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어는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에 속하며, 우크라이나의 공용어이다. 12세기부터 13세기까지 고대 루시어, 14세기부터 18세기까지 루시어,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소러시아어라는 이름으로 불리다가 19세기 후반부터 현재의 우크라이나어로 정착되었다.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33개의 문자와 아포스트로피를 포함한 38개의 음소를 가진다. 문법적으로는 7개의 격과 3가지 성을 가지며, 슬라브어 중 호격을 보존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어휘는 벨라루스어와 가장 가깝고 폴란드어의 영향을 받았다. 우크라이나어는 고대 동슬라브어에서 기원하여 오랜 기간 러시아 제국의 탄압을 받았으나, 독립 이후 우크라이나어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우크라이나어 - 수르지크어 수르지크어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의 혼합어로, 러시아의 지배로 인한 언어적 동화 과정에서 발생하여 우크라이나의 언어 및 문화적 정체성과 관련된 복잡한 쟁점을 내포한다.
우크라이나어 - Ї Ї는 우크라이나어 알파벳의 13번째 문자로 {{ipa|ji}} 소리를 내며, 우크라이나 독립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로마자 'ji' 또는 'ij', 일본어 '이이', '유이', '이' 등으로 표기된다.
몰도바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몰도바의 언어 - 루마니아어 루마니아어는 고대 로마 시대 속어 라틴어에서 기원하여 다키아 지역에서 발전,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루마니아와 몰도바의 공용어이고,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은 풍부한 어휘를 가진 로망스어이다.
벨라루스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벨라루스의 언어 - 벨라루스어 벨라루스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벨라루스 등지에서 사용되며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와 상호 이해도가 높고, 두 가지 표기법이 존재하며, 러시아어의 영향으로 사용이 위축되었다.
우크라이나 국립 과학원: 우크라이나어 연구소 우크라이나어 정보 기금 포테브냐 언어학 연구소
ISO 639-1
uk
ISO 639-2
ukr
ISO 639-3
ukr
링구아스피어 코드
53-AAA-ed
링구아스피어 코드 (변형)
53-AAA-eda ~ 53-AAA-edq
글로토로그
ukra1253
글로토로그 이름
Ukrainian
지역
동유럽
추가 정보
로마자 표기법
ukrainska mova
어휘 거리
우크라이나어-폴란드어: 26–35 우크라이나어-불가리아어: 26–35 기타: 36–50
백과사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참고 문헌
총 화자
4,500만 명
순위
26위
2. 명칭
키예프 루스 시대(서기 880년경~1240년) 언어의 명칭은 상당한 논쟁거리이다. 당시 문헌의 언어는 순수하게 또는 대부분 고대 슬라브어였기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이 시대를 초기 우크라이나어 단계로 보고 고대 루테니아어라고 부르는 반면, 다른 이들은 고대 동슬라브어로 분류한다. 러시아 학계에서는 키예프 루스를 현대 러시아 국가와 동일시하며 이 시대의 언어를 고대 러시아어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러시아 언어학자 안드레이 자리즈냐크에 따르면, 노브고로드 공화국 사람들은 14세기까지 자신들을 ''루스''라고 부르지 않았으며, 초기 노브고로드 사람들은 ''루스''라는 용어를 키예프, 페레야슬라블, 체르니히우 공국에 대해서만 사용했다.[13] 동시에 당대 연대기에 따르면, 갈리치아-볼리니아와 키예프의 통치자들은 자신들을 "루스 사람들"(외국 자료에서는 "루테니아인"이라고 함)이라고 불렀으며, 갈리치아-볼리니아는 공국 또는 루테니아 왕국으로 불리기도 했다.
시대에 따른 우크라이나어의 주요 명칭은 다음과 같다.
12세기-13세기: 고대 루시어 (고대 루테니아어, 고대 키예프 문어, 고대 동슬라브어, 고대 우크라이나 문어라고도 함).
현대 우크라이나어 알파벳과 표기법은 19세기와 20세기 초 러시아 제국 시대 우크라이나, 오스트리아령 갈리치아, 그리고 이후 소련 우크라이나에서 제안된 여러 개혁의 결과물이다. 통일된 우크라이나어 알파벳(스크리프니키우카, 미콜라 스크리프니크의 이름을 땀)은 소련 우크라이나의 우크라이나화 정책 시기인 1927년 하르키우에서 열린 국제 정서법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확립되었다. 그러나 이 정책은 1930년대에 뒤집혔고, 소련 우크라이나어 정서법은 우크라이나 디아스포라에서 사용하는 것과 달라졌다. 특히 우크라이나어 문자 게(ґ)는 1933년부터 1990년 글라스노스트 시대까지 소련에서 공식적으로 사용이 금지되었다가 이후 복원되었다.[90]
18세기 후반 현대 문학 언어가 등장하면서 철자법 연구가 시작되었고, 여러 철자법 체계가 등장했다. 대표적으로 알렉시이 파블롭스키의 체계, 드니스트르의 인어의 철자법(1837), 판텔레이몬 쿨리시의 쿨리시프카, M. 드라호마노프 등이 참여한 드라호마니프카(1870년대), 예브헨 젤레호프스키의 젤레히프카(1886) 등이 있었다.
보리스 흐린첸코는 그의 4권짜리 ''우크라이나어 사전''(1907-1909)에서 기존 체계들을 일부 수정하여 사용했는데, 이 사전에서 사용된 음운론 기반의 철자 규칙 대부분은 현재까지도 유효하다. 흐린첸코의 방식은 1918년 첫 공식 우크라이나어 철자법이 만들어지기 전까지 비공식적인 표준 역할을 했다.
1918년 1월 우크라이나 중앙의회는 "우크라이나어 표기법 주요 규칙"을 발표했고, 1919년 5월 우크라이나 과학 아카데미는 이후 모든 개정의 기초가 된 "우크라이나어 표기법 주요 규칙"을 승인했다. 1928년에는 앞서 언급한 스크리프니키우카 표기법이 채택되었고, 1929년 흐리호리 홀로스케비치는 이에 따른 ''우크라이나어 철자 사전''을 출판했다.[91]
그러나 1933년, 안드리이 흐빌리아가 이끄는 위원회는 1928년 표기법을 "민족주의적"이라 비판하며 폐기하고, 러시아어와의 통합을 강화한 새로운 철자법을 급하게 도입했다. 이 과정에서 문자 ґ가 알파벳에서 제외되고 우크라이나어 과학 용어가 러시아어에 맞춰 수정되었다. 이후 1946년과 1959년(1960년 발표)에 약간의 수정이 있었고, 1960년 판본이 1990년까지 공식 표준으로 사용되었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우크라이나어 철자법 개선 논의가 다시 활발해졌다. 1989년 새로운 철자법 위원회가 구성되었고, 1990년에 새로운 개정판이 발표되었다. 이 개정의 주요 내용은 문자 ґ의 복원과 호격의 완전한 부활이었다.
2019년 5월 22일, 우크라이나 정부는 국가 철자 위원회가 마련한 새로운 표기법을 승인했다. 이 개정판은 1928년 스크립닉 표기법의 일부 특징을 복원하면서도 20세기 후반 이후의 언어 현실을 반영하고자 했다.[92] 현재 공식 우크라이나어 표기법이 존재하지만, 일부 출판물에서는 스크립닉 표기법에 가깝거나 외래어 표기 등에서 공식 규칙과 다른 자체적인 표기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우크라이나어 알파벳은 33개의 문자(자모)로 구성된다. 이 문자들은 38개의 음소를 나타낸다. 문자 외에도 아포스트로피라는 특수 기호도 포함된다. 우크라이나어의 맞춤법은 음소의 원칙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하나의 문자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음소에 해당한다. 맞춤법에는 의미, 역사, 형태의 원칙이 사용되기도 한다.
문자에는 20개의 자음( '''бuk, гuk, ґuk, дuk, жuk, зuk, кuk, лuk, мuk, нuk, пuk, рuk, сuk, тuk, фuk, хuk, цuk, чuk, шuk, щuk''' ), 10개의 모음( '''аuk, еuk, єuk, иuk, іuk, їuk, оuk, уuk, юuk, яuk''' ), 그리고 2개의 반모음( '''йuk, вuk''' )이 있다. 연음 기호( '''ьuk''' )는 음가는 없지만 앞의 자음의 연화(구개음화)를 일으킨다.
또한 특정 자음은 특정 모음 앞에서 구개음화된다. 예를 들어, '''дuk, зuk, лuk, нuk, сuk, тuk, цuk, дзuk''' 자음은 '''єuk, іuk, їuk, юuk, яuk''' 연모음 사이에서 연자음이 된다. 아포스트로피는 맞춤법에 따라 자음의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사용된다.
알파벳에서 사용하는 음소의 원칙에는 다른 예외도 있다. 예를 들어, '''щuk''' ([ʃt͡ʃ]), '''їuk''' ([ji]) 그리고 앞의 자음을 구개음화하지 않는 경우의 '''єuk''' ([jɛ]), '''юuk''' ([ju]), '''яuk''' ([jɑ])의 5개 문자는 두 개의 음소를 나타낸다. дзuk와 джuk라는 합자는 일반적으로 파찰음 [d͡z]와 [d͡ʒ]를 나타낸다. '''еuk, уuk, аuk''' 앞에 위치하는 자음의 구개음화를 '''єuk, юuk, яuk'''로 표기한다. 그러나 '''іuk''' 앞에 위치하는 자음의 구개음화는 특별히 표기되지 않는다.
다른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알파벳과 비교하면 우크라이나어 알파벳은 동슬라브어파의 여러 언어 알파벳과 유사하다. 반면에 '''ґuk[115], їuk, єuk''' 와 같이 우크라이나어 고유의 문자도 있다. 우크라이나어의 아포스트로피는 초기 키릴 문자 '''ъuk'''(예르)의 기능을 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어의 음운 체계는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슬라브어 중 가장 많은 48개의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음운 변화가 활발하여 부드러운 음조를 만들어낸다.[113] 특히 /ɪ/ (키릴 문자 и)와 /i/ (키릴 문자 і)를 명확히 구분하는 점이 특징적이다.[113]
역사적으로 우크라이나어 음운 체계는 고대 동슬라브어에서 점진적으로 변화해왔다. 12-13세기경 키예프 루스 시대에 시작된 변화는 현대 우크라이나어의 기반을 형성했다. 대표적인 변화로는 고대 동슬라브어의 약모음(약화된 예르)이 소실되면서 중모음 'e'와 'o'가 길어지고 높아진 현상이 있다. 예를 들어, 고대 동슬라브어 котъ|코트orv /kɔtə/는 우크라이나어 кіт|키트uk /kit/ ('고양이')가 되었고, печь|페치orv /pʲɛtʃʲə/는 우크라이나어 піч|피치uk /pitʃ/ ('오븐')이 되었다.[11] 또한, 고대 동슬라브어의 모음 /i/(и)와 /ɨ/(ы)가 우크라이나어에서는 /ɪ/ 또는 /ɛ/ 발음에 가까운 음소(и)로 합쳐졌는데, 이는 러시아어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변화이다.[11]
자음에서는 고대 동슬라브어의 /g/ (г)가 /ɦ/으로 마찰음화된 것이 중요한 특징이다.[164][11] 이 현상은 벨라루스어(여기서는 /ɣ/으로 발음)에서도 나타나지만, /g/ 발음을 유지한 러시아어와는 구별된다. 또한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고지 소르비아어 등 다른 슬라브어 일부에서도 유사한 마찰음화가 발견된다.[165] 이러한 음운 변화들은 우크라이나어가 러시아어와는 다른 독자적인 발전 경로를 거쳤음을 보여준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고대 동슬라브어 시기부터 이미 우크라이나어의 조상격인 남부 방언에서 이러한 특징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15][16]
현대 우크라이나어는 러시아어나 다른 많은 슬라브어와 달리 어말 무성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즉, 단어 끝에 오는 유성 자음이 무성 자음으로 바뀌지 않고 그대로 발음된다.
4. 1. 모음
우크라이나어 음운론 문서 참고.
우크라이나어는 여섯 개의 모음 /i/, /u/, /ɪ/, /ɛ/, /ɔ/, /a/를 가지고 있다.
문자 г는 유성 성문 마찰음 /ɦ/를 나타내며, 종종 라틴 문자 ''h''로 음역된다. 이는 영어 /h/의 유성 대응음이다. 우크라이나의 러시아어 화자들은 종종 구동슬라브어의 북부 방언에서 유래한 러시아어 /ɡ/ 대신 우크라이나어의 연음 /ɦ/를 사용한다. 고대 동슬라브어 자음 г(/g/)가 마찰음화된 것은 현대 우크라이나어의 특징 중 하나로, 이는 벨라루스어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지만(/ɣ/), 러시아어에서는 일어나지 않았다.[164][165][11]
우크라이나어 알파벳에는 /ɡ/를 나타내는 추가 문자 ґ가 있는데, 'ґринджоли'(''gryndžoly'', '썰매') 와 'ґудзик'(''gudzyk'', '단추') 와 같은 소수의 고유어에 나타난다. 그러나 /ɡ/는 거의 전적으로 외래어에서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г로 쓰이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공공 표지판의 영어 외래어는 영어 ''g''와 ''h'' 모두에 г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의 또 다른 음운론적 차이는 키릴 문자 в ''v/w''의 발음이다. 표준 러시아어에서 /v/를 나타내는 반면, 많은 우크라이나어 방언에서는 /w/를 나타낸다. 특히 모음 다음에 자음(군)이 오거나 어말에서는 [u̯] 동위음을 가지며, 앞선 모음과 이중모음을 형성한다. 원어민 러시아어 화자는 우크라이나어 в를 /v/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우크라이나어에서는 영어 ''v''와 ''w'' 모두를 나타내기 위해 в를 사용한다.
러시아어 및 대부분의 다른 현대 슬라브어와 달리, 우크라이나어는 어말 무성화가 없다.
5. 문법
우크라이나어는 융합적인, 주격-목적격의, 위성-틀 언어이다. 묵인 주어 특징을 나타내며, 표준 어순은 SVO이다.[89] 하지만 우크라이나어의 어미 체계는 비교적 자유로운 어순을 가능하게 하여 다른 어순도 흔히 사용된다.
명사는 남성, 여성, 중성의 3가지 성과 단수, 복수의 2가지 수를 가진다. 또한 주격, 생격, 여격, 대격, 조격, 전치격, 호격의 총 7개의 격으로 어형 변화하며, 활동체와 비활동체로 구분되기도 한다. 형용사는 성, 격, 수에서 명사와 일치한다. 동사는 시제, 태, 인칭, 수, 상(aspect)에 따라 활용된다.
5. 1. 명사
우크라이나어 명사는 남성, 여성, 중성의 세 가지 성 중 하나를 가지며, 단수와 복수의 두 가지 수로 어형 변화한다. 또한 명사들은 활동체인지 비활동체인지에 따라 구분되기도 한다.
명사의 어미는 성별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인다. 남성 명사는 주로 자음, -й, -ь, -о로 끝나고, 여성 명사는 자음, -а, -я, -ь로 끝나며, 중성 명사는 -о, -е, -я로 끝난다. 하지만 자음으로 끝나는 여성 명사도 있고, -я로 끝나는 중성 명사의 어미도 다양하여 성 구분이 명확하지 않을 때도 있다.
style="width: 2px;"|
수컷 고양이(남성)
암컷 고양이(여성)
새끼 고양이(중성)
--
암컷 고양이
--
단수
кіт|키트uk
кішка|키슈카uk
кошеня|코셰냐uk
복수
коти|코티uk
кішки|키슈크이uk
кошенята|코셰냐타uk
우크라이나어 명사는 주격, 생격(소유격), 여격, 대격(목적격), 조격(도구격), 처소격(전치격), 호격의 총 7개의 격을 가진다. 러시아어 등 다른 현대 동슬라브어와 달리 호격이 남아 있다는 특징이 있다.[167] 또한,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현대 슬라브어처럼, 활동체 남성 단수 명사의 경우 대격과 생격의 형태가 동일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166]
다음은 명사의 격 변화 예시이다.
명사의 활용
чоловік|촐로비크uk (남성: 남자)
місто|미스토uk (중성: 도시)
риба|리바uk (여성: 물고기)
단수
주격
чоловік|촐로비크uk
місто|미스토uk
риба|리바uk
대격(목적격)
чоловіка|촐로비카uk
місто|미스토uk
рибу|리부uk
생격(소유격)
чоловіка|촐로비카uk
міста|미스타uk
риби|리비uk
처소격(전치격)
чоловікові/чоловіку|촐로비코비/촐로비쿠uk
місті|미스티uk
рибі|리비uk
여격
чоловікові/чоловіку|촐로비코비/촐로비쿠uk
місту|미스투uk
рибі|리비uk
조격(도구격)
чоловіком|촐로비콤uk
містом|미스톰uk
рибою|리보유uk
호격
чоловіче|촐로비체uk
місто|미스토uk
рибо|리보uk
복수
주격
чоловіки|촐로비키uk
міста|미스타uk
риби|리비uk
대격(목적격)
чоловіків|촐로비키우uk
міста|미스타uk
риб|리브uk
생격(소유격)
чоловіків|촐로비키우uk
міст|미스트uk
риб|리브uk
처소격(전치격)
чоловіках|촐로비카흐uk
містах|미스타흐uk
рибах|리바흐uk
여격
чоловікам|촐로비캄uk
містам|미스탐uk
рибам|리밤uk
조격(도구격)
чоловіками|촐로비카미uk
містами|미스타미uk
рибами|리바미uk
호격
чоловіки|촐로비키uk
міста|미스타uk
риби|리비uk
우크라이나어 명사의 격 어미는 고대 동슬라브어와 다소 차이가 있으며, 어휘에는 폴란드어에서 유래한 단어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고대 동슬라브어나 러시아어에서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의 'о'가 우크라이나어에서는 종종 'і'로 바뀌는 음운 변화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під|피드uk('밑에')는 고대 동슬라브어 'pod'에서 변화한 것이다. 이러한 'о'/'і'의 교체는 명사의 격 변화에서도 나타나는데, рік|리크uk('년', 주격)이 처소격에서는 році|로치uk가 되는 것처럼, 폐쇄 음절이 아닐 때 'о'가 다시 나타나기도 한다. 반대로, слово|슬로보uk('단어', 단수 주격), слова|슬로바uk(복수 주격)처럼 대부분의 격에서 'о'를 가지지만, 복수 생격에서는 слів|슬리우uk처럼 'і'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
상(Aspect): 동사는 일반적으로 완료상과 미완료상의 상(aspect) 쌍으로 나타난다. 이 쌍은 보통 전치사 접두사를 붙이거나 때때로 어근 변화를 통해 형성된다.
6. 어휘
11권으로 구성된 『우크라이나어 사전』(«Словник української мови»)에는 25만 3천 개의 어휘 항목이 수록되어 있다.[93] 우크라이나어 연구소의 어휘 카드 카탈로그에는 600만 장의 카드가 있다.[94]
우크라이나어는 어휘적으로 벨라루스어와 가장 가깝고, 러시아어보다는 폴란드어와 더 가깝다. 예를 들어 "가능성"을 뜻하는 우크라이나어 단어는 можливість|mozhlyvistukr인데, 이는 폴란드어 możliwośćpol와 유사하며 러시아어 возможность|vozmozhnostʹrus와는 상대적으로 차이가 있다.
키이우-폴타바 방언을 기반으로 하는 표준 우크라이나어는 모스크바 방언을 기반으로 하는 표준 러시아어와 많은 가짜 친구 단어를 공유한다. 이러한 가짜 친구 단어들 때문에 일부 단어들이 우크라이나어에서의 본래 의미가 아닌, 러시아어의 의미를 따라 사용되는 수르지크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우크라이나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예프 루스 붕괴 이후 러시아어, 벨라루스어와는 다른 독자적인 발전 과정을 거쳤다. 우크라이나어의 역사는 크게 두 시기로 나뉜다. 12세기부터 18세기까지 사용된 언어는 우크라이나 내에서는 "옛 우크라이나어"로 불리지만 일반적으로는 루테니아어로 알려져 있으며, 18세기 말부터 현재까지 사용되는 언어는 "현대 우크라이나어"로 구분된다.
루테니아어 시기에는 폴란드 왕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에서 독립한 헤트만 국가(17세기) 시기에는 드니프로 우크라이나를 중심으로 우크라이나 문화가 발전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면서 우크라이나어는 억압의 대상이 되었다.
현대 우크라이나 문학어는 18세기 말 이반 코틀랴레프스키가 폴타바 지역 방언을 기반으로 쓴 풍자서사시 『에네이다』(1798)에서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 이후 타라스 셰브첸코, 이반 프랑코, 레샤 우크라이인카 등 여러 작가들의 노력을 통해 발전했다. 하지만 19세기 러시아 제국은 우크라이나어를 '러시아어의 소러시아 방언'으로 규정하고 공식적인 사용과 출판을 금지하는 등 강력한 러시아화 정책을 시행했다. 이로 인해 많은 우크라이나 지식인들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치하의 갈리치아로 이주하여 활동했고, 이 과정에서 갈리치아 방언의 어휘가 문학 언어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2]
소련 시대에는 초기 우크라이나화 정책으로 1927년 공식 표준 표기법이 제정되기도 했으나, 1930년대 이후 다시 러시아화 정책이 강화되는 등 우크라이나어의 지위는 불안정했다. 공식 언어였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러시아어가 사회 전반에서 우위를 점했다.[50]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우크라이나어는 유일한 국어로 지정되어 교육 및 공공 영역에서 사용이 확대되었다. 그러나 동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여전히 러시아어 사용자가 많으며, 러시아어를 제2 공용어로 지정하려는 정치적 논쟁도 존재한다.[133] 또한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가 혼합된 형태인 술지크 사용이 널리 퍼져 있으며,[134] '순수한' 우크라이나어 사용을 강조하는 움직임도 나타나는 등 언어를 둘러싼 다양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현대 우크라이나어 음운 체계로 이어지는 고대 동슬라브어 모음 체계의 점진적인 변화는 12세기에서 13세기경, 즉 키예프 루스 시대에 시작되었다. 하블리크의 법칙에 따라 자음 뒤에 오던 약모음(약화된 예르)이 사라지면서, 고대 동슬라브어의 중모음 'e'와 'o'가 길어지고 높아지는 변화를 겪었다. 예를 들어, 고대 동슬라브어 котъorv /kɔtə/는 우크라이나어 кіт|kitukr ('고양이')가 되었고, печьorv /pʲɛtʃʲə/는 우크라이나어 піч|pitʃukr ('오븐')이 되었다.[11]
이러한 모음 변화와 더불어 다른 음운론적 발전도 일어났다. 고대 동슬라브어 모음 /i/와 /ɨ/가 우크라이나어 음소 /ɪ ~ e/ (13-14세기에는 и로 표기)로 합쳐졌고, 고대 동슬라브어 자음 г /g/는 마찰음화되어 /ɣ/를 거쳐 현대 우크라이나어의 /ɦ/가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러시아어에서는 일어나지 않았다. 다만 г /g/의 마찰음화는 벨라루스어에서도 나타나며, 현재는 /ɣ/로 발음된다.
고대 동슬라브어의 존재와 분화 시기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견해가 다르다. 아하탄헬 크림스키와 알렉세이 샤흐마토프는 동슬라브 부족들이 사용했던 공통 구어는 선사 시대에만 존재했으며, 8세기나 9세기 초에 이미 분화가 시작되었다고 보았다.[12] 반면, 스테판 스말-스토츠키, 예브헨 팀첸코, 이반 오히엔코 등은 과거 어느 시점에도 단일한 고대 동슬라브어는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14] 이들은 동슬라브 부족의 방언들이 6세기에서 9세기 사이에 공통 원슬라브어에서 직접 점진적으로 발전했으며, 우크라이나어는 이후 역사적 시기에 현재의 우크라이나 영토 내에서 인구가 이동하고 집중되면서 여러 부족 방언이 수렴하여 형성되었다고 본다. 조지 셰벨로프는 음운론적 연구를 통해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하며, 우크라이나어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고대 동슬라브어 남부 방언의 특징들이 초기 기록에서도 이미 나타난다고 주장했다.[15][16]
흑해 북쪽의 스키타이 및 사르마티아 유목민과 슬라브족 간의 밀접한 접촉은 초기 중세까지 이어졌는데, 이는 현대 우크라이나어와 일부 남부 러시아 방언에서 나타나는 유성 마찰음 /ɦ/(г)의 기원을 설명하는 가설 중 하나이다. 이 음은 원래 스키타이어 등 동이란계 언어에서 원시 인도유럽어 *g*와 *gʰ*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7][18][19]
13세기 루테니아 왕국의 군주들이 독일 정착민들을 우크라이나로 초청하면서 독일어 단어가 유입되기 시작했다. 이후 폴란드 지배 하에서도 독일 식민지 주민들과 이디시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을 통해 독일어의 영향은 계속되었다. 이렇게 유입된 단어들은 주로 무역이나 수공예와 관련된 것들이 많다. 예를 들어 дах|dakhukr(지붕), рура|ruraukr(파이프), ринок|rynokukr(시장), кушнір|kushnirukr(모피 장수), майстер|majsterukr(장인) 등이 있다.[20]
키예프 루스 시대(서기 880년경~1240년)의 언어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쟁이 존재한다. 당시 문헌의 언어는 주로 고대 슬라브어였기 때문이다. 일부 학자들은 이 시기를 초기 우크라이나어 단계로 보고 '고대 루테니아어'라고 부르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고대 동슬라브어로 분류한다. 러시아 학자들은 키예프 루스를 현대 러시아 국가와 동일시하며 이 시기 언어를 '고대 러시아어'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러시아 언어학자 안드레이 자리즈냐크에 따르면, 노브고로드 공화국 사람들은 14세기까지 자신들을 '루스'라고 부르지 않았으며, 이 용어는 키예프 공국, 페레야슬라블 공국, 체르니히우 공국만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3] 그는 또한 노브고로드 방언이 11-12세기에는 키예프 루스의 다른 방언들과 상당히 달랐지만, 13-15세기경부터 점차 유사해졌다고 설명한다. 자리즈냐크는 현대 러시아어가 이 노브고로드 방언과 다른 키예프 루스 지역의 공통 방언이 융합되어 발전한 반면, 현대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는 서로 크게 다르지 않았던 방언들에서 발전했다고 본다.[13]
한편, 당대 연대기에 따르면 갈리치아-볼리니아 왕국과 키예프의 통치자들은 스스로를 "루스 사람들"(외국 자료에서는 "루테니아인"으로 불림)이라고 칭했으며, 갈리치아-볼리니아는 루테니아 공국 또는 왕국으로 불렸다.
오랫동안 폴란드 왕국의 영향 아래 있었던 루테니아 지역에서는 폴란드어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반면, 벨라루스와 함께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지배를 받았던 북부 우크라이나 지역에서는 벨라루스어의 특징인 аканье|아카니예ru 현상의 부재 등 벨라루스어의 영향이 나타났다. 이 시기(12세기~18세기)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사용된 언어는 '옛 우크라이나어' 또는 루테니아어로 불린다.
13세기 갈리치아-볼리니아 왕국 시대에 군주들이 독일인 정착민들을 우크라이나로 초청하면서 독일어 단어가 유입되기 시작했다.[20] 이러한 영향은 이후 폴란드 지배 하에서도 독일 식민지 주민들과 이디시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을 통해 지속되었으며, 주로 무역이나 수공예와 관련된 단어들이 많다.[20] 예를 들어 dakh|다흐uk("지붕"), rura|루라uk("파이프"), rynok|르녹uk("시장"), kushnir|쿠슈니르uk("모피 장수"), majster|마이스테르uk("장인") 등이 있다.[20]
1561년에 제작된 페레소프니츠케 복음서는 이 시기 우크라이나어(루테니아어)로 작성된 중요한 문헌 중 하나로 남아있다.
7. 3. 연대기
아하탄헬 크림스키와 알렉세이 샤흐마토프는 동슬라브 부족들이 사용했던 공통된 구어가 선사 시대에만 존재했으며, 8세기 또는 9세기 초에 이미 분화가 시작되었다고 보았다.[12] 반면, 우크라이나 언어학자 스테판 스말-스토츠키, 예브헨 팀첸코, 브세볼로드 간초프, 올레나 쿠릴로, 이반 오히엔코 등은 공통 고대 동슬라브어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며, 동슬라브 부족의 방언들이 6세기부터 9세기까지 원슬라브어에서 직접 점진적으로 발전했다고 주장했다. 이 관점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어는 여러 부족 방언이 융합되어 형성되었으며, 특히 후대에 오늘날의 우크라이나 영토 내에서 인구가 집중적으로 이동하면서 언어적 통합이 이루어졌다. 조지 셰벨로프의 음운론 연구 역시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하는데, 그는 우크라이나어의 조상 격인 고대 동슬라브어 남부 방언의 특징들이 이미 초기 기록에서부터 식별 가능했다고 주장했다.[15][16]
현대 우크라이나어 음운 체계로 이어지는 고대 동슬라브어 모음 체계의 점진적인 변화는 12세기/13세기경(키예프 루스 시대) 시작되었다. 자음 뒤에 오는 약모음(약화된 예르)이 사라지면서 고대 동슬라브어의 중모음 'e'와 'o'가 길어지고 높아지는 고음화 현상이 발생했다. 예를 들어, 고대 동슬라브어 котъ /kɔtə/는 우크라이나어 кіт /kit/ ('고양이')가 되었고, 고대 동슬라브어 печь /pʲɛtʃʲə/는 우크라이나어 піч /pitʃ/ ('오븐')이 되었다.[11] 이러한 고음화와 함께 고대 동슬라브어 모음 음소 и /i/와 ы /ɨ/가 우크라이나어 음소 /ɪ ~ e/(13세기/14세기에 и로 표기)로 합쳐진 것, 그리고 고대 동슬라브어 자음 г /g/가 마찰음화되어(아마 13세기에 /ɣ/로, 현대 우크라이나어에서는 /ɦ/가 반영됨) 현대 우크라이나어의 특징을 형성했다. 이러한 변화는 러시아어에서는 일어나지 않았으며, г /g/의 마찰음화는 벨라루스어에서도 나타나 현재는 /ɣ/로 반영된다.
키예프 루스(서기 880년경~1240년) 시대의 언어는 상당한 논쟁거리다. 당시 문헌의 언어는 순수하게 또는 대부분 고대 슬라브어였기 때문이다. 일부 이론가들은 이 시대를 초기 우크라이나어 단계로 보고 고대 루테니아어라고 부르는 반면, 다른 이론가들은 고대 동슬라브어로 분류한다. 러시아 이론가들은 키예프 루스를 현대 러시아 국가와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 시대의 언어를 고대 러시아어라고 부른다. 그러나 러시아 언어학자 안드레이 자리즈냐크에 따르면, 노브고로드 공화국 사람들은 14세기까지 자신을 '루스'라고 부르지 않았으며, 초기 노브고로드 사람들은 '루스'라는 용어를 키예프, 페레야슬라블, 체르니히우 공국에 대해서만 사용했다.[13] 동시에 당대 연대기에 따르면, 갈리치아-볼리니아와 키예프의 통치자들은 자신들을 "루스 사람들"(외국 자료에서는 "루테니아인"이라고 함)이라고 불렀으며, 갈리치아-볼리니아는 공국 또는 루테니아 왕국으로 불리기도 했다. 자리즈냐크는 또한 노브고로드 방언이 11세기~12세기 키예프 루스의 다른 방언들과 상당히 달랐지만, 13세기~15세기경부터는 다른 방언들과 유사해지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현대 러시아어는 이 노브고로드 방언과 다른 키예프 루스 지역에서 사용되던 공통 방언의 융합으로 발전한 반면, 현대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는 서로 크게 다르지 않은 방언에서 발전했다.[13]
우크라이나 문학 언어는 크게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2세기부터 18세기까지는 우크라이나 내에서는 "옛 우크라이나어"로 불리지만, 다른 지역과 현대 자료에서는 루테니아어로 알려진 시기이다. 이 시기 언어는 키예프 루스 붕괴 후 러시아어, 벨라루스어와 별개로 발전했다. 오랫동안 폴란드 왕국의 영향 아래 있었던 서우크라이나에서 드니프로 우크라이나에 이르는 지역에서는 폴란드어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고, 벨라루스와 함께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지배 아래 있었던 북우크라이나에서 드니프로 우크라이나에 이르는 지역에서는 벨라루스어의 특징인 아카니예(аканьеru)의 부재 등 벨라루스어의 영향이 나타났다. 키이우를 포함한 동우크라이나가 헤트만 국가로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지배에서 벗어난 17세기 이후, 헤트만의 보호 아래 드니프로 우크라이나를 중심으로 우크라이나어 문화가 발전했다. 폴란드 왕국에 남아 있던 서우크라이나는 리비우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발전을 보였다. 그러나 헤트만 국가는 모스크바 대공국·러시아 제국의 영향 아래 놓이게 되었고, 18세기 안에 동우크라이나는 완전히 러시아에 병합되었다.
러시아 제국 내 우크라이나어 사용 분포(1897년)
18세기 말부터 현재까지는 "현대 우크라이나어" 시기로 분류된다. 이 시기 문학 발전에 영향을 미친 중요 인물로는 철학자 흐리호리 스코보로다, 이반 코틀랴레프스키, 미콜라 코스토마로프, 미하일로 코치우빈스키, 타라스 셰브첸코, 이반 프랑코, 그리고 레샤 우크라이인카가 있다. 현대 우크라이나어로 된 가장 오래된 문학 작품은 1798년 폴타바 출신의 극작가 코틀랴레프스키가 출판한 서사시 ''에네이다''이다. 이 작품은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를 바탕으로 한 풍자적인 버르스크 형식의 작품으로, 검열을 피하기 위해 구어체 우크라이나어로 쓰여졌다. 코틀랴레프스키와 페트로 아르테모프스키 등 초기 작가들은 러시아 제국의 폴타바, 하르키우, 키이우 남부 지역에서 사용되던 남동부 방언을 기반으로 작품을 썼다. 이 방언은 19세기 중반 셰브첸코와 쿨리시가 우크라이나 문학 언어를 발전시킬 때 기초가 되었다.[57]
러시아어 공용어화 반대론자들의 풍자화. 왼쪽의 러시아어를 나타내는(러시아어로 "언어"라고 적힌 셔츠를 입은) 거구는 오른쪽의 우크라이나어를 나타내는(우크라이나어로 "언어"라고 적힌 셔츠를 입은) 소녀에게 러시아어로 "꼬마야, 비켜줘. 너, 나 압박하고 있잖아"라고 불평하고 있다
폴란드 분할을 거쳐 우크라이나의 대부분이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면서,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 하에서 우크라이나 문화는 분리주의적으로 간주되어 탄압받았고, 우크라이나어 사용도 제한되었다. 러시아 제국은 1863년의 발루예프 칙령과 1876년의 (Эмский указru)을 통해 우크라이나어의 존재를 부정하고 "러시아어의 소러시아 방언"으로 규정하여 공식 문서나 문학 작품에서 사용을 금지했다. 이로 인해 많은 작가들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오스트리아 통치하의 서우크라이나 갈리치아 지역으로 이주했고, 1860년대 이후 대부분의 우크라이나 문학 작품은 오스트리아 갈리치아에서 출판되었다. 이 기간 동안 갈리치아 방언의 영향, 특히 법률, 정부, 기술, 과학, 행정 관련 어휘가 우크라이나 문학 언어에 수용되었다.[2]
현대 우크라이나어의 아버지로 불리는 타라스 셰브첸코는 우크라이나어의 풍부함을 더하기 위해 교회 슬라브어에서 어휘를 차용했으나, 후대 작가와 언어학자들은 이를 거부하고 구어를 중심으로 외래어와 각지 방언을 받아들이는 방향으로 발전시켰다.
현대 우크라이나를 중심으로 한 우크라이나어 사용 분포(2001년)
1920년대 우크라이나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의 우크라이나화 정책 시기인 1927년에 최초의 공식적인 표준어 표기법인 "1927년 표준어 표기법"(하르키우 표준어 표기법)이 제정되었다. 그러나 1930년대 반우크라이나화 정책으로 인해 수정되고 러시아화가 진행되었다. 1999년에 제정된 "프로젝트 1999"는 "1927년 표준어 표기법"을 기반으로 현대 우크라이나어를 정비하려는 시도였으나, 2003년에 폐지되어 현재 공적인 지위는 없다. 이 표기법은 기본적으로 폴타바 방언에 근거하고 서우크라이나·하르치나 등의 방언 요소를 추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련 말기의 "언어법"에 의해 우크라이나에서 우크라이나어는 유일한 국어로 지정되었고, 독립 이후에도 그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국내, 특히 동남부 지역에는 러시아어 사용자가 많아 러시아어를 제2언어 또는 공용어로 만들려는 정치 세력도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133]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할 때 러시아어 어휘를 혼용하는 "술지크" 현상도 나타나며, 일부에서는 옛 어휘를 부흥시켜 "더 순수한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려는 움직임도 있다.[134]
7. 4. 러시아 제국 시대
17세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배에서 벗어난 헤트만 국가는 드니프로 우크라이나를 중심으로 우크라이나 문화를 발전시켰다. 그러나 이후 모스크바 대공국 및 러시아 제국의 영향력이 강해지면서 18세기에는 동우크라이나가 완전히 러시아에 병합되었고, 폴란드 분할을 거치며 우크라이나 영토 대부분이 러시아 제국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러시아 제국은 강력한 중앙집권 정책 아래 우크라이나 문화를 분리주의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탄압했으며, 러시아화 정책의 일환으로 우크라이나어 사용을 제한했다.[2]
러시아 제국 정부는 우크라이나어의 존재 자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1804년 학교에서 우크라이나어를 교과목 및 강의 언어로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고, 1863년 발루예프 칙령과 1876년 엠스 칙령을 통해 우크라이나어를 '러시아어의 소러시아 방언'으로 규정하고, 우크라이나어로 된 학술 서적이나 문학 작품의 출판을 금지했다. 공식 문서나 '순수한' 문학 작품은 모두 러시아어로 작성하도록 강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니콜라이 고골과 같이 주류 문단에서 인정받기를 원했던 우크라이나 출신 작가들은 19세기 동안 러시아어로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이러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우크라이나어 문학은 명맥을 이어갔다. 최초의 현대 우크라이나어 문학 작품으로 평가받는 것은 1798년폴타바 출신의 이반 코틀랴레프스키가 발표한 패러디서사시 『에네이다』이다. 이 작품은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를 풍자적으로 각색한 것으로, 검열을 피하기 위해 구어체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했다. 코틀랴레프스키는 오페레타 『Наталка Полтавка|나탈카 폴타우카uk』로도 유명하며, 우크라이나 근대 문학의 선구자로 여겨진다. 코틀랴레프스키와 페트로 아르테모프스키 등 초기 작가들의 작품은 주로 러시아 제국 내 폴타바, 하르키우, 키이우 남부 지역에서 사용되던 남동부 방언에 기반을 두었다. 이 방언은 19세기 중반 타라스 셰브첸코와 판텔레이몬 쿨리시가 우크라이나 문학 언어를 발전시키는 데 기초가 되었다.[57] 셰브첸코는 우크라이나어의 표현력을 풍부하게 하기 위해 고대 교회 슬라브어 어휘를 적극적으로 차용하기도 했으나, 후대 작가들은 주로 구어와 외래어, 다른 방언들을 받아들여 문학 언어를 발전시켰다. 이반 프랑코와 레샤 우크라이인카 역시 현대 우크라이나 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러시아 제국의 우크라이나어 사용 금지 정책은 문학 언어 발전에 또 다른 영향을 미쳤다. 많은 작가들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치하의 서우크라이나갈리치아 지역으로 이주하여 활동했다. 그 결과 1860년대 이후 대부분의 우크라이나 문학 작품은 오스트리아령 갈리치아에서 출판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법률, 행정, 과학 기술 등과 관련된 갈리치아 지역의 어휘가 우크라이나 문학 언어에 흡수되었다.[2]
7. 5. 소비에트 시대
우크라이나어 포스터: "소비에트 사회의 기반은 노동자, 농민, 지식인의 굳건한 연합입니다"
러시아어는 공식 명칭은 아니었지만 사실상 소비에트 연방의 공용어였으나, 모든 국가 언어는 동등하게 선포되었다. 소비에트 지폐의 명칭과 액면가는 15개의 소비에트 공화국의 언어로 표기되었다. 이 1961년 1루블 지폐에는 러시아어인 один рубль (''odin rubl'') 다음에 우크라이나어로 된 "1루블"인 один карбованець (''odyn karbovanets'')가 바로 이어져 있다.
70년간 지속된 소련 시대 동안 우크라이나어는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공식적인 주요 지역 언어였으나[50], 현실에서는 러시아어와 끊임없이 경쟁해야 했다.[50] 소련 지도부의 우크라이나어에 대한 태도는 시기에 따라 장려와 관용에서부터 실질적인 억압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공식적으로 소련에는 1990년 러시아어가 전연방 국가 언어로 선포되기 전까지 국가 언어가 없었지만[51], 러시아어는 사실상 소련 전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었으며, "민족 간 의사소통 언어"라는 특별한 명칭으로 불렸다.
1920년대 우크라이나화 정책이 시행되면서 1927년에는 최초의 공식적인 우크라이나어 표준 표기법(하르키우 표준 표기법)이 제정되었다. 그러나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스탈린의 반우크라이나화 정책으로 인해 이 표기법은 수정되었고, 러시아화가 강화되었다.
스탈린 사후(1953년) 흐루쇼프 시대(1958년~1963년)에는 과거의 강압적인 언어 정책이 다소 완화되어, 우크라이나어로 된 학술지와 백과사전 출판이 증가하는 등 일부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완화 정책은 1920년대의 우크라이나화 정책만큼 성공적이지는 못했다. 특히 1958년의 학교 개혁은 부모가 자녀의 초등 교육 언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했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러시아화를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사회적인 성공과 발전을 위해서는 러시아어 구사 능력이 필수적이었기 때문에, 많은 우크라이나 부모들이 자녀 교육 언어로 러시아어를 선택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일부 분석가들은 이를 직접적인 '억압'이나 '탄압'보다는 러시아어 확장에 대한 '보호의 부재'였다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크라이나어 사용 기반을 약화시켰다. 실제로 우크라이나 학교에서 러시아어 수업을 듣는 학생 비율은 1939년 14%에서 1962년 30% 이상으로 꾸준히 증가했다.[52]
1963년부터 1972년까지 우크라이나 공산당 지도자였던 페트로 셸레스트는 소련 내에서 우크라이나의 이익을 옹호하고 우크라이나어의 위상을 높이며 고등 교육에서 우크라이나어 역할을 확대하려는 정책을 추진했다. 그러나 그는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에 지나치게 관대하다는 비판을 받고 결국 해임되었다.
그의 뒤를 이은 볼로디미르 셰르비츠키(1972년~1989년)는 정반대의 정책을 펼쳤다. 그는 당내 반대 의견을 강하게 억압했으며, 지방의 공식 행사에서조차 러시아어 사용을 고집하는 등 강력한 러시아화 정책을 추진했다. 그의 강경한 러시아화 정책은 1985년 이후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 정책이 시작된 후에야 다소 완화되었다. 셰르비츠키 시대의 우크라이나는 다른 소련 지역에 비해 페레스트로이카(우크라이나어: 페레부도바, perebudova)와 글라스노스트(우크라이나어: 흐라스니스트, hlasnist’)로 대표되는 개혁과 자유화의 속도가 더뎠다.
소련 해체 직전, 우크라이나어는 여전히 대다수 국민의 모국어였지만, 오랜 러시아화 정책의 영향으로 상당수 우크라이나인, 특히 동부와 남부 지역에서는 러시아어가 일상생활과 공적인 영역에서 주요 언어로 자리 잡았다. 예를 들어, 도네츠크에는 우크라이나어 학교가 전혀 없었고, 수도 키이우에서도 어린이의 약 4분의 1만이 우크라이나어 학교에 다녔다.[53] 러시아어는 정부 기능뿐만 아니라 미디어, 상업 등 사회 전반에서 지배적인 언어로 기능했다. 다만, 대기근이나 스탈린주의 탄압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은 서우크라이나 지역에서는 러시아화의 정도가 덜했으며, 이 지역은 훗날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언어 부흥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7. 6. 현대
1989년과 2001년 우크라이나어(보라색 막대)와 러시아어(파란색 막대) 구사 능력 비교
키이우 지하철의 현대식 안내판.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언어 정책 변화에 따라 우크라이나어와 영어로 표기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독립 직전까지도 우크라이나어는 여전히 대다수 국민의 모국어였지만, 러시아화 정책의 영향으로 상당수 우크라이나인들이 러시아어를 주로 사용하게 되었다. 특히 도네츠크와 같은 동부 지역에서는 우크라이나어 교육 환경이 열악했고, 수도 키이우에서도 우크라이나어 학교에 다니는 아동 비율이 낮았다.[53]러시아어는 정부 기능뿐만 아니라 미디어, 상업 등 여러 분야에서 주요 언어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홀로도모르, 대숙청 등 스탈린주의의 영향을 비교적 덜 받은 서부 우크라이나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했다.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우크라이나어는 국가의 유일한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정부는 교육, 언론, 상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크라이나어 사용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했다. 특히 교육 시스템은 독립 초기 10년 동안 점진적으로 우크라이나어 중심으로 전환되었다.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전국 인구의 67.5%가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고 응답하여 1989년 대비 2.8% 증가했다. 반면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비율은 29.6%로 3.2% 감소했다.[54] 다만, 여기서 '모국어'(рідна мова|리드나 모바uk)라는 개념은 실제 사용 빈도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러시아어를 자주 사용하는 우크라이나 민족 사람들도 상당수가 자신의 민족 언어인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여긴다.[55] 키이우 지역의 경우, 2001년 조사에서 인구의 92.3%가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라고 답했으며, 이는 1989년의 88.4%보다 증가한 수치이다.[55]
지역별 언어 사용 현황을 보면, 우크라이나 서부와 중부에서는 우크라이나어가 널리 사용된다. 키이우에서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가 함께 사용되지만, 과거 러시아어 사용이 우세했던 것에 비해 우크라이나어 사용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58] 이는 서부 지역에서의 인구 유입과 키이우 시민들의 언어 사용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공공 표지판과 안내 방송 등은 대부분 우크라이나어로 제공된다. 반면, 우크라이나 남부와 동부의 대도시 및 일부 소도시에서는 여전히 러시아어가 주요 언어로 사용되고 있다. 2001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우크라이나 거주 인구의 87.8%가 우크라이나어에 능통한 것으로 나타났다.[58]
2019년, 우크라이나 의회는 우크라이나어를 국가어로서 기능하게 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한 우크라이나 법률을 제정하여, 우크라이나어의 국가 언어로서의 지위를 강화하고 관련 규정을 명확히 하며 위반 시 처벌 조항을 마련했다.[56]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우크라이나어는 국가 정체성의 중요한 상징으로 더욱 부각되며 사용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22년 8월 우크라이나 내 여론조사 기관 '레이팅 그룹'의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5%가 집에서 우크라이나어 또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를 함께 사용한다고 답했으며, 우크라이나어만 사용한다는 응답은 51%에 달했다. 이는 2014년 2월 조사 결과(각각 61%, 44%)보다 증가한 수치이다.[59][60] 같은 조사에서 응답자의 76%가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여긴다고 답했는데, 이는 2012년 7월의 57%에서 크게 증가한 결과이며, 러시아어 사용자 중 30%도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인식한다고 답했다.[59][60]
독립 이후에도 우크라이나의 언어 상황은 복잡한 양상을 띤다. 동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러시아어를 제2 공용어로 지정하려는 정치적 움직임이 존재하며,[133] 사회 일각에서는 러시아어 사용에 대한 배타적인 태도나 반대로 우크라이나어를 경시하는 태도가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 어휘 및 문법이 혼합된 형태인 '술지크'(суржик|수르지크uk) 사용이 광범위하게 나타나며,[134] 일부에서는 더 '순수한' 우크라이나어 표현을 되살리려는 움직임도 있다.[134]
8. 방언
우크라이나 방언 및 하위 방언 지도 (2005)
현대 우크라이나어에는 여러 방언이 존재한다.[64][65] 크게 북부, 남동부, 남서부의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북부 (폴리시아) 방언[66]
동부 폴리시아 방언: 체르니히우(남동부 지역 제외), 수미 북부, 키이우주 남동부와 러시아 인접 지역(브랸스크주 남서부 스타로두브 주변, 쿠르스크, 보로네시, 벨고로드주 일부)에서 사용된다.[67] 명확한 언어적 경계는 없으며, 러시아 연방에 가까워질수록 어휘는 러시아어에 가까워진다.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 문법 모두 이 방언에 적용될 수 있다.[68]
중부 폴리시아 방언: 키이우주 북서부, 지토미르 북부, 리브네주 북동부에서 사용된다.[69]
서부 폴리시아 방언: 볼린주 북부, 리브네주 북서부, 벨라루스브레스트주 인접 지역에서 사용된다. 벨라루스에서 사용되는 방언은 벨라루스어 문법을 사용하므로 일부에서는 벨라루스어 방언으로 간주하기도 한다.[70]
남동부 방언[71]
중부 드니프로 방언: 표준 우크라이나어의 기반이 되는 방언이다. 우크라이나 중부, 주로 키이우주 남부와 동부에서 사용된다. 또한 체르카시, 폴타바, 키이우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은 "표준" 우크라이나어에 가까운 것으로 간주된다.
슬로보단 방언: 하르키우, 수미, 루한스크, 도네츠크 북부, 러시아의 보로네시 및 벨고로드 지역에서 사용된다.[72] 이 방언은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가 점진적으로 혼합되어 형성되었으며, 지역의 북부와 동부로 갈수록 러시아어의 비중이 커진다. 따라서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 사이에는 언어적 경계가 없으며, 두 언어의 문법 모두 적용될 수 있다.[68]
스텝 방언: 우크라이나 남부와 남동부에서 사용된다. 이 방언은 원래 자포리자 코사크의 주요 언어였다.[73]
쿠반 방언: 스텝 방언과 관련이 있거나 기반을 둔 방언으로, 종종 ''발라치카''라고도 불린다. 18세기 후반 이 지역에 정착한 자포리자 코사크의 후손들이 러시아 쿠반 지역에서 사용한다. 러시아어가 우크라이나어에 점진적으로 혼합되어 형성되었으며, 일부 러시아어 어휘와 문법을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74] 위치에 따라 세 가지 주요 변종으로 분류된다.[75]
남서부 방언[76]
보이코 방언: 보이코인이 카르파티아 산맥 북쪽, 리비우와 이바노프란키우스크주에서 사용한다. 폴란드카르파티아주에서도 들을 수 있다.
후추리 방언: 후추리인이 카르파티아 산맥 북쪽 사면, 이바노프란키우스크주 최남단, 체르니우치주 및 자카르파티아주 일부 지역에서 사용한다.
렘코 방언: 렘코인이 사용하는 방언으로, 그들의 고향은 우크라이나 국경 밖 슬로바키아프레쇼우주의 카르파티아 산맥 남쪽과 현대 폴란드 남동부의 카르파티아 산맥 북쪽에 있다.
판노니아 또는 바치카 루신어: 서부 세르비아와 동부 크로아티아에서 사용된다. 바치카 방언의 루신어는 세르비아 자치주 보이보디나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프리아시우 루신어: 슬로바키아프레쇼우(우크라이나어: 프리아시우) 지역과 주로 미국에 있는 일부 이민자 공동체에서 사용된다.
9. 다른 슬라브어와의 관계
슬라브어와 동발트어의 민족지리적 분포
우크라이나어는 다른 슬라브어와 다양한 수준의 상호 이해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같은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상호 이해도가 높다.[5] 일반적으로 우크라이나어는 벨라루스어와 가장 가까운 언어로 여겨진다.[95]
동슬라브어(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러시아어)의 분화는 비교적 최근의 일로 간주된다.[5] 19세기에는 이 세 언어가 하나의 언어에 속하는 방언인지, 아니면 별개의 언어인지에 대한 논쟁이 활발했으며, 이는 언어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정치적 상황에도 영향을 받았다.[5] 당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가 러시아 제국의 일부였고, 이들 지역 대부분을 포함했던 중세 국가 키예프 루스의 존재는 이 언어들을 '동슬라브어'라는 공통된 분류로 묶는 배경이 되었다. 이는 이 언어들이 공통된 조상 언어에서 유래했다는 이론에 기반한다. 그러나 현대 언어학에서는 우크라이나어, 러시아어, 벨라루스어를 각각 별개의 언어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96][97]
키예프 루스 시대(서기 880년경~1240년)의 언어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쟁이 존재한다. 당시 문헌은 주로 고대 교회 슬라브어로 작성되었기 때문이다. 일부 학자들은 이 시기를 초기 우크라이나어 단계로 보고 '고대 루테니아어'라고 부르지만, 다른 학자들은 고대 동슬라브어로 분류한다. 러시아 학계에서는 키예프 루스를 현대 러시아 국가와 동일시하며 이 시대 언어를 '고대 러시아어'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러시아 언어학자 안드레이 자리즈냐크에 따르면, 노브고로드 공화국 사람들은 14세기까지 자신들을 '루스'라고 칭하지 않았으며, 이 용어를 키예프 공국, 페레야슬라블 공국, 체르니히우 공국에 한정하여 사용했다.[13] 자리즈냐크는 또한 노브고로드 방언이 11~12세기에는 키예프 루스의 다른 방언들과 상당히 달랐으나, 13~15세기경부터 유사해지기 시작했다고 지적한다. 그는 현대 러시아어가 이 노브고로드 방언과 다른 키예프 루스 지역의 공통 방언이 융합되어 발전한 반면, 현대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는 서로 크게 다르지 않은 방언들에서 발전했다고 본다.[13]
우크라이나어는 다른 슬라브어들과 다음과 같은 유사점과 차이점을 보인다.
호격 보존: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표준 슬로바키아어, 슬로베니아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슬라브어처럼, 우크라이나어는 고대 슬라브어의 호격을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자매'(uk)를 부를 때는 'sestro|uk'라고 한다. 러시아어에서는 극히 일부(예: 'Bozhe|ru' "하느님!", 'Gospodi|ru' "주여!")를 제외하고 호격이 주격으로 대체되었다.[98]
2차 경구개음화 보존: 러시아어, 슬로바키아어, 슬로베니아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슬라브어처럼, 여성 명사 어미 변화 시 여격과 처소격에서 *ě 앞에 오는 경구개음화된 *k, *g, *x를 보존한다. 예를 들어, '손'(uk)의 여격/처소격은 우크라이나어로 'ruci|uk'이지만, 러시아어에서는 'ruke|ru'이다.
동사 1인칭 복수 어미: 세르보크로아트어 및 슬로베니아어와 같이 동사 1인칭 복수 어미로 '-mo|uk'를 사용한다 (예: 'khodymo|uk' - "우리는 걷는다").[98] 이는 고대 슬라브어의 '-mŭ|sla'가 길어진 결과로 추정된다.
어두 'ye'의 변화: 러시아어, 벨라루스어와 같이 고대 슬라브어의 어두 'ye'가 'o'로 변했다 (예: 'ozero|uk' - 호수, 'odyn|uk' - 하나).[98]
'g'의 마찰음화: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상소르브어, 벨라루스어, 남부 러시아 방언처럼 고대 슬라브어 'g'가 'h'(/ɦ/) 음으로 변했다 (예: 'noha|uk' - 다리).[98]
'yě'의 변화: 일부 북부 러시아 방언 및 크로아티아 방언처럼 고대 슬라브어 'yě'가 'i'로 변했다 (예: 'lis|uk' - 숲).[98]
자음군 단순화: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불가리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 마케도니아어, 슬로베니아어처럼 고대 슬라브어의 자음군 'tl'과 'dl'이 'l'로 단순화되었다 (예: 'mela|uk' - 그녀는 쓸었다).[98]
강세-시간 언어: 대부분의 슬라브어처럼 강세-시간 언어의 특징을 보인다.[99]
관사 부재: 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를 제외한 모든 현대 슬라브어처럼 관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모음 'o'의 변화: 자음으로 끝나는 폐음절에서 다른 슬라브어의 'o'가 우크라이나어에서는 종종 'i'에 해당한다 (예: 'pod|sla' → 'pid|uk'(під) - 아래). 이는 지명에서도 나타난다 (예: 리비우(Львів|uk), 러시아어로는 Львов|ru).
다른 모든 슬라브어와 달리, 우크라이나어는 '가지다'(또는 '취하다') 동사가 변화하여 만들어진 독특한 종합 미래(굴절 미래) 시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pysat-ymu|uk'(나는 쓸 것이다)와 같은 형태이다.[100] 이러한 굴절 미래 시제는 로망스어군에서도 발견되지만, 우크라이나어 언어학자 A. 다닐렌코는 우크라이나어가 조동사 선택에서 로망스어와 다르며, '가지다'가 아닌 '취하다' 동사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101]
언어 계통 분류상 우크라이나어는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동슬라브어군에 속한다.[108] 다른 슬라브어와의 유사성은 다음과 같다.
우크라이나어는 폴란드어, 러시아어, 루마니아어 등 주변 언어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반두라, 호파크, 코사크, 보르시치 등의 단어가 다른 언어로 전파되었다.
10. 현대 우크라이나어의 사용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우크라이나어는 공식 국가 언어가 되었으며, 정부는 교육, 언론, 상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크라이나어 사용을 확대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특히 교육 체계는 독립 초기 10년 동안 우크라이나어 사용 비율이 크게 증가했다.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전국 인구의 67.5%가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여긴다고 답했으며, 이는 1989년 대비 2.8% 증가한 수치이다. 반면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답한 비율은 29.6%로 3.2% 감소했다.[54] 그러나 많은 우크라이나인에게 '모국어'라는 개념은 실제 자주 사용하는 언어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러시아어를 자주 사용하는 우크라이나 민족 중 상당수도 우크라이나어를 자신의 모국어로 간주한다.[55] 예를 들어, 키이우 지역에서는 2001년 인구의 92.3%가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рідна мова|리드나 모바uk)라고 답했는데, 이는 1989년의 88.4%보다 증가한 것이다. 러시아어를 모국어라고 답한 비율은 7.2%였다.[55]
2019년에는 우크라이나 의회가 우크라이나어를 국가어로서 기능하게 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한 우크라이나 법률을 승인하여 언어 사용 규칙을 명확히 하고 위반 시 처벌 규정을 마련했다.[56]
크리보리브냐에 있는 이반 프랑코 박물관의 우크라이나어 교통 표지판
오랜 기간 쇠퇴를 겪었던 우크라이나어 사용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전 세계적으로 약 5천만 명의 우크라이나계 인구가 있으며, 2001년 기준 우크라이나에는 3천 7백 5십만 명(당시 총 인구의 77.8%)이 거주했다. 우크라이나어는 주로 우크라이나 서부와 중부 지역에서 널리 사용된다. 수도 키이우에서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가 함께 사용되지만, 과거 러시아어가 우세했던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변화가 나타났다.[58] 이러한 변화는 우크라이나 서부 지역 출신 이주민의 유입과 키이우 시민들이 공공장소에서 우크라이나어를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게 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키이우의 공공 표지판과 안내 방송은 대부분 우크라이나어로 제공된다. 반면, 우크라이나 남부와 동부 지역의 대도시와 일부 소도시에서는 여전히 러시아어가 주요 언어로 사용된다.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거주자의 87.8%가 우크라이나어에 능통한 것으로 나타났다.[58]
2022년 8월 레이팅 그룹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5%가 집에서 우크라이나어 또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를 함께 사용한다고 답했으며, 우크라이나어만 사용한다는 응답은 51%였다. 이는 2014년 2월의 61%와 44%에서 각각 증가한 수치이다.[59][60] 같은 조사에서 응답자의 76%가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рідна мова|리드나 모바uk)로 여겼는데, 이는 2012년 7월의 57%에서 크게 증가한 것이며, 러시아어 사용자 중 30%도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생각한다고 답했다.[59][60]
우크라이나어는 영화와 음악 등 대중문화를 통해 다른 나라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오케안 엘지, 봅리 비도플리야소바, 붐박스와 같은 유명 우크라이나 록 밴드들은 유럽, 이스라엘, 북미, 러시아 등지에서 정기적으로 순회공연을 한다. 폴란드의 에네이처럼 우크라이나인 인구가 많은 국가에서는 우크라이나어로 노래하는 밴드가 현지 음악 차트 상위권에 오르기도 한다. 이 외에도 영국의 더 우크라이니언스, 캐나다의 클루치, 미국의 우크라이나 빌리지 밴드, 러시아 쿠반 지역의 쿠반 코사크 합창단 등이 주목할 만한 우크라이나어 사용 밴드이다.
2010년대에는 우크라이나 영화계의 부흥이 있었다.[61] IMDb 평점을 기준으로 한 주요 우크라이나어 영화는 다음과 같다.[62]
루마니아 비스트라 코뮌 발레아 비셰이우(Vyshivska Dolyna) 마을의 우크라이나어와 루마니아어로 된 표지판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맞댄 대부분의 국가(헝가리 제외)에는 역사적으로 상당한 규모의 우크라이나인 인구와 우크라이나어 사용자가 거주하는 지역이 있다. 우크라이나어는 벨라루스, 루마니아, 몰도바에서 공식적인 소수 민족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우크라이나어는 캐나다,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등 많은 이민자 공동체에서 사용된다. 이들 공동체의 창립자들은 주로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부였고, 두 차례 세계 대전 사이에는 폴란드에 속했던 갈리치아 출신 이민자들이었다.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20세기 전반기 갈리치아 방언의 특징을 간직하고 있으며, 현대 우크라이나어에 비해 러시아어의 영향은 적지만 현지 언어에서 차용한 어휘가 많은 편이다.
우크라이나어는 몰도바의 분리주의 지역인 트란스니스트리아에서 3개의 공용어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다.[84] 브라질에서는 약 40만 명(1994년 추산)의 브라질 우크라이나인 공동체 내에서 널리 사용되며,[85] 특히 프루덴토폴리스 시에서는 포르투갈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86][87][88]
11. 대한민국과의 관계
과거 소련의 영향으로 우크라이나 지명 표기는 러시아어 발음에 기반한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는 러시아어 명칭인 '키예프'로, 하르키우는 '하리코프', 초르노빌(체르노빌)은 '체르노빌'로 알려진 경우가 많았다.[156] 이는 하르키우 공방전이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와 같은 역사적 사건 표기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사회에서는 우크라이나어 본래의 발음을 존중하여 표기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일본의 경우, 2022년 3월 31일 정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우크라이나 지명을 러시아어식 표기에서 우크라이나어식 표기로 변경하기로 결정하였다.[156] 이에 따라 '키예프'는 '키이우'로, '하리코프'는 '하르키우' 등으로 표기법이 수정되었다. 물론 세바스토폴이나 얄타처럼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 간 발음 차이가 거의 없는 도시명도 존재한다. 이러한 지명 표기 변경은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언어적 정체성을 존중하려는 국제적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ational Minorities Policy of the Government of the Czech Republic
http://www.vlada.cz/[...]
2012-05-22
[2]
웹사이트
Implementation of the Charter in Hungary
https://web.archive.[...]
Public Foundation for European Comparative Minority Research
2014-06-16
[3]
웹사이트
Русский союз Латвии будет сотрудничать с партией Социалистов Молдовы
https://web.archive.[...]
Latvian Russian Union
2017-08-18
[4]
웹사이트
List of declarations made with respect to treaty No. 148 (Status as of: 21/9/2011)
https://web.archive.[...]
Council of Europe
2012-05-22
[5]
서적
The Slavonic Languages
Routledge
1993
[6]
웹사이트
Lexical Distance Among the Languages of Europe
https://archive.toda[...]
2008-03-04
[7]
웹사이트
Ukrainian language
https://www.britanni[...]
2023-08-23
[8]
서적
Eternal Russia: Yeltsin, Gorbachev, and the Mirage of Democrac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88
[9]
서적
Purism and Language: A Study in Modem Ukrainian and Belorussian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0]
서적
Contested Tongues: Language Politics and Cultural Correction in Ukraine
https://archive.org/[...]
Cornell Univ. Press
2006
[11]
간행물
Ukrainisch
https://eeo.uni-klu.[...]
Wieser Verlag
2002
[12]
웹사이트
Григорій Півторак. Походження українців, росіян, білорусів та їхніх мов
http://litopys.org.u[...]
Litopys.org.ua
2012-05-22
[13]
웹사이트
About Russian Language History
https://elementy.ru/[...]
Mumi-Trol School
2020-05-21
[14]
웹사이트
Мова (В.В.Німчук). 1. Історія української культури
http://litopys.org.u[...]
Litopys.org.ua
2012-05-22
[15]
웹사이트
Юрій Шевельов. Історична фонологія української мови
http://www.litopys.o[...]
Litopys.org.ua
2016-05-08
[16]
웹사이트
A historical phonology of the Ukrainian language
https://www.worldcat[...]
2020-08-02
[17]
간행물
О происхождении фонемы ''g (h)'' в славянском языке
1964
[18]
서적
Великая Хорватия: Этногенез и ранняя история славян Прикарпатского региона
Изд-во С.-Петерб. ун-та
2006
[19]
간행물
К происхождению ирано-славянских диахронических паралелей
2002
[20]
간행물
History of the Ukrainian Languag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63
[21]
웹사이트
Лаврентій Зизаній. "Лексис". Синоніма славеноросская
http://litopys.org.u[...]
Litopys.org.ua
2012-05-22
[22]
웹사이트
Russian History in Biographies of its main figures
http://www.kulichki.[...] [23]
서적
Emerging meso-areas in the former socialist countries: histories revived or improvised?
Slavic Research Center, Hokkaido University
2005
[24]
서적
On the Historical Beginnings of Eastern Slavic Europe: Readings
Shevchenko Scientific Society
1973
[25]
학술지
The Ruthenian Language of Meletij Smotryc'kyj: Phonology
https://www.jstor.or[...]
1985
[26]
서적
A Historical Phonology of the Ukrainian Language
https://books.google[...]
Carl Winter
1979
[27]
웹사이트
Die ruthenische Schriftsprache bei Ivan Uževyč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seines Gesprächsbuchs Rozmova/Besěda: Mit Wörterverzeichnis und Indizes zu seinem ruthenischen und kirchenslavischen Gesamtwerk
https://www.academia[...]
Verlag Otto Sagner
2006
[28]
Wikidata
[29]
Wikidata
[30]
Wikidata
[31]
웹사이트
Ukrainian language
http://www.encyclope[...] [32]
웹사이트
Ukrainian language
http://www.encyclope[...] [33]
웹사이트
The Polonization of the Ukrainian Nobility
https://web.archive.[...]
Mywebpages.comcast.net
2012-05-22
[34]
학술지
Contours and Consequences of the Lexical Divide in Ukrainian
http://miskinhill.co[...]
2006
[35]
서적
A History of Ukrain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6
[36]
비디오
The Making of Modern Ukraine. Class 21. Comparative Russian Imperialism
https://www.youtube.[...]
2023-09-21
[37]
학술지
The Battle for Ukrainian: An Introduction
https://www.husj.har[...]
2023-09-05
[38]
학술지
The Development of a Little Russian Identity and Ukrainian Nationbuilding
https://www.jstor.or[...]
2023-11-13
[39]
위키소스
Валуевский циркуляр
s:ru:Валуевский цирк[...] [40]
비디오
The Making of Modern Ukraine. Class 22. Ukrainian Ideas in the 21st Century
https://www.youtube.[...]
2023-08-27
[41]
웹사이트
The Battle for Ukrainian: An Introduction
https://www.husj.har[...]
2023-09-05
[42]
웹사이트
Розправа о язиці южноруськім і його наріччях
https://archive.org/[...]
2024-01-05
[43]
서적
Istorii͡a ukraïnsʹkoï literatury
https://books.google[...]
1954
[44]
학술지
The Fate of the "Ruthenian or Little Russian" (Ukrainian) Language in Austrian Galicia (1772–1867)
http://www.jstor.org[...]
Harvard Ukrainian Research Institute
2023-09-05
[45]
웹사이트
https://diasporiana.[...] [46]
웹사이트
XII. СКОРПІОНИ НА УКРАЇНСЬКЕ СЛОВО. Іван Огієнко. Історія української літературної мови
http://litopys.org.u[...]
Litopys.org.ua
2012-05-22
[47]
웹사이트
Вiртуальна Русь: Бібліотека
http://www.vesna.org[...]
2006-01-28
[48]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Demoscope.ru
2012-05-22
[49]
서적
Soviet Nationality Policy, Urban Growth, and Identity Change in the Ukrainian SSR 1923–193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잡지
The Ukraine
https://books.google[...]
Life (magazine)
1946-10-26
[51]
웹사이트
Law on Languages of Nations of USSR
https://web.archive.[...]
Legal-ussr.narod.ru
1990-04-24
[52]
서적
The Gates of Europe: A History of Ukraine
Penguin Books
[53]
서적
Eternal Russia:Yeltsin, Gorbachev, and the Mirage of Democrac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54]
웹사이트
About number and composition population of UKRAINE by All-Ukrainian population census 2001 data
http://2001.ukrcensu[...]
2021-04-11
[55]
웹사이트
About number and composition population of Kiev Region by data All-Ukrainian census of the population 2001
http://2001.ukrcensu[...]
2021-04-11
[56]
뉴스
Parliament passes Ukrainian language bill
https://www.Kievpost[...]
2019-04-25
[57]
서적
Rethinking Ukrainian History
Canadian Institute of Ukrainian Studies (CIUS) Press (University of Alberta)
1981
[58]
웹사이트
D-M.com.ua
https://web.archive.[...]
2024-07-31
[59]
웹사이트
Seventeenth National Survey: Identity. Patriotism. Values (17–18 August 2022)
https://ratinggroup.[...]
2022-08-23
[60]
웹사이트
https://ratinggroup.[...]
2022-08-23
[61]
웹사이트
Ми стоїмо біля витоків відродження українського кіно – Сумська
http://gazeta.ua/art[...]
2013-09-29
[62]
웹사이트
IMDb – Data as for 17 November 2013
https://www.imdb.com[...] [63]
서적
Argot in Ukraine
habilitation thesis, Ukrainian Free University in Munich
[64]
웹사이트
Діалект. Діалектизм.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Енциклопедія
http://litopys.org.u[...]
Litopys.org.ua
2012-05-22
[65]
웹사이트
Інтерактивна мапа говорів.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Енциклопедія
http://litopys.org.u[...]
Litopys.org.ua
2012-05-22
[66]
웹사이트
Північне наріччя.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Енциклопедія
http://litopys.org.u[...]
Litopys.org.ua
2012-05-22
[67]
웹사이트
ІЗБОРНИК. Історія України IX-XVIII ст. Першоджерела та інтерпретації. Нульова сторінка
http://litopys.org.u[...]
Litopys.org.ua
2012-05-22
[68]
웹사이트
map
http://www.ethnology[...]
2005-12-27
[69]
웹사이트
Середньополіський говір.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Енциклопедія
http://litopys.org.u[...]
Litopys.org.ua
2012-05-22
[70]
웹사이트
Maps of Belarus: Dialects on Belarusian territory
http://www.belarusgu[...]
Belarusguide.com
2012-05-22
[71]
웹사이트
Південно-східне наріччя.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Енциклопедія
http://litopys.org.u[...]
Litopys.org.ua
2012-05-22
[72]
웹사이트
Слобожанський говір.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Енциклопедія
http://litopys.org.u[...]
Litopys.org.ua
2012-05-22
[73]
웹사이트
Степовий говір.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Енциклопедія
http://litopys.org.u[...]
Litopys.org.ua
2012-05-22
[74]
웹사이트
Oocities.com
https://web.archive.[...]
2005-02-26
[75]
웹사이트
Mapa ukrajinskich howoriv
http://harazd.net/~n[...]
Harazd.net
2012-05-22
[76]
웹사이트
Південно-західне наріччя.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Енциклопедія
http://litopys.org.u[...]
Litopys.org.ua
2012-05-22
[77]
웹사이트
Подільський говір.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Енциклопедія
http://litopys.org.u[...]
Litopys.org.ua
2012-05-22
[78]
웹사이트
Короткий словник львівської ґвари
http://www.ji.lviv.u[...]
Ji.lviv.ua
2012-05-22
[79]
서적
In the footsteps of the Rusyns in Europe: Ukraine, Slovakia, Serbia, Poland and Hungary
https://books.google[...]
NOSTALGIE Praha
2023-01-11
[80]
웹사이트
Население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о владению языками
https://web.archive.[...]
2013-02-09
[81]
웹사이트
Various Languages Spoken
https://web.archive.[...]
Statistics Canada
2008-02-03
[82]
웹사이트
Detailed Language Spoken at Home
https://web.archive.[...]
Statistics Canada
2008-02-03
[83]
웹사이트
Canada at a Glance 2007
http://publications.[...]
Statistics Canada
2007
[84]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ransnistria, Article 12
http://president-pmr[...]
President-pmr.org
2012-05-22
[85]
서적
Ukrainians in Brazil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4
[86]
법률
https://web.archive.[...]
2021-09-14
[87]
뉴스
Língua Ucraniana é oficialmente a Língua Co-oficial do município de Prudentópolis
https://nossagente.i[...]
2021-10-06
[88]
뉴스
Prudentópolis tornou a Língua Ucraniana cooficial no Município
https://redesuldenot[...]
2021-10-21
[89]
웹사이트
Stechishin-1958
http://wals.info/ref[...]
Wals.info
2012-05-22
[90]
서적
[91]
간행물
Правописний словник
http://www.r2u.org.u[...] [92]
웹사이트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explained why they changed the Ukrainian spelling. Law and Business
https://zib.com.ua/u[...]
2021-04-06
[93]
웹사이트
Великий тлумачний словник сучасної української мови
https://archive.org/[...]
2022-03-26
[94]
웹사이트
Лексикографічний Бюлетень
https://web.archive.[...]
2014-12-27
[95]
서적
The Slavic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6]
서적
The Slavonic Languages
Routledge
[97]
서적
The Linguasphere Register of the World's Languages and Speech Communities
The Linguasphere Observatory
[98]
서적
The Position of the Ukrainian Language among the Slavic language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99]
학술지
Ukrainian in prosodic typology of world languages
https://zenodo.org/r[...]
Open Publishing LMU
2016
[100]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Europe: A Comprehensive Guide
[101]
학술지
Is There Any Inflectional Future in East Slavic? A Case of Ukrainian against Romance Reopened
[102]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Ukrainian
http://www.udhr.de/u[...]
2023-07-09
[103]
뉴스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2023-07-09
[104]
법률
[105]
서적
Енциклопедія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http://litopys.org.u[...]
Київ
[106]
뉴스
キエフ案内
https://www.ua.emb-j[...]
在ウクライナ日本国大使館
2014-07-12
[107]
서적
キшеньковий японсько-український словник
Астропринт
2001
[107]
서적
烏・英・和会話集/ Українсько-англійсько-японсько розмовник
リヴィウシカ・ポリテフニカ大学出版社
2005
[108]
서적
Сучасна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 Підручник
Либідь
2001
[108]
서적
Фахова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Центр учбової літератури
2007
[108]
서적
Генеалогічні класифікація мов //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Енциклопедія
Українська енциклопедія
2000
[109]
서적
Типологічна класифікація мов //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Енциклопедія
Українська енциклопедія
2000
[110]
서적
Беларуска-украінскіе ізалексы
1971
[110]
논문
Словаутваральныя регіяналізмы беларускай мовы, агульные з украінскай мовай // Проблеми дослідження діалектної лексики і фразеології української мови. Тези доповідей
1978
[110]
논문
Із спостережень над перехідними говірками між українською та білоруською мовами (за матеріалами фразеології) // Праці ХІІ Республіканської діалектологічної наради
Наук. думка
1971
[111]
논문
Правда про походження української мови
http://img.tyzhden.u[...]
Український тиждень
2012-10-04
[112]
웹사이트
Мови Європи: відстані між мовами за словниковим складом
http://langs.com.ua/[...] [113]
서적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серед інших слов'янських: етнологічні та граматичні параметри: Монографія
Наука і освіта
1998
[113]
논문
Засоби милозвучності (евфонії) української мови
УМШ
1952
[114]
서적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серед інших слов'янських: етнологічні та граматичні параметри: Монографія
Наука і освіта
1998
[115]
일반
[116]
웹사이트
Рішення української комісії з питань правничої термінології
http://www.brama.com[...] [117]
웹사이트
ISO 9:1995 at ISO.org
http://www.iso.org/i[...] [118]
일반
[119]
일반
[120]
일반
[121]
일반
[122]
일반
[123]
일반
[124]
일반
[125]
일반
[126]
일반
[127]
일반
[128]
일반
[129]
일반
[130]
일반
[131]
서적
ニューエクスプレス ウクライナ語
白水社
2009
[132]
서적
Сучасна українська літературна мова: підручник
Вища школа
2009
[133]
일반
[134]
웹사이트
正しい表現、誤った表現、ロシア語からの借用、純ウクライナ語の表現等の比較本
http://nepravylno-pr[...] [135]
논문
Діалектологія // Енциклопедія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http://litopys.org.u[...]
2005
[136]
일반
[137]
일반
[138]
웹사이트
Північне наріччя // Енциклопедія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http://litopys.org.u[...]
2005
[139]
웹사이트
Західнополіський говір // Енциклопедія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http://litopys.org.u[...]
2005
[140]
웹사이트
Середньополіський говір // Енциклопедія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http://litopys.org.u[...]
2005
[141]
간행물
Східнополіський говір
http://litopys.org.u[...]
2005
[142]
간행물
Південно-східне наріччя
http://litopys.org.u[...]
2005
[143]
간행물
Середньонаддніпрянський говір
http://litopys.org.u[...]
2005
[144]
간행물
Слобожанський говір
http://litopys.org.u[...]
2005
[145]
간행물
Степовий говір
http://litopys.org.u[...]
2005
[146]
간행물
Південно-західне наріччя
http://litopys.org.u[...]
2005
[147]
간행물
Волинський говір
http://litopys.org.u[...]
2005
[148]
간행물
Подільський говір
http://litopys.org.u[...]
2005
[149]
간행물
Наддністрянський говір
http://litopys.org.u[...]
2005
[150]
웹사이트
Надсянський говір
http://litopys.org.u[...]
2005
[151]
간행물
Покутсько-буковинський говір
http://litopys.org.u[...]
2005
[152]
간행물
Гуцульський говір
http://litopys.org.u[...]
2005
[153]
간행물
Бойківський говір
http://litopys.org.u[...]
2005
[154]
간행물
Закарпатський говір
http://litopys.org.u[...]
2005
[155]
간행물
Лемківський говір
http://litopys.org.u[...]
2005
[156]
웹사이트
政府「キエフ」を「キーウ」に ウクライナ語に沿った表記
https://www3.nhk.or.[...]
NHK
2022-04-26
[157]
서적
ニューエクスプレス ウクライナ語
白水社
2009
[158]
논문
인도 유럽어족에 속하는 슬라브어는 이란어, 아르메니아어, 알바니아어, 발트 어 등과 함께 사템어군에 속한다. 같은 군의 발트어와 슬라브어는 지리적으로 근접하기도 하지만 언어적으로 유사한 점을 가지고 있다
2012
[159]
논문
13세기까지 동슬라브어는 오늘날과 같이 구별되지 않았으며 다만 지역적인 방언으로 몇 개로 나눠졌는데 서로는 언어적 으로 근소한 차이를 보이는 비교적 통일어에 가까웠다
2012
[160]
논문
1056-1057년 제작된 최고문헌인 오스트로미르복음서(ОСТОМИРОВА ЕВАНГЕЛИЯ)는 이미 동슬라브어의 여러 가지 특징을 보인다
2012
[161]
논문
교회어는 점차 문자어로 자리 잡아 널리 사용되는데 12세기부터는 종교 외에도 각종 공문서나 법령, 증명서 등 세속적인 목적으로도 사용되었다.
2012
[162]
논문
동슬라브어의 언어적 통일성이 와해된 것은 대략 14세기경이다. 통상 '이 시기부터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로루시어로 분리된 세 언어가 독자적인 발전과정을 거치며, 현재와 같은 각각의 고유한 문학어를 형성하기 시작하였다'라고 생각하기 쉽다. 즉 '14세기부터 러시아, 우크라이나, 혹은 벨로루시 고유의 언어로 작성된 문헌이 존재하였을 것'으로 기대한다
2011
[163]
논문
14-15세기에 고유의 우크라이나어와 벨로루시어, 그리고 러시아어로 작성 된 문헌은 단지 상용어 (деловой язык) 문서였고, 이 상용어도 상호 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5세기 말부터 우크라이나와 벨로루시 상용어가 사용영역을 확장하며, 교회슬라브어와 함께 16-17세기 우크라이나와 벨로루시 의 문학어로 기능하였다. 이 언어가 проста мова (ПМ)1)이다
2011
[164]
논문
it was relegated to prehistoric time.3 (이는 역사로 기록되기 이전 시대에 음운적으로 변화(relegated)한 것이다)
1977
[165]
논문
e g > y occurred in the vast area from the Bavarian frontier to the Oka (i.e., in Czech, Slovak, Upper Sorbian, Belorussian, Ukrainian, and South Russian, as well as in some westernmost dialects of Slovene and some littoral dialects of Serbo-Croatian)
1977
[166]
논문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를 제외한, 곡용하는 현대 슬라브어는 명사와 형용사5)에서 활성 남성 단수(Animate Masculine Singular)의 대격 (Accusative)이 남성 단수의 생격(Genitive)과 동일한 형태라는 공통점을 가 지고 있다. 비활성 남성 및 중성 단수의 대격은 대체로 주격과 동일한 형태를 취하며, 여성 단수의 대격은 활성/비활성에 관계없이 별도의 대격 형태로 표현 된다는 것 또한 곡용하는 현대 슬라브어에서 동일하다
2021
[167]
논문
7) 간혹 서로 다른 슬라브어 단수격의 격형태가 일치하는 경우도 발견되지만, 그 일치됨의 일 관성이 부족하여, 남성, 중성 단수 대격이 주격 및 생격과 일치하는 경우와 구별된다. 예를 들어, 세-크-보어의 경우 여격과 처소격이 모든 성의 단수 명사 곡용에서 형태적으로 일치하지만, 형용사 단수의 곡용에서 일치하지 않아서, 세-크-보어 단수 곡용에서 여격이 처소격을, 혹은 처소격이 여격을 대신한다고 할 수 없다. 한편, 곡용하는 현대 슬라브어 중 러시아어, 슬로베니아어, 슬로바키아어, 벨라루스어에서는 호격이 사라졌기 때문에, [표1]에서 ( )로 표시하였다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