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라베자 조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라베자 조약은 1991년 12월 8일 벨라루스에서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3개국 정상이 모여 체결한 조약으로, 소련의 해체와 독립국가연합(CIS)의 창설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 이후 민족주의와 독립 움직임이 커진 가운데, 1991년 8월 쿠데타 실패 이후 소련 유지가 어려워지자 3개국 정상이 모여 조약을 체결했다. 조약은 소련의 종식을 선언하고, CIS 창설을 통해 느슨한 연합을 형성하는 것을 골자로 하며, 이후 다른 공화국들의 지지를 얻어 알마티 선언으로 소련 해체를 확정했다. 이 조약은 소련의 법적 정당성 논란을 불러일으켰으며, 소련의 해체와 국제 사회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우크라이나 - 우크라이나 독립선언법
우크라이나 독립선언법은 1991년 8월 24일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에서 채택되어 우크라이나가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소련의 정치적 불안정과 우크라이나 국민들의 독립 열망을 배경으로 1991년 12월 국민투표를 통해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 1991년 벨라루스 - 러시아-벨라루스 국경
러시아-벨라루스 국경은 양국 관계 변화에 따라 통제와 개방을 반복하며, 경제 교류 활성화, 국경 통제 강화, 세관 통제 폐지, 출입국 심사 의무화, 국경 폐쇄 및 감시 강화 등의 변화를 겪어왔다. - 1991년 러시아 - 소련의 붕괴
소련의 붕괴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1년까지 소련의 정치적, 경제적 체제가 붕괴된 사건으로, 고르바초프의 개혁 정책과 민족주의 운동, 경제 위기, 체르노빌 사고 등이 원인이 되어 각 공화국의 독립 선언 후 1991년 12월 26일 공식 해체되었고 냉전 종식과 새로운 국제 관계 구도를 형성했다. - 1991년 러시아 - 러시아-벨라루스 국경
러시아-벨라루스 국경은 양국 관계 변화에 따라 통제와 개방을 반복하며, 경제 교류 활성화, 국경 통제 강화, 세관 통제 폐지, 출입국 심사 의무화, 국경 폐쇄 및 감시 강화 등의 변화를 겪어왔다.
벨라베자 조약 | |
---|---|
조약 정보 | |
이름 | 독립 국가 연합 설립 협정 |
유형 | 느슨한 지역 조직 설립 조약 |
서명일 | 1991년 12월 8일 |
발효일 | 벨라루스: 1991년 12월 10일 우크라이나: 1991년 12월 10일 러시아: 1991년 12월 12일 카자흐스탄: 1991년 12월 23일 타지키스탄: 1991년 12월 25일 아르메니아: 1991년 12월 26일 투르크메니스탄: 1991년 12월 26일 우즈베키스탄: 1992년 1월 4일 키르기스스탄: 1992년 3월 6일 아제르바이잔: 1993년 9월 24일 조지아: 1993년 12월 3일 몰도바: 1994년 4월 8일 |
서명 장소 | 비스쿨리, 벨로베시 숲, 벨라루스 |
서명 장소 (법적) | 민스크, 민스크 주, 벨라루스 |
기탁자 | 벨라루스 공화국 |
서명 당사자 | |
벨라루스 | 스타니슬라우 슈시케비치 (최고 소비에트 의장) 뱌체슬라우 케비치 (총리) |
러시아 | 보리스 옐친 (대통령) 겐나디 부르불리스 (제1부총리) |
우크라이나 | 레오니드 크라우추크 (대통령) 비톨드 포킨 (총리) |
사용 언어 | |
관련 정보 | |
내용 | 소비에트 연방 해체, 독립 국가 연합 설립 |
기타 | |
별칭 | 벨라베자 협정 |
2. 배경
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공산당 서기장에 취임한 후, 이듬해부터 "페레스트로이카"를 내세워 정치 및 경제 개혁을 추진했다. 동유럽의 민주화를 지원하고 냉전을 종식시켰지만, 국내에서는 경제가 혼란에 빠졌고 국민들은 연방 정부에 대한 불만을 키워갔다. 또한, 검열 폐지 및 언론의 자유 (글라스노스트)가 추진되면서 각지에서 민족주의와 독립 지향이 강해지고 확산되었다.
1991년 8월 쿠데타가 실패하면서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실권을 잃었고, 쿠데타에 반대했던 보리스 옐친 등의 민주파가 힘을 얻게 되었다. 민주파 세력은 소련을 존속시키는 것이 더 이상 이득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벨라베자 조약은 서문과 14개의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본은 유럽 평의회 웹사이트에서 공식 번역본으로 확인할 수 있다.
1991년 12월 10일,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8]와 벨라루스 최고 회의[9]에서 이 협정을 비준했다. 12월 12일, 러시아 SFSR 최고 소비에트는 공식적으로 벨로베자 협정을 비준[10]하고, 1922년 소련 창설 조약을 폐지했으며, 소련 최고 소비에트에서 러시아 대의원을 소환했다.
1991년 8월 쿠데타가 실패한 후,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은 권력을 잃었고, 쿠데타에 반대했던 보리스 옐친 등의 민주파가 힘을 얻게 되었다. 민주파 세력은 더 이상 소련을 존속시키는 것이 이득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일부 러시아 정치인들은 1993년 러시아 헌정 위기의 원인 중 하나로 러시아 인민 대표자 회의가 벨라베자 조약[20] 비준을 반복적으로 거부하고, RSFSR 헌법에서 소련 헌법과 법률에 대한 언급을 삭제하는 것을 거부한 점을 들고 있다.[21][15]
1991년 8월 쿠데타가 실패하면서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은 실권을 잃었고, 쿠데타에 반대했던 보리스 옐친 등의 민주파가 힘을 얻게 되었다. 이들은 소련을 존속시키는 것이 더 이상 이득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20]
[1]
뉴스
14 Years of Belavezha Accords' Signing
http://www.charter97[...]
Charter'97
2005-12-08
나고르노-카라바흐 등에서의 민족 분쟁 발발, 발트 3국의 독립 회복 선언 등 붕괴 조짐을 보이던 연방을 유지하기 위해 고르바초프 서기장(대통령을 겸임)은 연방 구성 공화국의 권한을 대폭 확대하는 신연방 조약의 성립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조약 조인을 하루 앞둔 1991년 8월 19일, 보수파 세력에 의한 쿠데타가 발생했다. 고르바초프를 대신하여 권력을 강화하고 있던 보리스 옐친의 러시아와 시민들의 저항으로 정권 탈취 시도는 실패했지만, 연방 정부의 권위는 실추되었고 공화국들이 잇따라 독립을 선언하면서 연방의 분열은 심화되었다.
연방 붕괴를 막기 위해 고르바초프는 새로운 신연방 조약과 경제 공동체 조약의 성립을 서두르는 가운데, 12월 1일, 우크라이나에서 독립 선언(8월 24일)의 찬반을 묻는 국민 투표가 실시되었고, 득표율 84.2%, 찬성 90.3%의 압도적 다수로 지지받았다. 독립 의사를 분명히 한 우크라이나에 대해 고르바초프와 옐친은 "우크라이나 없이는 신연방이 성립될 수 없다"는 의견으로 일치했다. 12월 7일, 옐친과 스타니슬라프 슈시케비치 벨라루스 최고 회의 의장, 대통령 선거에서 선출된 우크라이나의 레오니드 크라우추크 대통령은 벨라루스 브레스트주에 위치한 벨로베자 숲의 정부 별장에 모여 회담을 가졌다.
3. 벨라베자 조약 체결
1991년 12월 7일, 옐친과 스타니슬라프 슈시케비치 벨라루스 최고 회의 의장, 1991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에서 선출된 레오니드 크라우추크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벨라루스 브레스트주에 위치한 비아워비에자 숲의 정부 별장에 모여 회담을 가졌다.
12월 8일 소련의 민주파 세력은 비아워비에자 숲의 별장에 모여 소련 해체 및 독립국가연합의 창설에 서명했다. 고르바초프는 이 조치가 소련 정부의 비준을 거치지 않았다고 비판하였으나, 러시아 등 여러 공화국에서 이를 비준하자 결국 승인하였다.
12월 10일, 이 협정은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8]와 벨라루스 최고 회의[9]에서 비준되었다. 12월 12일, 러시아 SFSR 최고 소비에트는 공식적으로 벨로베자 협정을 비준[10]하고, 1922년 소련 창설 조약을 폐지했으며, 소련 최고 소비에트에서 러시아 대의원을 소환했다.
1991년 12월 21일에는 조지아를 제외한 11개 소련 공화국 대표들이 알마티 의정서에 서명하여 소련의 종말과 독립 국가 연합의 창설을 재확인했다.
4. 주요 내용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를 제외한 모든 구 소련 공화국이 비준한 이 협약의 주요 당사자 의무는 다음과 같다.
# "상호 인정과 국가 주권 존중을 바탕으로 법적으로 구성된 민주적… 독립 국가 설립"과 함께 소련의 종식.[4]
# "인권 및 국민의 권리에 관한 규범"과 더불어 영토 내 "자기 결정권" 확립.[4]
# "당사국들은 국적이나 기타 차이에 관계없이 자국민에게 평등한 권리와 자유를 보장한다. 각 당사국은 다른 당사국의 시민 및 자국 영토에 거주하는 무국적자에게 국적이나 기타 차이에 관계없이 인권에 관한 보편적으로 인정된 국제 규범에 따라 시민적,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권리와 자유를 보장한다"(제2조).[4]
# "당사국들은 자국 영토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의 독특한 민족적, 문화적, 언어적, 종교적 특성과 형성된 독특한 민족 문화 지역의 표현, 보존 및 발전을 촉진하고자 그들을 보호할 것이다"(제3조).[4]
# "공정한 협력"(제4조).[4]
# "영토 보전"과 "시민의 이동의 자유"(제5조).[4]
12월 8일, 3개국의 최고 지도자는 "독립국가연합(CIS)의 설립에 관한 협정"에 조인했다고 발표했다. CIS 설립 협정에서는 '''"국제법의 대상이자 지정학적 현실로서의 소련은 이미 소멸했다"'''고 명시하며, '''"유럽 공동체(EC)를 모델로 한 느슨한 공동체(커먼웰스)인 CIS의 설립"'''을 선언했다. 조정 기관을 민스크에 설치하고, 정치, 경제, 군사 면에서 협력해 나갈 것을 정했다. 러시아의 겐나디 부르불리스 국무장관, 우크라이나의 비톨드 포킨Vitold Fokin|비톨드 포킨영어 총리, 벨라루스의 뱌체슬라프 케비치Vyacheslav Kebich|뱌체슬라프 케비치영어 각료회의 의장이 서명했다.
합의 내용은 발표 직후 옐친 대통령으로부터 당시 미국 대통령 조지 H.W. 부시에게 일반 전화로 전달되었고, 그 후, 호스트 국가였던 벨라루스의 슈슈케비치 의장으로부터 고르바초프 대통령에게 전달되었다.
5. 조약 비준 및 알마아타 선언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벨라베자 조약에 대해 "3개 공화국 수뇌부만으로 결정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라고 비판하며, 연방 최고 회의에 의한 신 연방 조약 및 벨라베자 합의 심의, 임시 인민 대표 대회 소집과 국민 투표 실시를 촉구했다. Комитет конституционного надзора СССР|label=연방 최고 회의 헌법 감시 위원회ru도 12월 11일, '''합의는 법적으로 무효이다'''라는 성명을 발표했지만, 모두 무시되었다.
새로운 신 연방 조약에 서명할 예정이었던 다른 공화국들은 동요하며 혼란에 빠졌다. 카자흐스탄의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은 처음에는 슬라브 3개 공화국 수뇌부만으로 결정된 이 합의를 비판했다.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 중앙아시아의 공화국도 CIS 가맹에는 소극적이었다. 그러나 경제적으로 러시아에 의존하는 5개 공화국은 러시아와의 관계를 끊을 수 없었고, 12월 13일에는 CIS에 참가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다른 공화국들도 이에 따라 12월 21일에는 그루지야와 이미 연방을 탈퇴한 발트 3국(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을 제외한 모든 연방 구성 공화국이 카자흐스탄의 알마아타에서 수뇌 회담을 개최하여, '''알마아타 선언'''에 조인했다.
궁지에 몰린 고르바초프는 마지막까지 CIS 창설과 연방 해체에 반대했지만, 12월 25일 대통령을 사임했다. 12월 26일에는 소련 최고 회의 Совет Республик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label=공화국 회의ru에서 소련의 소멸이 확인되었다.
6. 소련 해체와 CIS 출범
1991년 12월 8일, 벨라루스 비아워비에자 숲의 별장에서 민주파 세력은 소련 해체 및 독립국가연합(CIS) 창설에 서명했다. 이 협정에는 겐나디 부르불리스 러시아 국무장관, Vitold Fokin|비톨드 포킨영어 우크라이나 총리, Vyacheslav Kebich|뱌체슬라프 케비치영어 벨라루스 각료회의 의장이 서명했다. 고르바초프는 이 조치가 소련 정부의 비준을 거치지 않았다고 비판했지만, 러시아 등 여러 공화국에서 이를 비준하자 결국 승인하였다. 1991년 12월 25일 고르바초프는 서기장 자리에서 사임하였으며, 1991년 12월 26일 소련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벨라베자 조약은 서문과 14개의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상호 인정과 국가 주권 존중"을 바탕으로 소련을 해체하고 독립 국가를 설립한다.[4]
# 영토 내 "자기 결정권"을 확립하고, "인권 및 국민의 권리에 관한 규범"을 준수한다.[4]
# "국적이나 기타 차이에 관계없이" 자국민에게 평등한 권리와 자유를 보장한다. (제2조)[4]
# 소수 민족의 "독특한 민족적, 문화적, 언어적, 종교적 특성"을 보호한다. (제3조)[4]
# "공정한 협력"(제4조)과 "영토 보전", "시민의 이동의 자유"(제5조)를 보장한다.[4]
1991년 12월 10일에는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8]와 벨라루스 최고 회의[9], 12월 12일에는 러시아 SFSR 최고 소비에트가 이 협정을 비준[10]하고 1922년 소련 창설 조약을 폐지했다.[11]
1991년 12월 21일, 조지아를 제외한 11개 공화국 대표는 알마티 의정서에 서명하여 소련의 종말과 독립 국가 연합의 창설을 재확인했다.
1991년 12월 25일, 미국 대통령 조지 H.W. 부시는 냉전의 종식을 알리고 소련의 이전 국가들의 독립을 인정했다.[17] 12월 8일, 3개국 최고 지도자는 독립국가연합(CIS)의 설립에 관한 협정에 조인했다고 발표했다. CIS 설립 협정에서는 '''"국제법의 대상이자 지정학적 현실로서의 소련은 이미 소멸했다"'''고 명시하며, '''"유럽 공동체(EC)를 모델로 한 느슨한 공동체(커먼웰스)인 CIS의 설립"'''을 선언했다. 고르바초프는 협정에 대해 "3개 공화국 수뇌부만으로 결정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라고 비판하며, 연방 최고 회의에 의한 신 연방 조약 및 벨라베자 합의 심의, 임시 인민 대표 대회 소집과 국민 투표 실시를 촉구했다. Комитет конституционного надзора СССР|label = 연방 최고 회의 헌법 감시 위원회ru도 11일, '''합의는 법적으로 무효이다'''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무시되었다.
21일에는 그루지야와 이미 연방을 탈퇴한 발트 3국(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을 제외한 모든 연방 구성 공화국이 카자흐스탄의 알마아타에서 수뇌 회담을 개최하여, '''알마아타 선언'''에 조인했다.
7. 벨라베자 조약의 법적 정당성 논란
고르바초프 대통령과 소련 최고회의 헌법 감독 위원회는 이 조약이 법적으로 무효라고 주장했다. 세르게이 바부린 등 일부 러시아 최고회의 대의원도 위헌성을 제기했다.
8. 벨라베자 조약의 의의 및 영향
1991년 12월 8일 소련의 민주파 세력은 벨라루스에 있는 비아워비에자 숲의 별장에 모여 소련 해체 및 독립국가연합 창설에 서명했다. 고르바초프는 이 조치가 소련 정부의 비준을 거치지 않았다고 비판했으나, 러시아 등 여러 공화국에서 이를 비준하자 결국 승인하였다. 1991년 12월 25일 고르바초프는 서기장 자리에서 사임하였으며, 1991년 12월 26일 소련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21][15]
일부 러시아 정치인들은 1993년 러시아 헌정 위기의 이유 중 하나가 러시아 인민 대표자 대회가 벨라베자 조약 비준을 반복적으로 거부하고, RSFSR 헌법에서 소련 헌법과 법률에 대한 언급을 삭제하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참조
[2]
뉴스
Soviet Leaders Recall 'Inevitable' Breakup Of Soviet Union
http://rferl.org/fea[...]
Radio Free Europe
2006-12-08
[3]
뉴스
BOOK: Firebird: The Elusive Fate of Russian Democracy
https://www.wilsonce[...]
WILSON CENTER
2022-07-09
[4]
웹사이트
AGREEMENTS OF THE END OF SOVIET UNION. "The Belovezh Accords". [Done at Minsk, December 8, 1991, and done at Alma Alta, December 21, 1991]
https://www.venice.c[...]
2022-05-16
[5]
웹사이트
Единый реестр правовых актов и других документов Содружества Независимых Государств
https://cis.minsk.by[...]
[6]
웹사이트
Единый реестр правовых актов и других документов Содружества Независимых Государств
https://cis.minsk.by[...]
[7]
웹사이트
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ЗАКОН О порядке решения вопросов, связанных с выходом союзной республики из СССР
https://docs.cntd.ru[...]
2022-06-13
[8]
웹사이트
Про ратифікацію Угоди про створення Співдружності Незалежних Держав
https://zakon.rada.g[...]
2021-12-30
[9]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от 10 декабря 1991 г. № 1296-XII «О ратификации Соглашения об образовании Содружества Независимых Государств»
https://belzakon.net[...]
2021-12-30
[10]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РСФСР от 12 декабря 1991 года № 2014-I «О ратификации Соглашения о создании Содружества Независимых Государств»
http://base.garant.r[...]
2020-11-07
[11]
웹사이트
Treaties, Termination
https://opil.ouplaw.[...]
2022-03-17
[12]
웹사이트
V.Pribylovsky, Gr.Tochkin . Kto i kak uprazdnil SSSR
http://sssr.net.ru/d[...]
2021-01-26
[13]
웹사이트
Из СССР В СНГ: подчиняясь реальности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Бабурин С. Н. На гибель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https://web.archive.[...]
[15]
웹사이트
Воронин Ю. М. Беловежское предательство
http://www.sovross.r[...]
2020-08-12
[16]
서적
On my country a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Bush on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http://encarta.msn.c[...]
[18]
웹사이트
United Nations Response Options to Russia's Aggression: Opportunities and Rabbit Holes
https://www.justsecu[...]
2022-04-08
[19]
간행물
Russia Takes Over the Soviet Union's Seat at the United Nations
https://academic.oup[...]
[20]
뉴스
Илья Константинов: «Додавить гной пока не получается»
https://rusplt.ru/so[...]
rusplt.ru
2019-12-08
[21]
웹사이트
Павлов Н. А. Незаконченный переворот: причины и последствия
http://1993.sovnarko[...]
2012-07-10
[22]
뉴스
Document proclaiming death of Soviet Union missing
https://www.telegrap[...]
2018-04-03
[23]
웹사이트
Единый реестр правовых актов и других документов Содружества Независимых Государств
http://cis.minsk.b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