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000m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000m 경기는 예선, 준준결선, 준결선, 결선 순으로 진행되었다. 결선 A에서는 빅토르 안(러시아)이 금메달, 블라디미르 그리고레프(러시아)가 은메달, 싱키 크네흐트(네덜란드)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의 신다운은 페널티로 실격 처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에서 대한민국은 심석희 선수의 활약으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캐나다가 은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m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m는 예선부터 결승까지 진행된 경기에서 빅토르 안(안현수)이 금메달, 우다징이 은메달, 샤를 쿠르누와이에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4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4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2014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는 2014년 2월 러시아 소치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자 2인승, 남자 4인승, 여자 2인승 경기가 진행되었고, 러시아는 남자 2인승과 4인승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도핑 위반으로 실격 처리되었다. - 2014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에서 대한민국은 심석희 선수의 활약으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캐나다가 은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올림픽 쇼트트랙에 관한 -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2018년 2월 10일부터 22일까지 평창에서 개최된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은 남자 500m 우다징 금메달, 여자 3000m 계주 대한민국 금메달 등 다양한 기록이 나왔으며 총 8개의 금메달을 놓고 경쟁이 펼쳐졌다. - 올림픽 쇼트트랙에 관한 -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는 캐나다가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미국이 동메달을 획득한 쇼트트랙 종목이다.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000m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000m | |
대회 | 2014년 동계 올림픽 |
종목 | 쇼트트랙 남자 1000m |
개최국 | 러시아 |
개최지 | 소치 |
경기장 | 아이스버그 스케이팅 팰리스 |
기간 | 2월 13일 (예선) |
참가 선수 | 32 |
참가국 | 14 |
금메달 | 빅토르 안 |
금메달 국가 | RUS |
은메달 | 블라디미르 그리고레프 |
은메달 국가 | RUS |
동메달 | 싱키 크네흐트 |
동메달 국가 | NED |
이전 대회 | 2010 |
다음 대회 | 2018 |
2. 경기 진행 및 결과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000m 경기는 예선, 준준결선, 준결선, 결선 A/B 순서로 진행되었다. 여러 라운드를 거쳐 최종 결선 A에는 5명의 선수가 진출했다. 결선 A 결과, 러시아의 빅토르 안이 금메달, 같은 국적의 블라디미르 그리고레프가 은메달을 차지했으며, 네덜란드의 싱키 크네흐트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의 신다운 선수는 결선 A에 진출했으나 페널티를 받아 최종 순위에는 기록되지 못했다.
2. 1. 예선
wikitext순위 | 조 | 이름 | 국가 | 시간 | 비고 |
---|---|---|---|---|---|
1 | 1 | 샤를 쿠르노에 | 캐나다 | 1:24.787 | Q |
2 | 1 | 크리스토퍼 크레블링 | 미국 | 1:25.069 | Q |
3 | 1 | 닐스 케르스톨트 | 네덜란드 | 1:25.695 | |
4 | 1 | 존 엘레이 | 영국 | 1:25.748 | |
1 | 2 | 올리비에 장 | 캐나다 | 1:26.089 | Q |
2 | 2 | 싱키 크네흐트 | 네덜란드 | 1:26.091 | Q |
3 | 2 | 맥켄지 블랙번 | 차이니스 타이베이 | 1:26.814 | |
4 | 2 | 벤스 베레스 | 헝가리 | 1:27.735 | |
1 | 3 | 블라디미르 그리고레프 | 러시아 | 1:26.422 | Q |
2 | 3 | 한티안유 | 중국 | 1:26.530 | Q |
3 | 3 | 블라디슬라브 비카노프 | 이스라엘 | 1:27.796 | |
4 | 3 | 리차드 슈브릿지 | 영국 | 1:27.806 | |
1 | 4 | 우다징 | 중국 | 1:24.950 | Q |
2 | 4 | 빅토르 노흐 | 헝가리 | 1:25.426 | Q |
3 | 4 | 세바스티앙 르파페 | 프랑스 | 1:49.311 | ADV |
4 | 프리크 판 데 바르트 | 네덜란드 | PEN | ||
1 | 5 | 샤를 아믈랭 | 캐나다 | 1:25.742 | Q |
2 | 5 | 에두아르도 알바레스 | 미국 | 1:26.070 | Q |
3 | 5 | 잭 웰번 | 영국 | 1:26.086 | |
4 | 5 | 량원하오 | 중국 | 1:28.065 | |
1 | 6 | J. R. 셀스키 | 미국 | 1:25.428 | Q |
2 | 6 |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 러시아 | 1:26.121 | Q |
3 | 6 | 사카주메 료수케 | 일본 | 1:26.468 | |
4 | 6 | 막심 샤테니에 | 프랑스 | 2:20.479 | |
1 | 7 | 빅토르 안 | 러시아 | 1:25.834 | Q |
2 | 7 | 신다운 | 대한민국 | 1:25.893 | Q |
3 | 7 | 다카미도 유조 | 일본 | 1:25.905 | |
4 | 7 | 로버트 자이퍼트 | 독일 | 1:29.468 | |
1 | 8 | 이한빈 | 대한민국 | 1:26.502 | Q |
2 | 8 | 유리 콘포르톨라 | 이탈리아 | 1:26.956 | Q |
3 | 8 | 류 사오린 샨도르 | 헝가리 | 1:35.935 | ADV |
4 | 8 | 티보 포코네 | 프랑스 | 2:00.795 |
2. 2. 준준결선
wikitext순위 | 조 | 이름 | 국가 | 시간 | 비고 |
---|---|---|---|---|---|
1 | 1 | 이한빈 | 한국 | 1:24.444 | Q |
2 | 1 | 한티앤위 | 중국 | 1:24.490 | Q |
3 | 1 | 크리스토퍼 크레블링 | 미국 | 1:24.691 | |
4 | 1 | 류 사오린 샨도르 | 헝가리 | 1.24.966 | |
5 | 1 | 샤를 쿠노예 | 캐나다 | 1:25.204 | |
1 | 2 | 우다징 | 중국 | 1:24.753 | Q |
2 | 2 | 블라디미르 그리고레프 | 러시아 | 1:24.868 | Q |
3 | 2 | 세바스티안 레파프 | 프랑스 | 1:25.368 | |
4 | 2 | 유리 콘포르톨라 | 이탈리아 | 1:25.428 | |
5 | 2 | 빅토르 크노치 | 헝가리 | 1:25.673 | |
1 | 3 | 빅토르 안 | 러시아 | 1:25.666 | Q |
2 | 3 | 싱키 크네흐트 | 네덜란드 | 1:25.695 | Q |
3 | 3 | 에두아르도 알바레즈 | 미국 | 1:39.092 | |
4 | 3 | 샤를 아믈랭 | 캐나다 | 1:40.408 | |
1 | 4 | 신다운 | 한국 | 1:24.215 | Q |
2 | 4 |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 러시아 | 1:24.239 | Q |
3 | 4 | 올리비에 장 | 캐나다 | 1:24.935 | |
4 | 4 | J. R. 셀스키 | 미국 | DNF |
2. 3. 준결선
준결선은 2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2명과 어드밴스드 1명이 결승 A에 진출했다.- 1조: 블라디미르 그리고레프(러시아)와 신다운(대한민국)이 각각 1, 2위로 결승 A에 직행했다. 싱키 크네흐트(네덜란드)는 3위를 기록했지만 어드밴스드(ADV) 판정으로 결승 A에 합류했다. 이한빈(대한민국)은 페널티(PEN)를 받아 탈락했다.
- 2조: 빅토르 안(러시아)과 우다징(중국)이 나란히 1, 2위를 차지하며 결승 A에 진출했다. 3위 세묜 옐리스트라토프(러시아)와 4위 한티앤위(중국)는 결승 B로 향했다.
순위 | 조 | 이름 | 국가 | 시간 | 비고 |
---|---|---|---|---|---|
1 | 1 | 블라디미르 그리고레프 | 러시아 | 1:25.346 | QA |
2 | 1 | 신다운 | 대한민국 | 1:25.564 | QA |
3 | 1 | 싱키 크네흐트 | 네덜란드 | 1:27.258 | ADV |
1 | 이한빈 | 대한민국 | PEN | ||
1 | 2 | 빅토르 안 | 러시아 | 1:24.102 | QA |
2 | 2 | 우다징 | 중국 | 1:24.239 | QA |
3 | 2 |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 러시아 | 1:24.275 | QB |
4 | 2 | 한티앤위 | 중국 | 1:24.611 | QB |
2. 4. 결선
결선 A에서는 빅토르 안(러시아)이 1:25.325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차지했고, 같은 러시아 소속의 블라디미르 그리고레프가 1:25.399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동메달은 1:25.611을 기록한 네덜란드의 싱키 크네흐트에게 돌아갔다. 중국의 우다징은 4위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의 신다운 선수는 경기 중 페널티를 받아 실격(PEN) 처리되어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결선 B에서는 중국의 한티앤위가 1:29.334로 5위, 러시아의 세묜 옐리스트라토프가 1:29.429로 6위를 기록했다.
순위 | 이름 | 국가 | 시간 | 비고 |
---|---|---|---|---|
5 | 한티앤위 | 중국 | 1:29.334 | |
6 |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 러시아 | 1:29.429 |
wikitext
최종 결과는 [http://shorttrack.sportresult.com/Results.aspx?evt=11213100000010&gen=m&ref=15460&view=dcl 최종 결과 상세 정보]에서 참조할 수 있다.
3. 메달리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