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6년 일본 시리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6년 일본 시리즈는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니시테쓰 라이온스가 참가하여 니시테쓰 라이온스가 4승 2패로 우승을 차지한 대회이다. 1956년 10월 10일부터 10월 17일까지 진행되었으며, MVP는 토요다 야스미쓰, 최우수 투수상은 이나오 가즈히사가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6년 야구 - 1956년 월드 시리즈
1956년 월드 시리즈는 뉴욕 양키스가 브루클린 다저스를 4승 3패로 꺾고 우승했으며, 5차전에서 돈 라슨이 월드 시리즈 역사상 유일한 퍼펙트 게임을 달성한 시리즈이다. - 1956년 야구 - 1956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56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프로 야구 20주년 기념으로 개최되었으며, 센트럴 리그는 미즈하라 시게루, 퍼시픽 리그는 야마모토 가즈토 감독이 이끌었고 요네다 데쓰야의 첫 출전과 사사키 신야의 활약, 그리고 야간 경기 개최와 올드 올스타전 개최가 특징이다. - 1956년 10월 - 제2차 중동 전쟁
제2차 중동 전쟁은 1956년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국유화에 반발한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 군사 개입하면서 발발했으며, 국제 사회의 압력으로 휴전하고 철수하면서 이집트는 수에즈 운하 통제권을 유지하고, 영국과 프랑스는 영향력을 상실했으며, 이스라엘은 안보를 강화한 사건이다. - 1956년 10월 - 1956년 월드 시리즈
1956년 월드 시리즈는 뉴욕 양키스가 브루클린 다저스를 4승 3패로 꺾고 우승했으며, 5차전에서 돈 라슨이 월드 시리즈 역사상 유일한 퍼펙트 게임을 달성한 시리즈이다. - 니시테쓰 라이온스 - 헤이와다이 야구장
후쿠오카시에 위치했던 헤이와다이 야구장은 1949년 개장하여 니시니폰 파이리츠, 니시테츠 클리퍼스, 니시테츠 라이온즈, 다이에 호크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다 1997년 폐쇄 후 고로칸 광장이 조성되었다. - 니시테쓰 라이온스 - 1957년 일본 시리즈
1957년 일본 시리즈는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니시테쓰 라이온스의 대결로, 니시테쓰 라이온스가 4승 1무의 성적으로 우승을 차지했으며, 오시타 히로시가 최우수 선수, 이나오 가즈히사가 최우수 투수상을 받았다.
1956년 일본 시리즈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일본 |
연도 | 1956년 |
날짜 | 10월 10일–17일 |
시리즈 결과 | |
우승 팀 | 니시테쓰 라이온즈 (4회) |
우승 팀 감독 | 미하라 오사무 |
우승 팀 시즌 성적 | 96승 51패 7무, 승률 .646, 게임 차: 0.5 |
준우승 팀 | 요미우리 자이언츠 (2회) |
준우승 팀 감독 | 미즈하라 시게루 |
준우승 팀 시즌 성적 | 82승 44패 4무, 승률 .646, 게임 차: 4.5 |
수상 | |
최고 수훈 선수 (MVP) | 도요다 야스미쓰 (NIS) |
감투상 | 이나오 가즈히사 (NIS) |
방송 정보 |
2. 감독
1956년 일본 시리즈는 1차전은 10월 10일에, 2차전은 10월 11일에, 3차전은 10월 13일에, 4차전은 10월 14일에, 5차전은 10월 15일에, 6차전은 10월 17일에 각각 열렸다.[3]
1956년 일본 시리즈의 경기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본 선수권 시리즈 전, 미즈하라 감독과 미하라 감독은 가가와현 출신으로, 중등학교(현 고등학교), 대학교, 프로 야구를 통해 오랫동안 라이벌 관계였다. 언론에서는 미하라 오사무를 마술사, 미즈하라 시게루를 승부사라고 칭하며 두 사람의 대결을 미야모토 무사시와 사사키 코지로의 '간류섬의 결투'에 비유했다[2]。
이후 두 팀은 1957년, 1958년에도 일본 시리즈에서 맞붙었다.
3. 경기 일정 및 결과
날짜 경기 원정 구단 (선공) 스코어 홈 구단 (후공) 개최 구장 10월 10일 (수) 1차전 니시테츠 라이온즈 0 - 4 요미우리 자이언츠 고라쿠엔 구장 10월 11일 (목) 2차전 니시테츠 라이온즈 6 - 3 요미우리 자이언츠 10월 12일 (금) 이동일 10월 13일 (토) 3차전 요미우리 자이언츠 4 - 5 니시테츠 라이온즈 헤이와다이 야구장 10월 14일 (일) 4차전 요미우리 자이언츠 0 - 4 니시테츠 라이온즈 10월 15일 (월) 5차전 요미우리 자이언츠 12 - 7 니시테츠 라이온즈 10월 16일 (화) 이동일 10월 17일 (수) 6차전 니시테츠 라이온즈 5 - 1 요미우리 자이언츠 고라쿠엔 구장 우승: 니시테츠 라이온즈 (첫 우승)
4. 경기 상세
날짜 경기 원정 구단 (선공) 스코어 홈 구단 (후공) 개최 구장 10월 10일 (수) 1차전 니시테쓰 라이온즈 0 - 4 요미우리 자이언츠 고라쿠엔 구장 10월 11일 (목) 2차전 니시테쓰 라이온즈 6 - 3 요미우리 자이언츠 고라쿠엔 구장 10월 12일 (금) 이동일 10월 13일 (토) 3차전 요미우리 자이언츠 4 - 5 니시테쓰 라이온즈 헤이와다이 야구장 10월 14일 (일) 4차전 요미우리 자이언츠 0 - 4 니시테쓰 라이온즈 헤이와다이 야구장 10월 15일 (월) 5차전 요미우리 자이언츠 12 - 7 니시테쓰 라이온즈 헤이와다이 야구장 10월 16일 (화) 이동일 10월 17일 (수) 6차전 니시테쓰 라이온즈 5 - 1 요미우리 자이언츠 고라쿠엔 구장 우승: 니시테쓰 라이온즈 (첫 우승)
6차전에서 이나오 가즈히사의 활약으로 니시테쓰가 요미우리를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3]
4. 1. 1차전
10월 10일 고라쿠엔 구장에서 열린 1차전에서 요미우리 타선이 니시테쓰 선발 가와사키 도쿠지를 상대로 초반에 2점을 먼저 얻었다. 2회말에 니시테쓰는 구원 투수 니시무라 사다오를 등판시켰지만, 요미우리는 연속 안타로 2점을 추가했다. 니시테쓰 타선은 요미우리 선발 오토모 다쿠미에게 막혀 점수를 내지 못했고, 결국 요미우리가 4대 0으로 첫 경기를 이겼다.
'''경기 결과 요약'''
팀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총점 |
---|---|---|---|---|---|---|---|---|---|---|
니시테쓰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요미우리 | 2 | 2 | 0 | 0 | 0 | 0 | 0 | 0 | X | 4 |
투수 |
---|
승리 투수: 오토모 다쿠미 (1승) |
패전 투수: 가와사키 도쿠지 (1패) |
구원 투수: 니시무라 사다오, 시마바라 겐지, 이나오 가즈히사 (이상 니시테쓰) |
이날 경기의 심판은 구심 시마 히데유키, 루심 우에다 후지오, 엔조지 미쓰루, 가리타 히사노리, 외심 쓰다, 요코자와 사부로가 맡았다. 1차전에는 24,632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4. 2. 2차전
10월 11일 고라쿠엔 구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시마바라 유키오일본어가 승리 투수가 됐고, 벳쇼 다케히코일본어가 패전 투수가 됐다.[2] 니시테쓰의 세키구치 세이지와 나카니시 후토시 , 요미우리의 벳쇼 다케히코와 가와카미 데쓰하루일본어가 홈런을 기록했다.[2] 이날 경기에는 19,108명이 입장했다.[2]구단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총 득점 |
---|---|---|---|---|---|---|---|---|---|---|
니시테쓰 | 0 | 0 | 0 | 3 | 0 | 2 | 0 | 1 | 0 | 6 |
요미우리 | 1 | 0 | 0 | 0 | 1 | 1 | 0 | 0 | 0 | 3 |
구단 | 투수 | 승패 | 비고 |
---|---|---|---|
니시테쓰 | 이나오, 시마바라 유키오일본어 | 시마바라 유키오일본어 (1승) | 히비노, 와다, 구보야마 (포수) |
요미우리 | 벳쇼 다케히코일본어, 호리우치, 야스하라, 나카오 | 벳쇼 다케히코일본어 (1패) | 후지오 (포수) |
구단 | 선수 | 홈런 | 비고 |
---|---|---|---|
니시테쓰 | 세키구치 세이지 | 1호 2점 홈런 | 4회 벳쇼 상대 |
니시테쓰 | 나카니시 후토시 | 1호 솔로 | 8회 야스하라 상대 |
요미우리 | 벳쇼 다케히코일본어 | 1호 솔로 | 5회 이나오 상대 |
요미우리 | 가와카미 데쓰하루일본어 | 1호 솔로 | 6회 시마바라 상대 |
4. 3. 3차전
10月13日일본어 - 헤이와다이 야구장에서 열린 3차전은 1956년 10월 13일 토요일 오후 2시 2분에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서 23,528명의 관중이 입장한 가운데 진행되었다.요미우리 자이언츠 | 0 | 4 | 0 | 0 | 0 | 0 | 0 | 0 | 0 | 4 |
---|---|---|---|---|---|---|---|---|---|---|
니시테쓰 라이온즈 | 0 | 0 | 0 | 0 | 0 | 1 | 0 | 4 | X | 5 |
투수 |
---|
요미우리: 호리우치, ●벳쇼 다케히코(2패), 오토모 - 히로타, 후지오 |
니시테쓰: 니시무라, 카와무라, ○이나오 가즈히사(1승) - 와다, 히비노 |
홈런 |
요미우리: 히로오카 다쓰로 1호 3점 홈런 (2회 니시무라) |
니시테쓰: 도요다 야스미쓰 1호 2점 홈런 (8회 벳쇼) |
심판 |
세지마(구심), 우에다, 가네마사(이상 파리그), 니데가와(루심), 쓰다, 가리타(이상 센트럴 리그) |
4. 4. 4차전
1956年일본어 10월 14일 - 헤이와다이 야구장팀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득점 |
---|---|---|---|---|---|---|---|---|---|---|
요미우리 자이언츠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니시테쓰 라이온즈 | 0 | 0 | 0 | 0 | 2 | 0 | 0 | 2 | X | 4 |
[심판] 파 - 요코자와(구), 세 - 가네마사, 파 - 데가와, 세 - 쓰다(루), 파 - 우에다, 세 - 엔조지(외)
4. 5. 5차전
10月15日일본어 - 헤이와다이 야구장요미우리일본어 | 0 | 0 | 0 | 0 | 5 | 0 | 0 | 5 | 2 | 12 |
---|---|---|---|---|---|---|---|---|---|---|
니시테쓰일본어 | 0 | 1 | 1 | 0 | 0 | 3 | 2 | 0 | 0 | 7 |
- 승리 투수: 요시하라 다케토시 (1승)[1]
- 패전 투수: 니시무라 사다아키 (1패)[1]
- 홈런: 세키구치 세이지일본어 (2회 1점, 6회 1점)[1]
4. 6. 6차전
稲尾 和久|이나오 가즈히사일본어가 3승째를 올린 10월 17일 고라쿠엔 구장에서 열린 6차전에서 니시테쓰는 요미우리를 5대 1로 꺾었다. 니시테쓰는 1회초에 4점을 먼저 얻고, 3회초에는 세키구치 세이지의 홈런으로 추가 득점을 올렸다. 요미우리는 6회말에 이와모토 다카시의 홈런으로 1점을 만회했지만, 더 이상 점수를 내지 못했다. 이날 경기에는 22,695명의 관중이 입장했다.경기 MVP는 이나오 가즈히사이며, 패전 투수는 벳쇼 다케히코였다.
니시테쓰 | 4 | 0 | 1 | 0 | 0 | 0 | 0 | 0 | 0 | 5 |
---|---|---|---|---|---|---|---|---|---|---|
요미우리 자이언츠 | 0 | 0 | 0 | 0 | 0 | 1 | 0 | 0 | 0 | 1 |
(니) | ○稲尾 和久|이나오 가즈히사일본어 (3승) - 히비노 |
(요) | ●벳쇼 다케히코 (3패), 호리우치, 요시하라, 오토모 - 후지오 |
홈런 | |
---|---|
(니) | 세키구치 4호 솔로 (3회 호리우치) |
(요) | 이와모토 다카시 1호 솔로 (6회 稲尾 和久|이나오 가즈히사일본어) |
심판은 파니 데가와(구심), 세 쓰다, 파 요코자와(3루), 세 엔조지(루심), 파 가리타, 세 가네마사(외심)였다.
5. 수상 선수
상 이름 | 선수 | 비고 |
---|---|---|
MVP | 도요다 야스미쓰 (니시테쓰) | |
수위 타자상 | 도요다 야스미쓰 | |
최우수 투수상 | 이나오 가즈히사 (니시테쓰) | 전체 6경기 모두 등판 |
기능상 | 세키구치 세이지 (니시테쓰) | 4개 홈런 (일본 시리즈 타이 기록) |
감투상 | 이나오 가즈히사 | 1953년 이후 유일하게 일본 시리즈 우승 팀에서 선정 |
6. 미디어 중계
1956년 일본 시리즈는 NHK 텔레비전, 니혼 TV, KR 텔레비전(현 TBS 텔레비전)에서 텔레비전 중계를, NHK 라디오 제2에서 라디오 중계를 했다.
6. 1. TV 중계
(10월 10일)(10월 10일)
(10월 11일)
(10월 13일)
(10월 13일)
(10월 14일)
(10월 14일)
(10월 15일)
(10월 15일)
(10월 17일)
(10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