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1년 영국 총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1년 영국 총선은 조지 6세 국왕의 건강 문제와 정권 교체 가능성으로 인해 치러졌으며, 보수당이 승리하여 윈스턴 처칠이 다시 총리직에 올랐다. 노동당은 48.8%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나, 321석을 얻은 보수당에 의석수에서 뒤쳐졌다. 보수당은 '강하고 자유로운 영국'을 내세우며 전시 배급제 폐지 등을 공약했고, 윈스턴 처칠의 높은 지지율과 중산층 및 숙련 노동자 계층의 지지를 얻어 승리했다. 자유당은 득표율 2.5%로 6석 확보에 그치며 부진한 결과를 보였다.
조지 6세는 당시 정부의 의석이 매우 적었고, 1952년 초 영연방 순방이 예정되어 있어 그가 부재중에 정권이 바뀔 가능성을 우려했다. 클레멘트 애틀리는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총선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4] 결과적으로 국왕은 병세가 악화되어 여행을 할 수 없게 되었고, 1952년 2월 사망 직전 딸 엘리자베스 2세에게 순방을 위임했다. 의회는 1951년 10월 5일에 해산되었다.[4]
1951년 영국 총선거는 각 정당에게 매우 중요한 선거였다.
2. 배경
2. 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영국
제2차 세계 대전은 영국 사회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고, 전후 복구는 영국 정부의 최우선 과제가 되었다. 전쟁으로 인해 경제는 피폐해졌고, 국민들은 생활고에 시달렸다. 전쟁 중 형성된 국민적 통합은 전후 사회 개혁에 대한 요구로 이어졌다.[4]
1945년 총선 공약 대부분을 이행했던 노동당 정부는 어니스트 베빈 (사망)과 스태퍼드 크립스 (건강 문제)와 같은 각료들을 잃기 시작했다. 그러나 보수당은 1950년 총선 이후 더 많은 국회의원을 확보하고 있었다.
3. 선거 운동
노동당은 당내 게이츠켈파와 비반파 간의 분열로 인해 약화된 상태에서 선거에 임했다. 당 선언문은 "자신의 기록에 자랑스러워하며, 정책에 확신을 가지고 유권자들에게 당의 임기를 갱신해 줄 것을 자신 있게 요청한다"고 밝혔으나, 선거 운동 기간 동안 정책적 분열이 나타났다.[6]
보수당은 "강하고 자유로운 영국(Britain Strong and Free)"이라는 선언문을 내걸고, "전통적인 삶의 방식" 보호를 목표로 내세우며 효율적인 선거 운동을 벌였다.[5][8]
자유당은 1950년 선거의 참패에 이어 선거 보증금 손실 보험 가입 실패로 후보를 109명만 내세웠고, 득표율 2.5%와 6석 확보라는 최악의 결과를 얻었다.[9]
북아일랜드에서는 얼스터 연합주의당 소속 후보 4명이 무투표 당선되었다. 이는 무투표 당선자가 나온 마지막 총선이었지만, 이후 보궐선거에서는 무투표 당선이 있었다.[10]
노동당은 국민자유당을 합친 보수당보다 25만 표 이상을 더 얻었고, 1992년까지 깨지지 않은 영국 정당 최다 득표수를 기록했다. 그러나 보수당이 17석 과반수로 정부를 구성했다. 보수당은 랭커셔, 홈 카운티, 이스트 앵글리아 등에서 노동당 표를 흡수하며 남성 노동 계급 유권자들에게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5] 소선거구제 하에서 많은 노동당 표가 안전 의석에 몰려 "낭비"된 결과였다.
3. 1. 노동당의 선거 운동
노동당은 집권 기간 동안 이룩한 사회 개혁 성과를 강조하며, 영국 복지 국가 건설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약속했다. 당 선언문은 영국이 직면한 네 가지 주요 과제, 즉 평화를 위한 노력, "완전 고용 유지 및 생산 증대"를 위한 노력, 생활비 절감, 그리고 "정의로운 사회 건설"의 필요성을 제시했다.[6] 또한 1951년의 영국과 전간기의 보수당 주도 정부를 대조하며, 전간기에는 "대량 실업, 대량의 공포, 대량의 고통"이 있었다고 지적했다.[7] 이전 선거와 달리 추가적인 국유화는 약속하지 않았고, 대신 더 많은 공영주택 제공과 "노동자들을 공공 산업 및 서비스 행정에 더욱 밀접하게 참여시키겠다"는 공약에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산업에 대한 완전한 노동자 통제에는 여전히 반대했다.[5]
선거 운동 기간 동안 노동당 내부에서는 정책적 분열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노동당은 당내 우익인 게이츠켈파(Gaitskellites)와 좌익인 비반파(Bevanites) 사이의 분열이 심화되면서 약화된 상태로 선거에 돌입했다.[5]
3. 2. 보수당의 선거 운동
보수당은 "강하고 자유로운 영국(Britain Strong and Free)"이라는 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전통적인 삶의 방식"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내세웠지만, 영국 복지 국가나 국민 건강 서비스를 해체하지는 않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보수당은 "모든 추가적인 국유화를 중단"하고 철강법(Steel Act)을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노동당 정부가 전시 배급제와 가격 통제를 너무 늦게 폐지했다고 비판했으며, 전시 임금 동결과 방위 규정에 따른 파업 금지가 해제된 후 산업 분쟁이 증가한 것을 지적했다.[5][8]
3. 3. 자유당의 선거 운동
1950년 영국 총선에서 참패한 자유당은 이번 선거에서 더 심각한 재정난에 직면했다. 선거 보증금 손실 보험 가입에 실패하면서, 후보자 수를 1950년 478명에서 109명으로 대폭 줄여야 했다. 이는 득표율 2.5%, 6석 확보라는 자유당 역사상 최악의 총선 결과로 이어졌다.[9] 이후 자유민주당의 득표율은 이보다 낮아진 적은 없지만, 6석이라는 의석수는 여러 차례 반복되었다.[9] 자유당의 몰락은 잠재적 자유당 지지층의 3분의 2가 보수당으로 이동하면서 노동당의 약화를 초래했다.[5]
4. 선거 결과
1951년 영국 총선에서 노동당은 득표율에서 보수당을 근소하게 앞섰지만, 의석수에서는 크게 뒤져 정권을 내주었다. 윈스턴 처칠이 이끄는 보수당은 321석을 획득하여 원내 다수당이 되었고, 클레멘트 애틀리가 이끄는 노동당은 295석을 얻는 데 그쳤다. 자유당은 6석, 자유국민당은 19석, 아일랜드 노동당은 1석, 무소속은 2석을 얻었다.
총 투표수는 28,596,594표였으며, 투표율은 82.6%였다. 득표율은 노동당이 48.8%, 보수당이 44.3%, 자유국민당이 3.7%, 자유당이 2.6%였다.
선거 후 자유국민당은 보수당과 합당하여 보수당은 과반 의석을 확보하였다. 윈스턴 처칠은 다시 총리직에 올라 새로운 정부를 구성하였다.
4. 1. 정당별 의석수 및 득표율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후보자 수 | 의석수 | |
---|---|---|---|---|---|
보수당 | 12,660,061 | 44.3 | 562 | 302 | |
노동당 | 13,948,883 | 48.8 | 617 | 295 | |
자유당 국민정부파 | 1,058,138 | 3.7 | 55 | 19 | |
자유당 | 730,546 | 2.6 | 109 | 6 | |
아일랜드 국민당 | 92,787 | 0.3 | 3 | 2 | |
아일랜드 노동당 | 33,174 | 0.1 | 1 | 1 | |
합계 | 625 |
'''유효 득표 총수''': 28,596,594표
득표율에서는 노동당이 보수당보다 근소하게 앞섰지만, 의석수는 크게 줄었다. 선거 후 자유당 국민정부파가 보수당과 합당하면서 보수당이 과반수를 차지, 윈스턴 처칠이 다시 총리직에 오르며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 이후 노동당은 13년간 야당 신세가 되었다. 전쟁 중부터 지속된 계획경제에 대한 중산층과 숙련 노동자들의 불만, 노동당 내부 좌우 대립 등이 패인으로 꼽힌다.
4. 2. 선거 결과 분석
노동당은 득표율에서 보수당을 근소한 차이로 앞섰지만, 의석수에서는 전회보다 크게 감소했다. 선거 후 자유당 국민정부파가 보수당과 합당함에 따라 보수당이 과반수를 차지하여 정권을 탈환하고 윈스턴 처칠이 다시 수상에 취임했다. 이후 노동당은 13년 동안 야당이 되었다. 전쟁 중부터 계속되어 온 통제경제에 대한 불만을 강하게 품은 중산층과 숙련 노동자 계층의 표가 일시에 보수당으로 몰린 것, 노동당 내의 좌우 양파 간의 대립이 표면화된 것 등이 패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5. 선거 이후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이전 응답은 수정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참조
[1]
논문
The British General Election of 1951
https://www.jstor.or[...]
1952
[2]
논문
Labour can still win
https://jstor.org/st[...]
[3]
간행물
The General Election
https://genome.ch.bb[...]
1951-10-19
[4]
웹사이트
Parliamentary Election Timetables
https://researchbrie[...]
House of Commons Library
1997-03-25
[5]
서적
A History of the British Labour Party
http://link.springer[...]
Macmillan Education UK
1997
[6]
서적
The Times House of Commons 1951
The Times Office
1951
[7]
서적
The Times House of Commons 1951
The Times Office
1951
[8]
서적
The Times House of Commons 1951
The Times Office
1951
[9]
뉴스
1951: Churchill back in power at last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4-05
[10]
웹사이트
General Election Results 1885–1979
http://www.elec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