abdullah, the Zionists and Palestine 1921–1951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80] 서적 War in Palestine, 1948: Israeli and Arab Strategy and Diplomacy
[81] 서적
[82] 서적
[83] 간행물 Nasser's Memoirs of the First Palestine War https://www.jstor.or[...] 2024-02-22
[84] 서적 The Birth of the Palestinian Refugee Problem Revisited http://larryjhs.fa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85] 간행물 The role of MI6 in Egypt's decision to go to war against Israel in May 1948 2019-05-28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Sword and the Olive: A Critical History of the Israeli Defense Force Public Affairs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Sword and the Olive: A Critical History of the Israeli Defense Force https://books.google[...] Public Affairs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Israel's Wars: A History since 1947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9-28
[99] 서적 The Philosopher as Witness: Fackenheim and Responses to the Holocaust
[100] 서적 War Diaries, 1947–1949 Institute of Palestine Studies, Beirut
[101] 문서 Later, in the midst of the war, Yitzhak Rabin was succeeded by Joseph Tebenkin who led Operation Ha-Har.
[102] 서적
[103] 웹사이트 Wars of the World: Israeli War of Independence 1948–1949 http://www.onwar.com[...] Onwar.com 2014-06-29
[104] 서적 The Israeli Army in the Middle East Wars 1948–73
[105] 서적
[106] 웹사이트 British deserter who stole tanks for Haganah dies http://www.timesofis[...] Timesofisrael.com 2014-02-02
[107] 서적 1974
[108] 서적 Imperial Defence: The Old World Order, 1856–1956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
[109] 서적 2006
[110] 서적 2002
[111] 서적 2002
[112] 뉴스 Trans-Jordan: Chess Player & Friend http://www.time.com/[...] 1948-02-16
[113] 서적 The Jordanian-Israeli war, 1948–1951: a history of the Hashemite Kingdom of Jordan
[114] 서적 Victimes : histoire revisitée du conflit arabo-sioniste 2003
[115] 서적 Genesis 1948 1972
[116] 서적 The ethnic cleansing of Palestine 2006
[117] 서적 2002
[118] 서적 Arabs at War : Military Effectiveness, 1948–1991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19] 웹사이트 Yoav Gelber, 2006, 'Sharon's Inheritance' http://www.aisisrael[...]
[120] 서적 2001
[121] 서적 2002
[122] 서적 Genesis 1948 1972
[123] 서적 2002
[124] 서적
[125] 서적 2008
[126] 간행물 Dawr Al-Mamlaka Al-'Arabiyya Al-Sa'udiyya Fi Harb Filastin 1367H/1948 1986
[127] 서적 2008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2008
[132]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8-10-01
[133]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Arab-Israeli Conflict: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134] 서적 Palestine 1948 2006
[135] 웹사이트 Communication dated 11 May 1948 from J. Fletcher-Cooke of the United Kingdom delegation to the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Palestine to Dr. Ralph J. Bunche, Principal Secretary to the Commission: Retrieved 15 December 2013 https://unispal.un.o[...] Unispal.un.org 1948-05-12
[136] 문서 The Discourse of Palestinian-Israeli Relations: Persistent Analytics and Practices Routledge 2010
[137] 서적 2006
[138] 서적 2006
[139] 서적 2008
[140] 서적 2002
[141] 서적
[142] 서적
[143] 서적
[144] 서적
[145] 서적
[146] 웹사이트 1948: The War of Independence https://web.archive.[...] Jewishvirtuallibrary.org 2010-06-26
[147] 서적
[148] 서적
[149] 서적
[150] 서적 War in Palestine, 1948: Israeli and Arab Strategy and Diplomacy. David Tal
[151] 서적
[152] 서적 1948: The First Arab-Israeli War Yale University Press
[153] 서적
[154] 뉴스 State of Israel is Born The Palestine Post
[155] 서적
[156] 서적
[157] 서적
[158] 서적 Elusive Victory: The Arab–Israeli Wars, 1947–1974 https://archive.org/[...] Military Book Club
[159] 서적
[160] 서적 All That Remains: The Palestinian Villages Occupied and Depopulated by Israel in 1948 Institute for Palestine Studies
[161] 웹사이트 Virtual Aviation Museum – RWD 13 https://web.archive.[...] Luftfahrtmuseum.com 2014-06-29
[162] 웹사이트 Israel Air Force Aircraft Types http://www.aerofligh[...] John Hayles, aeroflight.co.uk 1999-09-19
[163] 서적
[164] 서적
[165] 웹사이트 Focus on Israel: MACHAL – Overseas Volunteers https://www.mfa.gov.[...] 2021-11-30
[166] 서적
[167] 서적
[168] 서적
[169] 서적
[170] 서적
[17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Navy https://www.jewishvi[...] Jewishvirtuallibrary.org 2013-01-18
[172] 서적
[173] 서적
[174] 서적
[175] 서적
[176] 서적 The Fifty Years War: Israel and the Arabs https://archive.org/[...] BBC Books
[177] 문서
[178] 웹사이트 The First Truce https://www.jewishvi[...] 2009-02-22
[179] 간행물 Security Council, S/1025, 5 October 1948, Report by the United Nations, Mediator on the Observtation of the Truce in, Palestine in the Period from 11 June, to 9 July 1948 https://unispal.un.o[...] 2013-12-03
[180] 서적 A History of Israel from the Rise of Zionism to Our Time Alfred A. Knopf
[181] 문서 2021-05
[182] 웹사이트 'Drafting the blueprint for Palestinian refugees' right of return,' http://www.haaretz.c[...] 2015-10-16
[183] 서적 War in Palestine, 1948: Israeli and Arab Strategy and Diplomacy Routledge
[184] 문서
[185] 서적 History of the War of Independence
[186] 간행물 "Myths and historiography of the 1948 Palestine War revisited: the case of Lydda," https://web.archive.[...]
[187]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88] 서적 The Birth of the Palestinian Refugee Problem, 1947–1949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9] 웹사이트 Map of the Attacks http://www.allthatre[...] 2005-04-14
[190] 문서
[191] 뉴스 The Middle East Talks: Reporter's Notebook; Syria Offers Old Photo To Fill an Empty Chair https://www.nytimes.[...] Macmillan 1991-11-02
[192] 웹사이트 Area of Jurisdiction and Powers Ordinance (1948) http://www.israellaw[...] Israellawresourcecenter.org 2013-01-18
[193] 서적 Yigal Allon; Native Son; A Biography Translated by Evelyn Abel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4] 문서
[195] 서적 Access Denied: Palestinian Land Rights in Israel https://books.google[...] Zed Books
[196] 웹사이트 Operation Hiram http://www.zionism-i[...] Zionism-israel.com 2014-06-29
[197] 문서
[198] 문서
[199] 문서
[200] 서적 All That Remains: The Palestinian Villages Occupied and Depopulated by Israel in 1948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Palestine Studies 2020-09-28
[201] 서적 Rudi Weissenstein: Israel Early Photographs https://books.google[...] Modan Publishing House 2020-09-28
[202] 서적 To the Promised Land: The Birth of Israel https://archive.org/[...] Doubleday Religious Publishing Group
[203] 문서
[204] 웹사이트 Iaf V Raf http://www.spyflight[...] Spyflight.co.uk 2010-06-26
[205] 문서
[206] 서적 Truman and Israel
[207] 문서
[208] 문서
[209] 웹사이트 Weapons of the Arab-Israeli Wars http://www.balagan.o[...] 2018-01-11
[210] 서적 O Jerusalem! Weidenfeld & Nicolson 1972
[211] 서적 The Origin of the Arab-Israeli Arms Race Palgrave Macmillan 1996
[212] 간행물 Review of The Origin of the Arab-Israeli Arms Race: Arms, Embargo, Military Power and Decision in the 1948 Palestine War https://www.jstor.or[...] 1997
[213] 간행물 'Cast thy bread': Israeli biological warfare during the 1948 War http://www.scopus.co[...] 2022-01-01
[214] 문서 L. Carl Brown (2013), p. 126.
[215] 웹사이트 Legal Status in Palestine http://lawcenter.bir[...] Lawcenter.birzeit.edu 2014-06-29
[216] 서적 How Long O Lord?: Christian, Jewish, and Muslim Voices from the Ground and visions for the future in Israel–Palestine https://books.google[...] Cowley Publications 2020-09-28
[217] 서적 Politics and Society in Modern Israel: Myths and Realities https://books.google[...] M.E. Sharpe
[218] 문서 Laurens 2007 p. 194
[219] 간행물 General Progress Report and Supplementary Report of the United Nations Conciliation Commission for Palestine, Covering the Period from 11 December 1949 to 23 October 1950 https://unispal.un.o[...] United Nations Conciliation Commission 1950-10-23
[220] 문서 A Survey of Palestine Government of Palestine 1946
[221] 웹사이트 The War for Palestine. Rewriting the History of 1948 by Eugene L. Rogan and Avi Shlaim http://www.history.a[...] 2009-08-08
[222] 웹사이트 Dr. Sarah Ozacky-Lazar, Relations between Jews and Arabs during Israel's first decade (in Hebrew) http://lib.cet.ac.il[...] 2013-06-29
[223] 웹사이트 Palestine refugees http://unrwa.org/ete[...] Unrwa.org 2013-01-18
[224] 웹사이트 Re-claiming Palestine: The Legal Basis for Rights of Return and Restitution http://www.thejerusa[...] Thejerusalemfund.org 2013-01-18
[225] 서적 The Palestinian Refugees: Old Problems – new Solutions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01
[226] 간행물 Population, by Religion and Population Group http://www1.cbs.gov.[...] Israel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07-08-07
[227] 문서 Sachar, pp. 395–403.
[228] 서적 Immigrants in Turmoil: Mass Immigration to Israel and Its Repercussions in the 1950s and after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3
[229] 웹사이트 Displaced Persons http://www.ushmm.org[...] U.S. Holocaust Museum 2007-10-29
[230] 서적 1949. The First Israelis Owl Books 1986
[231] 서적 Immigrants in Turmoil: Mass Immigration to Israel and Its Repercussions in the 1950s and after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3
[232] 간행물 The Debate about 1948 1995
[233] 서적 The Hundred Years' War on Palestine : A History of Settler Colonialism and Resistance, 1917–2017 Henry Holt and Company 2020
[234] 서적 The war of 1948 : representations of Israeli and Palestinian memories and narratives Indiana University Press 2016
[235] 서적 The war of 1948 : representations of Israeli and Palestinian memories and narratives Indiana University Press 2016
[236] 간행물 The Vicissitudes of the 1948 Historiography of Israel 2009-10-01
[237] 서적 The war for Palestine : rewriting the history of 1948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38] 서적 Making Israel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0-04-23
[239] 서적 The Iron Cage : The Story of the Palestinian Struggle for Statehood http://worldcat.org/[...] Oneworld Publications
[240] 간행물 Revisionist Views of the Modern History of Palestine: 1948 https://www.jstor.or[...] 2023-03-04
[241] 서적 The war for Palestine : rewriting the history of 1948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42] 간행물 The Joan Peters Case*: From Time Immemorial: The Origins of the Arab-Jewish Conflict Over Palestine, by Joan Peters 1986-01-01
[243] 문서 Disinformation and the Palestine Question: The Not-So-Strange Case of Joan Peters's From Time Immemorial [[Verso Books|Verso]] 1988
[244] 서적 Dictionary of African Filmmaker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45] 웹사이트 Israeli Air Force, particularly its scrappy beginnings, inspires 3 films http://www.jta.org/2[...] 2015-12-10
[246] 웹사이트 パレスチナ戦争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3-05-07
[247] 웹사이트 Israel Defense Forces: Military Casualties in Arab-Israeli Wars (1948 - 1973) https://www.jewishvi[...] Jewish Virtual Library 2023-05-07
[248] 웹사이트 パレスチナ問題の経緯 https://ccp-ngo.jp/p[...] パレスチナ子どものキャンペーン 2023-02-15
[249] 문서
[250] 서적 The Dispersion Of Egyptian Jewry. Culture, Politics, And The Formation Of A Modern Diaspor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251] 뉴스 British Institute Gutted; Demonstration near Cairo The Times of India 1947-12-03
[252] 뉴스 Palestine Post 1948-05-21
[253] 서적 Israel, the Hashemites, and the Palestinians: The Fateful Triangle 2003
[254] 웹사이트 Ralph Bunche: UN Mediator in the Middle East, 1948–1949
[255] 간행물 Vita: Ralph Johnson Bunche: Brief life of a champion of human dignity: 1903–1971 Harvard Magazine 2003-11
[256] 서적 2003
[257] 서적 2008
[258] 서적
[259] 서적 1948: The First Arab-Israeli Wa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8
[260] 서적 2008
[261]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262] 서적 War in Palestine, 1948: Israeli and Arab Strategy and Diplomacy
[263] 서적 2008
[264] 서적 2008
[265] 서적 Defending the Holy Land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9
[266] 서적 2007
[267] 서적 1997
[268] 서적 City of Stone: The Hidden History of Jerusale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