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2년 FIFA 월드컵 F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FIFA 월드컵 F조는 아르헨티나, 나이지리아, 잉글랜드, 스웨덴으로 구성되었다. 스웨덴과 잉글랜드가 조 1, 2위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으며, 아르헨티나와 나이지리아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F조의 모든 경기는 일본 표준시(UTC+9)를 기준으로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002년 FIFA 월드컵 F조
대회 정보
대회2002년 FIFA 월드컵
F조
기간2002년 6월 2일 ~ 2002년 6월 12일
경기장대한민국, 일본
상세 결과
순위 결정 방식승점이 높은 팀
승점이 같을 경우 골득실차
골득실차도 같을 경우 다득점
순위
1위스웨덴
2위잉글랜드
3위아르헨티나
4위나이지리아
경기 결과
1차전2002년 6월 2일, 잉글랜드 1 - 1 스웨덴
2002년 6월 2일, 아르헨티나 1 - 0 나이지리아
2차전2002년 6월 7일, 스웨덴 2 - 1 나이지리아
2002년 6월 7일, 아르헨티나 0 - 1 잉글랜드
3차전2002년 6월 12일, 스웨덴 1 - 1 아르헨티나
2002년 6월 12일, 나이지리아 0 - 0 잉글랜드

2. 조 편성 및 FIFA 랭킹

2002년 FIFA 월드컵 F조에는 아르헨티나, 나이지리아, 잉글랜드, 스웨덴이 편성되었다. 각 팀의 FIFA 랭킹은 2002년 5월 15일을 기준으로 한다.[2]

2. 1. 팀 목록

wikitext


  • FIFA 랭킹은 2002년 5월 15일 기준[2]이다.

3. 경기 결과 및 순위

모든 시간은 한국 표준시 (UTC+9) 기준이다.

3. 1. 순위 결정 방식

조별 리그 순위는 다음 순서에 따라 결정한다.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얻은 승점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득실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총 다득점

만약 위 조건들을 적용하고도 두 팀 이상의 순위가 같다면, 아래 순서에 따라 결정한다.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얻은 승점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득실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총 다득점

# FIFA 조직위원회의 추첨

3. 2. 최종 순위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결과
1스웨덴312043+15결선 토너먼트 진출
2잉글랜드312021+15
3아르헨티나31112204조별 리그 탈락
4나이지리아301213-21



'''순위 결정 방식'''

# 승점

# 전체 득실차

# 전체 득점

# 동률 팀 간의 승점 → 득실차 → 총 득점 순서로 계산

# 추첨

3. 3. 경기 상세

모든 경기 시간은 일본 표준시 (UTC+9)를 기준으로 한다.

3. 3. 1. 아르헨티나 vs 나이지리아

하이너 뮐러 (독일)

'''대기심:'''

마르쿠스 메르크 (독일)

3. 3. 2. 잉글랜드 vs 스웨덴

(골 24)CB4요한 미엘뷔(주장)LB3애슐리 콜LB16테디 루치치RM7데이비드 베컴(주장)
(63분 교체 아웃)RM7니클라스 알렉산데르손(골 59')CM18오언 하그리브스CM6토비아스 린데로트CM8폴 스콜스CM17망누스 스벤손(56분 교체 아웃)LM11에밀 헤스키LM9프레드리크 융베리CF20더라이어스 바셀(74분 교체 아웃)CF10마르쿠스 알베크(경고 45+2)
(80분 교체 아웃)CF10마이클 오언CF11헨리크 라르손교체 선수교체 선수MF23키어런 다이어(63분 교체 투입)MF8안데르스 스벤손(56분 교체 투입)MF19조 콜(74분 교체 투입)FW22안드레아스 안데르손(80분 교체 투입)감독감독스벤예란 에릭손라르스 라예르베크
토미 쇠데르베리



'''최우수 선수:''' 솔 캠벨 (잉글랜드)

'''부심:'''

조르지 올리베이라 (브라질)

유리 두파노프 (벨라루스)

'''대기심:'''

마크 실드 (오스트레일리아)

3. 3. 3. 스웨덴 vs 나이지리아

토미 쇠더베리페스투스 오니그빈데


경기 최우수 선수:


부심:
대기심:

3. 3. 4. 아르헨티나 vs 잉글랜드

2002년 FIFA 월드컵 F조의 아르헨티나잉글랜드의 경기는 2002년 6월 7일 20시 30분에 삿포로의 삿포로 돔에서 열렸다. 두 팀 간의 라이벌 관계로 인해 많은 관심을 모은 경기였다. 관중은 35,927명이었으며, 주심은 이탈리아피에를루이지 콜리나가 맡았다.

경기는 잉글랜드가 1-0으로 승리하였다. 전반 44분, 오언포체티노의 파울로 얻어낸 페널티킥베컴이 성공시켜 결승골을 기록했다.

아르헨티나 대 잉글랜드 경기 포메이션


선수 명단
아르헨티나잉글랜드
Pos.등번호선수정보Pos.등번호선수정보
GK12카바예로GK1시먼
CB4포체티노RB2밀스
CB6사무엘CB5퍼디낸드
CB13플라센테CB6캠벨
RM8사네티LB3A. 콜29분 경고
CM14시메오네RM7베컴 (주장)44분 득점 (페널티킥)
CM11베론 (주장)46분 교체 아웃CM18하그리브스19분 교체 아웃
LM3소린CM21버트
RF10오르테가LM8스콜스
CF9바티스투타13분 경고, 60분 교체 아웃CF10오언80분 교체 아웃
LF18K. 곤살레스64분 교체 아웃CF11헤스키50분 경고, 54분 교체 아웃
교체 선수교체 선수
MF16아이마르46분 교체 투입MF4싱클레어19분 교체 투입
FW19크레스포60분 교체 투입FW17셰링엄54분 교체 투입
FW7C. 로페스64분 교체 투입DF14브리지80분 교체 투입
감독감독
마르셀로 비엘사스벤예란 에릭손



'''최우수 선수:''' 폴 스콜스 (잉글랜드)

'''부심:'''

엑토르 베르가라 (캐나다)

모하메드 사에드 (몰디브)

'''대기심:'''

브라이언 홀 (미국)

3. 3. 5. 스웨덴 vs 아르헨티나

▼ 63 베론8A. 스벤손MF(골 59)
▼ 68
욘손3후안 파블로 소린MF▼ 63 킬리 곤살레스 (경고 75)6토비아스 린데로트MF16파블로 아이마르MF17망누스 스벤손MF(경고 65')10아리엘 오르테가FW11헨리크 라르손FW(경고 78)
▼ 88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9가브리엘 바티스투타FW주장
▼ 58 크레스포 (골 88)10마르쿠스 알베크FW▼ 46' 안드레아스 안데르손7클라우디오 로페스FW감독감독라르스 라예르베크 & 토미 쇠데르베리마르셀로 비엘사colspan="4" |기타 징계 선수:
클라우디오 카니히아 (퇴장 45+2')



'''부심:'''

하이너 뮐러 (독일)

마이클 라구나트 (트리니다드 토바고)

'''대기심:'''

피터 프렌더개스트 (자메이카)

3. 3. 6. 나이지리아 vs 잉글랜드

2002년 6월 12일 15시 30분, 오사카의 나가이 스타디움에서 나이지리아잉글랜드의 F조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가 열렸다.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으며, 44,864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보았다. 주심은 미국의 브라이언 홀이 맡았다. 경기 리포트

'''나이지리아 선수 명단'''
등번호포지션선수비고
22GK빈센트 엔예아마
16RB에페 소제
2CB조지프 요보
5CB아이작 오코롱쿼
14LB이페아니 우데제
10RM제이제이 오코차주장
15CM저스티스 크리스토퍼
20CM제임스 오비오라
23LM페미 오파분미86분 교체 아웃
17CF줄리어스 아가호와
18CF베네딕트 아크에그부
교체 선수
7MF파이어스 이케디아86분 교체 투입
감독
페스투스 오니그빈데



'''잉글랜드 선수 명단'''
등번호포지션선수비고
1GK데이비드 시먼
2RB대니 밀스
5CB리오 퍼디낸드
6CB솔 캠벨
3LB애슐리 콜85분 교체 아웃
7RM데이비드 베컴주장
21CM니키 버트
8CM폴 스콜스
4LM트레버 싱클레어
11CF에밀 헤스키69분 교체 아웃
10CF마이클 오언77분 교체 아웃
교체 선수
17FW테디 셰링엄69분 교체 투입
20FW더라이어스 바셀77분 교체 투입
14DF웨인 브리지85분 교체 투입
감독
스벤예란 에릭손

4. 평가 및 논란

2002년 FIFA 월드컵 F조는 대회 시작 전부터 강팀들이 몰려 있어 '죽음의 조'로 불리며 큰 관심을 모았다. 특히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던 아르헨티나가 1승 1무 1패라는 예상 밖의 성적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것은 대회 최대 이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아르헨티나의 탈락을 두고 마르셀로 비엘사 감독의 전술과 선수 기용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 특히 당대 최고의 공격수로 평가받던 가브리엘 바티스투타에르난 크레스포를 동시에 선발로 기용하지 않고 번갈아 투입한 점이 많은 비판을 받았다. 결과적으로 아르헨티나는 3경기에서 단 2골을 넣는 데 그치며 공격력 부족 문제를 드러냈다.

한편, 잉글랜드와 아르헨티나의 조별 리그 2차전 경기는 1998년 FIFA 월드컵 16강전에서의 맞대결 이후 4년 만에 다시 성사되어 큰 주목을 받았다. 데이비드 베컴의 페널티킥 결승골로 잉글랜드가 1-0으로 승리하며 4년 전 패배를 설욕했고, 이 경기는 두 나라 간의 오랜 축구 라이벌 관계를 다시 한번 보여주는 명승부로 기록되었다.

스웨덴은 1승 2무, 무패의 성적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하는 저력을 보였다. 하지만 16강전에서 돌풍의 팀 세네갈을 만나 연장 접전 끝에 골든골을 허용하며 아쉽게 패배해 8강 진출에는 실패했다.

나이지리아는 1무 2패로 조 최하위에 머물며 탈락했지만, 마지막 경기에서 잉글랜드와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참조

[1] 뉴스 Argentina v England | England's sweet revenge http://news.bbc.co.u[...] BBC SPORT | WORLD CUP
[2] 웹사이트 FIFA/Coca Cola World Ranking (15 May 2002) https://www.fifa.com[...] FIFA 2002-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