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4년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은 유도, 레슬링, 역도, 복싱, 다이빙, 체조, 육상, 사격, 탁구 등 다양한 종목에 출전하여 금메달 없이 은메달 1개와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계순희(유도)와 김효섭(레슬링)이 동메달을 획득했고, 리성희(역도)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복싱, 다이빙, 체조, 육상, 사격, 탁구 종목에서는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량강도 폭발 사고
    2004년 9월 9일 량강도에서 발생한 량강도 폭발 사고는 당시 북한 핵 개발 문제와 맞물려 핵 실험, 수력 발전소 건설, 탄약고 폭발 등 다양한 원인 추측을 낳았으며, 북한은 수력 발전소 건설을 위한 폭파 작업이라고 해명했다.
  • 2004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북한 인권법
    북한인권법은 북한 주민의 인권 신장, 인도적 지원, 탈북민 보호, 납북자 문제 해결 등을 목표로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는 법률로, 대한민국 북한인권법은 특정 단체에 대한 예산 지원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있다.
  •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 1972년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1972년 뮌헨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은 사격 금메달 1개와 복싱, 유도, 레슬링, 여자 배구에서 각각 동메달을 획득하며 김우길, 김용익, 김광형 등의 활약과 함께 다양한 국가와 교류했다.
  •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 1976년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1976년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복싱에서 금메달 1개와 은메달 1개를 획득했으며, 양궁, 육상, 레슬링 종목에도 출전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04년 하계 올림픽 그리스 선수단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그리스는 개최국 자격으로 선수단을 파견하여 육상, 요트 등 다양한 종목에서 금메달 6개, 은메달 6개, 동메달 4개를 획득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04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은 양궁 전 종목 석권을 포함, 다양한 종목에서 총 30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국위를 선양했다.
2004년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대회 정보
NOC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올림픽 위원회 (PRK)
NOC (영문)Olympic Committee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대회 종류하계 올림픽
개최 연도2004
개최 도시아테네
참가 선수36명
참가 종목9개
기수김성호 (개막식, 농구 임원)
웹사이트해당 정보 없음
메달 정보
순위57위
금메달0개
은메달4개
동메달1개
총 메달5개
올림픽 참가 역사
하계 올림픽 참가 횟수자동 계산
동계 올림픽 참가 횟수해당 정보 없음
첫 참가 연도해당 정보 없음
마지막 참가 연도해당 정보 없음
관련 정보
관련 항목해당 정보 없음

2. 메달리스트

메달선수종목세부 종목
-- 은메달계순희유도여자 57kg 이하급
-- 은메달리성희역도여자 58kg 이하급
-- 은메달김향미탁구여자 단식
-- 은메달김성국복싱남자 페더급
-- 동메달김정수사격남자 50m 권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은메달 4개, 동메달 1개로 총 5개의 메달을 획득하였다.[1]

2. 1. 은메달

메달선수종목세부 종목
-- 은메달계순희유도여자 57kg 이하급
-- 은메달리성희역도여자 58kg 이하급
-- 은메달김향미탁구여자 단식
-- 은메달김성국복싱남자 페더급


2. 2. 동메달

선수종목세부 종목
김정수사격남자 50m 권총


3. 종목별 결과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유도, 역도, 탁구, 복싱, 사격 등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선전했다.


  • '''유도'''에서는 계순희가 여자 -57kg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1]
  • '''역도'''에서는 리성희가 여자 -58kg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2]
  • '''탁구'''에서는 김향미가 여자 단식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1]
  • '''복싱'''에서는 김성국이 남자 페더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 '''사격'''에서는 김정수가 남자 50m 권총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1]

3. 1. 육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들은 각 종목당 최대 3명의 선수가 'A' 기준을 충족하고, 1명이 'B' 기준을 충족하여 다음과 같은 육상 종목에서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6][7]

'''참고'''

  • 트랙 종목의 순위는 선수의 예선 내 순위만을 나타낸다.
  • '''Q''' = 다음 라운드 진출
  • '''q''' = 최고 기록 탈락자 또는, 필드 종목에서, 자격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순위로 다음 라운드 진출
  • '''NR''' = 국가 기록
  • N/A = 해당 종목에 해당 라운드 없음
  • Bye = 선수가 해당 라운드에 참가할 필요 없음


선수종목기록순위
종명철마라톤2:19:4735
함봉실마라톤기권
조분희2:55:5456
정용옥2:37:5221


3. 2. 복싱

김성국은 페더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특히 준결승전에서는 세계 선수권 준우승자이자 유럽 챔피언인 비탈리 타예베르트를 꺾는 이변을 연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알렉세이 티셴코에게 패하며 은메달에 머물렀지만, 값진 성과를 거두었다.

선수종목32강전16강전8강전준결승결승순위
곽혁주라이트 플라이급
7–21
진출 실패
김성국페더급부전승
25–14

32–11

29–24

17–39


3. 3. 다이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다이빙 선수들은 다음 종목에서 4개의 개인 출전 자격을 얻었다.

'''남자'''

선수종목예선준결선결선
점수순위점수순위점수순위
최형길10m 플랫폼419.5816 Q600.3615진출 실패
박용룡414.3317 Q596.0117진출 실패



'''여자'''

선수종목예선준결선결선
점수순위점수순위점수순위
전현주10m 플랫폼272.0122진출 실패
김경주263.5225진출 실패


3. 4. 체조

체조 종목에서는 남녀 도마에 김향훈과 평양 출신의 15세 소녀 김은경이 출전했다. 김향훈은 평균 9.162점으로 71위를 기록했고, 김은경은 8.800점으로 81위를 기록했다.

3. 5. 유도

결과상대 선수
결과상대 선수
결과상대 선수
결과상대 선수
결과상대 선수
결과상대 선수
결과상대 선수
결과순위박남철−60 kg루니피 (TUN)
0001–1000진출 실패



;여자

선수종목32강16강8강준결승패자부활전 1패자부활전 2패자부활전 3결승 / 동메달 결정전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상대 선수
결과
순위
리경옥−48 kg이을디즈 (TUR)
0021–0111
진출 실패
리상심−52 kg요코사와 (JPN)
0000–1000
진출 실패디에디우 (SEN)
0020–0000
싱글턴 (GBR)
0010–0011
진출 실패
계순희−57 kg베지나 (MLT)
1010–0000
유하레바 (RUS)
0031–0010
콕스 (GBR)
1010–0010
루페테이 (CUB)
1000–0000
부전승뵨니슈 (GER)
0010–0011
홍옥성−63 kg스카핀 (ITA)
0001–0000
몰러 (RSA)
1000–0000
하일 (AUT)
0010–0100
진출 실패부전승로우지 (USA)
0010–0001
곤잘레스 (CUB)
0000–1010
진출 실패
김련미−70 kg부전승모레이라 (ANG)
1010–0000
알로브 (AUS)
0100–1000
진출 실패부전승파조우토바 (CZE)
0100–0011
자크 (BEL)
0030–0110
진출 실패



메달선수종목세부 종목
2-- 은메달계순희유도여자 57kg 이하급


3. 6. 사격

김정수가 남자 사격 50m 권총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남자 2명, 여자 1명, 총 3명의 선수가 사격 종목에 출전했다.[1]

선수종목예선 점수예선 순위결선 점수결선 순위
김현웅10m 공기 권총583=4 Q6826
25m 속사 권총57216진출 실패
50m 권총553=18진출 실패
김정수10m 공기 권총582=6 Q681.28
50m 권총564=3 Q657.7



선수종목예선 점수예선 순위결선 점수결선 순위
리현옥스키트68 (2)7진출 실패


3. 7. 탁구

탁구 종목에는 김향미를 포함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 4명이 출전했다. 김향미는 여자 단식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1]

선수종목1라운드2라운드3라운드4라운드8강4강결승 / 동메달 결정전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순위
오일남자 단식(콩고민주공화국)
4–0
(홍콩)
1–4
진출 실패
김향미여자 단식부전승(헝가리)
4–1
(루마니아)
4–2
(중화인민공화국)
4–0
(싱가포르)
4–2
(싱가포르)
4–3
(중화인민공화국)
0–4
김현희부전승(싱가포르)
4–2
(홍콩)
0–4
진출 실패
김윤미부전승(나이지리아)
4–1
(중화인민공화국)
2–4
진출 실패
김향미, 김현희여자 복식부전승(뉴질랜드)
4–1
(대한민국)
1–4
진출 실패


3. 8. 역도

리성희는 여자 -58kg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인상에서 102.5kg으로 2위, 용상에서 130kg으로 1위를 기록하여 합계 232.5kg을 기록했다.[2]

임용수는 남자 -62kg급에 출전하였으나, 인상에서 140kg으로 공동 2위를 기록했지만 용상에서는 기록을 세우지 못해 실격(DNF) 처리되었다.[2]

최은심은 여자 -48kg급에 출전하여 인상 82.5kg(공동 4위), 용상 95kg(공동 10위)로 합계 177.5kg을 기록하며 8위에 올랐다.[2]

박현숙은 여자 -58kg급에 출전하여 인상 95kg(공동 6위), 용상 122.5kg(공동 5위)로 합계 217.5kg을 기록하며 6위를 차지했다.[2]

선수종목인상용상합계순위
기록순위기록순위
임용수남자 −62 kg140=2170140
최은심여자 −48 kg82.5=495=10177.58
박현숙여자 −58 kg95=6122.5=5217.56
리성희여자 −58 kg102.5=2130=1232.5


3. 9. 레슬링

오성남은 남자 자유형 –55 kg급에 출전하였다. 예선 풀에서 그리스의 아미란 카르다노프에게 1–3 판정패(기술 점수 차)를 당했지만, 아르메니아의 마르틴 베르베리안에게 3-1 판정승(기술 점수 차)을 거두고, 튀르키예의 하룬 도안에게는 5-0 부상 기권승을 거두며 2위를 기록, 8강 진출에는 실패하였다. 최종 순위는 8위이다.[1]

선수종목상대 선수국가결과순위
오성남–55 kg아미란 카르다노프 1–3 PP2
마르틴 베르베리안 3–1 PP
하룬 도안 5–0 VB



* PP: 판정승 - 기술 점수 차, VB: 부상으로 인한 기권승

참조

[1] 뉴스 Athens Games: Opening Ceremonies / Flame lights a Greek revival http://www.sfgate.co[...] San Francisco Chronicle 2014-04-20
[2] 뉴스 Asian Games organizers ask IOC to bring in NKorea http://wintergames.a[...] Associated Press 2014-04-20
[3] 뉴스 North and South Korea to march together at Olympic opening ceremony http://english.pravd[...] Pravda 2014-04-20
[4] 웹사이트 2004 Athens: Medal Tally http://content.usato[...] USA Today 2014-04-01
[5] 뉴스 Kye Sun Hui pinned high hope to win gold at Olympics for DPRK https://web.archive.[...] Xinhua 2014-04-20
[6] 웹사이트 iaaf.org – Top Lists http://www.iaaf.org/[...] IAAF 2011-06-04
[7] 웹사이트 IAAF Games of the XXX Olympiad – Athens 2004 Entry Standards http://www.iaaf.org/[...] IAAF 2011-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