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하계 올림픽 배구 여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2년 하계 올림픽 배구 여자 경기는 2012년 7월 28일부터 8월 11일까지 영국 런던에서 개최되었다. 총 12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예선과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브라질이 미국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은 8강에서 이탈리아를 꺾었지만, 준결승에서 미국에 패하고 동메달 결정전에서 일본에 패하여 최종 4위를 기록했다. 김연경은 최우수 선수(MVP)와 득점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하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2012년 하계 올림픽 여자 축구는 12개국이 참가하여 런던을 포함한 6개 도시에서 경기가 진행되었고, 미국이 일본을 꺾고 금메달, 캐나다가 프랑스를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2년 하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12년 하계 올림픽 양궁 여자 단체
2012년 하계 올림픽 양궁 여자 단체전은 2012년 7월 29일 런던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금메달을, 중화인민공화국이 은메달을,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2년 하계 올림픽 배구 여자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 대회 개요 | |
| 종목 | 여자 배구 |
| 하계 올림픽 | 2012년 하계 올림픽 |
![]() | |
| 경기장 | 얼스 코트 전시장 |
| 날짜 | 2012년 7월 28일 – 8월 11일 |
| 참가 선수 | 144명 |
| 참가 국가 | 12개국 |
| 메달리스트 | |
| 금메달 | (2번째 우승) |
| 올림픽 배구 | |
| 이전 대회 | 2008년 |
| 다음 대회 | 2016년 |
2. 예선
2012년 하계 올림픽 여자 배구 예선은 대륙별 예선과 세계 예선을 통해 진행되었다.
2. 1. 조 편성
2012년 하계 올림픽 배구 여자 종목에 참가하는 12개국은 2012년 1월 15일 기준 FIVB 랭킹에 따라 시드를 배정받아 A조와 B조로 나뉘었다.[2]
대한민국은 B조에 속하여 미국, 브라질, 중국, 세르비아, 터키와 경쟁했다.
2. 2. 선수 명단
각 참가국은 12명의 선수 명단을 제출했다.[1]3. 경기 방식
예선 라운드에서는 각 조의 6개 팀이 풀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상위 4개 팀이 8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8강부터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가 진행되어 승리 팀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했다. 3-0 또는 3-1로 승리한 팀에게는 승점 3점, 3-2로 승리한 팀에게는 승점 2점, 2-3으로 패배한 팀에게는 승점 1점, 0-3 또는 1-3으로 패배한 팀에게는 승점 0점이 부여되었다.[3] 동점 팀 발생 시 승리 수, 세트 득실률, 점수 득실률, 상대 전적 순으로 순위를 결정했다.[3] 3개 이상의 팀이 동점일 경우, 동점 팀 간의 경기 결과에 대해서만 순위 결정 방식을 적용했다.[3]
4. 예선 경기 결과
2012년 하계 올림픽 배구 여자 예선 경기는 A조와 B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4팀이 8강에 진출했다.
- A조 경기 결과
| 날짜 | 시간 | 경기장 | 팀 1 | 점수 | 팀 2 | 세트 결과 | 관중 | 주심 |
|---|---|---|---|---|---|---|---|---|
| 2012년 7월 28일 | 09:3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0–3 | (15–25, 14–25, 7–25) | 13,000 | Karin Zahorcova (CZE), José Vélez (PUR) | ||
| 2012년 7월 28일 | 14:45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0–3 | (19–25, 10–25, 16–25) | 15,000 | Patricia Salvatore (USA), Rogério Espicalski (BRA) | ||
| 2012년 7월 28일 | 16:45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3–1 | (25–17, 23–25, 25–19, 25–15) | 14,000 | Zorica Bjelić (SRB), Rolando Cholakian (ARG) | ||
| 2012년 7월 30일 | 14:45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1–3 | (23–25, 15–25, 26–24, 22–25) | 14,800 | Rogerio Espicalsky (BRA), Karin Zahorcova (CZE) | ||
| 2012년 7월 30일 | 20:0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3–1 | (25–22, 25–21, 20–25, 25–22) | 13,000 | Jose Mercado (PUR), Patricia Salvatore (USA) | ||
| 2012년 7월 30일 | 22:0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3–2 | (22–25, 25–19, 23–25, 25–19, 15–8) | 14,000 | Mitchell Davidson (CAN), Janpen Jirakakul (THA) | ||
| 2012년 8월 1일 | 09:3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0–3 | (20–25, 19–25, 23–25) | 9,000 | Karin Zahorcova (CZE), Georgios Karampetsos (GRE) | ||
| 2012년 8월 1일 | 11:3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0–3 | (7–25, 14–25, 15–25) | 9,000 | Janpen Jirakakul (THA), Brian McDougall (GBR) | ||
| 2012년 8월 1일 | 16:45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0–3 | (25–27, 12–25, 12–25) | 11,800 | Zorica Bjelić (SRB), Denny Lassi (DOM) | ||
| 2012년 8월 3일 | 11:3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1–3 | (25–27, 17–25, 25–20, 19–25) | 10,000 | Jose Mercado (PUR), Zorica Bjelić (SRB) | ||
| 2012년 8월 3일 | 16:45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0–3 | (9–25, 18–25, 19–25) | 14,000 | Mohamad Shaaban (EGY), Janpen Jirakakul (THA) | ||
| 2012년 8월 3일 | 22:0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0–3 | (11–25, 12–25, 17–25) | 11,000 | Patricia Salvatore (USA), Wang Ning (CHN) | ||
| 2012년 8월 5일 | 09:3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0–3 | (15–25, 16–25, 13–25) | 11,000 | Patricia Salvatore (USA), Brian McDougall (GBR) | ||
| 2012년 8월 5일 | 14:45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0–3 | (19–25, 14–25, 12–25) | 14,000 | Michael Davidson (CAN), Mohamed Shaaban (EGY) | ||
| 2012년 8월 5일 | 16:45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2–3 | (28–26, 19–25, 25–22, 16–25, 11–15) | 10,000 | Zorica Bjelić (SRB), Wang Ning (CHN) |
- B조 경기 결과
| 날짜 | 시간 | 경기장 | 팀 1 | 점수 | 팀 2 | 세트 결과 | 관중 | 주심 |
|---|---|---|---|---|---|---|---|---|
| 2012년 7월 28일 | 11:3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3–1 | (16–25, 25–18, 25–13, 25–12) | 13,000 | Susana Rodríguez (ESP), Ibrahim Al-Naama (QAT) | ||
| 2012년 7월 28일 | 20:0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3–1 | (25–19, 25–17, 20–25, 25–21) | 14,000 | Janpen Jirakakul (THA), Georgios Karampetsos (GRE) | ||
| 2012년 7월 28일 | 22:0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3–2 | (25–18, 23–25, 25–19, 25–27, 15–12) | 8,000 | Andrey Zenovich (RUS), Mitchell Davidson (CAN) | ||
| 2012년 7월 30일 | 09:3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3–1 | (25–20, 25–20, 29–31, 25–22) | 10,500 | Frans Loderus (NED), Mohamed Shaaban (EGY) | ||
| 2012년 7월 30일 | 11:3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1–3 | (12–25, 16–25, 25–16, 21–25) | 7,500 | Brian McDougall (GBR), Simone Santi (ITA) | ||
| 2012년 7월 30일 | 16:45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3–1 | (25–18, 25–17, 22–25, 25–21) | 15,000 | Akihiko Tano (JPN), Andrey Zenovich (RUS) | ||
| 2012년 8월 1일 | 14:45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0–3 | (20–25, 12–25, 21–25) | 11,500 | Susana Rodriguez (ESP), Simone Santi (ITA) | ||
| 2012년 8월 1일 | 20:0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3–0 | (26–24, 25–16, 31–29) | 14,800 | Rolando Cholakian (ARG), Jose Mercado (PUR) | ||
| 2012년 8월 1일 | 22:0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0–3 | (23–25, 21–25, 21–25) | 11,000 | Mitchell Davidson (CAN), Mitchell Salvatore (USA) | ||
| 2012년 8월 3일 | 09:3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3–2 | (25–16, 20–25, 25–18, 28–30, 15–10) | 11,000 | Denny Lassi (DOM), Bela Hobor (HUN) | ||
| 2012년 8월 3일 | 14:45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3–2 | (25–16, 21–25, 25–18, 19–25, 15–12) | 13,500 | Simone Santi (ITA), Brian McDougall (GBR) | ||
| 2012년 8월 3일 | 20:0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3–0 | (25–17, 25–20, 25–16) | 9,000 | Karin Zahorcova (CZE), Susana Rodriguez (ESP) | ||
| 2012년 8월 5일 | 11:3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3–2 | (28–26, 22–25, 25–19, 22–25, 15–10) | 12,000 | Janpen Jirakul (THA), Frans Loderus (NED) | ||
| 2012년 8월 5일 | 20:0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3–0 | (27–25, 25–16, 25–19) | 12,000 | Susana Rodriguez (ESP), Ibrahim Al-Naama (QAT) | ||
| 2012년 8월 5일 | 22:0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3–0 | (25–10, 25–22, 25–16) | 8,000 | Karin Zahorcova (CZE), Akihiko Tano (JPN) |
모든 시간은 영국 서머 타임(UTC+01:00) 기준이다.
4. 1. A조
| 순위 | 국가 | 승점 | 승 | 패 | 세트 득실 | 점수 득실 |
|---|---|---|---|---|---|---|
| 1 | Россия|로시야ru | 14 | 4 | 1 | 15:4 | 459:352 |
| 2 | Italia|이탈리아it | 13 | 4 | 1 | 14:5 | 442:368 |
| 3 | 日本|일본일본어 | 9 | 3 | 2 | 11:6 | 401:335 |
| 4 | República Dominicana|도미니카 공화국es | 6 | 2 | 3 | 8:9 | 374:362 |
| 5 | Great Britain|영국영어 | 2 | 1 | 4 | 3:14 | 295:396 |
| 6 | الجزائر|알제리ar | 1 | 0 | 5 | 2:15 | 252:410 |
A조에서는 러시아 , 이탈리아, 일본, 도미니카 공화국이 8강에 진출했다.[1]
4. 2. B조
B조에서는 미국, 중국, 대한민국, 브라질이 8강에 진출했다.[1] 대한민국은 3승 2패를 기록하며 조 3위로 8강에 진출했다.[1] 특히, 브라질을 상대로 3-0 완승을 거두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다.[1]| 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패 | 세트 득실 | 점수 득실 |
|---|---|---|---|---|---|---|---|
| 1 | United States|미국영어 | 15 | 5 | 5 | 0 | 15-2 | 426-345 |
| 2 | China|중국중국어 | 9 | 5 | 3 | 2 | 11-10 | 475-461 |
| 3 | South Korea|대한민국한국어 | 8 | 5 | 3 | 2 | 11-10 | 449-452 |
| 4 | Brazil|브라질pt | 7 | 5 | 3 | 2 | 10-10 | 447-420 |
| 5 | Turkey|터키tr | 6 | 5 | 2 | 3 | 9-11 | 434-443 |
| 6 | Serbia|세르비아sr | 0 | 5 | 0 | 5 | 2-15 | 297-407 |
- 대한민국 경기 결과
| 날짜 | 시간 | 경기장 | 상대 | 세트 스코어 | 결과 | 비고 |
|---|---|---|---|---|---|---|
| 2012년 7월 28일 | 20:0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미국 | 1-3 | 패 | [http://www.fivb.org/vis_web/volley/WOG2012/pdf/P2-005.pdf 결과] [http://www.fivb.org/vis_web/volley/WOG2012/pdf/P3-005.pdf 통계] |
| 2012년 7월 30일 | 11:3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세르비아 | 3-1 | 승 | [http://www.fivb.org/vis_web/volley/WOG2012/pdf/P2-008.pdf 결과] [http://www.fivb.org/vis_web/volley/WOG2012/pdf/P3-008.pdf 통계] |
| 2012년 8월 1일 | 22:0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브라질 | 3-0 | 승 | [http://www.fivb.org/vis_web/volley/WOG2012/pdf/P2-018.pdf 결과] [http://www.fivb.org/vis_web/volley/WOG2012/pdf/P3-018.pdf 통계] |
| 2012년 8월 3일 | 14:45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터키 | 2-3 | 패 | [http://www.fivb.org/vis_web/volley/WOG2012/pdf/P2-021.pdf 결과] [http://www.fivb.org/vis_web/volley/WOG2012/pdf/P3-021.pdf 통계] |
| 2012년 8월 5일 | 11:30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 중국 | 2-3 | 패 | [http://www.fivb.org/vis_web/volley/WOG2012/pdf/P2-026.pdf 결과] [http://www.fivb.org/vis_web/volley/WOG2012/pdf/P3-026.pdf 통계] |
5. 토너먼트 (결선)
2012년 하계 올림픽 배구 여자부 토너먼트는 8강전, 준결승전, 동메달 결정전,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8월 7일에 열린 8강전에서는 일본이 중국을 3-2, 브라질이 러시아를 3-2로 꺾었다. 미국은 도미니카 공화국을 3-0으로 완파했고, 대한민국은 이탈리아를 3-1로 이기고 4강에 진출했다.
8월 9일 준결승전에서는 브라질이 일본을, 미국이 대한민국을 각각 3-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8월 11일에는 동메달 결정전에서 일본이 대한민국을 3-0으로 이기고 동메달을 차지했고, 결승전에서는 브라질이 미국을 3-1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5. 1. 8강전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8강전에서 이탈리아를 3-1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5. 2. 준결승전
대한민국은 준결승전에서 미국에 0-3으로 패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1]| 날짜 | 시간 | 팀1 | 점수 | 팀2 | 세트 | 경기장 | 관중 | 심판 |
|---|---|---|---|---|---|---|---|---|
| 2012년 8월 11일 | 11:30 | 일본 | 3-0 | 대한민국 | (25-22, 26-24, 25-21) | 얼스 코트 전시 센터, 런던 | 13,500 | 수자나 로드리게스 (ESP), 호세 메르카도 (PUR) |
5. 3. 결승전
2012년 런던 올림픽 여자 배구 결승전은 2012년 8월 11일 런던 얼스 코트 전시 센터에서 열렸다. 경기 결과 브라질이 미국을 세트 스코어 3-1 (11-25, 25-17, 25-20, 25-17)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5. 4. 대진표
| 8강전 | 준결승전 | 금메달 결정전 |
|---|---|---|
| 8월 7일영어 러시아 2 : 3 브라질 | 8월 9일영어 브라질 3 : 0 일본 | 8월 11일영어 브라질 3 : 1 미국 |
| 8월 7일영어 중국 2 : 3 일본 | ||
| 8월 7일영어 이탈리아 1 : 3 대한민국 | 8월 9일영어 대한민국 0 : 3 미국 | |
| 8월 7일영어 미국 3 : 0 도미니카 공화국 | ||
| 동메달 결정전 | ||
| 8월 11일영어 일본 3 : 0 대한민국 | ||
6. 최종 순위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브라질이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
7. 메달리스트
8. 개인 시상
9. 통계
8강 진출팀 선수들을 대상으로 포지션별 최고 선수들을 선정했다.
| 최고 블로킹 | ||
|---|---|---|
| 순위 | 선수 | 세트당 평균 |
| 1 | 파비아나 클라우디노 | 0.94 |
| 2 | 폴루케 아킨라데보 | 0.93 |
| 3 | 시모나 조리 | 0.91 |
| 4 | 데스티니 후커 | 0.78 |
| 5 | 타이사 메네제스 | 0.75 |
| 최고 서브 | ||
|---|---|---|
| 순위 | 선수 | 세트당 평균 |
| 1 | 셰일라 카스트루 | 0.31 |
| 2 | 후이 루오치 | 0.31 |
| 3 | 루치아 보세티 | 0.30 |
| 4 | 예카테리나 가모바 | 0.29 |
| 5 | 안토넬라 델 코레 | 0.26 |
| 최고 디그 | ||
|---|---|---|
| 순위 | 선수 | 세트당 평균 |
| 1 | 브렌다 카스티요 | 6.10 |
| 2 | 장셴 | 4.77 |
| 3 | 사노 유코 | 4.11 |
| 4 | 김해란 | 3.90 |
| 5 | 다케시타 요시에 | 3.64 |
| 최고 세터 | ||
|---|---|---|
| 순위 | 선수 | 세트당 평균 |
| 1 | 예브게니야 스타르체바 | 12.79 |
| 2 | 웨이 추이웨 | 12.08 |
| 3 | 다케시타 요시에 | 11.82 |
| 4 | 린지 버그 | 9.74 |
| 5 | 다니엘 린스 | 9.72 |
| 최고 리시버 | ||
|---|---|---|
| 순위 | 선수 | 성공률 (%) |
| 1 | 페르난다 호드리게스 | 81.32 |
| 2 | 스베틀라나 크류치코바 | 80.00 |
| 3 | 파올라 크로체 | 77.88 |
| 4 | 안토넬라 델 코레 | 77.03 |
| 5 | 니콜 데이비스 | 74.27 |
참조
[1]
웹사이트
Volleyball at the 2012 London Summer Games: Women's Volleyball
https://web.archive.[...]
2019-02-13
[2]
웹사이트
FIVB World Rankings – Women
http://www.fivb.org/[...]
2012-01-04
[3]
웹사이트
Sports Regulations Volleyball
http://www.fivb.org/[...]
FIVB
2012-08-04
[4]
웹사이트
Brazil win second consecutive title, USA and Japan complete Olympic podium
http://www.fivb.org/[...]
2012-08-12
[5]
웹인용
Brazil win second consecutive title, USA and Japan complete Olympic podium
https://www.webcitat[...]
2012-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