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소련 국민투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1년 소련 국민투표는 소련의 존속 여부를 묻기 위해 1991년 3월 17일에 실시된 투표이다. 투표 결과 소련 존속에 찬성하는 의견이 다수였으나, 일부 공화국들이 투표를 보이콧하고 자체적인 독립 투표를 실시하면서 소련 해체를 가속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 투표 이후 1991년 12월 벨라베자 조약 체결을 통해 소련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91년 소련 국민투표 | |
---|---|
국민투표 정보 | |
국가 | 소련 |
제목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을 모든 국적의 사람의 권리와 자유가 완전히 보장되는 평등한 주권 공화국의 새로운 연방으로 보존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
날짜 | 1991년 3월 17일 |
찬성 | 113,512,812 |
반대 | 32,303,977 |
총 투표 수 | 148,574,606 |
유권자 수 | 185,647,355 |
![]() | |
기타 정보 | |
질문 (원문) | Считаете ли Вы необходимым сохранение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как обновлённой федерации равноправных суверенных республик, в которой будут в полной мере гарантироваться права и свободы человека любой национальности? |
2. 국민투표 이전의 배경
1980년대 후반, 소련은 미하일 고르바초프 서기장의 주도 하에 페레스트로이카와 Гласность|글라스노스트ru로 대표되는 개혁, 개방 정책을 추진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경제난 심화, 정치적 불안정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했다.
2. 1. 민족주의 분출과 연방 이탈 움직임
Гласность|글라스노스트ru 정책으로 인해 그동안 억눌려왔던 민족주의가 분출하기 시작했다. 각 공화국들은 자치권 확대와 주권 강화를 요구했으며, 일부 공화국들은 연방 탈퇴 움직임을 보였다. 특히, 발트 3국(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은 독립을 강력하게 요구하며 소련 중앙 정부와 갈등을 빚었다.[1]3. 국민투표 조직
1990년 12월 24일, 제4차 소련 인민대표대회는 "모든 국적의 인권과 자유가 완전히 보장되는 평등한 주권 공화국들의 새로운 연방으로서 소련을 보존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으로 소련 존속 여부에 대한 국민투표 실시를 결정했다.[33]
같은 날,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 겸 대통령의 주도로[34][35] 토지의 사적 소유권 문제와[36] 동등한 주권을 가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연합체로 재건된 연방을 유지하는 문제에 대한 국민투표 실시 결의안이 채택되었다.[37] 그러나 유리 칼미코프 소련 최고 입법위원회 의장은 소련 최고 소비에트 회의에서 고르바초프 대통령이 사유재산 문제에 대한 국민투표는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34]
소련 인민대표대회는 "소련의 운명에 대해 우려를 호소하는 수많은 노동자들의 호소와 관련하여, 그리고 통일된 연방국가의 보존이 국가 생활의 가장 중요한 문제이며 모든 인민, 소련 전체 인민의 이익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여 국민투표를 실시한다고 결정했다.[37] 1990년 12월 27일에는 '국민투표에 관한 법률'이 채택되었는데, 이 법률 제5조에 따르면 소련 국민투표 소집권은 소련 인민대표대회가 가지며, 소련 인민대표대회의 배타적 관할권에 속하지 않은 사안에 대해서는 의회 회기 기간 소련 최고 소비에트에 속하도록 규정되었다.[38][39]
1991년 1월 16일, 소련 최고 소비에트는 "소련 제4차 인민대표대회 결정에 따라, 또한 소련 국민투표에 관한 법률에 따라 소비에트 연방의 운명에 대한 역사적 책임은 인민 스스로 외에는 누구도 질 수 없다는 사실에서 출발한다"는 결의안을 발표했다.[40]
카자흐 SSR 최고 소비에트는 투표 질문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을 모든 국적의 사람의 권리와 자유가 완전히 보장되는 평등한 주권국의 새로운 연방으로 보존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로 변경하고, 공화국 내 투표 결과를 소련 국민투표 전체 결과에 포함시켜 달라고 요구했다.[27]
투표 용지에 포함된 질문은 다음과 같다.
영어 | 러시아어 | 우크라이나어 |
---|---|---|
귀하는 모든 국적의 인간의 권리와 자유가 완전히 보장되는 동등한 주권 공화국들의 갱신된 연방으로서의 소련 보존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Считаете ли Вы необходимым сохранение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как обновлённой федерации равноправных суверенных республик, в которой будут в полной мере гарантироваться права и свободы человека любой национальности? | Чи вважаєте ви за необхідне збереження Союзу Радянських Соціалістичних Республік як оновленої федерації рівноправних суверенних республік, у якій будуть повною мірою гарантуватися права і свободи людини будь-якої національності? |
3. 1. 투표 준비 과정
1990년 12월 24일, 제4차 소련 인민대표대회는 모든 국적의 인권과 자유가 완전히 보장되는 평등한 주권 공화국의 새로운 연방으로 소련을 보존하는 것이 필요한지에 대해 투표를 진행했다.[33] 이 투표에서는 5가지 조항을 다루었지만, 이 조항들이 법적으로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는 명확하게 정해지지 않았다.같은 날,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 겸 대통령의 주도로[34][35] 토지 사유화 문제와[36] 동등한 주권을 가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합체로 재건된 연방 유지 문제에 대한 국민투표를 실시하기로 하는 두 가지 결의안이 채택되었다.[37] 그러나 첫 번째 결의안에 대해 유리 칼미코프 소련 최고 입법위원회 의장은 나중에 고르바초프 대통령이 사유재산 문제에 대한 국민투표 실시를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34]
두 번째 결의안은 통과되었다. 소련 인민대표대회는 "소련의 운명에 대해 우려를 호소하는 수많은 노동자들의 호소와 관련하여, 그리고 통일된 연방국가의 보존이 국가 생활의 가장 중요한 문제이며 모든 인민, 소련 전체 인민의 이익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37]
1990년 12월 27일, 소련 인민대표대회는 "국민투표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기로 결정하고 당일 채택했다.[38] 이 법률 제5조에 따르면, 소련 국민투표 소집권은 소련 인민대표대회가 가지며, 소련 인민대표대회의 배타적 관할권에 속하지 않은 사안에 대해서는 의회 회기 기간 소련 최고 소비에트에 속하도록 규정되었다.[39]
1991년 1월 16일, 소련 최고 소비에트는 "소련 제4차 인민대표대회 결정에 따라, 또한 소련 국민투표에 관한 법률에 따라 소비에트 연방의 운명에 대한 역사적 책임은 인민 스스로 외에는 누구도 질 수 없다는 사실에서 출발한다"고 밝히며 다음과 같은 결의안을 발표했다.[40]
카자흐 SSR 최고 소비에트는 투표 질문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을 모든 국적의 사람의 권리와 자유가 완전히 보장되는 평등한 주권국의 새로운 연방으로 보존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로 변경하고, 공화국 내 투표 결과를 소련 국민투표 전체 결과에 포함시켜 달라고 요구했다.[27] 벨로루시 SSR 최고 소비에트는 1월 21일 공화국 차원에서 국민투표를 조직하고, 국민투표 질문 내용, 투표 절차, 투표 결과와 시민 결정의 역사적 중요성을 국민에게 설명하도록 권고했다.[45]
3. 2. 투표 참여 공화국과 미참여 공화국



전연방 국민투표 결정에 대해 각 공화국별로 다른 반응을 보였다.
벨라루스 SSR, 우크라이나 SSR, 우즈베크 SSR, 카자흐 SSR, 아제르바이잔 SSR, 키르기스 SSR, 타지크 SSR, 투르크멘 SSR에서는 공화국 중앙국민투표위원회가 설립되고 선거구가 구성되는 등 국민투표 참여를 위한 조치가 취해졌다.[45][46]
러시아 SFSR에서는 1991년 3월 17일 소련 유지에 대한 국민투표와 함께 러시아 최고 소비에트 선출 대통령직 설치에 대한 국민투표도 실시되었고, 보리스 옐친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41][42][43]
우크라이나 SSR에서는 투표용지에 "우크라이나가 우크라이나 주권 선언에 기반하여 소비에트 주권국가연합의 일원이 되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이 추가되었다.[47][48]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조지아, 아르메니아, 몰도바는 소련 국민투표를 보이콧하고 자체적인 독립 투표를 실시하거나 준비했다.[80][81]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는 1991년 3월 3일, 리투아니아는 1991년 2월 9일에 독립 국민투표를 실시했다. 조지아는 3월 31일, 아르메니아는 9월 21일에 독립 국민투표를 실시했다.
이들 공화국에서는 친소련 전선이나 조직이 공식적인 제재 없이 별도로 국민투표를 조직, 개최했다.[80][81] 이 투표 결과는 소련 국민투표 중앙위원회의 공식 성명에 포함되지 않았다.[82]
공화국명 | 총 유권자수 | 투표 참여자수[76] | 찬성 | 반대 | 무효 | ||||
---|---|---|---|---|---|---|---|---|---|
명 | % | 명 | % | 명 | % | 명 | % | ||
몰도바 SSR | 841,507 | 700,893 | 83.3 | 688,905 | 98.3 | 8,916 | 1.3 | 3,072 | 0.4 |
라트비아 SSR | 670,828 | 436,783 | 65.1 | 415,147 | 95.1 | 18,015 | 4.1 | 3,621 | 0.8 |
리투아니아 SSR | 582,262 | 501,375 | 86.1 | 496,050 | 98.9 | 4,355 | 0.9 | 970 | 0.2 |
에스토니아 SSR | 299,681 | 222,240 | 74.2 | 211,090 | 95.0 | 10,040 | 4.5 | 1,110 | 0.5 |
그루지야 SSR ² | 45,696 | 44,012 | 96.3 | 43,950 | 99.9 | 9 | 0 | 53 | 0.1 |
압하스 ³ | 318,317 | 166,544 | 52.3 | 164,231 | 98.6 | 1,566 | 0.9 | 747 | 0.5 |
아르메니아 SSR | 4,923 | 3,549 | 72.1 | 2,549 | 71.6 | 966 | 27.2 | 42 | 1.2 |
참고: ¹ 다수의 지역 인민대의원회, 노동단체, 기업, 기관, 단체, 군부대 등에서 소련 국민투표 위원회를 별도로 구성했다. ² 그루지야 SSR의 투표 결과는 남오세티야 자치주의 투표 결과와 거의 비슷했다.[61] ³ 압하지야에는 자체적인 소련 국민투표 위원회가 구성되었다.[83] |
4. 국민투표 시행과 결과
1991년 3월 17일 소련 전역에서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소련 최고 소비에트는 일부 공화국이 특정 공화국의 최고 소비에트가 소련 헌법과 법률을 위반하여 국민투표 실시를 방해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는 국민의 참정권 침해라고 비판했다.[52] 소련 최고 소비에트는 국민투표 질문은 주권 공화국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았고, 국민투표에 참여할 기회를 박탈하는 것은 소련 헌법과 법률에 위배될 뿐 아니라 국가통치에 참여할 수 있는 참정권을 침해하는 행위이므로 특정 공화국이 국민투표 참여를 제한하는 행위가 불법이며 통치행위가 아니라고 판단했다.[52]
소련 최고 소비에트는 국민투표를 보이콧한 공화국 내에서도 지방 정부나 소련 국방부, 국가보안위원회(KGB), 소련 내무부등 소련군 각 부대를 통해 투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52] 그루지야,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몰도바, 아르메니아, 에스토니아는 공화국 차원에서 투표를 막았지만, 일부 지역과 군부대에서는 투표가 실시되었다.[27]
투표 결과, 투표에 참여한 유권자의 77.8%가 소련 존속에 찬성했다. 그러나 투표를 보이콧한 공화국들을 제외한 결과였기 때문에, 소련 전체의 민의를 반영한다고 보기에는 어려웠다.
선택 | 투표 | % |
---|---|---|
찬성 | 113,512,812 | 77.8 |
반대 | 32,303,977 | 22.2 |
무효표/기권 | 2,757,817 | – |
총합 | 148,574,606 | 100 |
등록된 유권자수/투표율 | 185,647,355 | 80.0 |
출처: Nohlen & Stöver[74] |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는 각각 3월 3일과 2월 9일에 독립 국민투표를 실시하여 압도적인 찬성으로 독립을 결정했다. 조지아는 3월 31일, 아르메니아는 9월 21일에 독립 국민투표를 실시하여 역시 압도적인 찬성으로 독립을 결정했다.
4. 1. 공화국별 투표 결과
1991년 소련 국민투표의 각 공화국별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26][27][75]
공화국명 | 총 유권자수 | 투표 참여자수 | 찬성 투표자수 | 반대 투표자수 | 무효 투표자수 | ||||
---|---|---|---|---|---|---|---|---|---|
colspan=2| | 명 | % | 명 | % | 명 | % | 명 | % | |
러시아 SFSR | 105,643,364 | 79,701,169 | 75.4 | 56,860,783 | 71.3 | 21,030,753 | 26.4 | 1,809,633 | 2.3 |
바시키르 ASSR | 2,719,637 | 2,221,158 | 81.7 | 1,908,875 | 85.9 | 269,007 | 12.1 | 43,276 | 2.0 |
부랴트 ASSR | 668,231 | 535,802 | 80.2 | 447,438 | 83.5 | 78,167 | 14.6 | 10,197 | 1.9 |
다게스탄 ASSR | 1,008,626 | 812,009 | 80.5 | 670,488 | 82.6 | 131,522 | 16.2 | 9,999 | 1.2 |
카바르디노-발카르 ASSR | 489,436 | 372,607 | 76.1 | 290,380 | 77.9 | 77,339 | 20.8 | 4,888 | 1.3 |
칼미크 ASSR | 204,301 | 169,124 | 82.8 | 148,462 | 87.8 | 17,833 | 10.5 | 2,829 | 1.7 |
카렐리야 ASSR | 551,644 | 418,101 | 75.8 | 317,854 | 76.0 | 92,703 | 22.2 | 7,544 | 1.8 |
코미 ASSR | 797,049 | 543,403 | 68.2 | 412,842 | 76.0 | 119,678 | 22.0 | 10,883 | 2.0 |
마리 ASSR | 525,685 | 418,599 | 79.6 | 333,319 | 79.6 | 77,239 | 18.5 | 8,041 | 1.9 |
모르도바 ASSR | 677,706 | 571,631 | 84.3 | 459,021 | 80.3 | 101,886 | 17.8 | 10,724 | 1.9 |
북오세티야 ASSR | 428,307 | 367,858 | 85.9 | 331,823 | 90.2 | 32,786 | 8.9 | 3,249 | 0.9 |
타타르 ASSR | 2,532,383 | 1,951,768 | 77.1 | 1,708,193 | 87.5 | 211,516 | 10.8 | 32,059 | 1.7 |
투바 ASSR | 171,731 | 138,496 | 80.6 | 126,598 | 91.4 | 9,404 | 6.8 | 2,494 | 1.8 |
우드무르트 ASSR | 1,103,083 | 819,140 | 74.3 | 622,714 | 76.0 | 180,289 | 22.0 | 16,137 | 2.0 |
체첸-인구시 ASSR | 712,139 | 419,012 | 58.8 | 318,059 | 75.9 | 94,737 | 22.6 | 6,216 | 1.5 |
추바시 ASSR | 900,913 | 748,420 | 81.3 | 616,387 | 82.4 | 113,249 | 15.1 | 18,784 | 2.5 |
야쿠트 ASSR | 688,679 | 541,993 | 78.7 | 415,712 | 76.7 | 116,798 | 21.6 | 9,483 | 1.8 |
우크라이나 SSR ¹ | 37,732,178 | 31,514,244 | 83.5 | 22,110,899 | 70.2 | 8,820,089 | 28.0 | 583,256 | 1.8 |
벨로루시 SSR | 7,354,796 | 6,126,983 | 83.3 | 5,069,313 | 82.7 | 986,079 | 16.1 | 71,591 | 1.2 |
우즈베크 SSR | 10,278,938 | 9,816,333 | 95.4 | 9,196,848 | 93.7 | 511,373 | 5.2 | 108,112 | 1.1 |
카라칼파크 ASSR | 584,208 | 577,717 | 98.9 | 563,916 | 97.6 | 10,133 | 1.8 | 3,668 | 0.6 |
카자흐 SSR ² | 9,999,433 | 8,816,543 | 88.2 | 8,295,519 | 94.1 | 436,560 | 5.0 | 84,464 | 0.9 |
아제르바이잔 SSR (아제르바이잔) ³ | 3,866,659 | 2,903,797 | 75.1 | 2,709,246 | 93.3 | 169,225 | 5.8 | 25,326 | 0.9 |
나흐츠반 ASSR (나흐츠반 자치 공화국) | 174,364 | 35,866 | 20.6 | 31,328 | 87.3 | 3,620 | 10.1 | 918 | 2.6 |
키르기스 SSR (키르기스스탄) | 2,341,646 | 2,174,593 | 92.9 | 2,057,971 | 94.6 | 86,245 | 4.0 | 30,377 | 1.4 |
타지크 SSR | 2,549,096 | 2,407,552 | 94.4 | 2,315,755 | 96.2 | 75,300 | 3.1 | 16,497 | 0.7 |
투르크멘 SSR | 1,847,310 | 1,804,138 | 97.7 | 1,766,584 | 97.9 | 31,203 | 1.7 | 6,351 | 0.4 |
참고: ¹ 크림반도의 투표 결과는 우크라이나 SSR의 투표 결과에 포함되었다. 세바스토폴을 제외한 크림반도에서는 투표자 1,239,092명(투표율 79.3%) 중 1,085,570명(87.6%)가 찬성했다. ² 카자흐 SSR에서는 국민투표 문구가 타 공화국의 투표용지와 다르다.[77] ("소련을 평등한 주권국의 연방으로 유지하는 것에 찬성합니까?"로 변경됨.[27]) ³ 나고르노카라바흐에서는 아제르바이잔계 카라바흐인과 이 지역에 주둔하는 군인, 그 가족만이 투표에 참여했다. 아르메니아계 카라바흐인은 나고르노카라바흐 ASSR 정부가 해체되었다는 일에 반발하여 투표 참여를 거부했다.[78] |
우크라이나 SSR 최고 소비에트 의장단은 전연방 국민투표 개최를 지지했다.[46] 투표용지에는 "우크라이나가 우크라이나 국가주권 선언에 기반하여 소비에트 주권국가연합의 일원이 되야 한다는 데 동의하십니까?"라는 두 번째 문항이 추가되었다.[47][48] 첫 번째 질문에는 투표자의 70.2%가 찬성, 28%가 반대했으며, 두 번째 질문에는 80.2%가 찬성했다.[49][50]
선택 | 투표 | % |
---|---|---|
찬성 | 25,224,687 | 81.7 |
반대 | 5,655,701 | 18.3 |
무효표/기권 | 584,703 | |
총합 | 31,465,091 | 100 |
등록 유권자수/투표율 | 37,689,767 | 83.5 |
출처: Nohlen & Stöver |
키르기스에서는 "키르기스스탄이 동등한 권리를 가진 주권 공화국으로서 신연방에 속해야 한다는 데 동의하십니까?"라는 문항이 추가되었다. 투표율은 81.7%, 찬성률은 62.2%였다.[84]
선택 | 투표 | % |
---|---|---|
찬성 | 62.2 | |
반대 | 37.8 | |
무효표/기권 | – | |
총합 | 100 | |
출처: Nohlen et al. |
우즈베크에서는 "우즈베키스탄이 동등한 권리를 가진 주권 공화국으로서 새로운 연방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는 데 동의하십니까?"라는 문항이 추가되었다. 투표율은 95.5%, 찬성률은 94.9%였다.[28]
선택 | 투표 | % |
---|---|---|
찬성 | 9,196,848 | 94.9 |
반대 | 511,373 | 5.1 |
무효표/기권 | 108,112 | 1.1 |
총합 | 9,824,304 | 100 |
출처: Nohlen et al. |
조지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몰도바, 아르메니아, 에스토니아는 공화국 내 전연방 국민투표 실시를 막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투표가 실시되었다.[27]
공화국명 | 총 유권자수 | 투표 참여자수 | 찬성 투표자수 | 반대 투표자수 | 무효 투표자수 | ||||
---|---|---|---|---|---|---|---|---|---|
colspan="2"| | 명 | % | 명 | % | 명 | % | 명 | % | |
몰도바 SSR | 841,507 | 700,893 | 83.3 | 688,905 | 98.3 | 8,916 | 1.3 | 3,072 | 0.4 |
라트비아 SSR | 670,828 | 436,783 | 65.1 | 415,147 | 95.1 | 18,015 | 4.1 | 3,621 | 0.8 |
리투아니아 SSR | 582,262 | 501,375 | 86.1 | 496,050 | 98.9 | 4,355 | 0.9 | 970 | 0.2 |
에스토니아 SSR | 299,681 | 222,240 | 74.2 | 211,090 | 95.0 | 10,040 | 4.5 | 1,110 | 0.5 |
그루지야 SSR ² | 45,696 | 44,012 | 96.3 | 43,950 | 99.9 | 9 | 0 | 53 | 0.1 |
압하스 ASSR ³ | 318,317 | 166,544 | 52.3 | 164,231 | 98.6 | 1,566 | 0.9 | 747 | 0.5 |
아르메니아 SSR | 4,923 | 3,549 | 72.1 | 2,549 | 71.6 | 966 | 27.2 | 42 | 1.2 |
참고: ¹ 다수의 지역 인민대의원회, 노동단체 및 기업, 기관 및 단체 내 노동단체 및 공공협회, 군부대 내 지휘부의 군지휘관 및 중앙위원회에 등록된 지구 및 구역위원회 등에서 중앙위원회의 것과는 별도로 소련 국민투표 위원회를 독립적으로 구성했다. ² 그루지야 SSR의 투표 결과는 자칭 남오세티야 자치주(현 남오세티야)에서의 투표결과와 거의 비슷했다.[61] ³ 압하지야에는 자체적인 소련 국민투표 위원회가 구성되었다.[83]4 아자리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는 투표가 열리지 않았다. |
4. 2. 투표 불참 공화국들의 자체 투표
1990년 8월 23일 아르메니아 주권국 선언을 한 아르메니아는 전연방 국민투표 조직을 거부했으며, 1991년 9월 21일에는 아르메니아 독립에 대한 국민투표가 열렸다.[54] 이 투표에서 유권자의 95%가 독립에 찬성했으며, 투표자의 99%가 소련 탈퇴에 찬성했다.[56][57]조지아 역시 소련 국민투표를 보이콧했고, 대신 1918년 5월 26일 독립법에 근거한 조지아의 독립 회복에 대한 국민투표가 3월 31일로 예정되었다.[58] 이 독립투표에서는 유권자의 90.79%(압하스 포함)가 투표에 참여했으며, 이 중 99.08%가 조지아의 독립에 찬성했다.[59]
1991년 3월 3일, 에스토니아에서는 1940년 소련이 점령했던 에스토니아 공화국의 복원에 대한 공식 국민투표가 열려 투표 결과 77.8%가 에스토니아 공화국의 복원에 찬성했다.[79] 라트비아에서도 같은 날 독립에 대한 국민투표가 열렸고, 74.9%가 독립에 찬성했다. 리투아니아에서는 1991년 2월 9일 독립 국민투표가 열렸고, 유권자의 93%가 독립에 찬성했다.
이들 5개 공화국(아르메니아, 조지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에서는 친소련 전선이나 조직이 공식적인 제재 없이 별도로 자발적인 국민투표를 조직, 개최했다.[80][81] 그러나 투표율은 이 공화국의 유권자 50% 미만이었고, 공식적으로는 소련 국민투표 중앙위원회의 성명서에 이 공화국들의 투표 결과가 포함되지 않았다.[82]
조지아 내 남오세티야 자치주(현 남오세티야)에서는 자체적으로 소련 국민투표가 열렸으며, 투표에 참여한 44,000명 중 9명만이 소련의 존속에 반대했다.[61][62] 압하지야에서도 자체적인 소련 국민투표 위원회가 구성되어,[83] 1991년 압하스 신연방조약 국민투표에서 투표자의 99.06%가 통일 소련 존속에 찬성했다.[63]
공화국명 | 총 유권자수 | 투표 참여자수[76] | 찬성 투표자수 | 반대 투표자수 | 무효 투표자수 | ||||
---|---|---|---|---|---|---|---|---|---|
명 | % | 명 | % | 명 | % | 명 | % | ||
몰도바 SSR | 841 507 | 700 893 | 83.3 | 688 905 | 98.3 | 8 916 | 1.3 | 3 072 | 0.4 |
라트비아 SSR | 670 828 | 436 783 | 65.1 | 415 147 | 95.1 | 18 015 | 4.1 | 3 621 | 0.8 |
리투아니아 SSR | 582 262 | 501 375 | 86.1 | 496 050 | 98.9 | 4 355 | 0.9 | 970 | 0.2 |
에스토니아 SSR | 299 681 | 222 240 | 74.2 | 211 090 | 95.0 | 10 040 | 4.5 | 1 110 | 0.5 |
그루지야 SSR ² | 45 696 | 44 012 | 96.3 | 43 950 | 99.9 | 9 | 0 | 53 | 0.1 |
압하스 ASSR ³ | 318 317 | 166 544 | 52.3 | 164 231 | 98.6 | 1 566 | 0.9 | 747 | 0.5 |
아르메니아 SSR | 4 923 | 3 549 | 72.1 | 2 549 | 71.6 | 966 | 27.2 | 42 | 1.2 |
참고: ¹ 다수의 지역 인민대의원회, 노동단체 및 기업, 기관 및 단체 내 노동단체 및 공공협회, 군부대 내 지휘부의 군지휘관 및 중앙위원회에 등록된 지구 및 구역위원회 등에서 중앙위원회의 것과는 별도로 소련 국민투표 위원회를 독립적으로 구성했다. ² 그루지야 SSR의 투표 결과는 자칭 남오세티야 자치주(현 남오세티야)에서의 투표결과와 거의 비슷했다.[61] ³ 압하지야에는 자체적인 소련 국민투표 위원회가 구성되었다.[83]4 아자리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는 투표가 열리지 않았다. |
5. 국민투표의 의미와 한계
라트비아 최고 소비에트는 전연방 국민투표를 보이콧하겠다고 발표했다.[64] 라트비아에서는 3월 3일에 자체적인 독립 국민투표가 열려 87.6%의 투표율을 기록했고, 73.7%가 독립에 찬성했다.[65]
5. 1. 국민투표의 의의
소련 국민투표는 소련 역사상 처음으로 국민 전체의 의사를 묻는 절차였다는 점에서 민주주의 발전의 중요한 시도로 평가될 수 있다. 특히, 국민투표라는 민주적 절차를 통해 국가의 미래를 결정하려 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 공화국에서는 소련의 국민투표를 거부하고 자체적인 독립 국민투표를 시행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라트비아는 3월 3일에 자체적인 독립 국민투표를 실시하여 73.7%의 찬성으로 독립을 결정했다.[65] 리투아니아 역시 2월 9일에 독립 문제에 대한 국민투표를 실시하여 90.4%의 찬성으로 독립을 결정했다.[67]5. 2. 국민투표의 한계
하지만 국민투표의 질문 내용이 추상적이고 모호하여 유권자들의 혼란을 야기했을 가능성이 있다. 일부 공화국들의 투표 불참으로 인해 소련 전체의 민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도 한계로 지적된다.[64][65][66][67][68][69][70]라트비아와 리투아니아는 자체적인 독립 국민투표를 시행했고, 몰도바는 전연방 국민투표를 보이콧했다. 반면 몰도바 내 가가우즈 공화국과 트란스니스트리아 몰도바 사회주의 공화국은 소련 존속에 압도적인 찬성표를 던졌다.
이러한 국민투표 과정에서 드러난 소련 체제의 한계와 민족 갈등은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분단 상황과 민주주의 발전에 대한 고민은 한국 사회의 주요 과제이며, 소련 국민투표의 경험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6. 국민투표 이후의 상황과 소련 해체
국민투표 결과에도 불구하고, 소련 내부의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 1991년 8월 보수파 쿠데타 시도는 실패했지만, 이는 소련 해체를 가속화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1991년 12월, 벨라루스, 러시아, 우크라이나 3국 정상이 벨라베자 조약 체결을 통해 독립국가연합(CIS) 창설에 합의하면서 소련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6. 1. 한국에 미친 영향
소련 해체는 국제 질서를 재편하고 한반도 정세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북한의 핵 개발 문제, 남북 관계 개선 등 다양한 과제가 등장했다.참조
[1]
간행물
Direct Democracy in Russia
https://www.jstor.or[...]
Verlag Barbara Budrich
2018
[2]
서적
Elections in Asia: A data handbook, Volume I
2001
[3]
웹사이트
Chronicle of the Georgian-Ossetian conflict (1988-2008)
http://www.anticompr[...]
[4]
웹사이트
Historical Overview of the PMR (Transnistria, Transdniestr, Transdnestr, Pridnestrovie)
http://www.fischka.c[...]
[5]
웹사이트
Referendum of March 1991
http://www.answers.c[...]
Russian History Encyclopedia on Answers.com
[6]
서적
Understanding the Cold War: A Historian's Personal Reflections
https://books.google[...]
Leopolis Press
2000
[7]
서적
Russia and the World Economy: Problems of Integr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3
[8]
문서
"Постановление СНД СССР от 24 декабря 1990 года № 1853-1 «О сохранении Союза ССР как обновлённой федерации равноправных суверенных республик»"
Ведомости СНД и ВС СССР
1990
[9]
서적
Выборы в Москве: опыт двенадцати лет. 1989—2000
http://lyubarev.naro[...]
Стольный град
2001
[10]
문서
Съездом было принято два постановления о проведении референдумов по вопросу о частной собственности на землю
[11]
문서
"Постановление СНД СССР от 24 декабря 1990 года № 1856-1 «О проведении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по вопросу о Союзе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Ведомости СНД и ВС СССР
1990
[12]
문서
"Закон СССР от 27 декабря 1990 года № 1869-1 «О всенародном голосовании (референдуме СССР)»"
Ведомости СНД и ВС СССР
1991
[13]
문서
"Постановление ВС СССР от 16 января 1991 года № 1910-1 «Об организации и мерах по обеспечению проведения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по вопросу о сохранении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Ведомости СНД и ВС СССР
1991
[14]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2010
[15]
웹사이트
Chronology
http://www.riigikogu[...]
2012-09-06
[16]
뉴스
Об итогах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состоявшегося 17 марта 1991 года (Из сообщения Центральной комиссии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Известия
1991-03-27
[17]
웹사이트
Воля, которую мы потеряли... "Время" № 5. 16 марта 2001 года
http://www.vremyabab[...]
[18]
뉴스
Сообщение Центральной комиссии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об итогах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состоявшегося 17 марта 1991 года
https://archive.toda[...]
Правда
1991-03-27
[19]
문서
Nohlen et al., p443
[20]
문서
Nohlen & Stöver, p1985
[21]
서적
Dissolution: Sovereignty and the Breakup of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3
[22]
서적
The Ukrainian West: Culture and the Fate of Empire in Soviet Lviv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
[23]
서적
Cleft Countries: Regional Political Divisions and Cultures in Post-Soviet Ukraine and Moldova (Soviet and Post-Soviet Politics and Society 33)
https://books.google[...]
2006
[24]
간행물
Direct Democracy in Russia
https://www.jstor.or[...]
Verlag Barbara Budrich
2018
[25]
웹사이트
Из сообщения Центральной комиссии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об итогах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http://www.agitclub.[...]
Выборы в Советском Союзе в 1989—1991 гг. — agitclub.ru
[26]
뉴스
Об итогах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состоявшегося 17 марта 1991 года (Из сообщения Центральной комиссии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https://yeltsin.ru/u[...]
Известия
1991-03-27
[27]
뉴스
Сообщение Центральной комиссии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об итогах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состоявшегося 17 марта 1991 года
https://www.gorby.ru[...]
Правда
1991-03-27
[28]
서적
Elections in Asia: A data handbook, Volume I
2001
[29]
웹사이트
Historical Overview of the PMR (Transnistria, Transdniestr, Transdnestr, Pridnestrovie)
http://www.fischka.c[...]
[30]
웹사이트
Referendum of March 1991
http://www.answers.c[...]
Russian History Encyclopedia on Answers.com
[31]
서적
Understanding the Cold War: A Historian's Personal Reflections
https://books.google[...]
Leopolis Press
2000
[32]
서적
Russia and the World Economy: Problems of Integr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3
[33]
문서
"Постановление СНД СССР от 24 декабря 1990 года № 1853-1 «О сохранении Союза ССР как обновлённой федерации равноправных суверенных республик»"
Ведомости СНД и ВС СССР
1990
[34]
서적
Выборы в Москве: опыт двенадцати лет. 1989—2000
http://lyubarev.naro[...]
Стольный град
2001
[35]
문서
Съездом было принято два постановления о проведении референдумов по вопросу о частной собственности на землю
[36]
간행물
'О проведении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по вопросу о частной собственности на землю'
Ведомости СНД и ВС СССР
1990-12-24
[37]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Съезда народных депутатов СССР от 24 декабря 1990 года № 1856-I «О проведении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по вопросу о Союзе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http://constitution2[...]
Ведомости СНД и ВС СССР
1990-12-24
[38]
간행물
'О введении в действие Закона СССР „О всенародном голосовании (референдуме СССР)“'
Ведомости СНД и ВС СССР
1990-12-27
[39]
간행물
'О всенародном голосовании (референдуме СССР)'
Ведомости СНД и ВС СССР
1990-12-27
[40]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 от 16 января 1991 года № 1910-I «Об организации и мерах по обеспечению проведения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по вопросу о сохранении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http://constitution2[...]
Ведомости СНД и ВС СССР
1991-01-16
[41]
간행물
'О проведении 17 марта 1991 года на территории РСФСР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по вопросу о сохранении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Ведомости СНД и ВС РСФСР
1991-01-25
[42]
간행물
'О мерах по обеспечению проведения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и референдума РСФСР 17 марта 1991 года'
Ведомости СНД и ВС РСФСР
1991-02-07
[43]
서적
Nohlen & Stöver
[44]
문서
'О проведении в Москве опроса общественного мнения 17 марта 1991 г.'
Решение Президиума Московского городского Совета народных депутатов
1991-02-28
[45]
문서
'Об организации подготовки и проведения в Белорусской ССР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по вопросу о сохранении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Постановление Президиума ВС БССР
1991-01-21
[46]
문서
'Об организации и мерах по обеспечению проведения на территории Украинской ССР всесоюзного референдума 17 марта 1991 года'
http://zakon.rada.go[...]
Постановление Президиума ВС УССР
1991-01-28
[47]
웹사이트
Декларация 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м суверенитете Украины
http://hpc-strategy.[...]
[48]
간행물
'«О содержании бюллетеня, который выносится Верховным Советом Украинской ССР на референдум 17 марта 1991 года» («Про зміст бюлетеня, що виноситься Верховною Радою Української РСР на референдум 17 березня 1991 року»)'
Відомості Верховної Ради УРСР
1991-02-22
[49]
웹인용
'Референдум о сохранении СССР (6 республик бойкотируют)'
http://histrf.ru/ru/[...]
2014-07-04
[50]
웹인용
'«Референдум краха: Двадцать лет спустя»'
http://svpressa.ru/p[...]
«Свободная пресса»
2011-11-03
[51]
문서
'Закон Украинской ССР № 1213а-XII «О внесении изменений и дополнений в Конституцию (Основной Закон) Украинской ССР»'
1991-06-19
[52]
간행물
'О ходе выполнения Постановления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 об организации и мерах по обеспечению проведения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17 марта 1991 года'
Ведомости СНД и ВС СССР
1991-02-25
[53]
뉴스
Сессия обсуждает первые итоги референдума
Известия
1991-03-19
[54]
웹인용
'Постановление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Республики Армения от 1 марта 1991 года «О проведении на территории Республики Армения референдума о выходе из состава СССР»'
http://ankakhutyun.a[...]
2019-11-22
[55]
웹사이트
'Референдум: точки над «I»'
http://www.yeltsince[...]
«Российская газета»
1991-09-21
[56]
웹사이트
Армения тоже стала независимой
http://www.yeltsince[...]
Известия
1991-09-23
[57]
웹사이트
Триумф суверенизации и мифы о СССР
http://www.politcom.[...]
«ПОЛИТКОМ.RU»
2006-08-30
[58]
웹인용
'ПОСТАНОВЛЕНИЕ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РЕСПУБЛИКИ ГРУЗИЯ от 28 февраля 1991 г. о постановлении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 об организации проведения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по вопросу сохранения СССР и мероприятиях по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ю'
https://iberiana.wor[...]
2017-02-12
[59]
웹사이트
Конфликт между Грузией и Абхазией. История вопроса
http://www.rian.ru/s[...]
РИА Новости
[60]
웹사이트
Хроника событий грузино-осетинского конфликта с 1988 по 1994 годы
http://www.rian.ru/o[...]
РИА Новости
[61]
논문
'Взаимоотношения Грузии и Южной Осетии в 1988—1992 гг.: по материалам периодической печати'
Сев.-Осет. гос. ун-т им. К. Л. Хетагурова
2010
[62]
뉴스
Последний перевал перед съездом
Красная Звезда
1991-03-27
[63]
웹인용
'Информация Центральной избирательной комиссии Абхазской АССР об итогах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и информация окружной комиссии о выборах депутата в парламент СССР по территориальному избирательному округу №669 — Сухум.'
http://www.rrc.ge/la[...]
Regional Resource Center
2008-11-20
[64]
웹인용
События 1991 года на ХРОНОСе
http://hrono.ru/1991[...]
ХРОНОС
2011-01-24
[65]
웹인용
Информация Центральной избирательной комиссии Латвий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http://web.cvk.lv/pu[...]
2011-07-27
[66]
문서
'О решениях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Литовской ССР от 16 и 18 января 1991 года о проведении опроса жителей республики'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СССР
1991-02-05
[67]
문서
в дальнейшем плавно ставшая именоваться «плебисцитом», и далее — уже и «референдумом»
[68]
웹인용
'Chronology of World History January — February 1991'
http://www.islandnet[...]
''
2011-01-24
[69]
뉴스
Днестровская правда
1991-03-21
[70]
웹사이트
Распад Союза и становление ПМР
http://www.olvia.idk[...]
''Кодряну Г.''
[71]
웹인용
Постановление «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независимости Эстонии». Справка {{!}} РИА Новости
http://ria.ru/spravk[...]
2014-04-12
[72]
웹사이트
Голос за независимость
http://www.moles.ee/[...]
2001-03-05
[73]
뉴스
«Лед тронулся»
http://yeltsin.ru/up[...]
1991-03-16
[74]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75]
웹사이트
Воля, которую мы потеряли… (Ровно 10 лет назад состоялся референдум, после которого история России стала историей заговора против России)
http://www.vremyabab[...]
2001-03-16
[76]
문서
«Принявших участие в голосовании» — это отношение количества проголосовавших к числу граждан, включённых в списки для голосования.
[77]
뉴스
Коммунисты бьются за референдум
http://www.rg.ru/Ano[...]
2003-05-14
[78]
간행물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е итоги всесоюзного референдума 17 марта
1991-03-22
[79]
웹인용
Chronology
http://www.riigikogu[...]
2012-09-06
[80]
뉴스
Об итогах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состоявшегося 17 марта 1991 года (Из сообщения Центральной комиссии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1991-03-27
[81]
웹사이트
Воля, которую мы потеряли... "Время" № 5. 16 марта 2001 года
http://www.vremyabab[...]
[82]
뉴스
Сообщение Центральной комиссии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об итогах референдума СССР, состоявшегося 17 марта 1991 года
https://archive.toda[...]
1991-03-27
[83]
웹사이트
INFORMATION OF THE CENTRAL COMMISSION OF THE ABKHAZ ASSR on holding the referendum of the USSR
http://www.rrc.ge/la[...]
1991-03-22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Dissolution: Sovereignty and the Breakup of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87]
서적
The Ukrainian West: Culture and the Fate of Empire in Soviet Lviv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88]
서적
Cleft Countries: Regional Political Divisions and Cultures in Post-Soviet Ukraine and Moldova (Soviet and Post-Soviet Politics and Society 33)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