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인터콘티넨털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3년 인터콘티넨털컵은 2003년 12월 14일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에서 열린 대회로, AC 밀란과 보카 주니어스가 맞붙었다. 욘 달 토마손의 선제골 이후 마티아스 도네의 동점골로 1-1 무승부가 되었고, 승부차기에서 보카 주니어스가 3-1로 승리했다. 마티아스 도네는 경기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으며, 발렌틴 이바노프가 주심을 맡아 66,757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축구 경기 - 2003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2003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에서 클루브 올림피아가 CA 산로렌소를 2-0으로 꺾고 우승했으며, 에르난 로드리고 로페스와 훌리오 세사르 엔시소가 득점했다. - 2003년 축구 경기 - 2003년 UEFA 슈퍼컵
2003년 UEFA 슈퍼컵은 AC 밀란이 FC 포르투를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한 2003년 8월 29일 모나코 스타드 루이 II에서 열린 축구 경기였다. - 2003년 12월 - 2003년 밤 지진
2003년 밤 지진은 이란 밤에서 발생하여 부실 건축과 미흡한 내진 설계로 밤 시의 대부분을 파괴하고 수많은 사상자와 이재민을 발생시킨 이란 역사상 최악의 지진으로, 국제적인 구호 활동과 이란-미국 관계의 일시적 해빙을 가져왔으나 재건 문제와 사회적 문제 또한 야기했다. - 2003년 12월 - 200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200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아랍에미리트에서 24개국이 참가하여 브라질이 스페인을 꺾고 우승했으며, 에디 존슨이 골든슈, 이스마일 마타르가 골든볼을 수상했다. - CA 보카 주니어스 경기 - 1990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1990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팀과 수페르코파 수다메리카나 우승팀이 맞붙는 남미 클럽 대항전으로, 보카 주니어스가 아틀레티코 나시오날을 1-0으로 꺾고 우승했다. - CA 보카 주니어스 경기 - 2008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2008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는 아르세날 데 사란디와 보카 주니어스가 맞붙어 보카 주니어스가 합산 점수 4-3으로 우승했으며, 1, 2차전 경기 정보와 선수 명단, 득점 기록이 문서에 상세히 기록되었다.
| 2003년 인터콘티넨털컵 | |
|---|---|
| 경기 정보 | |
| 대회 명칭 | 2003년 인터콘티넨털컵 |
| 경기 날짜 | 2003년 12월 14일 |
| 경기장 |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 |
| 도시 | 요코하마 |
| 관중수 | 66,757명 |
| 심판 | 발렌틴 이바노프 (러시아) |
| 경기 결과 | |
| 팀 1 | 밀란 |
| 팀 1 득점 | 1 |
| 팀 2 | 보카 주니어스 |
| 팀 2 득점 | 1 |
| 세부 정보 | 연장전 후, 보카 주니어스가 승부차기 3–1로 승리 |
| 최우수 선수 | 마티아스 도네트 (보카 주니어스) |
| 대회 정보 | |
| 이전 대회 | 2002 |
| 다음 대회 | 2004 |
![]() | |
2. 경기 정보
2003년 12월 14일 JST 19시 15분에 일본 요코하마시의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에서 열렸다. 이탈리아의 AC 밀란과 아르헨티나의 보카 주니어스가 맞붙었으며, 전후반 90분과 연장전까지 1-1로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이어진 승부차기에서 보카 주니어스가 3-1로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총 66,757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으며, 주심은 러시아 출신의 발렌틴 이바노프가 맡았다.
2. 1. 경기 개요
2003년 12월 14일 JST 19시 15분, 일본 요코하마시의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에서 경기가 열렸다. 관중 수는 66,757명이었으며, 러시아 출신의 발렌틴 이바노프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경기는 이탈리아의 AC 밀란과 아르헨티나의 보카 주니어스 간의 대결이었다. 전반 23분, AC 밀란의 욘 달 토마손이 선제골을 기록했다. 그러나 5분 뒤인 전반 28분, 보카 주니어스의 마티아스 도네트가 동점골을 넣어 승부는 원점으로 돌아갔다.
정규 시간 90분과 연장전까지 1-1로 승부를 가리지 못해 승부차기로 이어졌다. 승부차기 결과 보카 주니어스가 3-1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승부차기 결과'''
| AC 밀란 | 보카 주니어스 | ||||
|---|---|---|---|---|---|
| 안드레아 피를로 | 실패 | 0-0 | 롤란도 스치아비 | 성공 | 0-1 |
| 후이 코스타 | 성공 | 1-1 | 세바스티안 바타글리아 | 실패 | 1-1 |
| 클라렌서 세이도르프 | 실패 | 1-1 | 마티아스 도네트 | 성공 | 1-2 |
|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 | 실패 | 1-2 | 라울 알프레도 카시니 | 성공 | 1-3 |
'''선수 명단'''
| AC 밀란 | 보카 주니어스 | ||||||||||
|---|---|---|---|---|---|---|---|---|---|---|---|
| 번호 | 선수 | 국적 | 포지션 | 비고 | 번호 | 선수 | 국적 | 포지션 | 비고 | ||
| 12 | 지다 | (브라질) | GK | 1 | 로베르토 아본단시에리 | (아르헨티나) | GK | ||||
| 2 | 카푸 | (브라질) | RB | 경고 61' | 14 | 루이스 아마란토 페레아 | (콜롬비아) | RB | 경고 6' | ||
| 19 |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 | (이탈리아) | CB | 2 | 롤란도 스치아비 | (아르헨티나) | CB | ||||
| 3 | 파올로 말디니 | (이탈리아) | CB | 주장 | 6 | 니콜라스 부르디소 | (아르헨티나) | CB | |||
| 26 | 주세페 판카로 | (이탈리아) | LB | 3 | 클레멘테 로드리게스 | (아르헨티나) | LB | ||||
| 8 | 젠나로 가투소 | (이탈리아) | CM | 102' 교체 아웃 | 5 | 세바스티안 바타글리아 | (아르헨티나) | CM | |||
| 21 | 안드레아 피를로 | (이탈리아) | CM | 22 | 라울 알프레도 카시니 | (아르헨티나) | CM | ||||
| 20 | 클라렌서 세이도르프 | (네덜란드) | CM | 8 | 디에고 카그나 | (아르헨티나) | CM | 주장 | |||
| 22 | 카카 | (브라질) | AM | 경고 19, 77 교체 아웃 | 18 | 마티아스 도네트 | (아르헨티나) | AM | 경기 최우수 선수 | ||
| 7 | 안드리 셰우첸코 | (우크라이나) | CF | 10 | 이아를레이 | (브라질) | CF | ||||
| 15 | 욘 달 토마손 | (덴마크) | CF | 23 득점, 69 교체 아웃 | 7 | 기예르모 바로스 스첼로토 | (아르헨티나) | CF | 73' 교체 아웃 | ||
| 교체 선수 | |||||||||||
| 77 | 크리스티안 아비아티 | (이탈리아) | GK | 12 | 윌리 카바예로 | (아르헨티나) | GK | ||||
| 4 | 카하 칼라제 | (조지아) | DF | 4 | 파블로 헤레스 | (아르헨티나) | DF | ||||
| 24 | 마르틴 라우르센 | (덴마크) | DF | 13 | 디에고 크로사 | (아르헨티나) | DF | ||||
| 10 | 후이 코스타 | (포르투갈) | MF | 77' 교체 투입 | 16 | 파비안 바르가스 | (콜롬비아) | MF | |||
| 23 | 마시모 암브로시니 | (이탈리아) | MF | 102' 교체 투입 | 20 | 하비에르 비야레알 | (아르헨티나) | MF | |||
| 27 | 세르지뉴 | (브라질) | MF | 9 | 카를로스 테베스 | (아르헨티나) | FW | 73' 교체 투입 | |||
| 9 | 필리포 인차기 | (이탈리아) | FW | 69' 교체 투입 | 11 | 로베르토 콜라우티 | (아르헨티나) | FW | |||
| 감독 | |||||||||||
| 카를로 안첼로티 (이탈리아) | 카를로스 비안치 (아르헨티나) | ||||||||||
'''심판진'''
- '''주심:''' 발렌틴 이바노프 (러시아)
- '''부심:''' 겐나디 크라스유크 (러시아), 유리 두파노프 (벨라루스)
- '''대기심:''' 오카다 마사요시 (일본)
2. 2. 양 팀 소개
{| width="100%"|valign="top" width="50%"|
'''AC 밀란'''
| 등번호 | 포지션 | 선수 | 비고 |
|---|---|---|---|
| 12 | GK | 지다 (브라질) | |
| 2 | RB | 카푸 (브라질) | 61분 경고 |
| 19 | CB |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 (이탈리아) | |
| 26 | CB | 주세페 판카로 (이탈리아) | |
| 3 | LB | 파올로 말디니 (이탈리아) | (주장) |
| 20 | MF | 클라렌스 세도르프 (네덜란드) | |
| 21 | MF | 안드레아 피를로 (이탈리아) | |
| 8 | MF | 젠나로 가투소 (이탈리아) | 102분 교체 아웃 |
| 22 | AM | 카카 (브라질) | 19분 경고, 77분 교체 아웃 |
| 7 | CF | 안드리 셰브첸코 (우크라이나) | |
| 15 | CF | 욘 달 토마손 (덴마크) | 69분 교체 아웃 |
| 교체 선수: | |||
| 77 | GK | 크리스티안 아비아티 (이탈리아) | |
| 24 | DF | 마르틴 라우르센 (덴마크) | |
| 4 | DF | 카하 칼라제 (조지아) | |
| 27 | MF | 세르지뉴 (브라질) | |
| 10 | MF | 후이 코스타 (포르투갈) | 77분 교체 투입 |
| 23 | MF | 마시모 암브로시니 (이탈리아) | 102분 교체 투입 |
| 9 | FW | 필리포 인차기 (이탈리아) | 69분 교체 투입 |
| 감독: 카를로 안첼로티 (이탈리아) | |||
|valign="top"|
|valign="top" width="50%"|
'''보카 주니어스'''
| 등번호 | 포지션 | 선수 | 비고 |
|---|---|---|---|
| 1 | GK | 로베르토 아본단시에리 (아르헨티나) | |
| 14 | RB | 루이스 페레아 (콜롬비아) | 6분 경고 |
| 2 | CB | 롤란도 스키아비 (아르헨티나) | |
| 6 | CB | 니콜라스 부르디소 (아르헨티나) | |
| 3 | LB | 클레멘테 로드리게스 (아르헨티나) | |
| 5 | MF | 세바스티안 바타글리아 (아르헨티나) | |
| 22 | MF | 라울 알프레도 카시니 (아르헨티나) | |
| 18 | AM | 마티아스 도네 (아르헨티나) | |
| 8 | MF | 디에고 카냐 (아르헨티나) | (주장) |
| 10 | CF | 이아를레이 (브라질) | |
| 7 | CF | 기예르모 바로스 스켈로토 (아르헨티나) | 73분 교체 아웃 |
| 교체 선수: | |||
| 12 | GK | 윌리 카바예로 (아르헨티나) | |
| 13 | DF | 디에고 크로사 (아르헨티나) | |
| 4 | DF | 파블로 헤레스 (아르헨티나) | |
| 16 | MF | 파비안 바르가스 (콜롬비아) | |
| 20 | MF | 하비에르 비야레알 (아르헨티나) | |
| 11 | FW | 로베르토 콜라우티 (아르헨티나) | |
| 9 | FW | 카를로스 테베스 (아르헨티나) | 73분 교체 투입 |
| 감독: 카를로스 비안치 (아르헨티나) | |||
|}
2. 3. 경기 진행
2003년 12월 14일 JST 19시 15분에 요코하마의 요코하마 국제 종합 경기장에서 경기가 열렸다. 총 66,757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보았으며, 주심은 러시아 출신의 발렌틴 이바노프가 맡았다.경기는 전반 23분, AC 밀란의 욘 달 토마손이 선제골을 기록하며 시작되었다. 그러나 5분 뒤인 전반 28분, 보카 주니어스의 마티아스 도네트가 동점골을 성공시키며 승부는 원점으로 돌아갔다. 이후 양 팀은 정규 시간과 연장전까지 추가 득점 없이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승부는 승부차기로 이어졌다. AC 밀란은 첫 번째 키커 안드레아 피를로가 실축했고, 두 번째 키커 후이 코스타는 성공했지만, 세 번째 키커 클라렌서 세이도르프와 네 번째 키커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가 연이어 실축하며 1점을 얻는 데 그쳤다. 반면 보카 주니어스는 첫 번째 키커 롤란도 스치아비가 성공했고, 두 번째 키커 세바스티안 바타글리아는 실축했지만, 세 번째 키커 마티아스 도네트와 네 번째 키커 라울 알프레도 카시니가 모두 성공하며 3점을 기록했다. 최종 승부차기 결과 1-3으로 보카 주니어스가 승리하며 우승컵을 차지했다.
| AC 밀란 | 보카 주니어스 | ||||||
|---|---|---|---|---|---|---|---|
| 등번호 | 선수 이름 | 포지션 | 비고 | 등번호 | 선수 이름 | 포지션 | 비고 |
| 12 | 지다 | GK | 1 | 로베르토 아본단시에리 | GK | ||
| 2 | 카푸 | DF | (경고 61분) | 14 | 루이스 아마란토 페레아 | DF | (경고 6분) |
| 19 |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 | DF | 2 | 롤란도 스치아비 | DF | ||
| 3 | 파올로 말디니 | DF | (주장) | 6 | 니콜라스 부르디소 | DF | |
| 26 | 주세페 판카로 | DF | 3 | 클레멘테 로드리게스 | DF | ||
| 8 | 젠나로 가투소 | MF | (교체 아웃 102분) | 8 | 디에고 카그나 | MF | (주장) |
| 21 | 안드레아 피를로 | MF | 5 | 세바스티안 바타글리아 | MF | ||
| 20 | 클라렌서 세이도르프 | MF | 22 | 라울 알프레도 카시니 | MF | ||
| 22 | 카카 | MF | (경고 19분, 교체 아웃 77분) | 18 | 마티아스 도네트 | MF | (경기 최우수 선수) |
| 7 | 안드리 셰우첸코 | FW | 10 | 이아를레이 | FW | ||
| 15 | 욘 달 토마손 | FW | (교체 아웃 69분) | 7 | 기예르모 바로스 스첼로토 | FW | (교체 아웃 73분) |
| 교체 선수 | 교체 선수 | ||||||
| 77 | 크리스티안 아비아티 | GK | 12 | 윌리 카바예로 | GK | ||
| 4 | 카하 칼라제 | DF | 4 | 파블로 헤레스 | DF | ||
| 24 | 마르틴 라우르센 | DF | 13 | 디에고 크로사 | DF | ||
| 10 | 후이 코스타 | MF | (교체 투입 77분) | 16 | 파비안 안드레스 바르가스 | MF | |
| 23 | 마시모 암브로시니 | MF | (교체 투입 102분) | 20 | 하비에르 비야레알 | MF | |
| 27 | 세르지뉴 | MF | 9 | 카를로스 테베스 | FW | (교체 투입 73분) | |
| 9 | 필리포 인차기 | FW | (교체 투입 69분) | 11 | 로베르토 콜라우티 | FW | |
| 감독 | 감독 | ||||||
| 카를로 안첼로티 | 카를로스 비안치 | ||||||
'''경기 최우수 선수:''' 마티아스 도네트 (보카 주니어스)
'''부심:'''
- 겐나디 크라스유크 (러시아)
- 유리 두파노프 (벨라루스)
'''대기심:'''
- 오카다 마사요시 (일본)
2. 4. 경기 결과
2003년 12월 14일 19시 15분(JST) 요코하마의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에서 경기가 열렸다. 관중 수는 66,757명이었다. 경기는 (이탈리아) AC 밀란과 (아르헨티나) 보카 주니어스 간의 대결로 펼쳐졌다.전반 23분, AC 밀란의 욘 달 토마손이 선제골을 기록했으나, 5분 뒤인 전반 28분 보카 주니어스의 마티아스 도네가 동점골을 넣어 승부는 원점으로 돌아갔다. 이후 양 팀은 득점 없이 정규 시간 90분과 연장전 30분을 마쳤고, 승부는 승부차기로 이어졌다.
승부차기에서는 보카 주니어스가 AC 밀란을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AC 밀란 승부차기: 안드레아 피를로 (실축), 루이 코스타 (성공), 세도르프 (실축),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 (실축)
- 보카 주니어스 승부차기: 롤란도 스키아비 (성공), 세바스티안 바타글리아 (실축), 마티아스 도네 (성공), 라울 알프레도 카시니 (성공)
주심은 (러시아) 발렌틴 이바노프가 맡았으며, 부심은 (러시아) 겐나디 크라스유크와 (벨라루스) 유리 두파노프가, 대기심은 (일본) 오카다 마사요시가 맡았다. 경기 최우수 선수(Man of the Match)는 보카 주니어스의 마티아스 도네가 선정되었다.
| (이탈리아) AC 밀란 | (아르헨티나) 보카 주니어스 | ||||||||||
|---|---|---|---|---|---|---|---|---|---|---|---|
| 포지션 | 등번호 | 국적 | 선수 | 비고 | 포지션 | 등번호 | 국적 | 선수 | 비고 | ||
| GK | 12 | (브라질) | 디다 | GK | 1 | (아르헨티나) | 로베르토 아본단시에리 | ||||
| RB | 2 | (브라질) | 카푸 | 61분 경고 | RB | 14 | (콜롬비아) | 루이스 페레아 | 6분 경고 | ||
| CB | 19 | (이탈리아) |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 | CB | 2 | (아르헨티나) | 롤란도 스키아비 | ||||
| CB | 3 | (이탈리아) | 파올로 말디니 | 주장 | CB | 6 | (아르헨티나) | 니콜라스 부르디소 | |||
| LB | 26 | (이탈리아) | 주세페 판카로 | LB | 3 | (아르헨티나) | 클레멘테 로드리게스 | ||||
| CM | 8 | (이탈리아) | 젠나로 가투소 | 102분 교체 아웃 | CM | 5 | (아르헨티나) | 세바스티안 바타글리아 | |||
| CM | 21 | (이탈리아) | 안드레아 피를로 | CM | 22 | (아르헨티나) | 라울 알프레도 카시니 | ||||
| CM | 20 | (네덜란드) | 세도르프 | CM | 8 | (아르헨티나) | 디에고 카냐 | 주장 | |||
| AM | 22 | (브라질) | 카카 | 19분 경고, 77분 교체 아웃 | AM | 18 | (아르헨티나) | 마티아스 도네 | 28분 득점 | ||
| CF | 7 | (우크라이나) | 안드리 셰브첸코 | CF | 10 | (브라질) | 이알레이 | ||||
| CF | 15 | (덴마크) | 욘 달 토마손 | 23분 득점, 69분 교체 아웃 | CF | 7 | (아르헨티나) | 기예르모 바르스 스켈로토 | 73분 교체 아웃 | ||
| 교체 선수 | |||||||||||
| GK | 77 | (이탈리아) | 크리스티안 아비아티 | GK | 12 | (아르헨티나) | 윌리 카바예로 | ||||
| DF | 4 | (조지아) | 카하 칼라제 | DF | 13 | (아르헨티나) | 디에고 크로사 | ||||
| DF | 24 | (덴마크) | 마르틴 라우르센 | DF | 4 | (아르헨티나) | 파블로 헤레스 | ||||
| MF | 10 | (포르투갈) | 루이 코스타 | 77분 교체 투입 | MF | 16 | (콜롬비아) | 파비안 바르가스 | |||
| MF | 23 | (이탈리아) | 마시모 암브로시니 | 102분 교체 투입 | MF | 20 | (아르헨티나) | 하비에르 비야레알 | |||
| MF | 27 | (브라질) | 세르지뉴 | FW | 9 | (아르헨티나) | 카를로스 테베스 | 73분 교체 투입 | |||
| FW | 9 | (이탈리아) | 필리포 인자기 | 69분 교체 투입 | FW | 11 | (아르헨티나) | 로베르토 콜라우티 | |||
| 감독 | |||||||||||
| (이탈리아) 카를로 안첼로티 | (아르헨티나) 카를로스 비안치 | ||||||||||
2. 5. 수상
- '''경기 최우수 선수:''' 마티아스 도넷 (보카 주니어스)
- '''부심:'''
- * 겐나디 크라스유크 (러시아)
- * 유리 두파노프 (벨라루스)
- '''대기심:''' 오카다 마사요시 (일본)
3. 경기 상세 기록
2003년 12월 14일 JST 19시 15분, 일본 요코하마의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에서 경기가 열렸다. 총 66,757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보았으며, 주심은 러시아 출신의 발렌틴 이바노프가 맡았다.
경기는 AC 밀란과 보카 주니어스의 대결로 펼쳐졌다. 전반 23분, AC 밀란의 욘 달 토마손이 선제골을 기록하며 앞서나갔다. 그러나 5분 뒤인 전반 28분, 보카 주니어스의 마티아스 도네트가 동점골을 넣어 승부는 원점으로 돌아갔다.
정규 시간 90분과 연장전까지 1-1로 승부를 가리지 못한 두 팀은 승부차기에 돌입했다. 승부차기 결과, 보카 주니어스가 AC 밀란을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3. 1. 선수 명단
AC 밀란의 감독은 카를로 안첼로티였으며, 보카 주니어스의 감독은 카를로스 비안치였다. 각 팀의 상세 선수 명단은 아래 하위 섹션을 참고한다.- '''경기 최우수 선수:''' 마티아스 도네트 (보카 주니어스)
- '''주심:''' 발렌틴 이바노프 (러시아)
- '''부심:''' 겐나디 크라스유크 (러시아), 유리 두파노프 (벨라루스)
- '''대기심:''' 오카다 마사요시 (일본)
3. 1. 1. AC 밀란
AC 밀란은 카를로 안첼로티 감독의 지휘 아래 경기에 나섰다. 파올로 말디니가 주장을 맡았다.
AC 밀란의 선발 라인업은 다음과 같다.
| 등번호 | 포지션 | 국적 | 선수 이름 | 비고 |
|---|---|---|---|---|
| 12 | GK | 브라질 | 디다 | |
| 2 | RB | 브라질 | 카푸 | 61분 경고 |
| 19 | CB | 이탈리아 |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 | |
| 3 | CB | 이탈리아 | 파올로 말디니 | (주장) |
| 26 | LB | 이탈리아 | 주세페 판카로 | |
| 8 | CM | 이탈리아 | 젠나로 가투소 | 102분 교체 아웃 |
| 21 | CM | 이탈리아 | 안드레아 피를로 | |
| 20 | CM | 네덜란드 | 클라렌스 세도르프 | |
| 22 | AM | 브라질 | 카카 | 19분 경고, 77분 교체 아웃 |
| 7 | CF | 우크라이나 | 안드리 셰브첸코 | |
| 15 | CF | 덴마크 | 욘 달 토마손 | 23분 득점, 69분 교체 아웃 |
교체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 등번호 | 포지션 | 국적 | 선수 이름 | 비고 |
|---|---|---|---|---|
| 77 | GK | 이탈리아 | 크리스티안 아비아티 | |
| 4 | DF | 조지아 | 카하 칼라제 | |
| 24 | DF | 덴마크 | 마르틴 라우르센 | |
| 10 | MF | 포르투갈 | 루이 코스타 | 77분 교체 투입 |
| 23 | MF | 이탈리아 | 마시모 암브로시니 | 102분 교체 투입 |
| 27 | MF | 브라질 | 세르지뉴 | |
| 9 | FW | 이탈리아 | 필리포 인차기 | 69분 교체 투입 |
경기는 연장전까지 1-1로 마무리되었고, 승부차기에서 AC 밀란은 1-3으로 패배했다. AC 밀란의 승부차기 키커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안드레아 피를로 (실패)
- 루이 코스타 (성공)
- 클라렌스 세도르프 (실패)
-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 (실패)
3. 1. 2. 보카 주니어스
{| width="100%"|valign="top" width="50%"|
;선수 명단
| 등번호 | 포지션 | 선수 | 비고 |
|---|---|---|---|
| 1 | GK | 아르헨티나 로베르토 아본단시에리 | |
| 14 | CB | 콜롬비아 루이스 페레아 | 6분 경고 |
| 2 | CB | 아르헨티나 롤란도 스키아비 | |
| 6 | CB | 아르헨티나 니콜라스 부르디소 | |
| 8 | RM | 아르헨티나 디에고 카냐 (주장) | |
| 5 | CM | 아르헨티나 세바스티안 바타글리아 | |
| 22 | CM | 아르헨티나 라울 카시니 | |
| 3 | LM | 아르헨티나 클레멘테 로드리게스 | |
| 18 | AM | 아르헨티나 마티아스 도넷 | 28분 득점, 경기 최우수 선수 |
| 10 | CF | 브라질 이아를레이 | |
| 7 | CF | 아르헨티나 기예르모 바르로스 셸로토 | 73분 교체 아웃 |
| 교체 선수 | |||
| 12 | GK | 아르헨티나 윌리 카바예로 | |
| 4 | DF | 아르헨티나 파블로 헤레즈 | |
| 13 | DF | 아르헨티나 디에고 크로사 | |
| 16 | MF | 콜롬비아 파비안 바르가스 | |
| 20 | MF | 아르헨티나 하비에르 비야레알 | |
| 9 | FW | 아르헨티나 카를로스 테베스 | 73분 교체 투입 |
| 11 | FW | 아르헨티나 로베르토 콜라우티 | |
| 감독 | |||
| 아르헨티나 카를로스 비안치 | |||
|valign="top" width="50%"|
|}
;승부차기 결과
# 롤란도 스키아비: 성공
# 세바스티안 바타글리아: 실축
# 마티아스 도넷: 성공
# 라울 카시니: 성공
3. 2. 경기 통계
(연장)승부차기
1 - 3
후이 코스타 (성공)
세이도르프 (실패)
코스타쿠르타 (실패)
바타글리아 (실패)
도네트 (성공)
카시니 (성공)
심판: 발렌틴 이바노프 (러시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