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2년 아시안 게임 역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아시안 게임 역도는 대한민국 부산에서 개최된 2002년 아시안 게임의 세부 종목으로, 부경대학교 체육관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남자 8개, 여자 7개 총 15개의 세부 종목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이 금메달 9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30개국에서 총 143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역도 대회 - 2014년 아시안 게임 역도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역도는 9월 20일부터 26일까지 달빛축제정원역도경기장에서 남자 8체급과 여자 7체급으로 진행되었으며, 중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메달 순위에서 우위를 점했고 대한민국은 남자 94kg급에서 동메달을 획득, 총 32개국 200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역도 대회 - 2009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2009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는 대한민국 고양시에서 열렸으며, 중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고, 장미란 선수가 여자 +75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역도 - 2018년 아시안 게임 역도
    2018년 아시안 게임 역도는 인도네시아에서 남자 8체급과 여자 7체급으로 나뉘어 총 15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종목이다.
  • 아시안 게임 역도 - 2006년 아시안 게임 역도
    2006년 아시안 게임 역도는 카타르 도하에서 34개국 173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남자 8체급, 여자 7체급으로 진행되었고, 중국이 종합 1위, 대한민국은 종합 6위를 기록했다.
  • 2002년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2002년 아시안 게임 야구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야구는 사직야구장에서 대한민국, 일본, 중화 타이베이, 중국, 필리핀 5개국이 참가하여 예선 리그와 결승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대한민국이 금메달,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02년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2002년 아시안 게임 농구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농구는 남자부에서 대한민국이 금메달, 여자부에서 중국이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남자부 13개국, 여자부 6개국이 참가했다.
2002년 아시안 게임 역도
대회 개요
종목역도
대회2002년 아시안 게임
역도 픽토그램
역도 픽토그램
개최지부산
경기장부경대학교 체육관
기간2002년 9월 30일 – 2002년 10월 10일
참가 선수143명
참가 국가30개국
이전 대회1998
다음 대회2006

2. 경기장

2002년 아시안 게임 역도 경기는 부경대학교 체육관에서 열렸다.

3. 경기 일정

(월)10월 1일
(화)10월 2일
(수)10월 3일
(목)10월 4일
(금)10월 5일
(토)10월 6일
(일)10월 7일
(월)10월 8일
(화)10월 9일
(수)10월 10일
(목)남자 56kg급A남자 62kg급A남자 69kg급A남자 77kg급A남자 85kg급A남자 94kg급A남자 105kg급A남자 +105kg급A여자 48kg급A여자 53kg급A여자 58kg급A여자 63kg급A여자 69kg급A여자 75kg급A여자 +75kg급A


4. 메달 집계

2002년 아시안 게임 역도 메달 집계
순위나라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중국91111
2카자흐스탄2103
3이란1337
4대한민국1146
5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102
6카타르1001
7태국0303
8미얀마0213
9중화 타이베이0123
10인도네시아0123
11우즈베키스탄0112
12일본0011


5. 메달리스트

{| class="wikitable"

|-

! 남자 !! 여자

|-

|

몸무게금메달은메달동메달
56 kg우메이진|우메이진중국어 (CHN)왕신위안|왕신위안중국어 (TPE)양친위|양친위중국어 (TPE)
62 kg리마오셩|리마오셩중국어 (CHN)임용수|임용수한국어 (PRK)조효원|조효원한국어 (KOR)
69 kg장궈정|장궈정중국어 (CHN)에르윈 압둘라흐 (INA)메흐디 판즈반 (IRI)
77 kg세르게이 필리모노프 (KAZ)모함마드 바르하 (IRI)모함마드 팔라하티네자드 (IRI)
85 kg송종식|송종식한국어 (KOR)하디 판즈반 (IRI)바흐티요르 누룰라예프 (UZB)
94 kg바히트 아흐메토프 (KAZ)코우로시 바그헤리 (IRI)이응조|이응조한국어 (KOR)
105 kg사이드 아사드 (QAT)쿠이 원후아 (CHN)호세인 타바콜리 (IRI)
+105 kg호세인 레자자데 (IRI)이고르 할릴로프 (UZB)모리타 무네히로 (JPN)



|

체급금메달은메달동메달
48kg리주오|리지줘중국어 (중국)카이 티윈my (미얀마)라에마 룸베와스id (인도네시아)
53kg리성희한국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우돔포른 폴사크th (태국)멍 치안주안|멍셴좐중국어 (중국)
58kg저우얀|저우옌중국어 (중국)완데 카메아임th (태국)탄티 프라티위id (인도네시아)
63kg리우치아|류샤중국어 (중국)크힌 모에느위my (미얀마)쿠오핑천|궈핑춘중국어 (중화 타이베이)
69kg리우천홍|류춘훙중국어 (중국)파위나 통수크th (태국)미야 산다우my (미얀마)
75kg선루이핑|쑨루이핑중국어 (중국)타티야나 흐로모바kk (카자흐스탄)김순희한국어 (대한민국)
75kg 이상탕궁홍|탕궁훙중국어 (중국)장미란한국어 (대한민국)문경애한국어 (대한민국)



|}

5. 1. 남자

몸무게금메달은메달동메달
56 kg우메이진|우메이진중국어 (CHN)왕신위안|왕신위안중국어 (TPE)양친위|양친위중국어 (TPE)
62 kg리마오셩|리마오셩중국어 (CHN)임용수|임용수한국어 (PRK)조효원|조효원한국어 (KOR)
69 kg장궈정|장궈정중국어 (CHN)에르윈 압둘라흐 (INA)메흐디 판즈반 (IRI)
77 kg세르게이 필리모노프 (KAZ)모함마드 바르하 (IRI)모함마드 팔라하티네자드 (IRI)
85 kg송종식|송종식한국어 (KOR)하디 판즈반 (IRI)바흐티요르 누룰라예프 (UZB)
94 kg바히트 아흐메토프 (KAZ)코우로시 바그헤리 (IRI)이응조|이응조한국어 (KOR)
105 kg사이드 아사드 (QAT)쿠이 원후아 (CHN)호세인 타바콜리 (IRI)
+105 kg호세인 레자자데 (IRI)이고르 할릴로프 (UZB)모리타 무네히로 (JPN)


5. 2. 여자

체급금메달은메달동메달
48kg리주오|리지줘중국어 (중국)카이 티윈my (미얀마)라에마 룸베와스id (인도네시아)
53kg리성희한국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우돔포른 폴사크th (태국)멍 치안주안|멍셴좐중국어 (중국)
58kg저우얀|저우옌중국어 (중국)완데 카메아임th (태국)탄티 프라티위id (인도네시아)
63kg리우치아|류샤중국어 (중국)크힌 모에느위my (미얀마)쿠오핑천|궈핑춘중국어 (중화 타이베이)
69kg리우천홍|류춘훙중국어 (중국)파위나 통수크th (태국)미야 산다우my (미얀마)
75kg선루이핑|쑨루이핑중국어 (중국)타티야나 흐로모바kk (카자흐스탄)김순희한국어 (대한민국)
75kg 이상탕궁홍|탕궁훙중국어 (중국)장미란한국어 (대한민국)문경애한국어 (대한민국)


6. 참가국

국가참가 선수
바레인3
방글라데시1
중화인민공화국15
중화 타이베이10
동티모르1
인도5
인도네시아5
이란8
일본12
요르단1
카자흐스탄9
쿠웨이트1
키르기스스탄3
레바논2
말레이시아1
몽골4
미얀마7
네팔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6
파키스탄3
필리핀2
카타르4
대한민국15
시리아1
타지키스탄1
태국8
투르크메니스탄2
우즈베키스탄6
베트남3
예멘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