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경기는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항공항천대학 체육관에서 진행되었으며, 2008년 8월 12일에 B조와 A조 경기가 치러졌다. 박현숙(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금메달, 루잉치(중화 타이베이)가 은메달, 크리스틴 지라드(캐나다)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리나 네크라소바(카자흐스탄)는 도핑 양성 반응으로 실격 처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여자 역도 -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53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53kg급 경기는 프라파와디 자로엔라타나타라쿤이 금메달을, 윤진희가 은메달을, 나스타샤 노비카바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노비카바는 약물 검사로 실격 처리되었다. - 2008년 여자 역도 -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48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48kg급은 베이징 항공항천대학 체육관에서 개최되어 천셰샤가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도핑으로 실격 처리되어 천웨이링, 임정화, 펜시리 라오시리쿨이 메달을 획득하였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53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53kg급 경기는 프라파와디 자로엔라타나타라쿤이 금메달을, 윤진희가 은메달을, 나스타샤 노비카바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노비카바는 약물 검사로 실격 처리되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48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48kg급은 베이징 항공항천대학 체육관에서 개최되어 천셰샤가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도핑으로 실격 처리되어 천웨이링, 임정화, 펜시리 라오시리쿨이 메달을 획득하였다. - 올림픽 역도 - 2016년 하계 올림픽 역도
2016년 하계 올림픽 역도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남자 8체급과 여자 7체급으로 나뉘어 진행된 역도 경기로, 26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중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윤진희의 동메달로 종합 15위를 기록했으며 도핑 문제로 순위가 변경되기도 했다. - 올림픽 역도 - 1896년 하계 올림픽 역도
1896년 하계 올림픽 역도는 아테네 파나티나이코 스타디움에서 남자 경기만 진행되었으며, 한손과 양손 두 종목에 5개국 7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비고 옌센과 론세스톤 엘리엇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여자 63kg 역도 |
대회 | 2008년 하계 올림픽 |
경기장 | 베이징 항공항천대학 체육관 |
날짜 | 8월 12일 |
참가 선수 | 20 |
참가 국가 | 18 |
메달리스트 | |
금메달 | 박현숙 |
금메달 국가 | PRK |
은메달 | 루일치 |
은메달 국가 | TPE |
동메달 | 크리스틴 지라드 |
동메달 국가 | CAN |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 |
이전 대회 | 2004 |
다음 대회 | 2012 |
2. 경기장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경기는 베이징 베이징 항공항천대학 체육관에서 열렸다.
2. 1. 베이징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경기장
도시 | 경기장 | 비고 |
---|---|---|
베이징 | 베이징 항공항천대학 체육관 | 전 경기 |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경기는 중국 표준시(UTC+8) 기준으로 2008년 8월 12일에 진행되었다.
3. 경기 일정
3. 1.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경기 일정
모든 경기는 중국 표준시(UTC+8) 기준이다.
4. 기록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경기에서는 신기록이 경신되지 않았다.
4. 1. 경기 전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
구분 | 종목 | 선수 | 국가 | 기록 | 장소 | 날짜 |
---|---|---|---|---|---|---|
세계 기록 | 인상 | 파위나 통숙 | Pawina Thongsuk|파위나 통숙th (타이) | 116kg | 카타르 도하 | 2005년 11월 12일 |
용상 | 파위나 통숙 | Pawina Thongsuk|파위나 통숙th (타이) | 142kg | 카타르 도하 | 2006년 12월 4일 | |
합계 | 류하이샤 | Liu Haixia|류하이샤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 257kg | 타이 치앙마이 | 2007년 9월 23일 | |
올림픽 기록 | 인상 | 한나 바시우슈카 (벨라루스) | 2004년 아테네 올림픽 | 115kg | 그리스 아테네 | 2004년 8월 18일 |
용상 | 나탈리야 스카쿤 (우크라이나) | 2004년 아테네 올림픽 | 135kg | 그리스 아테네 | 2004년 8월 18일 | |
합계 | 천샤오민 (중화인민공화국) | 2000년 시드니 올림픽 | 242.5kg |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2000년 9월 19일 |
4. 2. 올림픽 기록 경신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경기에서는 신기록이 경신되지 않았다.5. 출전 선수
순위 | 선수 | 국적 | 생년월일 | 최고기록[3] | 비고 |
---|---|---|---|---|---|
1 | 레일라 라스와니 | 알제리 | 1977년 7월 29일 (31세) | 225kg | 와일드 카드 |
2 | 마리아 테레사 모나스테리오 | 볼리비아 | 1969년 10월 15일 (38세) | 와일드 카드 | |
3 | 크리스틴 지라드 | 캐나다 | 1985년 1월 3일 (23세) | 221kg | |
4 | 미카엘라 브리즈 | 영국 | 1979년 5월 17일 (29세) | 219kg | -- 2003년 유럽 역도 선수권 대회 -- 2006년 영연방 게임 와일드 카드 |
5 | 마야 마네자 | 카자흐스탄 | 1985년 11월 1일 (22세) | ||
6 | 이리나 네크라소바 | 카자흐스탄 | 1988년 3월 1일 (20세) | ||
7 | 김수경 | 대한민국 | 1985년 8월 6일 (23세) | 224kg | |
8 | 루스 아코스타 | 멕시코 | 1980년 12월 22일 (27세) | 220kg | |
9 | 남카이도르지인 바야르마 | 몽골 | 1978년 6월 1일 (30세) | 207kg | |
10 | 박현숙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985년 8월 4일 (23세) | 240kg | -- 2007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11 | 루트 카시리에 | 노르웨이 | 1982년 6월 10일 (26세) | 222kg | -- 2007년 유럽 역도 선수권 대회 (-58kg) |
12 | 도미니카 미스테르스카 | 폴란드 | 1979년 7월 20일 (29세) | 227.5kg | -- 2006년 유럽 역도 선수권 대회 |
13 | 스베틀라나 차루카예바 | 러시아 | 1987년 12월 25일 (20세) | 250kg | -- 2006년 (-58kg) / 2007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14 | 루잉치 | 중화 타이베이 | 1985년 4월 6일 (23세) | 215kg | |
15 | 하네네 오우에르펠리 | 튀니지 | 1986년 1월 8일 (22세) | 201kg | |
16 | 카리사 검프 | 미국 | 1983년 8월 24일 (24세) | 204kg | |
17 | 나탈리 울포크 | 미국 | 1983년 11월 7일 (24세) | 210kg | |
18 | 솔레니 비야스밀 | 베네수엘라 | 1981년 5월 12일 (21세) | 216kg | |
19 | 응우옌티티엣 | 베트남 | 1984년 10월 27일 (23세) | 225kg |
6. 경기 결과
순위 | 선수 | 조 | 몸무게 | 인상 (kg) | 용상 (kg) | 합계 (kg) | ||||||
---|---|---|---|---|---|---|---|---|---|---|---|---|
1 | 2 | 3 | 기록 | 1 | 2 | 3 | 기록 | |||||
박현숙 (PRK) | A | 61.80 | 102.0 | 106.0 | 106.0 | 135.0 | 135.0 | 241.0 | ||||
루잉치 (TPE) | A | 62.46 | 98.0 | 102.0 | 104.0 | 104.0 | 127.0 | 127.0 | 231.0 | |||
크리스틴 지라드 (CAN) | A | 62.44 | 96.0 | 99.0 | 102.0 | 102.0 | 126.0 | 126.0 | 228.0 | |||
4 | 응우옌 티 텟 (VIE) | A | 62.49 | 98.0 | 100.0 | 100.0 | 120.0 | 125.0 | 125.0 | 225.0 | ||
5 | 김수경 (KOR) | A | 62.74 | 98.0 | 98.0 | 127.0 | 127.0 | 225.0 | ||||
6 | 루스 카시리예 (NOR) | A | 62.62 | 99.0 | 103.0 | 103.0 | 121.0 | 121.0 | 224.0 | |||
7 | 루스 아코스타 (MEX) | B | 62.84 | 100.0 | 103.0 | 103.0 | 120.0 | 120.0 | 223.0 | |||
8 | 메르세데스 페레스 (COL) | A | 62.48 | 93.0 | 97.0 | 97.0 | 120.0 | 120.0 | 217.0 | |||
9 | 남카이다르지 바야르마 (MGL) | B | 62.50 | 90.0 | 90.0 | 118.0 | 121.0 | 123.0 | 123.0 | 213.0 | ||
10 | 도미니카 미스테르스카 (POL) | B | 62.60 | 92.0 | 94.0 | 94.0 | 115.0 | 117.0 | 117.0 | 211.0 | ||
11 | 내털리 울포크 (USA) | B | 62.72 | 93.0 | 97.0 | 97.0 | 107.0 | 111.0 | 114.0 | 114.0 | 211.0 | |
12 | 솔렌니 비야스밀 (VEN) | B | 62.60 | 90.0 | 90.0 | 115.0 | 115.0 | 205.0 | ||||
13 | 캐리사 검프 (USA) | B | 62.20 | 85.0 | 88.0 | 88.0 | 116.0 | 116.0 | 204.0 | |||
14 | 미카엘라 브리즈 (GBR) | B | 61.55 | 80.0 | 85.0 | – | 85.0 | 80.0 | 90.0 | 100.0 | 100.0 | 185.0 |
15 | 하네네 오르펠리 (TUN) | B | 62.38 | 80.0 | 80.0 | 95.0 | 95.0 | 175.0 | ||||
16 | 마리아 테레사 모나스테리오 (BOL) | B | 62.96 | 60.0 | 63.0 | 63.0 | 75.0 | 78.0 | 78.0 | 141.0 | ||
- | 스베틀라나 차루카예바 (RUS) | A | 62.37 | – | – | – | – | – | - | |||
- | 레일라 라소우아니 (ALG) | B | 62.28 | 85.0 | 85.0 | – | - | |||||
실격 | 이리나 네크라소바 (KAZ) | A | 62.86 | 105.0 | 110.0 | 110.0 | 130.0 | 130.0 | ||||
실격 | 마이야 마네자 (KAZ) | A | 62.12 | – | – | – | – | – | – | – | – | – |
- 카자흐스탄의 이리나 네크라소바는 원래 2위로 경기를 마쳤으나, 스타노졸롤 양성 반응으로 실격되었다.[1][2]
7. 메달리스트
|-
| align="center"| 여자 63kg급
|
|
|
|}
카자흐스탄의 이리나 네크라소바는 은메달을 획득했으나, 스타노졸롤 양성 반응으로 실격되었다.[1][2]
7. 1. 도핑 적발
카자흐스탄의 이리나 네크라소바는 원래 은메달을 획득했으나, 스타노졸롤 양성 반응으로 실격되었다.[1][2]참조
[1]
웹사이트
Public disclosures
http://www.iwf.net/2[...]
[2]
웹사이트
IOC sanctions 16 athletes for failing anti-doping test at Beijing 2008
https://www.olympic.[...]
IOC
2016-11-17
[3]
웹사이트
personal best in this weight class or below in the IWF database
http://www.iwf.net/r[...]
[4]
웹사이트
Public disclosures
http://www.iwf.net/2[...]
[5]
웹인용
IOC sanctions 16 athletes for failing anti-doping test at Beijing 2008
https://www.olympic.[...]
IOC
2016-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