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7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는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AFF)이 주최한 대회로, 예선과 본선으로 진행되었다. 예선은 2006년 11월 필리핀 바콜로드에서 개최되었으며, 라오스와 필리핀이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에는 예선을 통과한 두 팀과 자동 진출한 여섯 팀(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미얀마,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이 참가했다. 싱가포르는 결승전에서 태국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노 알람 샤가 최우수 선수와 득점왕을 동시에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7년 싱가포르 - 아세안 헌장
아세안 헌장은 아세안 회원국 간 협력을 위한 법적 기반으로, 지역 평화와 안정 유지, 경제·사회·문화적 발전을 목표로 하며, 경제 성장 및 인권과 사회 정의를 강조하지만, 회원국 간 불균형 심화 및 인권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 2007년 태국 - 2007년 AFC 아시안컵
2007년 AFC 아시안컵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4개국 공동 개최, 새로운 시드 배정 방식과 디펜딩 챔피언 자동 출전권 폐지 등의 변화, 이라크의 우승과 유니스 마무드의 최우수 선수 선정, 그리고 이라크 전쟁 이후 이라크의 승리라는 의미를 지닌 아시아 축구 연맹 주최의 국제 축구 대회이다. - 2007년 태국 - 200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200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는 "하나가 되자"라는 슬로건 아래 태국 방콕에서 개최된 국제 대학 스포츠 대회로, 150개국 선수들이 참가하여 다양한 종목에서 경쟁했으며, 대한민국은 종합 5위를 기록했다. -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1996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1996년 9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제1회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에서 태국이 말레이시아를 꺾고 우승했으며, 자이날 아비딘 하산이 최우수 선수상, 네티퐁 스리통인이 득점왕을 차지했다. -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머라이언컵
머라이언컵은 싱가포르 축구 협회가 주최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초기에는 아시아 국가대표팀 초청 대회였으나 재정 및 일정 문제로 중단과 재개를 반복하다 2019년부터 U-22 토너먼트 형식으로 변경되어 이어지고 있다.
2007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요약 | |
대회 명칭 | 2007 아세안 축구 선수권 대회 |
기타 명칭 | 2007 끄조하나 볼라 세팍 아세안 (2007 Kejohanan Bola Sepak ASEAN, 말레이어) 2007 동맹 축구 금표새 (2007 東盟足球錦標賽, 중국어) 2007 에시아안 칼파 코파이 (2007 ஏசியான் கால்ப கோப்பை, 타밀어) 2007 아세안 푸트본챔피안십 (2007 อาเซียนฟุตบอลแชมเปียนชิพ, 태국어) |
![]() | |
개최국 | 싱가포르 (조별 리그) 태국 (조별 리그) |
개최 기간 | 2007년 1월 12일 – 2007년 2월 4일 |
참가 팀 수 | 8 |
경기장 수 | 4 |
개최 도시 수 | 3 |
대회 결과 | |
우승 | 싱가포르 (3회 우승) |
준우승 | 태국 |
득점왕 | 노 알람 샤 (10골) |
최우수 선수 | 노 알람 샤 |
대회 통계 | |
총 경기 수 | 18 |
총 득점 수 | 50 |
이전 및 다음 대회 | |
이전 대회 | 2004 |
다음 대회 | 2008 |
2. 대회 진행 방식
2007년 대회는 예선과 본선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예선은 2006년 11월 12일부터 11월 20일까지 필리핀 바콜로드에서 진행되었으며, 라오스, 필리핀, 캄보디아, 브루나이, 동티모르 5개국이 참가하여 풀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예선 결과, 라오스와 필리핀이 본선에 진출하였다.
2. 1. 예선
2007년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의 예선은 2006년 11월 12일부터 11월 20일까지 필리핀 바콜로드에서 개최되었다. 동남아시아 하위 5개국이 참가하여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상위 2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이는 1998년 이후 처음으로 예선 토너먼트가 개최된 것이다.본선에는 6개 팀이 자동 진출했고, 예선을 통해 2개 팀(라오스, 필리핀)이 추가로 진출했다. 자동 진출한 6개 팀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미얀마,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이다.
2. 1. 1. 예선 참가국 및 결과
2006년 11월 12일부터 11월 20일까지 필리핀 바콜로드에서 2007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의 예선이 진행되었다. 라오스, 필리핀, 캄보디아, 브루나이, 동티모르 5개국이 참가하여 풀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그 결과, 라오스와 필리핀이 본선에 진출하였다.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
2006년 11월 12일 | 필리핀 | 1 – 2 | 라오스 | 파나드 경기장, 바콜로드 |
2006년 11월 12일 | 동티모르 | 2 – 3 | 브루나이 | 파나드 경기장, 바콜로드 |
2006년 11월 14일 | 필리핀 | 7 – 0 | 동티모르 | 파나드 경기장, 바콜로드 |
2006년 11월 14일 | 캄보디아 | 2 – 2 | 라오스 | 파나드 경기장, 바콜로드 |
2006년 11월 16일 | 라오스 | 3 – 2 | 동티모르 | 파나드 경기장, 바콜로드 |
2006년 11월 16일 | 브루나이 | 1 – 1 | 캄보디아 | 파나드 경기장, 바콜로드 |
2006년 11월 18일 | 필리핀 | 1 – 0 | 캄보디아 | 파나드 경기장, 바콜로드 |
2006년 11월 18일 | 브루나이 | 1 – 4 | 라오스 | 파나드 경기장, 바콜로드 |
2006년 11월 20일 | 필리핀 | 4 – 1 | 브루나이 | 파나드 경기장, 바콜로드 |
2006년 11월 20일 | 동티모르 | 1 – 4 | 캄보디아 | 파나드 경기장, 바콜로드 |
2. 2. 본선
본선에는 예선을 통과한 2개국(라오스, 필리핀)과 자동 진출한 6개국(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미얀마,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이 참가했다.조별 리그는 2007년 1월 12일부터 17일까지 태국과 싱가포르에서 공동 개최되었다. 두 국가는 1996년 대회 시작 이후 우승을 차지한 경험이 있는 팀들이다. 이후 말레이시아와 베트남과 함께 조별 리그를 통과했고, 2007년 1월 23일부터 28일까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토너먼트 단계를 개최하게 되었다.
다음은 본선에 진출한 8개 팀과 각 팀의 이전 최고 성적이다.
국가 | 이전 최고 성적 |
---|---|
태국 | 우승 (1996년, 2000년, 2002년) |
싱가포르 | 우승 (1998년, 2004년) |
인도네시아 | 준우승 (2000년, 2002년, 2004년) |
말레이시아 | 준우승 (1996년) |
미얀마 | 4위 (2004년) |
베트남 | 준우승 (1998년) |
라오스 | 조별 리그 (1996년, 1998년, 2000년, 2002년, 2004년) |
필리핀 | 조별 리그 (1996년, 1998년, 2000년, 2002년, 2004년) |
2. 2. 1. 조별 리그
8개 팀이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했다. 각 조 상위 2개 팀이 준결승에 진출했다.[1]조별 순위표 색상 안내 |
---|
상위 2개 팀이 준결승 진출 |
2007년 1월 12일 | |||
---|---|---|---|
16:30영어 | 말레이시아 4 – 0 필리핀 | 수파찰라사이 국립경기장, 방콕 | [1] |
19:00영어 | 태국 1 – 1 미얀마 | 수파찰라사이 국립경기장, 방콕 | [1] |
2007년 1월 14일 | |||
16:30영어 | 말레이시아 0 – 0 미얀마 | 수파찰라사이 국립경기장, 방콕 | [1] |
19:00영어 | 태국 4 – 0 필리핀 | 수파찰라사이 국립경기장, 방콕 | [1] |
2007년 1월 16일 | |||
19:00영어 | 미얀마 0 – 0 필리핀 | 태국 육군 스포츠 스타디움, 방콕 | [1] |
19:00영어 | 태국 1 – 0 말레이시아 | 수파찰라사이 국립경기장, 방콕 | [1] |
2. 2. 2. 결선 토너먼트
준결승전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차전은 2007년 1월 23일 말레이시아 샤알람의 샤알람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가 1-1 무승부를 기록했다.[1] 같은 날 1월 24일 베트남 하노이의 미딘 국립경기장에서는 베트남과 태국이 맞붙어 태국이 2-0으로 승리했다.[2]2차전은 2007년 1월 27일 싱가포르 싱가포르 국립경기장에서 열렸으며,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가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1-1로 비겼고, 승부차기에서 싱가포르가 5-4로 승리했다. 1월 28일 태국 방콕의 수파찰라사이 경기장에서는 태국과 베트남이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결승전 역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차전은 2007년 1월 31일 싱가포르 싱가포르 국립경기장에서 열려 싱가포르가 태국을 2-1로 꺾었다. 2차전은 2007년 2월 4일 태국 방콕의 수파찰라사이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양 팀은 1-1로 비겼다. 최종 결과, 싱가포르가 합계 3-2로 우승을 차지했다.
팀 | 1차전 | 2차전 | 합계 |
---|---|---|---|
태국 | 2 - 0 | 0 - 0 | 2 - 0 |
베트남 | colspan="3" | | ||
싱가포르 | 1 - 1 | 1 - 1 (승부차기 5 - 4) | 2 - 2 (승부차기 5 - 4) |
말레이시아 | colspan="3" | |
싱가포르
3. 대회 결과
3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