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시리아 쿠데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3년 시리아 쿠데타는 1963년 3월 8일 시리아에서 바트당 군사위원회가 주도하여 일어난 쿠데타이다. 이 쿠데타는 시리아의 사회, 경제적 문제와 프랑스 위임 통치 이후 지속된 권력 구조에 대한 불만이 배경이 되었으며, 급진적 중산층, 군 장교, 소수 민족, 농민 등 다양한 세력의 연합으로 이루어졌다. 쿠데타 성공 이후 혁명사령부 국가위원회가 수립되었고, 바트당이 권력을 장악했지만, 내부 권력 다툼과 나세르주의자 숙청을 거치며 불안정한 정세가 이어졌다. 7월 18일 자셈 알완의 쿠데타 미수 사건 이후 나세르주의의 영향력이 약화되었고, 바트당 군사위원회가 권력을 강화하면서 시리아 군대 내 알라위파의 입지가 강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리아의 쿠데타 - 1949년 3월 시리아 쿠데타
1949년 3월 시리아 쿠데타는 후스니 알-자임 참모총장이 주도하여 슈크리 알아틀리 대통령을 축출하고 알-자임이 권력을 장악했으며, 미국의 아라비아 횡단 송유관 건설 승인, 시리아-이스라엘 휴전 협정 체결, 유대인 이민 허용 등의 결과를 낳았으나, 알-자임 또한 같은 해 8월 쿠데타로 축출 및 처형당하며 시리아는 정치적 혼란에 휩싸였다. - 시리아의 쿠데타 - 1966년 시리아 쿠데타
1966년 시리아 쿠데타는 바트당 내 권력 투쟁으로 발생하여 살라 자디드가 아민 알하피즈를 축출하고 시리아와 이라크 파벌로 분열되었으며, 급진적인 정책과 신바트주의 등장으로 이어졌다. - 1963년 분쟁 - 랜치 핸드 작전
랜치 핸드 작전은 베트남 전쟁 중 미국이 1961년부터 1971년까지 시행한 고엽제 살포 작전으로, 메콩 강 삼각주 지역의 수풀 제거 및 북베트남군 보급로 차단을 목적으로 했으며, 다이옥신에 오염된 에이전트 오렌지 등의 사용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쳐 국제적인 비판을 받았다. - 1963년 분쟁 - 라마단 혁명
라마단 혁명은 1963년 2월 8일 라마단 기간에 이라크에서 발생한 쿠데타로, 압둘카림 카심 정권이 무너지고 바트당이 권력을 잡게 되었으며, 정치적 불안과 미국의 개입 의혹 속에 수천 명의 희생자를 낳고 이라크 사회에 상처를 남겼다.
1963년 시리아 쿠데타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분쟁 명칭 | 1963년 시리아 쿠데타 |
다른 명칭 | 3월 8일 혁명 ar |
일부 | 아랍 냉전 |
![]() | |
날짜 | 1963년 3월 8일 |
장소 | 시리아 |
결과 | 나짐 알쿠지 정권 타도 제2차 시리아 공화국 종식 혁명 명령을 위한 국가 평의회 설립 이집트 및 이라크와의 연방 아랍 연합 설립 시도 자셈 알완의 쿠데타 진압 나세르주의 숙청 바트당 시리아 설립 바트당 군부 내 알라위파의 지배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시리아 정부 국민당 인민당 [[File:Flag of the Muslim Brotherhood.svg|23px|border|link=무슬림 형제단]] 무슬림 형제단 아랍 해방 운동 |
교전국 2 | 바트당 시리아 지부 군사위원회 군사국 |
지휘관 | |
교전국 1 지휘관 | 나짐 알쿠지 (시리아 대통령) 칼리드 알아즘 (시리아 총리) 아브둘 카림 자흐레딘 (국방부 장관 겸 총참모장) |
교전국 2 지휘관 | 지아드 알하리리 무함마드 움란 살라 자디드 하페즈 알아사드 라시드 알쿠타이니 무함마드 알수피 자셈 알완 아민 알하피즈 살림 하툼 |
피해 | |
사망자 | 820명 |
2. 배경
현대 시리아는 1920년 파이살 1세가 시리아 아랍 왕국을 건국하면서 시작되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과 프랑스가 비밀리에 맺은 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따라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가 되면서 사실상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었다. 많은 시리아인들은 프랑스가 세운 국가를 유럽 제국주의의 앞잡이라고 여겨 불만을 품었다.[1]
프랑스 위임통치 시기 시리아는 봉건적 성격을 띠었으며, 반(半) 자유적인 과두정치 체제였다. 약 3천 가구가 시리아 땅의 절반을 차지했고, 중산층이 중소 규모 재산의 대부분을 소유했다. 반면 농민의 2/3 이상은 땅이 없는 소작농이었다.[2] 농업 수입은 불평등하게 분배되어 상위 2%가 소득의 50%를, 중산층(자영농, 중간 마름) 18%가 25%를, 하위 80%가 나머지 25%를 차지했다.[2] 지주와 농민 간의 계급 차이와 사회적 대립은 결국 지주 계급의 몰락으로 이어졌다.[2]
1946년, 시리아는 프랑스 위임통치에서 벗어나 독립했지만,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의 패배는 전통 엘리트들의 권위를 무너뜨리고 군부의 정치 개입을 불러왔다. 후스니 알자임이 1949년 시리아 최초의 군사 독재자가 되었고, 이후 군부의 정치 개입은 과두 통치를 무너뜨리고 중산층의 정치 참여를 확대했다. 그러나 전통 엘리트들은 여전히 경제적 독점 지위를 유지했다.[4]
이러한 상황에서 미셀 아프라크와 살라흐 알딘 알비타르가 주도한 바트주의 이념이 등장했다. 1953년 아크람 알하우라니의 아랍 사회당(ASP)과 아랍 바트당이 합병하여 바트당이 창당되었다.[5] 바트당은 도시 중산층의 지지를 얻었으며, 농촌 지역에도 당 조직을 만들어 1956년에는 시리아 최초의 노동자 시위를 이끌었다.[6] 그러나 바트당은 당내 부족주의와 후견정치가 만연해졌고, 당 지도부는 민주주의 규범과 절차를 무시했다.[6]
바트당은 가말 압델 나세르와 협력하여 아랍 연합 공화국에 참여했지만, 이집트 주도의 연합 공화국에서 바트당은 해산 위기에 몰렸다. 1961년 군사 쿠데타로 아랍 연합 공화국이 붕괴되면서 바트당은 다시 분열되었다. 1962년 아프라크는 바트당 회의를 소집하여 당을 재건했지만, 일부 지부는 이에 따르지 않고 범아랍주의에 적대적인 급진적 사회주의자가 되었다. 쿠데타를 일으킨 군사위원회는 이러한 급진적 사회주의자들의 견해를 공유했다.[7]
2. 1. 쿠데타 이전
현대 시리아는 1920년 파이살 1세가 시리아 아랍 왕국을 건국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국가는 시리아에 국한되지 않고 아랍 민족 전체를 아우르는 국가를 목표로 아랍 민족주의와 범이슬람주의를 내세웠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과 프랑스가 비밀리에 맺은 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따라 시리아는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가 되면서 사실상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었다. 많은 시리아인들은 프랑스가 세운 국가가 유럽 제국주의의 앞잡이라고 여겨 불만을 품었다.[1] 이 시기 시리아 사회국가주의 당과 같이 시리아의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움직임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시리아인들은 자신을 시리아인이 아닌 "아랍인"으로 생각했다.[1]프랑스 위임통치 시기 시리아는 봉건적 성격을 띠었으며, 반(半) 자유적인 과두정치 체제였다. 이러한 사회 구조는 도시와 농촌 간의 생활 방식 차이를 반영하는 계급 사회를 만들었다. 약 3천 가구가 시리아 땅의 절반을 차지했고, 중산층이 중소 규모 재산의 대부분을 소유했다. 반면 농민의 2/3 이상은 땅이 없는 소작농이었다.[2] 농업 수입은 불평등하게 분배되어 상위 2%가 소득의 50%를, 중산층(자영농, 중간 마름) 18%가 25%를, 하위 80%가 나머지 25%를 차지했다.[2] 지주와 농민 간의 계급 차이와 사회적 대립은 결국 지주 계급의 몰락으로 이어졌다.[2]
1946년, 시리아는 영국의 최후통첩으로 프랑스 위임통치에서 벗어나 독립 국가가 되었다.[3] 그러나 위임통치 기간 동안 권력을 잡았던 지배 계급은 독립 이후에도 권력을 유지하며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시리아를 통치했다.[3]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의 패배는 전통 엘리트들의 권위를 무너뜨리고 군부의 정치 개입을 불러왔다. 후스니 알자임이 1949년 시리아 최초의 군사 독재자가 되었고, 1950년부터 아디브 시사클리가 배후에서 권력을 장악하여 1953년 군사 독재 정권을 수립했다. 군부의 정치 개입은 과두 통치를 무너뜨리고 중산층의 정치 참여를 확대했지만, 전통 엘리트들은 여전히 경제적 독점 지위를 유지했다.[4]
이러한 상황에서 바트주의 이념이 등장했다. 1940년대 미셀 아프라크와 살라흐 알딘 알비타르가 아랍 바트 운동을 설립했고, 자키 알르수지 등도 참여했다. 1953년 아크람 알하우라니가 아랍 사회당(ASP)을 창설했으며, ASP와 아랍 바트당이 합병하여 바트당이 창당되었다.[5] 1947년 아랍 바트당 창립 총회에 참여한 대의원 150명 대부분은 중산층 전문가나 지식인이었으며, 1950년대까지 바트당은 도시 중산층의 지지를 얻었다.[5] 바트당은 농촌 지역에도 당 조직을 만들어 신입 당원을 모집했고,[5] 1956년에는 시리아 최초의 노동자 시위를 이끌었다.[6] 그러나 바트당은 사회 각계각층에서 당원을 모집하면서 당내 부족주의와 후견정치가 만연해졌고, 당 지도부는 민주주의 규범과 절차를 무시했다.[6]
바트당은 선거를 통한 집권과 강제적인 정권 탈취 사이에서 갈등을 겪었다. 심지어 민주적이었던 초기 설립자들조차 부정선거를 통한 정권 탈취를 주장했다. 바트당은 가말 압델 나세르와 협력하여 아랍 연합 공화국에 참여했지만, 이집트 주도의 연합 공화국에서 바트당은 해산 위기에 몰렸다. 1961년 군사 쿠데타로 아랍 연합 공화국이 붕괴되면서 바트당은 다시 분열되었다. 아랍 연합 공화국 지지파와 반대파, 전통적 지도층 지지파와 반대파 등으로 나뉘었다. 1962년 아프라크는 바트당 회의를 소집하여 당을 재건했지만, 일부 지부는 이에 따르지 않고 범아랍주의에 적대적인 급진적 사회주의자가 되었다. 쿠데타를 일으킨 군사위원회는 이러한 급진적 사회주의자들의 견해를 공유했다.[7]
2. 2. 경제/사회적 문제
1963년 시리아 쿠데타는 단순한 권력 장악이 아닌, 사회 저변에서부터 올라온 반(反) 과두제적 성격의 봉기에 가까웠다. 이 '혁명'에는 급진적 성향의 중산층, 전략적 요직을 차지한 군 장교, 소외된 소수민족, 그리고 농민 봉기로 결집한 다수의 농민 등 다양한 반(反) 과두제 세력이 연합했다.[1]국제적으로 볼 때, 이 혁명은 프랑스가 자의적으로 설정한 시리아 국경선과 신생 시리아 내 이스라엘에 대한 반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독립 직후 시리아의 권력을 장악한 세력은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 시절부터 권력을 유지해 온 전통적 엘리트들이었다. 그러나 시리아의 인위적인 국경선은 종파 및 부족 간 분쟁을 야기했고, 이는 많은 국민들의 불만을 낳았다. 여기에 아랍 민족주의, 범이슬람주의, 대시리아주의와 같은 이념들이 결합되면서 전국적인 투쟁으로 확산되었다. 평범한 투쟁과 급진적 이념의 결합은 농촌 문제에 대한 급진적 해결책을 모색하게 만들었다.[2]
새롭게 성장하던 시리아의 중산층은 전통적 엘리트들이 농업 부문을 장악하고 국가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황에 불만을 품게 되었다. 신(新) 중산층은 전통적 엘리트와는 달리 자본가와 기업가들로 구성되었으며, 전통적 엘리트의 권력 독점은 이들을 점차 급진화시켰다.[3]
대부분의 국가에서 군부는 보수적이고 엘리트주의적 성향을 띠지만, 시리아의 군부는 전통적 엘리트들이 국가를 지킬 능력이 없다고 판단하고 더 큰 권력을 추구하면서 급진화되었다. 또한 주요 군 장교들은 신(新) 중산층이나 농촌 출신이 많았다.[4]
시리아에서는 소수 민족이 소외 계층인 경우가 많았고, 특정 민족이 특정 사회 계급을 이루는 경우가 흔했다. 알라위파, 드루즈인, 이스마일파와 같이 낮은 사회 계급에 속했던 소수민족들은 바트주의와 같은 급진적 아랍 민족주의 사상을 받아들이는 경향을 보였다.[5]
농민의 참여는 시리아 혁명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신(新) 중산층만으로는 불안정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었지만, 농민들이 혁명에 가담하면서 상황이 반전되었다. 도시와 농촌 간의 불평등, 농촌 지역의 민영화와 자본주의 침투, 그리고 전통적 엘리트의 농업 부문 독점은 농촌 변화 운동을 촉발시켰고, 이는 더 나아가 사회 반대 운동에 농촌이 합류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바트당 시리아 지부는 급진적 정책을 통해 농촌 지역에서 많은 당원을 확보하고, 대규모 동원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6]
3. 쿠데타 계획
1962년, 바트당 시리아 지부 군사위원회는 정규 군사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장악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군사위원회는 알키사흐, 카타나 2개 군사기지를 점령하고 알키사흐의 제70기갑여단의 통제권을 쥔 후 홈스 사관학교와 다마스쿠스 라디오 방송국을 장악하기로 결정했다. 군사위원회의 쿠데타 공모자들은 모두 젊었으나, 정체된 정권은 천천히 붕괴하고 있었고 전통적 엘리트들은 권력이 누수되어 계획을 이루기 쉬웠다.[1]
군사위원회는 쿠데타에 성공하기 위해 시리아군 장교 일부의 협조를 얻어야 했다. 아랍 연합 공화국의 붕괴 후 탈영, 숙청, 전근된 장교단은 완전한 혼란에 빠졌고 반정부적 선동에 취약했다. 이 시기 장교단은 구체제를 지지하는 다마스쿠스 파, 아크람 알하우라니파, 나세르주의파, 바트주의파, 독립파의 5개 파벌로 나뉘어 있었다.[2] 다마스쿠스 파는 나짐 알쿠지 정권을 지지하여 적대적이었고, 알하우라니파는 범아랍주의에 반대하는 정통파로 적대적이어서 협조를 구할 수 없었다. 바트주의파는 나세르주의 파가 가말 압델 나세르를 지지하며 UAR의 재결성을 목표로 한다는 것을 알았지만, 협조를 구해 동맹했다.[2]
군사위원회는 나세르주의파와 협력하여 군사정보국 기관장인 라시드 알쿠타이니와 홈스 여단 지휘관인 무함마드 알수피와 비밀리에 접촉했다.[3] 또한 군사위원회는 하사관들에게 부탁하여 이스라엘 방면군 사령관이자 독립파의 수장인 지아드 알하리리와 만나 협력할 것을 요구했다. 이 접촉은 성공적이었고, 알하리리는 "(쿠데타가) 성공하면 참모총장 자리를 줄 것이며, 실패하면 전혀 연관이 없다고 부인할 수 있다"는 약속을 받았다.[4] 당시 시리아의 총리 칼리드 알아짐이 알하리리를 강등시키려 계획하고 있었기 때문에 알하리리가 쿠데타에 가담하였다.[4]
쿠데타 준비는 착실하게 이루어졌으나, 군사위원회 및 쿠데타 공모 세력은 바트당 관료들을 매우 싫어했다. 군-당 동맹의 주목적은 탄압으로부터 당을 보호하는 것이었다. 군사위원회는 UAR에 시리아가 있었던 동안 바트당의 수장이었고 UAR 해체에 반대했던 미셀 아프라크를 좋게 보지 않았다. 하지만 아프라크는 군사위원회가 권력을 장악해야 했으며, 반대로 군사위원회도 아프라크 외엔 지지 세력이 없어 아프라크가 권력을 쥐고 있어야 했다. 1962년 5월 8일 열린 제5회 바트당 총회에서 당을 재건하며 아프라크가 바트당 국민명령의 지도자로 추대되었다. 군사위원회 지도자이자 제5차 바트당 총회 당시 대의원이었던 무함마드 움란은 아프라크에게 쿠데타 계획을 설명하고 동의를 받았으나, 쿠데타 성공 이후 권력 분할에 관해서는 어떤 합의도 하지 못했다.[5]
4. 쿠데타 시행
1963년 3월 7일-8일 사이 새벽, 쿠데타 주동자들의 전차와 부대가 다마스쿠스를 향해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스라엘 방면군의 알하리리 여단의 주도로, 바트주의파는 수와이다에서 2번째 여단을 지휘하였다. 협공 작전으로 제70기갑여단의 지휘관인 압드 알 카림 중장은 포위되어 붙잡혔고, 무함마드 움란이 지휘관에 올랐다. 위다드 바시르가 다마스쿠스 지역의 통신을 장악하여 다마스쿠스 남서쪽 카타나에 주둔한 부대는 진압에 개입할 수 없었다.[1] 알키스와의 부대가 패배하고 카타나 지역이 무력화되면서 알하리리 부대는 다마스쿠스 시내로 진격하여 바리케이드를 쌓고 중앙우체국과 같은 주요 시설을 점거했다.[1] 당 지휘관인 살림 하툼은 라디오 방송국을 장악했다. 시리아 국방부 건물은 전투없이 점거당했고 총사령관 자흐르 알딘은 체포되었다. 나짐 알쿠드시 대통령과 아크람 알하우라니도 쉽게 체포되었다. 살라 자디드는 그날 아침 자전거를 타고 도심으로 가서 경찰국 건물을 장악했다.[1]
하페즈 알 아사드는 소수의 공모자들과 함께 쿠데타에 저항한 유일한 세력이었던 다마스쿠스 북동쪽의 알두마르 공군기지를 점령하러 출동했다. 이곳의 비행기 중 일부는 쿠데타군을 폭격하라는 명령을 받은 상태였다. 아사드가 여단 중대 일부를 이끌고 공습을 막기 위해 아침이 뜨기 전에 공군기지를 장악한다는 계획이었다. 제70기갑여단의 항복이 예상보다 늦어져 아사드군의 출동도 예정보다 늦어졌다. 아사드군이 공군기지 외곽에 도착했을 땐 이미 대낮이었다. 아사드는 사령관들에게 항복하지 않으면 기지를 포격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협박했다. 아사드는 이 때 공군기지를 전투를 통해 장악할 수도 있었으나 항복 협상을 했다고 말했다.[1]
그날 아침 쿠데타 성공을 축하하기 위해 쿠데타 공모자들이 육군본부로 모였다.[1] 쿠데타는 거의 무혈로 성공했고, 시리아 국민 대부분은 쿠데타에 무관심했다. 나중에 "혁명의 시인"으로 알려진 드루즈인 사베르 팔호트는 쿠데타 세력의 첫 공동성명을 쓰고 발표했다. 9차 성명에서 군사위원회 5명을 육군으로 복직시켰다. 새롭게 권력을 장악한 정권 고위인사는 무함마드 움란, 살라 자디드, 하페즈 알 아사드 3명이었다.[1] 쿠데타 도중 820명이 사망했으며 이후 20명이 처형된 것으로 밝혀졌다.[4]
5. 쿠데타 이후
1963년 3월 8일 쿠데타 성공 이후, 시리아는 바트당이 주도하는 새로운 정치 질서를 맞이하게 되었다. 쿠데타 직후, 바트당원 12명과 나세르주의자 및 무소속 8명으로 구성된 혁명사령부 국가위원회(NCRC)가 수립되었다. 이 위원회는 살라흐 알딘 알비타르에게 새 정부 구성을 위임했으며, 이후 6명의 민간인이 추가로 합류했다. 그러나 실질적인 권력은 군 장교들에게 있었다. 군사위원회는 NCRC 회의 전에 국가 정책을 미리 결정하여 사실상 권력을 장악했다.[11]
초기에 군사위원회는 발전된 국가 건설이라는 공동 목표 아래 단결했다. 루아이 알아타시가 석방되어 중장으로 진급, 총사령관 겸 NCRC 의장, 즉 사실상의 국가 수반이 되었다. 지아드 알 하리리는 참모총장에, 무함마드 알수피는 국방장관, 라시드 알쿠타이니는 참모차장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군사위원회가 확대되면서 바트당이 실질적인 권력을 쥐게 되었다.[11]
무함마드 움란은 제5여단장에서 제70기갑여단장으로 승진했고, 살라흐 자디드는 장교 사무국장으로서 친구들을 요직에 임명하며 바트주의자들을 주요 직책에 앉혔다. 아흐마드 알수와다니는 군사 정보국장, 마자드 후나디는 헌병 지휘관이 되었다. 홈스 사관학교는 바트당의 통제하에 놓였고, 리파트 알아사드를 포함한 수백 명의 바트주의자들이 훈련을 받고 지휘관이 되었다. 하페즈 알아사드는 시리아 공군의 실질적인 수장이 되었으며, 아민 알하피즈는 내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11]
이러한 권력 재편 과정에서, 시리아 북부와 다마스쿠스 등지에서는 친(親)나세르주의 시위가 이어졌고, 아랍 민족주의 운동과의 협력을 통해 이집트, 이라크와의 연합 정부 수립이 추진되기도 했다. 1963년 4월 17일에는 새로운 단계의 연방 국가 합의가 이루어지기도 했다.[4]
하지만, 이미 시리아 군부내에서는 바트주의파가 권력을 독점하고 있었기에, 1963년 4월 말에서 5월 초 사이, 바트당 군사위원회는 군 내의 나세르주의자 고위급 인사 50명 이상을 숙청하여 이집트와의 연방 국가 합의를 사실상 폐기했다. 이로 인해 알레포, 다마스쿠스, 하마 등에서 친(親)연방 세력의 시위와 봉기가 일어났고, 알수피 국방장관, 알쿠타이니 부참모장 등 나세르주의자 내각 인사들이 사퇴했다.[5]
이후, 1963년 6월에는 군사위원회가 알 하리리 참모총장 휘하의 독립파 장교 30명을 숙청했고, 알 하리리는 이에 항의했으나 실패하고 프랑스로 망명했다.[8]
1963년 7월 18일, 자셈 알완이 이집트 정보국의 도움을 받아 쿠데타를 일으켰으나 실패했다. 쿠데타 가담자 27명은 처형당했고, 루아이 알아타시 대통령은 이에 반발하여 사임했다. 알완 등은 체포되어 군사재판에서 반역죄로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1년 후 가말 압델 나세르 이집트 대통령과 아흐마드 하산 알바크르 이라크 총리의 로비로 석방되어 망명했다.[10]
알완의 쿠데타 실패로 군부 및 관료 조직에서 나세르주의자의 영향력은 완전히 사라졌으며, 바트주의파가 사실상 국가 권력을 독점하게 되었다. 이집트와의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고, 나세르는 바트당을 "살인자", "파시스트"라고 비난하며 4월 17일의 연합 협약을 공식적으로 폐기했다.[10]
5. 1. 권력 장악과 통치
1963년 쿠데타 이후 시리아의 새로운 통치자들은 혁명 지휘 국가 평의회(NCRC)를 설립했다. 이 평의회는 바트당원 12명과 나세르주의자 및 무소속 인사 8명으로 구성되었다. NCRC는 바트당 창립자 중 한 명인 살라 알딘 알비타르에게 정부 구성을 지시했다. 이후 NCRC에 민간인 6명이 추가되었는데, 이 중 3명은 바트당원(미셸 아플라크, 살라 알딘 알비타르, 만수르 알아트라시)이었고, 3명은 나세르주의자였다. 그러나 권력은 여전히 장교들에게 있었다. 군사위원회는 NCRC 회의 전에 정책을 결정하여 실질적인 권력 중심지가 되었다.[11]초기에 군사위원회는 번영하는 국가 건설이라는 목표 아래 통합되어 있었다. NCRC는 루아이 알아타시를 석방하고 중장으로 진급시켜 사령관 겸 NCRC 의장, 즉 사실상 국가 원수로 임명했다. 지아드 알 하리리는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다. 무함마드 알수피는 국방부 장관, 라시드 알쿠타이니는 참모차장이 되었다. 그러나 군사위원회가 확장되면서 바트당이 실질적인 권력을 장악하게 되었다.[11]
무함마드 움란은 제5여단 사령관에서 제70기갑여단 사령관으로 승진했다. 살라흐 자디드는 장교 사무국장으로서 요직에 친구들을 임명하고, 바트당원들을 주요 직책에 배치했다. 아흐마드 수와이다니는 군사 정보국장, 마지야드 후나이디는 군사 경찰 국장이 되었다. 호므스 군사 학교는 바트당의 통제하에 놓였고, 리파아트 알아사드를 포함한 수백 명의 바트당원들이 군사 교육을 받고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하페즈 알아사드는 시리아 공군의 실질적인 수장이 되었다. 군사위원회는 아민 알하피즈를 내무부 장관으로 임명했다.[11]
1963년 4월 말부터 5월 초까지 바트당 군사위원회는 군 내의 나세르주의자 고위급 인사 50명 이상을 숙청하여 이집트와의 연방 국가 합의를 사실상 폐기했다. 이로 인해 알레포, 다마스쿠스, 하마 등에서 친연방 세력의 시위와 봉기가 일어났고, 알수피 국방장관, 알쿠타이니 부참모장 등 나세르주의자 내각 인사들이 사퇴했다.[12]

1963년 6월, 알하리리 참모총장이 알제리로 고위급 방문단을 이끌고 간 사이, 군사위원회는 알하리리 산하의 독립파 장교 30명을 숙청했다. 알하리리는 미국 주재 시리아 대사관으로 가 대사관 주재무관 역할을 하라는 지시를 받았으나, 베이루트를 거쳐 시리아로 돌아와 군사위원회에 항의했다. 실패 후 알하리리는 7월 8일 프랑스로 망명했다.[13]
1963년 7월 18일, 자셈 알완이 이집트 정보국의 도움을 받아 쿠데타를 일으켰으나 실패했다. 쿠데타 공모자 27명은 처형당했고, 루아이 알아타시 대통령은 이에 반발하여 사임했다. 알완 등은 체포되어 군사재판에서 반역죄로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1년 후 가말 압델 나세르 이집트 대통령과 아흐마드 하산 알바크르 이라크 총리의 로비로 석방되어 망명했다.[14]
알완의 쿠데타 실패로 군부 및 관료 조직에서 나세르주의자의 영향력은 완전히 사라졌고, 바트주의파가 사실상 국가 권력을 독점하게 되었다. 이집트와의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고, 나세르는 바트당을 "살인자", "파시스트"라고 비난하며 4월 17일의 연합 협약을 공식적으로 폐기했다.[15]
5. 2. 숙청 및 7월 18일 쿠데타 미수

시리아 북부와 다마스쿠스에서 친(親)나세르 시위가 계속되었고, 자말 알아타시와 같은 친(親)연방주의 바트당 지도자들과 아랍 민족주의 운동의 압력, 그리고 시리아 대중 사이에서 바트당의 취약성은 이집트 및 이라크와의 통합 노력을 이끌었다. 1963년 4월 17일, 나세르가 대통령 겸 군 총사령관을 맡는 연방 형태의 단계적 통합 협정이 체결되었다.[4]
그러나 1963년 4월 28일부터 5월 2일 사이, 바트당이 주도하는 군사위원회는 군 고위직에서 50명 이상의 나세르주의자 장교들을 숙청함으로써 이 협정을 사실상 철회했다. 이집트는 라디오 방송을 통해 바트당을 비난하는 대규모 선전 캠페인을 벌였다. 알레포, 다마스쿠스, 하마 등 시리아 여러 도시에서 친(親)연방 세력의 폭동이 일어났다. 이러한 숙청에 항의하여 알수피 국방장관, 알쿠타이니 부참모총장을 비롯한 나세르주의자 관료들이 사퇴했다.[5] 이 숙청은 수니파 장교들이 제거되고 충성스러운 알라위파 장교들로 채워진 시리아군의 신바트주의자 변혁의 절정이었다. 이는 시리아 전역에서 비난의 대상이 되었고, 수많은 지식인들이 언론 매체와 간행물을 통해 신정부의 종파적 성격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6월 19일, 알 하리리 참모총장은 알비타르 총리, 아플라크, 사미 드로비 교육부 장관을 포함한 고위급 대표단을 이끌고 알제리를 방문했다.[6] 알 하리리가 자리를 비운 동안, 군사위원회는 알 하리리 휘하의 약 30명의 엘리트 장교들을 숙청했다. 알 하리리는 미국 주재 시리아 대사관으로 직행하여 무관으로 재배치하라는 지시를 받았으나, 6월 23일 베이루트를 통해 시리아로 돌아와 군사위원회의 조치에 항의했다.[7] 실패 후, 그는 7월 8일 프랑스로 망명했다. 알 하리리의 축출은 알비타르에게 분노를 안겨주었는데, 그는 알 하리리를 군사위원회의 권력을 견제할 수 있는 마지막 세력으로 보았기 때문이다.[8]
나세르주의자들은 숙청에도 불구하고 군대 내에서 상당한 세력을 유지했고, 7월 18일 자셈 알완의 지도와 이집트 정보국의 도움을 받아 쿠데타를 시도했다.[9] 알 하피즈가 직접 경호하던 육군 본부와 방송국이 공격받았고, 이어진 전투로 민간인을 포함한 수백 명이 사망했다.[10] 쿠데타는 실패했고, 가담한 장교 27명은 처형되었다. 이는 시리아에서 쿠데타 실패 가담자들에게 드문 처벌이었다. 루아이 알아타시 대통령은 사형 집행에 불만을 품고 사임했다. 알완과 그의 주요 공모자들은 체포되어 군사재판에 회부되었고, 반역죄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들은 1년 후 나세르와 이라크 대통령 압둘 살람 아리프의 로비로 석방되어 망명했다.
알완의 쿠데타 실패로 군부와 관료 조직에서 나세르주의자의 영향력은 사실상 사라졌고, 바트주의파 군사위원회가 국가 권력을 독점하게 되었다.[10] 이집트와의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고, 나세르는 바트당을 "살인자"와 "파시스트"로 비난하는 방송을 내보냈으며, 바트당의 세속주의와 비(非)수니파 무슬림, 특히 알라위파의 권력 장악을 비난했다. 나세르는 또한 4월 17일의 연합 협약을 공식적으로 폐기했다.
6. 결론
1963년 시리아 쿠데타는 시리아 현대사의 중요한 분기점이었다. 이 쿠데타로 바트당이 권력을 장악하면서, 시리아는 아랍 사회주의와 범아랍주의를 표방하는 국가로 변모했다. 쿠데타 이후 시리아는 하페즈 알 아사드의 장기 집권, 레바논 내전 개입, 이스라엘과의 갈등 등 복잡한 역사를 겪었다.
쿠데타의 장기적인 영향은 시리아 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났다. 바트당은 권위주의적인 통치를 통해 정치적 안정을 추구했지만, 동시에 소수 종파 중심의 권력 구조는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켰다. 이러한 문제는 2011년 시리아 내전 발발의 한 원인이 되기도 했다. 시리아 내전은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으며, 평화적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참조
[1]
논문
Syrians of today, Germans of tomorrow: the effect of initial placement on the political interest of Syrian refugees in Germany
2023-05-16
[2]
웹사이트
No Room to Breathe: State Repression of Human Rights Activism in Syria: IV. Syria's Legal Framework
https://www.hrw.org/[...]
2024-05-30
[3]
서적
The Paranoid Style in American Diplomacy: Oil and Arab Nationalism in Iraq
Stanford University Press
[4]
문서
Rabinovich
[5]
뉴스
Mideast Mirror
Arab News Agency
1963
[6]
웹사이트
Middle East Forum
https://books.google[...]
2015-06-27
[7]
서적
Chronology of Arab Politics
https://books.google[...]
Political Studies and Public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the American University of Beirut
1963
[8]
서적
Chronology of Arab Politics
https://books.google[...]
Political Studies and Public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the American University of Beirut.
2023-04-02
[9]
뉴스
Syria: Identity Crisis
https://www.theatlan[...]
1993-02
[10]
뉴스
Syria: Identity Crisis
https://www.theatlan[...]
1993-02
[11]
문서
Rabinovich
[12]
뉴스
Mideast Mirror
Arab News Agency
1963
[13]
웹인용
Middle East Forum
https://books.google[...]
Alumni Association of the American University of Beirut
1963
[14]
서적
Chronology of Arab Politics
https://books.google[...]
Political Studies and Public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the American University of Beirut
1963
[15]
서적
Chronology of Arab Politics
https://books.google[...]
Political Studies and Public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the American University of Beirut.
196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