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선수단은 금메달 9개, 은메달 12개, 동메달 9개를 획득하여 총 30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양궁, 배드민턴, 태권도, 유도 등에서 강세를 보였으며, 레슬링, 사격, 탁구, 체조 등 다양한 종목에서 메달을 추가했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종합 9위를 기록하며 원정 올림픽 사상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선수 명단 - 야노 교코
야노 교코는 일본 여자 축구 선수로,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우라와 레즈 레이디스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활약하여 FIFA 여자 월드컵 우승과 올림픽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은퇴 후에는 지도자 및 WE리그 이사로 활동하다가 오르카 카모가와 FC의 테크니컬 디렉터로 취임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선수 명단 - 남궁도
남궁도는 전북 현대 모터스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여러 국내외 팀을 거쳐 2014년에 은퇴한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1996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199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은 총 205명의 선수가 20개 종목에 출전하여 금메달 7개, 은메달 15개, 동메달 5개를 획득했다. -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2020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선수단은 금메달 6개, 은메달 4개, 동메달 10개를 획득하여 총 20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양궁에서 4개의 금메달을 거두는 등 다양한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 2004년 대한민국 -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는 2004년 국회에서 가결되었으나 헌법재판소에서 기각되어 대통령 직무가 복귀되었으며, 대한민국 정치사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이다. - 2004년 대한민국 -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부정행위 사건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부정행위 사건은 2004년 11월에 치러진 시험에서 휴대전화를 이용한 부정행위와 대리 시험 등이 발생하여 314명의 성적이 무효 처리되었고, 교육 당국은 이후 시험 제도 개선 및 처벌 강화를 시행했다.
2004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
---|---|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
기본 정보 | |
NOC | KOR |
NOC 명칭 | 대한올림픽위원회 |
웹사이트 | 대한체육회 (한국어/영어) |
올림픽 참가 횟수 | 자동 계산 |
대회 정보 | |
개최지 | 아테네 |
참가 선수 | 264명 |
참가 종목 | 25개 종목 |
기수 | 구민정 |
성적 | |
최종 순위 | 9위 |
금메달 | 9개 |
은메달 | 12개 |
동메달 | 9개 |
2. 메달 집계
대한민국은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9개, 은메달 12개, 동메달 9개를 획득하여 총 30개의 메달을 획득하였다.
메달 |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
이원희 | 유도 | 남자 73kg | |
박성현 | 양궁 | 여자 개인전 | |
이성진, 박성현, 윤미진 | 양궁 | 여자 단체전 | |
하태권, 김동문 | 배드민턴 | 남자 복식 | |
임동현, 장용호, 박경모 | 양궁 | 남자 단체전 | |
유승민 | 탁구 | 남자 단식 | |
장지원 | 태권도 | 여자 57kg | |
정지현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형 60kg | |
문대성 | 태권도 | 남자 +80kg | |
진종오 | 사격 | 남자 50m 권총 | |
이성진 | 양궁 | 여자 개인전 | |
김대은 | 체조 | 남자 개인 종합 | |
이보나 | 사격 | 여자 더블 트랩 | |
이배영 | 역도 | 남자 69kg | |
장성호 | 유도 | 남자 100kg | |
이동수, 유용성 | 배드민턴 | 남자 복식 | |
이은실, 석은미 | 탁구 | 여자 복식 | |
손승모 | 배드민턴 | 남자 단식 | |
장미란 | 역도 | 여자 +75kg | |
문의재 | 레슬링 | 남자 자유형 84kg | |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 | 핸드볼 | 여자 단체 | |
최민호 | 유도 | 남자 60kg | |
이보나 | 사격 | 여자 트랩 | |
양태영 | 체조 | 남자 개인 종합 | |
이경원, 라경민 | 배드민턴 | 여자 복식 | |
김경아 | 탁구 | 여자 단식 | |
송명섭 | 태권도 | 남자 68kg | |
황경선 | 태권도 | 여자 67kg | |
조석환 | 복싱 | 페더급 | |
김정주 | 복싱 | 웰터급 |
2. 1. 종목별 메달 집계
종목 | 참가 선수 | -- | -- | -- | 메달 합계 |
---|---|---|---|---|---|
레슬링 | 8888 | 1 | 1 | 0 | 2 |
근대5종 | 3 | 0 | 0 | 0 | 0 |
배구 | 12 | 0 | 0 | 0 | 0 |
배드민턴 | 14 | 0 | 0 | 1 | 1 |
복싱 | 11 | 0 | 0 | 0 | 0 |
사격 | 17 | 1 | 1 | 0 | 2 |
사이클 | 9 | 0 | 0 | 0 | 0 |
수영 | 18 | 0 | 0 | 0 | 0 |
양궁 | 6 | 4 | 0 | 1 | 5 |
역도 | 7 | 0 | 0 | 1 | 1 |
요트 | 4 | 0 | 0 | 0 | 0 |
유도 | 12 | 0 | 2 | 1 | 3 |
육상 | 15 | 0 | 0 | 0 | 0 |
카누 | 1 | 0 | 0 | 0 | 0 |
태권도 | 5 | 2 | 0 | 3 | 5 |
펜싱 | 14 | 1 | 0 | 1 | 2 |
합계 | 264 | 9 | 12 | 9 | 30 |
2. 2. 메달리스트
메달 | 선수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
]]|]]|]]|]]|]]|]]|]]|]]|]] || 박성현 || 양궁 || 여자 개인 | |||
-- | 임동현, 장용호, 박경모 | 양궁 | 남자 단체 |
-- | 박성현, 이성진, 윤미진 | 양궁 | 여자 단체 |
-- | 김동문, 하태권 | 배드민턴 | 남자 복식 |
-- | 이원희 | 유도 | 남자 73kg |
-- | 유승민 | 탁구 | 남자 단식 |
-- | 문대성 | 태권도 | 남자 +80 kg |
-- | 장지원 | 태권도 | 여자 57kg |
-- | 정지현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형 60kg |
]]|]]|]]|]]|]]|]]|]]|]]|]]|]]|]]|]] || 장성호 || 유도 || 남자 100kg | |||
-- | 문의제 | 레슬링 | 남자 자유형 84kg |
-- | 손승모 | 배드민턴 | 남자 단식 |
-- | 이동수, 유용성 | 배드민턴 | 남자 복식 |
-- | 진종오 | 사격 | 남자 50m 권총 |
-- | 이보나 | 사격 | 여자 더블트랩 |
-- | 이성진 | 양궁 | 여자 개인 |
-- | 장미란 | 역도 | 여자 +75Kg 이상급 |
-- | 이배영 | 역도 | 남자 69Kg 급 |
-- | 김대은 | 체조 | 남자 개인종합 |
-- | 석은미, 이은실 | 탁구 | 여자 복식 |
-- |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 | 핸드볼 | 여자 단체 |
]]|]]|]]|]]|]]|]]|]]|]]|]] || 최민호 || 유도 || 남자 60kg | |||
-- | 김경아 | 탁구 | 여자 단식 |
-- | 이보나 | 사격 | 여자 트랩 |
-- | 송명섭 | 태권도 | 남자 68kg |
-- | 황경선 | 태권도 | 여자 67kg |
-- | 라경민, 이경원 | 배드민턴 | 여자 복식 |
-- | 양태영 | 체조 | 남자 개인종합 |
-- | 김정주 | 복싱 | 69 kg (웰터급) |
-- | 조석환 | 복싱 | 57 kg (페더급) |
2004년 아테네 하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은 레슬링, 사이클, 수영, 배구, 양궁, 역도, 육상, 조정, 축구, 탁구, 태권도, 핸드볼, 유도, 근대5종, 요트, 사격,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테니스, 복싱, 체조 등 다양한 종목에 참가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3. 종목별 성적
3. 1. 레슬링
;남자 자유형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준준결승 | 준결승 | 결승 / 3-4위전 | 최종 순위 | |||
---|---|---|---|---|---|---|---|---|---|
김효섭 | 남자 자유형 −55 kg | Babak Nourzad|바바크 누르자드영어 (이란) 패 1–3 PP | Bayaraagiin Naranbaatar|바야라긴 나란바타르mn (몽골) 승 3–1 PP | 1 Q | Chikara Tanabe|타나베 치카라일본어 (일본) 패 0–4 ST | 진출 실패 | Li Zhengyu|리 정유중국어 (중국) 패 1–3 PP | 6 | |
정영호 | 남자 자유형 −60 kg | Luboš Cikel|루보스 치켈de (오스트리아) 승 3–1 PP | Kenji Inoue|이노우에 켄지일본어 (일본) 패 1–3 PP | Damir Zakhartdinov|다미르 자하르트디노프uz (우즈베키스탄) 승 5–0 VT | 2 | 진출 실패 | 7 | ||
백진국 | 남자 자유형 −66 kg | Fred Jessey|프레드 제세이영어 (나이지리아) 승 3–1 PP | Kazuhiko Ikematsu|이케마츠 카즈히코일본어 (일본) 패 1–3 PP | 2 | 진출 실패 | 14 | |||
문의재 | 남자 자유형 −84 kg | Magomed Ibragimov|모가메드 이브라기모프mk (북마케도니아) 승 3–0 PO | Miroslav Gochev|미로슬라프 고체프bg (불가리아) 승 3–1 PP | 1 Q | Taras Danko|타라스 단코uk (우크라이나) 승 3–1 PP | Sazhid Sazhidov|사지드 사지도프ru (러시아) 승 3–1 PP | Cael Sanderson|카일 샌더슨영어 (미국) 패 1–3 PP |
;남자 그레코로만형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준준결승 | 준결승 | 결승 / 3-4위전 | 최종 순위 | ||
---|---|---|---|---|---|---|---|---|
임대원 | 남자 그레코로만형 −55 kg | Nurbakyt Tengizbayev|누르바키트 텐기즈바예프kk (카자흐스탄) 승 3–1 PP | Marian Sandu|마리안 산두ro (루마니아) 승 3–1 PP | 1 Q | Gueidar Mamedaliyev|게이다르 마메달리예프ru (러시아) 패 0–3 PO | 진출 실패 | 7 | |
정지현 | 남자 그레코로만형 −60 kg | Włodzimierz Zawadzki|브워지미에르즈 자바즈키pl (폴란드) 승 3–1 PP | Vitaliy Rahimov|비탈리 라히모프az (아제르바이잔) 승 3–0 PO | 1 Q | Eusebiu Diaconu|에우세비우 디아코누ro (루마니아) 승 3–0 PO | Armen Nazaryan|아르멘 나자랸bg (불가리아) 승 3–1 PP | Roberto Monzón|로베르토 몬존es (쿠바) 승 3–0 PO | |
김인섭 | 남자 그레코로만형 −66 kg | Levente Füredy|푸레디 레벤테hu (헝가리) 승 3–1 PP | Nikolay Gergov|니콜라이 게르고프bg (불가리아) 승 3–0 PO | 1 Q | Jimmy Samuelsson|이미 사무엘손sv (스웨덴) 패 1–3 PP | 진출 실패 | Parviz Zeidvand|파르비즈 제이드반드fa (이란) 패 0–5 EV | |
최덕훈 | 남자 그레코로만형 −74 kg | Filiberto Azcuy|필리베르토 아즈쿠이es (쿠바) 패 1–3 PP | Radosław Truszkowski|라도스와프 트루슈코프스키pl (폴란드) 승 3–1 PP | 2 | 진출 실패 | 10 |
;여자 자유형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준준결승 | 준결승 | 결승 / 3-4위전 | 최종 순위 | ||
---|---|---|---|---|---|---|---|---|
이나래 | 여자 자유형 −55 kg | Anna Gomis|안나 고미프랑스어 (프랑스) 패 1–3 PP | Sofia Poumpouridou|소피아 품푸리두el (그리스) 승 5–0 VT | 2 | Sun Dongmei|선동메이중국어 (중국) 패 1–3 PP | 진출 실패 | 7 |
- '''각주'''
- PP - 판정승 (패자는 기술 점수 획득)
- PO - 판정승 (패자는 기술 점수 미획득)
- ST - 기술적 우세 (10점 차 이상으로 패자는 기술 점수 미획득)
- VT - 폴승
- EV - 규칙 위반으로 인한 실격
3. 2. 사이클
한송희는 여자 도로 경기에서 3:40:43의 기록으로 51위를 차지했다.[1]선수 | 종목 | 시간 | 순위 |
---|---|---|---|
한송희 | 여자 도로 경기 | 3:40:43 | 51 |
3. 3. 수영
대한민국 수영 선수들은 각 종목에서 최대 2명(A-표준 시간) 또는 1명(B-표준 시간)까지 출전 자격을 얻었다.[8]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승 | 결승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조성모 | 남자 1500m 자유형 | 15:43.43 | 25 | colspan=2| | 진출 실패 | ||
한규철 | 남자 200m 자유형 | 1:52.28 | 33 | 진출 실패 | |||
정두희 | 남자 100m 접영 | 54.76 | 38 | 진출 실패 | |||
남자 200m 접영 | 2:00.96 | 24 | 진출 실패 | ||||
김방현 | 남자 200m 개인 혼영 | 2:05.06 | 32 | 진출 실패 | |||
남자 400m 개인 혼영 | 4:23.05 NR | 20 | colspan=2| | 진출 실패 | |||
이충희 | 남자 50m 자유형 | 23.20 | 35 | 진출 실패 | |||
남자 100m 자유형 | 51.74 | =45 | 진출 실패 | ||||
박태환 | 남자 400m 자유형 | colspan=2| | colspan=2| | 진출 실패 | |||
성민 | 남자 100m 배영 | 56.78 | 30 | 진출 실패 | |||
남자 200m 배영 | 2:04.86 | 32 | 진출 실패 | ||||
유승훈 | 남자 100m 평영 | 1:03.56 | 31 | 진출 실패 | |||
하은주 | 여자 400m 자유형 | 4:21.65 | 32 | colspan=2| | 진출 실패 | ||
김현주 | 여자 200m 자유형 | 2:03.33 | 26 | 진출 실패 | |||
권유리 | 여자 800m 자유형 | 9:01.42 | 22 | colspan=2| | 진출 실패 | ||
여자 200m 접영 | 2:14.30 | 24 | 진출 실패 | ||||
이다혜 | 여자 200m 배영 | 2:17.73 | 25 | 진출 실패 | |||
이지영 | 여자 100m 평영 | 1:12.93 | 34 | 진출 실패 | |||
여자 200m 평영 | 2:34.55 | 24 | 진출 실패 | ||||
남유선 | 여자 400m 개인 혼영 | 4:45.16 NR | 8 Q | colspan=2| | 4:50.35 | 7 | |
박경화 | 여자 100m 접영 | 1:02.52 | 33 | 진출 실패 | |||
박나리 | 여자 200m 개인 혼영 | 2:21.48 | 26 | 진출 실패 | |||
류윤지 | 여자 50m 자유형 | 26.26 | 28 | 진출 실패 | |||
여자 100m 자유형 | 56.02 | 17 Q* | 55.85 | 15 | 진출 실패 | ||
심민지 | 여자 100m 배영 | 1:03.14 | 24 | 진출 실패 | |||
김현주, 류윤지, 심민지, 선소은 | 여자 4 × 100m 자유형 계영 | 3:44.84 | 9 | colspan=2| | 진출 실패 |
박태환은 남자 자유형 400m 예선에서 부정 출발로 실격 처리되었다.[8] 남유선은 여자 400m 개인 혼영에서 대한민국 수영 역사상 최초로 올림픽 결승에 진출하여 7위를 기록했다.[8]
3. 4. 배구
여자 대표팀은 2004년 하계 올림픽 배구에 참가하여 선전하였다.선수 명단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
레프트 | 구민정 | 1973년 8월 25일 |
레프트 | 김미진 | 1979년 7월 22일 |
레프트 | 최광희 | 1974년 5월 25일 |
라이트 | 박선미 | 1982년 2월 3일 |
라이트 | 남지연 | 1983년 5월 25일 |
센터 | 정대영 | 1981년 8월 12일 |
센터 | 김세영 | 1981년 6월 4일 |
센터 | 이숙자 | 1980년 6월 17일 |
세터 | 김사니 | 1981년 6월 21일 |
세터 | 이정옥 | 1983년 7월 19일 |
리베로 | 구기란 | 1977년 3월 10일 |
리베로 | 임유진 | 1983년 12월 24일 |
조별 예선대한민국 여자 배구 대표팀은 A조에 속하여 예선 경기를 치렀다.
상대팀 | 세트 스코어 | 경기 결과 |
---|---|---|
Italia|이탈리아it | 0-3 | 패 |
Ελλάδα|그리스el | 3-1 | 승 |
Kenya|케냐영어 | 3-0 | 승 |
日本|일본일본어 | 3-0 | 승 |
Brasil|브라질pt | 0-3 | 패 |
8강대한민국은 8강에서 러시아와 맞붙었으나, 세트 스코어 0-3으로 패하며 준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3. 5. 양궁
선수 | 종목 | 랭킹 라운드 | 64강 | 32강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동메달 결정전 | ||
---|---|---|---|---|---|---|---|---|---|---|
점수 | 시드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순위 | ||
임동현 | 개인전 | 687 WR[1] | 1 | Y. Boudane영어 (모리셔스) 승 152–109 | Α. Καραγεωργίουel (그리스) 승 171–159 | S. Prasadhi (인도) 승 167–165 | 야마모토 히로시 (일본) 패 110–111 | 진출 실패 | ||
장용호 | 671[1] | 5 | Α. Νάνοςel (그리스) 승 162–131 | 후루카와 다카하루 (일본) 승 166–163 | 팀 커디히 (오스트레일리아) 패 112–113 | 진출 실패 | ||||
박경모 | 672[1] | 4 | R. Elder영어 (피지) 승 154–138 | S. Zabrodskiykk (카자흐스탄) 승 164 (20)–164 (19) | A. Prilepaube (벨라루스) 승 173–166 | 팀 커디히 (오스트레일리아) 패 111–112 | 진출 실패 | |||
임동현 장용호 박경모 | 단체전 | 2030 WR[1] | 1 | 부전승 | 네덜란드 승 250-249 | 우크라이나 승 242-239 | 중화 타이베이 승 251-245 |
선수 | 종목 | 랭킹 라운드 | 64강 | 32강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동메달 결정전 | ||
---|---|---|---|---|---|---|---|---|---|---|
점수 | 시드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순위 | ||
이성진 | 개인전 | 675[1] | 2 | L. Banasawiar (이집트) 승 164–127 | Ε. Ρομάντζηel (그리스) 승 166–146 | M. Galinovskayaru (러시아) 승 165–154 | 우후이주중국어 (중화 타이베이) 승 104–103 | 위안수치중국어 (중화 타이베이) 승 104–98 | 박성현 (대한민국) 패 108–110 | |
박성현 | 682 WR[1] | 1 | M. Mansourar (이집트) 승 154–102 | N. Bolotovaru (러시아) 승 165–148 | N. Folkard영어 (영국) 승 171–159 | Ε. Ψαρραel (그리스) 승 111–101 | A. Williamson영어 (영국) 승 110–100 | 이성진 (대한민국) 승 110–108 | ||
윤미진 | 673[1] | 3 | H. Karasiovabe (벨라루스) 승 162–155 | 마츠시타 사야미일본어 (일본) 승 173–149 | J. Nichols영어 (미국) 승 168–162 | 위안수치중국어 (중화 타이베이) 패 105–107 | 진출 실패 | |||
이성진 박성현 윤미진 | 단체전 | 2030 WR[1] | 1 | 부전승 | 그리스 승 244-232 | 프랑스 승 249-234 | 중화인민공화국 승 241-240 |
3. 6. 역도
선수 | 세부 종목 | 인상 | 용상 | 총합 | 순위 | ||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
이배영 | –69 kg | 152.5 | 2 | 190 | 1 | 342.5 | |
김광훈 | –77 kg | 155 | =11 | 195 | =8 | 350 | 10 |
송종식 | –85 kg | 160 | =10 | 200 | =5 | 360 | 8 |
안용권 | +105 kg | 202.5 | 4 | 225 | =9 | 427.5 | 8 |
선수 | 세부 종목 | 인상 | 용상 | 총합 | 순위 | ||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
김수경 | –63 kg | 92.5 | 7 | 122.5 | =3 | 215 | 5 |
강미숙 | –69 kg | 100 | 9 | 100 | |||
김순희 | –75 kg | 112.5 | =7 | 137.5 | 6 | 250 | 7 |
장미란 | +75 kg | 130 | =1 | 172.5 | 2 | 302.5 |
수정 내용:
- 템플릿 제거: ``, `` 템플릿을 제거했습니다.
- 기타: 문법 및 오탈자를 수정했습니다.
3. 7. 육상
대한민국 선수들은 다음 육상 종목에서 출전 자격을 얻었다(각 종목별 최대 3명의 'A' 기준 선수, 1명의 'B' 기준 선수).[6][7];참고
- '''참고'''–트랙 경기의 경우 선수 본인의 히트에서만 순위가 주어짐
- '''Q''' = 다음 라운드 진출
- '''q''' = 가장 빠른 기록의 선수 또는, 필드 경기에서 예선 통과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지만 순위로 다음 라운드 진출
- '''NR''' = 대한민국 신기록
- N/A = 해당 종목에 적용되지 않는 라운드
- 불참 = 라운드에 참가할 필요가 없는 선수
;남자
;트랙 & 로드 경기
선수 | 종목 | 예선 | 준준결선 | 준결선 | 결선 |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지영준 | 마라톤 | colspan=6| | 2:16:14 | 17 | |||||
김동영 | 50km 경보 | colspan=6| | 4:05:16 | 27 | |||||
이봉주 | 마라톤 | colspan=6| | 2:15:33 | 14 | |||||
이대로 | 20km 경보 | colspan=6| | 1:28:59 | 33 | |||||
이재훈 | 800m | 1:46.24 | 3 | colspan=2| | 진출 실패 | ||||
이명승 | 마라톤 | colspan=6| | 2:21:01 | 41 | |||||
박칠성 | 20km 경보 | colspan=6| | 1:32:41 | 41 | |||||
박태경 | 110m 허들 | 13.96 | 7 | 진출 실패 | |||||
신일용 | 20km 경보 | colspan=6| | 1:28:02 | 29 |
;필드 경기
;여자
;트랙 & 로드 경기
선수 | 종목 | 결선 | |
---|---|---|---|
기록 | 순위 | ||
최경희 | 마라톤 | 2:44:05 | 35 |
정윤희 | 마라톤 | 2:38:57 | 23 |
김미정 | 20km 경보 | colspan=2| | |
이은정 | 마라톤 | 2:37:23 | 19 |
;필드 경기
선수 | 종목 | 예선 | 결선 |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장정연 | 창던지기 | 53.93 | 36 | 진출 실패 | |
이미영 | 포환던지기 | 16.35 | 28 | 진출 실패 |
3. 8. 조정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패자부활전 | 준결승 | 결승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함정욱 | 남자 싱글 스컬 | 7:50.39 | 5 | 7:11.38 | 3 | 7:33.70 | 3 | 7:10.44 | 22 |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패자부활전 | 준결승 | 결승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이윤희 | 여자 싱글 스컬 | 8:04.48 | 5 | 7:59.53 | 5 | 8:03.01 | 4 | 7:53.33 | 20 |
참가 자격 범례: '''FA'''=결승 A (메달); '''FB'''=결승 B (비메달); '''FC'''=결승 C (비메달); '''FD'''=결승 D (비메달); '''FE'''=결승 E (비메달); '''FF'''=결승 F (비메달); '''SA/B'''=준결승 A/B; '''SC/D'''=준결승 C/D; '''SE/F'''=준결승 E/F; '''R'''=패자부활전
3. 9. 축구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종목에 대한민국 대표팀이 참가했다.; 선수 명단
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
GK | 1 | 김영광 |
DF | 2 | 최원권 |
DF | 3 | 김치곤 |
DF | 4 | 박용호 |
DF | 5 | 조병국 |
MF | 6 | 유상철 |
MF | 7 | 김두현 |
FW | 8 | 정경호 |
FW | 9 | 이천수 |
FW | 10 | 최성국 |
MF | 11 | 최태욱 |
MF | 12 | 박규선 |
DF | 13 | 김동진 |
MF | 14 | 김정우 |
DF | 15 | 이정열 |
FW | 16 | 남궁도 |
FW | 17 | 조재진 |
GK | 18 | 김지혁 |
감독 | 김호곤 |
; 조별 리그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승점 |
---|---|---|---|---|---|---|---|
align=left| | 3 | 1 | 2 | 0 | 5 | 3 | 5 |
align=left| | 3 | 1 | 2 | 0 | 6 | 5 | 5 |
align=left| | 3 | 1 | 1 | 1 | 3 | 3 | 4 |
align=left| | 3 | 0 | 1 | 2 | 4 | 7 | 1 |
- '''대한민국 vs 그리스''' (2 : 2)
2004년 8월 11일 카프탄조글리오 경기장에서 열린 그리스와의 첫 경기에서 김동진과 빈트라의 자책골로 2골을 넣었으나, 타랄리디스와 파파도풀로스에게 실점하며 2:2 무승부를 기록했다.[1]
- '''대한민국 vs 멕시코''' (1 : 0)
2004년 8월 14일 카라이스카키스 경기장에서 열린 멕시코와의 경기에서는 김정우가 결승골을 기록하며 1:0 승리를 거두었다.[2]
- '''대한민국 vs 말리''' (3 : 3)
2004년 8월 17일 카프탄조글리오 경기장에서 열린 말리와의 경기에서는 조재진이 두 골을 넣고, 탐부라의 자책골을 얻어냈지만, 은디아예에게 세 골을 허용하며 3:3 무승부를 기록했다.[3]
이 경기에서 조재진 선수의 활약은 눈부셨지만, 말리의 은디아예 선수에게 해트트릭을 허용한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 8강
- '''대한민국 vs 파라과이''' (2 : 3)
2004년 8월 21일 카프탄조글리오 경기장에서 열린 파라과이와의 8강전에서는 이천수가 두 골을 넣으며 분전했지만, 바레이로에게 두 골, 카르도소에게 한 골을 허용하며 2:3으로 석패했다.[4] 이천수 선수의 멀티골에도 불구하고 파라과이에 패배한 것은 매우 아쉬운 결과였다.
3. 10. 탁구
9명의 대한민국 탁구 선수들이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복식 종목에 출전했다.;남자
선수 | 종목 | 1라운드 | 2라운드 | 3라운드 | 4라운드 | 8강 | 4강 | 결승 | |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순위 | ||
주세혁 | 단식 | 승 4–0 | 패 1–4 | 진출 실패 | |||||
오상은 | 승 4–3 | 패 2–4 | 진출 실패 | ||||||
유승민 | 승 4–0 | 승 4–3 | 승 4–2 | 승 4–1 | 승 4–2 | ||||
주세혁 오상은 | 복식 | 승 4–1 | 패 1–4 | 진출 실패 | |||||
이철승 유승민 | colspan=2 | 승 4–0 | 패 1–4 | 진출 실패 |
;여자
선수 | 종목 | 1라운드 | 2라운드 | 3라운드 | 4라운드 | 8강 | 4강 | 결승 / | |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순위 | ||
김경아 | 단식 | 승 4–1 | 승 4–1 | 승 4–1 | 패 1–4 | 승 4–1 | |||
이은실 | 패 1–4 | 진출 실패 | |||||||
윤지혜 | 패 3–4 | 진출 실패 | |||||||
김복래 김경아 | 복식 | 승 4–0 | 승 4–3 | 승 4–0 | 패 0–4 | 패 3–4 | 4 | ||
이은실 석은미 | 승 4–0 | 승 4–2 | 승 4–0 | 패 0–4 |
대한민국은 남자 단식에서 유승민이 왕하오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단식에서는 김경아가 리자웨이를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3. 11. 태권도
결과결과
결과
결과
결과
결과
승 15–13
승 13–11
패 9–9
승 8–6
승 12–7
승 7–2
승 6–2
승 5–3
승
승 9–2
승 3–2
승 2–1
승 2–1
패 8–10
승
승 6–2
승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