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남자 그레코로만형 96kg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남자 그레코로만형 96kg급 경기는 2008년 8월 14일 중국 베이징의 중국 농업대학 체육관에서 열렸다. 러시아의 아슬람베크 후슈토프가 결승에서 독일의 미르코 엥글리히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은메달은 엥글리히, 동메달은 미국의 애덤 휠러와 체코의 마레크 슈베츠가 각각 차지했다. 대한민국의 한태영은 5위를 기록했다. 원래 동메달을 획득한 아세트 맘베토프는 2016년 도핑으로 인해 실격 처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55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55kg급은 8월 16일에 진행된 경기이며, 요시다 사오리가 금메달, 쉬 리가 은메달, 토냐 베르비크와 재클린 렌테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48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48kg급 경기는 2008년 8월 16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렸으며, 캐럴 윈이 금메달을, 마리야 스타드니크와 이리나 메를레니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레슬링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55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55kg급은 8월 16일에 진행된 경기이며, 요시다 사오리가 금메달, 쉬 리가 은메달, 토냐 베르비크와 재클린 렌테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레슬링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48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48kg급 경기는 2008년 8월 16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렸으며, 캐럴 윈이 금메달을, 마리야 스타드니크와 이리나 메를레니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레슬링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55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55kg급은 8월 16일에 진행된 경기이며, 요시다 사오리가 금메달, 쉬 리가 은메달, 토냐 베르비크와 재클린 렌테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레슬링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48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48kg급 경기는 2008년 8월 16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렸으며, 캐럴 윈이 금메달을, 마리야 스타드니크와 이리나 메를레니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남자 그레코로만형 96kg급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2008년 하계 올림픽 남자 그레코로만형 96kg급 | |
대회 | 2008년 하계 올림픽 |
종목 | 레슬링 |
세부 종목 | 남자 그레코로만형 96kg급 |
image_file | Wrestling pictogram.svg |
alt | Beijing 2008 Greco-Roman 84-96kg Men |
경기장 | 중국 농업대학 체육관 |
날짜 | 2008년 8월 14일 |
참가 선수 | 20 |
참가 국가 | 20 |
이전 대회 | 2004 |
다음 대회 | 2012 |
메달리스트 | |
금메달 | 아슬란베크 후시토프 |
금메달 국가 | RUS |
은메달 | 미르코 잉글리치 |
은메달 국가 | GER |
동메달 | 애덤 휠러 |
동메달 국가 | USA |
동메달2 | 마레크 슈베츠 |
동메달 국가2 | CZE |
2. 경기장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남자 그레코로만형 96kg급 경기는 개최 도시인 베이징에 있는 중국 농업대학 체육관에서 열렸다.
도시 | 경기장 | 비고 |
---|---|---|
베이징 (Beijing) | 중국 농업대학 체육관 (China Agricultural University Gymnasium) | 전 경기 |
모든 시간은 중국 표준시(UTC+08:00)를 기준으로 한다.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남자 그레코로만형 96kg급 경기는 16강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패자부활전을 통해 동메달 결정전 진출자를 가렸다. 본선 토너먼트는 상위 블록과 하위 블록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3. 경기 일정
날짜 시간 경기 2008년 8월 14일 09:30 예선 16:00 패자부활전 17:00 결승전
4. 경기 결과
상위 블록에서는 독일의 미르코 잉글리치가, 하위 블록에서는 러시아의 아슬란베크 후시토프가 각각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아슬란베크 후시토프가 미르코 잉글리치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잉글리치는 은메달을 차지했다.
동메달은 패자부활전을 통해 결정되었다. 미국의 애덤 휠러와 카자흐스탄의 아세트 맘베토프가 각각 동메달 결정전에서 승리하여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대한민국의 한태영은 패자부활전을 통해 동메달 결정전에 진출했으나 애덤 휠러에게 패배하여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상세한 경기 진행 및 결과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본선
본선 토너먼트는 16강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상위 블록과 하위 블록으로 나뉘어 각 블록의 승자가 결승에서 맞붙었다. 상세한 경기 결과는 아래 하위 섹션의 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위 블록에서는 미르코 잉글리치 (독일)가 결승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의 한태영은 16강전에서 잉글리치에게 패배하여 패자부활전으로 밀려났다. 잉글리치는 이후 엘리스 구리 (알바니아)와 애덤 휠러 (미국)를 차례로 꺾고 결승에 올랐다.
하위 블록에서는 예선전을 거쳐 올라온 선수들을 포함하여 경쟁했으며, 아슬란베크 후시토프 (러시아)가 최종 승자가 되었다. 후시토프는 16강에서 다이고로 티몬치니 (이탈리아), 8강에서 민다우가스 에제르스키스 (리투아니아), 준결승에서 마레크 슈베츠 (체코)를 연달아 이기고 결승에 진출했다. 특히 준결승에서는 슈베츠를 상대로 폴승을 거두었다.
결승전에서는 아슬란베크 후시토프가 미르코 잉글리치를 세트 스코어 2-0 (6-0, 3-0)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패자부활전을 통해 동메달 결정전 진출자가 가려졌다. 상위 블록 패자부활전에서는 애덤 휠러 (미국)가 한태영 (대한민국)을 이기고 동메달 결정전에 진출했다. 하위 블록 패자부활전에서는 아세트 맘베토프 (카자흐스탄)가 민다우가스 에제르스키스 (리투아니아)를 꺾고 동메달 결정전에 올랐다. 동메달 결정전 결과는 패자부활전 및 동메달 결정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1. 상위 블록
라운드 | 선수 1 | 세트 1 | 세트 2 | 세트 3 | 선수 2 | 세트 1 | 세트 2 | 세트 3 |
---|---|---|---|---|---|---|---|---|
16강 | 한태영 (대한민국) | 1 | 2 | - | 미르코 엥글리히 (독일) | 2 | 2 | - |
엘리스 구리 (알바니아) | 2 | 2 | 1 | 카람 가베르 (이집트) | 4 | 1 | 1 | |
러요시 비라그 (헝가리) | 1 | 1 | 1 | 애덤 휠러 (미국) | 1 | 1 | 1 | |
사미르 부게라 (알제리) | 0 | 0 | - | 장화천 (중화인민공화국) | 5 | 3 | - | |
8강 | 미르코 엥글리히 (독일) | 1 | 6 | 1 | 엘리스 구리 (알바니아) | 1 | 0 | 1 |
애덤 휠러 (미국) | 0 | 4 | 1 | 장화천 (중화인민공화국) | 7 | 2 | 1 | |
준결승 | 미르코 엥글리히 (독일) | 2 | 2 | - | 애덤 휠러 (미국) | 1 | 1 | - |
4. 1. 2. 하위 블록
'''예선'''선수 1 | 국적 | 선수 2 | 국적 | 피리어드 1 | 피리어드 2 | 피리어드 3 |
---|---|---|---|---|---|---|
다이고로 티몬치니 | 가토 겐조 | 2-0 | 6-0 | — | ||
아세트 맘베토프 | 아슬람베크 후슈토프 | 0-5 | 0-5 | — | ||
가셈 레자에이 | 민다우가스 에제르스키스 | 1-1 | 2-1 | 1-1 | ||
올레흐 크리요카 | 메흐메트 외잘 | 2-4 | 2-1 | 1-1 |
'''16강'''
선수 1 | 국적 | 선수 2 | 국적 | 피리어드 1 | 피리어드 2 | 피리어드 3 |
---|---|---|---|---|---|---|
한태영 | 미르코 잉글리치 | 1-2 | 2-2 | — | ||
엘리스 구리 | 카람 가베르 | 2-4 | 2-1 | 1-1 | ||
비라그 러요시 | 애덤 휠러 | 1-1 | 1-1 | 1-1 | ||
사미르 보구에라 | 장화천 | 0-5 | 0-3 | — | ||
라마즈 노자제 | 테오도로스 투누시디스 | 1-1 | 2-2 | — | ||
마레크 슈베츠 | 칼로얀 딘체프 | 4-1 | 1-3 | 1-1 | ||
다이고로 티몬치니 | 아슬람베크 후슈토프 | 0-4 | 0-4 | — | ||
민다우가스 에제르스키스 | 메흐메트 외잘 | 2-2 | 2-1 | 3-1 |
'''8강'''
선수 1 | 국적 | 선수 2 | 국적 | 피리어드 1 | 피리어드 2 | 피리어드 3 |
---|---|---|---|---|---|---|
미르코 잉글리치 | 엘리스 구리 | 1-1 | 6-0 | 1-1 | ||
애덤 휠러 | 장화천 | 0-7 | 4-2 | 1-1 | ||
라마즈 노자제 | 마레크 슈베츠 | 1-1 | 1-1 | 1-2 | ||
아슬람베크 후슈토프 | 민다우가스 에제르스키스 | 4-0 | 5-0 | — |
'''4강'''
선수 1 | 국적 | 선수 2 | 국적 | 피리어드 1 | 피리어드 2 | 피리어드 3 |
---|---|---|---|---|---|---|
미르코 잉글리치 | 애덤 휠러 | 2-1 | 2-1 | — | ||
마레크 슈베츠 | 아슬람베크 후슈토프 | 0-5F | — | — |
'''범례'''
- '''F''' — 폴 승
4. 2. 패자부활전
패자부활전은 두 그룹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그룹의 승자가 동메달 결정전에 진출했다.'''그룹 1'''
- '''1회전''': 한태영 (KOR)이 부전승으로 2회전에 진출했다.
- '''2회전''': 한태영 (KOR)이 엘리스 구리 (ALB)를 상대로 기간 점수 '''1'''-1, 1-'''1''', '''3'''-1 로 승리하여 동메달 결정전에 진출했다.
- '''동메달 결정전''': 애덤 휠러 (USA)가 한태영 (KOR)을 상대로 기간 점수 '''2'''-1, '''4'''-1 로 승리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룹 2'''
- '''1회전''': 아세트 맘베토프 (KAZ)가 디아고로 티몬치니 (ITA)를 상대로 기간 점수 '''2'''-1, '''2'''-0 로 승리하여 2회전에 진출했다.
- '''2회전''': 아세트 맘베토프 (KAZ)가 민다우가스 에제르스키스 (LTU)를 상대로 기간 점수 1-'''2''', '''1'''-1, '''3'''-1 로 승리하여 동메달 결정전에 진출했다.
- '''동메달 결정전''': 아세트 맘베토프 (KAZ)가 마레크 슈베츠 (CZE)를 상대로 기간 점수 '''1'''-1, '''6'''-0 로 승리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4. 3. 결승전
결승전에서는 러시아의 아슬람베크 후슈토프가 독일의 미르코 엥글리히를 상대로 1라운드 6-0, 2라운드 3-0으로 승리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5. 최종 순위
wikitext
순위 | 선수 |
---|---|
-- 아슬람베크 후슈토프 (RUS) | |
-- 미르코 엥글리히 (GER) | |
-- 아담 휠러 (USA) | |
-- 마레크 슈베츠 (CZE) | |
5 | -- 한태영 (KOR) |
6 | -- 민다우가스 에제르스키스 (LTU) |
7 | -- 엘리스 구리 (ALB) |
8 | -- 장화천 (CHN) |
9 | -- 메흐메트 외잘 (TUR) |
10 | -- 다이고로 티몬치니 (ITA) |
11 | -- 라마즈 노자제 (GEO) |
12 | -- 카람 가베르 (EGY) |
13 | -- 칼로얀 딘체프 (BUL) |
13 | -- 올레크 크리오카 (UKR) |
15 | -- 가셈 레자에이 (IRI) |
16 | -- 테오도로스 투누시디스 (GRE) |
16 | -- 러요시 비라그 (HUN) |
18 | -- 사미르 부게라 (ALG) |
18 | -- 가토 겐조 (JPN) |
DQ | -- 아세트 맘베토프 (KAZ) |
- 카자흐스탄의 아세트 맘베토프는 원래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2016년 11월 도핑 검사에서 금지 약물인 스타노조롤 양성 반응이 나와 실격 처리되었다.[1][2]
6. 메달리스트
참조
[1]
웹사이트
IOC sanctions 16 athletes for failing anti-doping test at Beijing 2008
https://www.olympic.[...]
IOC
2016-11-17
[2]
웹사이트
IOC Sanctions Wrestlers for Anti-Doping Violations at Beijing 2008 and London 2012
https://unitedworldw[...]
FILA
2016-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