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7월 12일 도쿄 돔, 13일 마쓰야마 주오 공원 야구장에서 개최되었다.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대결로, 1차전은 센트럴 리그가 승리했고, 2차전은 퍼시픽 리그가 승리했다. 각 리그를 대표하는 선수들이 출전했으며, 경기 결과에 따라 MVP가 선정되었다. TV 및 라디오를 통해 중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7월 - 국제형사재판소에 관한 로마 규정
국제형사재판소에 관한 로마 규정은 국제형사재판소의 설립과 운영에 관한 국제 조약으로, 집단살해죄, 인도에 반한 죄, 전쟁범죄, 침략범죄 등 가장 심각한 범죄에 대한 ICC의 관할권을 규정하며, 1998년 로마에서 채택되어 2002년에 발효되었다. - 2002년 7월 - 2002년 OFC 네이션스컵
2002년 OFC 네이션스컵은 뉴질랜드에서 개최되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8개국이 참가, 뉴질랜드가 결승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한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의 국제 축구 대회이다. - 2002년 야구 - 2002년 한국프로야구
2002년 한국프로야구는 삼성 라이온즈의 우승, LG 트윈스의 돌풍, 롯데 자이언츠의 부진, 김종국과 이승엽의 개인 타이틀, 그리고 류현진의 신인 지명 등이 주요 특징이다. - 2002년 야구 - 2002년 한국시리즈
2002년 한국시리즈는 삼성 라이온즈가 LG 트윈스를 4승 2패로 꺾고 우승했으며, 시리즈 MVP는 삼성의 마해영이 수상했다. -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텔레비전 중계가 처음 시작된 해에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이 맞붙어 1, 2차전 모두 퍼시픽 리그가 승리했으며, 나카니시 후토시와 야마우치 가즈히로가 MVP를 수상했고, 찰리 루이스는 외국인 선수 최초로 포수로 선발 출전했다. -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195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5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최고 선수들이 참가한 2경기 시리즈로, 각 리그가 1승씩을 거두었으며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들과 보충 선수들이 참가했고 TV와 라디오로 중계되었다.
2002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2002 산요 올스타 게임 |
스폰서 | 산요 전기 |
감독 정보 | |
센트럴 리그 감독 | 와카마쓰 쓰토무 |
퍼시픽 리그 감독 | 나시다 마사타카 |
팬 투표 최다 득표 선수 | |
센트럴 리그 | 마쓰이 히데키 |
퍼시픽 리그 | 터피 로즈 |
경기 1 | |
날짜 | 7월 12일 |
개최지 | 도쿄 돔 |
원정팀 | 센트럴 리그 |
홈팀 | 퍼시픽 리그 |
경기 결과 | 4 - 1 |
MVP | 조지 아리아스 |
경기 2 | |
날짜 | 7월 13일 |
개최지 | 마쓰야마 봇짱 스타디움 |
원정팀 | 퍼시픽 리그 |
홈팀 | 센트럴 리그 |
경기 결과 | 4 - 2 |
MVP | 마토야마 데쓰야 |
2. 경기 일정 및 장소
1차전은 7월 12일에 도쿄 돔에서, 2차전은 7월 13일에 마쓰야마 주오 공원 야구장(봇짱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었다.
2002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출장 선수는 다음과 같다.
3. 출장 선수
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 감독 와카마쓰 쓰토무 야쿠르트 감독 나시다 마사타카 긴테쓰 코치 하라 다쓰노리 요미우리 코치 오 사다하루 다이에 모리 마사아키 요코하마 이하라 하루키 세이부 굵은 글씨는 팬 투표로 선정된 선수, ▲는 출전 사퇴 선수 발생에 의한 보충 선수. * 숫자는 출전 횟수.
마쓰자카 다이스케는 오른쪽 팔꿈치 통증으로, 조지마 겐지는 오른쪽 어깨 쇄골 골절로 인해 출전을 사퇴했다. [2]
각각 미쓰이 고지와 마토야마 데쓰야가 대신 선발되었다.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상세한 선수 명단은 각 리그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1. 센트럴 리그
센트럴 리그 | |||
---|---|---|---|
감독 | 와카마쓰 쓰토무 | 야쿠르트 | |
코치 | 하라 다쓰노리 | 요미우리 | |
모리 마사아키 | 요코하마 | ||
선발 투수 | 이가와 게이 | 한신 | 2 |
중간 계투 | 오카지마 히데키 | 요미우리 | 3 |
마무리 투수 | 가와하라 준이치 | 요미우리 | 첫 출장 |
투수 | 이가라시 료타 | 야쿠르트 | 2 |
K. 호지스 | 야쿠르트 | 첫 출장 | |
이시이 히로토시 | 야쿠르트 | 첫 출장 | |
우에하라 고지 | 요미우리 | 4(1) | |
미우라 다이스케 | 요코하마 | 첫 출장 | |
오야마다 야스히로 | 히로시마 | 첫 출장 | |
가와카미 겐신 | 주니치 | 2 | |
T. 무어 | 한신 | 첫 출장 | |
포수 | 야노 아키히로 | 한신 | 2 |
후루타 아쓰야 | 야쿠르트 | 13 | |
다니시게 모토노부 | 주니치 | 7 | |
1루수 | 기요하라 가즈히로 | 요미우리 | 17(1) |
2루수 | 이마오카 마코토 | 한신 | 2 |
3루수 | 가타오카 아쓰시 | 한신 | 6 |
유격수 | 이바타 히로카즈 | 주니치 | 2 |
내야수 | 미야모토 신야 | 야쿠르트 | 첫 출장 |
아라이 다카히로 | 히로시마 | 첫 출장 | |
다쓰나미 가즈요시 | 주니치 | 9 | |
G. 아리아스 | 한신 | 첫 출장 | |
외야수 | 마쓰이 히데키 | 요미우리 | 9 |
다카하시 요시노부 | 요미우리 | 5 | |
히야마 신지로 | 한신 | 2 | |
A. 라미레스 | 야쿠르트 | 첫 출장 | |
시미즈 다카유키 | 요미우리 | 2 | |
후쿠도메 고스케 | 주니치 | 2 |
- '''굵은 글씨'''는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이다.
- 숫자는 출장 횟수이며, 괄호 안의 숫자는 상기 횟수 중 부상 때문에 출전하지 못한 횟수이다.
3. 2. 퍼시픽 리그
감독: 나시다 마사타카 (긴테쓰)코치: 오 사다하루 (다이에), 이하라 하루키 (세이부)
포지션 | 선수명 | 소속팀 | 출장 횟수 |
---|---|---|---|
선발 투수 | |||
중간 계투 | 모리 신지 | 세이부 | 3 |
마무리 투수 | R. 페드라자 | 다이에 | 4 |
투수 | 오카모토 아키라 | 긴테쓰 | 2 |
J. 파웰 | 긴테쓰 | 첫 출장 | |
와카타베 겐이치 | 다이에 | 첫 출장 | |
요시다 슈지 | 다이에 | 2 | |
도요다 기요시 | 세이부 | 3 | |
미쓰이 고지▲ | 세이부 | 첫 출장 | |
가네다 마사히코 | 오릭스 | 2 | |
야마구치 가즈오 | 오릭스 | 첫 출장 | |
고바야시 히로유키 | 지바 롯데 | 첫 출장 | |
하야토 | 닛폰햄 | 첫 출장 | |
포수 | |||
마토야마 데쓰야▲ | 긴테쓰 | 2 | |
이토 쓰토무 | 세이부 | 16 | |
히다카 다케시 | 오릭스 | 3 | |
1루수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 닛폰햄 | 4 |
2루수 | 이구치 다다히토 | 다이에 | 2 |
3루수 | 나카무라 노리히로 | 긴테쓰 | 6 |
유격수 | 마쓰이 가즈오 | 세이부 | 6 |
내야수 | 요시오카 유지 | 긴테쓰 | 첫 출장 |
고쿠보 히로키 | 다이에 | 7(1) | |
가네코 마코토 | 닛폰햄 | 첫 출장 | |
외야수 | T. 로즈 | 긴테쓰 | 6 |
아키야마 고지 | 다이에 | 18 | |
다니 요시토모 | 오릭스 | 2 | |
오무라 나오유키 | 긴테쓰 | 2 | |
사부로 | 지바 롯데 | 첫 출장 | |
지명타자 | A. 카브레라 | 세이부 | 2 |
4. 경기 결과
2002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3경기에서 2경기로 형식이 변경되었고, 7월 중순에 개최되어 선수들의 피로를 고려했다. 1차전은 한신 선수들의 활약으로 센트럴 리그가 승리했고, 2차전은 마쓰야마 봇짱 스타디움에서 열려 퍼시픽 리그가 승리했다.
2차전 MVP는 마토야마 테츠야(긴테츠)가 선정되었다. 퍼시픽 리그의 나시다 마사타카 감독은 승리 감독 인터뷰에서 "아마 비가 올 것 같으니 여러분 조심해서 돌아가십시오. 매우 드문 일이니깐요"라며 재치있는 소감을 남겼다.
2차전이 열린 마쓰야마는 마사오카 시키의 고향으로, 경기 중 시상식에는 치바 시게루, 니시모토 사토시 등 야구 원로들이 예전 유니폼을 입고 등장했다. 마쓰야마 중앙 공원 야구장의 '노 볼 뮤지엄'에는 2차전 관련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4. 1. 1차전 (도쿄 돔)
센트럴 리그가 퍼시픽 리그를 4-1로 이겼다. 트레이 무어(한신)가 승리 투수, 야마구치 가즈오(오릭스)가 패전 투수, 가와하라 준이치(요미우리)가 세이브를 각각 기록했다. 조지 아리아스(한신)는 7회에 1점 홈런, 가타오카 아쓰시(한신)는 8회에 2점 홈런을 쳤다. MVP는 조지 아리아스(한신)가 선정되었다.[1]이 해 전반기에 돌풍을 일으킨 한신 선수들이 1차전에서 맹활약했다. 선발 이가와 케이는 3회에 퍼시픽 리그에 선취점을 내줬지만 삼진 3개를 잡아냈고, 조지 아리아스와 가타오카 아쓰시가 홈런을 기록했다. 역전 당시 투수도 한신의 트레이 무어였다.[1]
4. 2. 2차전 (마쓰야마 주오 공원 야구장)
마쓰야마 주오 공원 야구장일본어(통칭 봇짱 스타디움)에서 개최된 2차전은 센트럴 리그의 아라이 다카히로(히로시마 도요 카프)가 홈런을 기록하고 우에하라 고지가 4탈삼진을 기록하는 등 활약했지만, 퍼시픽 리그가 4-2로 승리했다. 마토야마 데쓰야(오사카 긴테츠 버팔로스)가 MVP로 선정되었다.이날 경기는 7월 13일 18시 34분에 시작하여 2시간 19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27,063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2차전이 열린 마쓰야마는 마사오카 시키의 고향으로, 5회 종료 후 열린 시상식에는 치바 시게루, 니시모토 사토시 등 프로 야구 OB들이 옛 유니폼 차림으로 그라운드에 등장했다.
마쓰야마 중앙 공원 야구장의 "노 볼 뮤지엄"에는 2차전의 모습이 전시되어 있으며, 출전 선수들의 사진 및 사인 색지, 경기 하이라이트 영상을 볼 수 있다.
5. 특별 행사
2차전이 열린 마쓰야마는 이 해의 야구 명예의 전당에 입성한 마사오카 시키의 고향이기도 했다. 5회 종료 후 열린 시상식에는 에히메현 출신인 지바 시게루, 니시모토 다카시 등 프로 야구 OB들이 옛 유니폼 차림으로 그라운드에 등장했다.
또한, 마쓰야마 중앙 공원 야구장의 "노 볼 뮤지엄"에서는 2차전의 모습이 전시되어 있으며, 출전 선수의 사진 및 사인 색지, 경기 하이라이트 영상을 볼 수 있다.
6. 미디어 중계
(7월 12일)
해설: 히가시오 오사무, 구리야마 히데키
(7월 13일)
(난카이 방송, 히로시마 TV 제작 협력)
해설: 카케후 마사유키, 에가와 스구루, 미즈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