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2년 UEFA 유로파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1-12년 UEFA 유로파리그는 2011년 7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진행된 유럽 클럽 대항전이다. 총 53개 UEFA 회원국에서 194개 팀이 참가했으며, 각 팀은 UEFA 국가 계수에 따라 출전권을 배분받았다. 대회는 예선, 플레이오프, 조별 리그, 토너먼트 라운드로 진행되었으며, 2011-12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탈락한 팀들도 유로파리그에 합류했다. 결승전은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의 아레나 나치오날러에서 열렸으며,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아틀레틱 빌바오를 3-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라다멜 팔카오가 12골로 최다 득점, 디에고가 7도움으로 최다 도움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1-12년 UEFA 유로파리그 - 2012 UEFA 유로파리그 결승전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2012년 UEFA 유로파리그 결승전에서 아틀레틱 빌바오를 3-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 경기는 루마니아에서 개최된 최초의 유럽 클럽 축구 대회 결승전이었다. - UEFA 유로파리그 시즌 - 2010-11년 UEFA 유로파리그
2010-11년 UEFA 유로파리그는 53개 협회 194개 팀이 참가한 UEFA 주관 클럽 대항전으로, UEFA 챔피언스리그 탈락 팀 합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조별 리그 직행, 페어 플레이 랭킹 상위 협회 추가 티켓 부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참가팀이 결정되었으며 FC 포르투가 우승했다. - UEFA 유로파리그 시즌 - 2021-22년 UEFA 유로파리그
2021-22년 UEFA 유로파리그는 유럽축구연맹 소속 클럽들이 참가하는 클럽 대항전으로, 55개 회원 협회 중 33개 협회에서 58개 팀이 참가했으며, UEFA 유로파 컨퍼런스리그 창설 및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일부 규정에 변동이 있었고,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가 우승했다. - 2011년 축구 - 2011년 코파 아메리카
2011년 코파 아메리카는 아르헨티나에서 개최되었으며, 우루과이가 파라과이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루이스 수아레스가 MVP, 파올로 게레로가 득점왕을 수상했다. - 2011년 축구 - 2011-12년 OFC 챔피언스리그
2011-12년 OFC 챔피언스리그는 오클랜드 시티 FC가 AS 테파나를 꺾고 우승하여 2012 FIFA 클럽 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한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주관의 클럽 축구 대회이며, 마넬 엑스포시토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2011-12년 UEFA 유로파리그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요약 | |
대회 명칭 | UEFA 유로파리그 |
시즌 | 2011-12 시즌 |
![]() | |
기간 | 2011년 6월 30일 ~ 2011년 8월 25일 (예선) |
참가 팀 수 | 48+8 (본선) |
참가 협회 수 | 53 |
우승 팀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우승 횟수 | 2회 |
준우승 팀 | 아틀레틱 빌바오 |
경기 수 | 205 |
총 득점 | 585 |
최다 득점자 | 라다멜 팔카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이전 시즌 | 2010-11 |
다음 시즌 | 2012-13 |
관련 정보 | |
UEFA컵에서 UEFA 유로파리그로 | http://www.uefa.com/uefa/aboutuefa/organisation/executivecommittee/news/newsid=754085.html |
2011년 및 2012년 결승전 경기장 발표 | http://www.uefa.com/uefa/footballfirst/matchorganisation/stadiumsecurity/news/newsid=796145.html |
UEFA, IFAB 심판 재판 결정 환영 | http://www.uefa.com/uefa/footballfirst/matchorganisation/refereeing/news/newsid=1506902.html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3-0 아틀레틱 빌바오 | https://www.bbc.co.uk/sport/football/17995827 |
2. 대회 방식
2011-12년 UEFA 유로파리그에는 총 53개 UEFA 회원국에서 194개 팀이 참가했다. 각 국가별 출전 팀 수는 2005-06 시즌부터 2009-10 시즌까지의 유럽 대항전 성적을 അടിസ്ഥാന으로 한 2010년 UEFA 국가 계수에 따라 결정되었다.[5]
2011-12 UEFA 유로파리그의 출전 자격은 다음과 같이 배분되었다:[6]
- 협회 1-6위: 각 3팀 출전
- 협회 7-9위: 각 4팀 출전
- 협회 10-51위: 각 3팀 출전 (단, 리히텐슈타인은 1팀만 출전)
- 협회 52-53위: 각 2팀 출전
- 2010-11 UEFA 페어 플레이 랭킹 상위 3개 협회(노르웨이, 잉글랜드, 스웨덴)는 추가 출전권 획득[7]
- 2011-12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탈락한 33개 팀이 유로파리그에 합류
순위 | 협회 | 계수 | 팀 | 비고 |
---|---|---|---|---|
1 | 81.856 | 3 | +1(FP) +2(UCL) | |
2 | 79.757 | 3 | +1(UCL) | |
3 | 64.338 | 3 | +1(UCL) | |
4 | 64.207 | 3 | ||
5 | 53.740 | 3 | ||
6 | 43.791 | 3 | +1(UCL) | |
7 | 39.550 | 4 | +1(UCL) | |
8 | 39.491 | 4 | +1(UCL) | |
9 | 38.296 | 4 | +1(UCL) | |
10 | 36.546 | 3 | +2(UCL) | |
11 | 34.450 | 3 | +2(UCL) | |
12 | 29.899 | 3 | +2(UCL) | |
13 | 28.375 | 3 | +1(UCL) | |
14 | 27.900 | 3 | +1(UCL) | |
15 | 27.350 | 3 | +2(UCL) | |
16 | 25.791 | 3 | +1(UCL) | |
17 | 22.000 | 3 | +1(UCL) | |
18 | 21.975 | 3 | +1(UCL) | |
19 | 19.575 | 3 | +1(UCL) | |
20 | 18.875 | 3 | +1(UCL) | |
21 | 17.999 | 3 | ||
22 | 17.400 | 3 | +1(FP) +1(UCL) | |
23 | 15.832 | 3 | +1(UCL) | |
24 | 14.191 | 3 | +1(FP) +1(UCL) | |
25 | 14.000 | 3 | +1(UCL) | |
26 | 12.541 | 3 | +1(UCL) | |
27 | 12.332 | 3 | ||
28 | 11.541 | 3 | ||
29 | 9.541 | 3 | +1(UCL) | |
30 | 9.499 | 3 | +1(UCL) | |
31 | 8.749 | 3 | ||
32 | 8.416 | 3 | +1(UCL) | |
33 | 8.248 | 3 | ||
34 | 7.290 | 3 | ||
35 | 6.957 | 3 | +1(UCL) | |
36 | 6.750 | 3 | ||
37 | 5.748 | 3 | +1(UCL) | |
38 | 5.498 | 3 | ||
39 | 5.415 | 3 | ||
40 | 5.332 | 3 | ||
41 | 4.500 | 1 | ||
42 | 4.499 | 3 | ||
43 | 4.374 | 3 | ||
44 | 3.999 | 3 | ||
45 | 2.999 | 3 | ||
46 | 2.581 | 3 | ||
47 | 2.125 | 3 | ||
48 | 1.832 | 3 | ||
49 | 1.624 | 3 | ||
50 | 1.249 | 3 | ||
51 | 1.000 | 3 | ||
52 | 0.916 | 2 | ||
53 | 0.750 | 2 |
UEFA 유로파리그 출전권 배분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6]
- 국내 컵 대회 우승팀이 UEFA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을 획득하면, 유로파리그 출전권은 컵 대회 준우승팀에게 돌아간다. 만약 준우승팀도 챔피언스리그나 유로파리그 진출권을 이미 획득했다면, 리그에서 유로파리그 진출권을 얻지 못한 팀 중 가장 순위가 높은 팀에게 출전권이 주어진다.
- 국내 컵 대회 우승팀이 리그 순위로 유로파리그 진출권을 이미 획득했다면, 리그에서 유로파리그 진출권을 얻지 못한 팀 중 가장 순위가 높은 팀에게 출전권이 주어진다.
- 리그컵 우승팀의 출전권은 리그에서 유로파리그 진출권을 얻지 못한 팀 중 가장 순위가 높은 팀에게 주어진다.
- 페어플레이 출전권은 챔피언스리그나 유로파리그 진출권을 얻지 못한 팀 중 페어플레이 순위가 가장 높은 팀에게 주어진다.
예선 라운드를 통과한 48개 팀은 4팀씩 12개 조로 나뉘어 두 번의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조별 리그를 진행하며, 각 조 상위 2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조별 리그 경기 일정은 다음과 같다.
- 1차전: 2011년 9월 15일
- 2차전: 2011년 9월 29일
- 3차전: 2011년 10월 20일
- 4차전: 2011년 11월 3일
- 5차전: 2011년 11월 30일 또는 12월 1일
- 6차전: 2011년 12월 14일 또는 12월 15일
3. 참가팀
2011-12년 UEFA 유로파리그의 참가팀은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
- 출전 자격:
- 협회 1-6위: 각 3팀
- 협회 7-9위: 각 4팀
- 협회 10-51위: 각 3팀 (리히텐슈타인은 1팀)
- 협회 52-53위: 각 2팀
- 페어 플레이 랭킹 상위 3개 협회: 추가 1팀
- 2011-12 UEFA 챔피언스리그 탈락 33개 팀
- 출전권 변동: 2010-11 UEFA 유로파리그 우승팀 포르투가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면서 생긴 공석은 다음과 같이 조정되었다.
- 스코틀랜드와 불가리아 (협회 16, 17위) 컵 우승팀: 3차 예선 → 플레이오프
- 벨라루스와 아일랜드 (협회 28, 29위) 컵 우승팀: 2차 예선 → 3차 예선
- 몰타, 산마리노 (협회 52, 53위) 컵 우승팀, 라트비아, 몰도바 (협회 33, 34위) 리그 준우승팀: 1차 예선 → 2차 예선
- 출전권 재분배: 한 팀이 챔피언스리그와 유로파리그에 모두 진출하거나, 두 가지 이상의 방법으로 유로파리그 진출 자격을 얻으면, 해당 출전권은 국가 협회 내에서 다음 규칙에 따라 재분배되었다.[6]
- 컵 우승팀이 챔피언스리그 진출 시: 유로파리그 출전권 반납, 잔여 팀 승격, 컵 준우승팀 또는 리그 최상위 팀에 마지막 출전권 부여
- 컵 우승팀이 리그 순위로도 유로파리그 진출 시: 리그 순위 출전권 반납, 리그 하위 순위 팀 승격, 리그 최상위 팀에 마지막 출전권 부여
- 리그컵 우승팀 출전권 반납 시: 리그 최상위 팀에 출전권 부여
- 페어플레이 출전권: 챔피언스리그 또는 유로파리그 미진출 팀 중 페어플레이 순위 최상위 팀에 부여
토너먼트전 | |||
---|---|---|---|
맨체스터 시티 (UCL GS) | 트라브존스포르 (UCL GS)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UCL GS) | 아약스 (UCL GS) |
발렌시아 (UCL GS) | 올림피아코스 (UCL GS) | 포르투 (UCL GS) | 플젠 (UCL GS) |
조별리그전 | |||
취리히 (UCL PO) | 오덴세 (UCL PO) | 마카비 하이파 (UCL PO) | 비스와 크라쿠프 (UCL PO) |
말뫼 (UCL PO) | 루빈 카잔 (UCL PO) | 쾨벤하운 (UCL PO) | 트벤터 (UCL PO) |
우디네세 (UCL PO) | 슈투름 그라츠 (UCL PO) | colspan=2| | |
플레이오프전 | |||
토트넘 핫스퍼 (5위) |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5위) | 안데를레흐트 (3위) | 에크라나스 (UCL Q3) |
버밍엄 시티 (LC) | 메탈리스트 카르키프 (3위) | 스탕다르 리에주 (UCL Q3) | 샴록 로버스 (UCL Q3) |
세비야 (5위) | 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4위) | 셀틱 (CW) | 시옹 (CW) |
아틀레틱 빌바오 (6위) | 디나모 키예프 (UCL Q3) | 레인저스 (UCL Q3) | 노르셸란 (CW) |
라치오 (5위) | 라피드 부쿠레슈티 (4위) | 스포르팅 CP (3위)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UCL Q3) |
로마 (6위)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CW) | 브라가 (4위) | 로센보르그 (UCL Q3) |
샬케 04 (CW) | 바슬루이 (UCL Q3) | CSKA 소피아 (CW) | 마리보르 (UCL Q3) |
하노버 96 (4위) | PSV 에인트호번 (3위) | 리텍스 (UCL Q3) | 제스타포니 (UCL Q3) |
파리 생제르맹 (4위) | HJK (UCL Q3) | 베식타시 (CW) | rowspan=3| |
소쇼 몽벨리아르 (5위) | AEK 아테네 (CW) | 트라브존스포르 (UCL Q3) |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4위) | 파나티나이코스 (UCL Q3) | 파르티잔 (UCL Q3) | |
3차 예선전 | |||
스토크 시티 (CR) | 비토리아 기마랑이스 (5위) | 레프스키 소피아 (2위) | 헬싱보리 (CW)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7위) | AZ (4위) | 믈라다볼레슬라프 (CW) | 츠르베나 즈베즈다 (2위) |
팔레르모 (CR) | 부르사스포르 (3위) | 스파르타 프라하 (2위) | 레기아 바르샤바 (CW) |
마인츠 05 (5위) | PAOK (P-2위) | 리트 (CW) | 하이두크 스플리트 (2위) |
스타드 렌 (6위) | 영 보이스 (3위) | 하포엘 텔아비브 (CW) | 고멜 (CW) |
알라니야 블라디캅카스 (CR) | 클럽 브루게 (4위) | 오모니아 (CW) | 슬라이고 로버스 (CW) |
카르파티 리비우 (5위) | 브뢴뷔 (3위) | 스트룀스고세 (CW) | rowspan="2"| |
디나모 부쿠레슈티 (6위)루마니아 | 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3위) | 세니차 (2위) | |
2차 예선전 | |||
보르스클라 폴타바 (6위) | 마카비 텔아비브 (3위) | 젤레즈니차르 (CW) | 파두츠 (CW) |
가즈 메탄 메디아슈 (7위)루마니아 | 브네이 예후다 (4위) | 사라예보 (2위) | 악퇴베 (2위)카자흐스탄 |
나시오날 (6위) | 아노르토시스 (3위) | 수두바 마리얌폴레 (2위) | 레바디아 탈린 (2위) |
ADO 덴하흐 (P-W) | AEK 라르나카 (4위) | 타우라스 타우라기 (4위)리투아니아 | 티라나 (CW) |
가지안테프스포르 (4위) | 볼레렌가 (2위) | 벤츠필스 (CW) | 미카 (CW) |
올림피아코스 볼루 (P-4위) | 질리나 (3위) | 리에파야스 메탈루르크스 (3위) | 흘라네흘리 (CW) |
툰 (5위) | 외레브로 (3위) | 이스크라-스탈 (CW) | 루다르 플레블라 (CW) |
베스테를로 (CR) | 보이보디나 (3위) | 셰리프 티라스폴 (2위) | EB/스트레이머 (CW) |
미튈란 (4위) | 실롱스크 브로츠와프 (2위) | 돔잘레 (CW) | 크루세이더스 (2위) |
던디 유나이티드 (4위) | 스플리트 (3위) | 케츠케메티 (CW) | 디페르당주 03 (CW) |
로코모티프 소피아 (4위) | 샤흐타르 솔리고르스크 (2위) | 가그라 (CW) | 산줄리아 (CW) |
야블로네츠 (3위) | 보헤미안 (2위) | 하자르 란코란 (CW) | 플로리아나 (CW) |
레드불 잘츠부르크 (2위) | TPS (CW) | FH (CW) | 유베네스/도가나 (CW) |
아우스트리아 빈 (3위) | KuPS (2위) | 메탈루르크 스코페 (CW) | |
1차 예선전 | |||
트롬쇠 (3rd) | 코페르 (3rd) | 샤흐테르 카라간디 (CR)Note KAZ | 글렌토런 (3rd) |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4th) | 올림피야 류블랴나 (4th) | 나르바 트란스 (3rd) | 클리프턴빌 (4th) |
엘프스보리 (4위) | 퍽시 (2nd) | 넘메 칼리우 (4th) | 폴라 에슈 (2nd) |
라드 (4위) | 페렌츠바로시 (3rd) | 플라무르타리 블로러 (2nd) | 케르옝 97 (3rd) |
야기엘로니아 비아위스토크 (4위) | 디나모 트빌리시 (2nd) | 블라즈니아 슈코더르 (3rd) | 루시타노스 (3rd) |
바라주딘 (CR) | 메탈루르기스트 루스타비 (3rd) | 바난츠 (2nd) | 산타 콜로마 (4th) |
민스크 (3rd) | 카라바흐 (3rd) | 울리세스 (3rd) | 비르키르카라 (3rd)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5th)Note IRL | AZAL 바쿠 (4th) | 더 뉴 세인츠 (2nd) | 트레 페네 (2nd) |
홍카 (4th) | IB 베스트만나에이야르 (3rd) | 니스 (P-W) | 올레순 (FP)[26] |
시로키브리예그 (4th) | KR 레이캬비크 (4th) |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2nd) | 풀럼 (FP)[27] |
방가 가르그즈다이 (CR) | 레노바 (3rd) | 제타 (4th) | 회켄 (FP)[28] |
다우가바 (4th) | 라보트니치키 (4th) | NSI 루나비크 (3rd) | rowspan="2"| |
밀사미 (3rd) | 이르티시 파블로다르 (3rd) | 푸글라푀르더 (4t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