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은 유도, 레슬링, 역도, 복싱, 다이빙, 체조, 육상, 사격, 탁구 등 다양한 종목에 출전하여 금메달 없이 은메달 1개와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계순희(유도)와 김효섭(레슬링)이 동메달을 획득했고, 리성희(역도)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복싱, 다이빙, 체조, 육상, 사격, 탁구 종목에서는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량강도 폭발 사고
2004년 9월 9일 량강도에서 발생한 량강도 폭발 사고는 당시 북한 핵 개발 문제와 맞물려 핵 실험, 수력 발전소 건설, 탄약고 폭발 등 다양한 원인 추측을 낳았으며, 북한은 수력 발전소 건설을 위한 폭파 작업이라고 해명했다. - 2004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북한 인권법
북한인권법은 북한 주민의 인권 신장, 인도적 지원, 탈북민 보호, 납북자 문제 해결 등을 목표로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는 법률로, 대한민국 북한인권법은 특정 단체에 대한 예산 지원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있다. -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 1972년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1972년 뮌헨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은 사격 금메달 1개와 복싱, 유도, 레슬링, 여자 배구에서 각각 동메달을 획득하며 김우길, 김용익, 김광형 등의 활약과 함께 다양한 국가와 교류했다. -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 1976년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1976년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복싱에서 금메달 1개와 은메달 1개를 획득했으며, 양궁, 육상, 레슬링 종목에도 출전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04년 하계 올림픽 그리스 선수단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그리스는 개최국 자격으로 선수단을 파견하여 육상, 요트 등 다양한 종목에서 금메달 6개, 은메달 6개, 동메달 4개를 획득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04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은 양궁 전 종목 석권을 포함, 다양한 종목에서 총 30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국위를 선양했다.
2004년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 |
---|---|
대회 정보 | |
NOC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올림픽 위원회 (PRK) |
NOC (영문) | Olympic Committee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대회 종류 | 하계 올림픽 |
개최 연도 | 2004 |
개최 도시 | 아테네 |
참가 선수 | 36명 |
참가 종목 | 9개 |
기수 | 김성호 (개막식, 농구 임원) |
웹사이트 | 해당 정보 없음 |
메달 정보 | |
순위 | 57위 |
금메달 | 0개 |
은메달 | 4개 |
동메달 | 1개 |
총 메달 | 5개 |
올림픽 참가 역사 | |
하계 올림픽 참가 횟수 | 자동 계산 |
동계 올림픽 참가 횟수 | 해당 정보 없음 |
첫 참가 연도 | 해당 정보 없음 |
마지막 참가 연도 | 해당 정보 없음 |
관련 정보 | |
관련 항목 | 해당 정보 없음 |
2. 메달리스트
메달 |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
-- 은메달 | 계순희 | 유도 | 여자 57kg 이하급 |
-- 은메달 | 리성희 | 역도 | 여자 58kg 이하급 |
-- 은메달 | 김향미 | 탁구 | 여자 단식 |
-- 은메달 | 김성국 | 복싱 | 남자 페더급 |
-- 동메달 | 김정수 | 사격 | 남자 50m 권총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은메달 4개, 동메달 1개로 총 5개의 메달을 획득하였다.[1]
2. 1. 은메달
2. 2. 동메달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유도, 역도, 탁구, 복싱, 사격 등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선전했다.
3. 종목별 결과
3. 1. 육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들은 각 종목당 최대 3명의 선수가 'A' 기준을 충족하고, 1명이 'B' 기준을 충족하여 다음과 같은 육상 종목에서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6][7]
'''참고'''
선수 | 종목 | 기록 | 순위 |
---|---|---|---|
종명철 | 마라톤 | 2:19:47 | 35 |
함봉실 | 마라톤 | 기권 | |
조분희 | 2:55:54 | 56 | |
정용옥 | 2:37:52 | 21 |
3. 2. 복싱
김성국은 페더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특히 준결승전에서는 세계 선수권 준우승자이자 유럽 챔피언인 비탈리 타예베르트를 꺾는 이변을 연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알렉세이 티셴코에게 패하며 은메달에 머물렀지만, 값진 성과를 거두었다.선수 | 종목 | 32강전 | 16강전 | 8강전 | 준결승 | 결승 | 순위 |
---|---|---|---|---|---|---|---|
곽혁주 | 라이트 플라이급 | 패 7–21 | 진출 실패 | ||||
김성국 | 페더급 | 부전승 | 승 25–14 | 승 32–11 | 승 29–24 | 패 17–39 |
3. 3. 다이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다이빙 선수들은 다음 종목에서 4개의 개인 출전 자격을 얻었다.'''남자'''
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선 | 결선 | |||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
최형길 | 10m 플랫폼 | 419.58 | 16 Q | 600.36 | 15 | 진출 실패 | |
박용룡 | 414.33 | 17 Q | 596.01 | 17 | 진출 실패 |
'''여자'''
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선 | 결선 | |||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
전현주 | 10m 플랫폼 | 272.01 | 22 | 진출 실패 | |||
김경주 | 263.52 | 25 | 진출 실패 |
3. 4. 체조
체조 종목에서는 남녀 도마에 김향훈과 평양 출신의 15세 소녀 김은경이 출전했다. 김향훈은 평균 9.162점으로 71위를 기록했고, 김은경은 8.800점으로 81위를 기록했다.3. 5. 유도
결과결과
결과
결과
결과
결과
결과
결과
패 0001–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