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OFC 네이션스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6년 OFC 네이션스컵은 파푸아뉴기니 포트모르즈비에서 개최되었으며, 8개 팀이 참가하여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의 국가대항전으로 진행되었다. 뉴질랜드가 파푸아뉴기니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 대회는 2018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을 겸했다. 뉴질랜드는 5번째 우승을 차지했으며, 데이비드 무타가 골든볼을, 레이먼드 구넨바가 골든부츠를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6년 OFC 네이션스컵 - 2018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1차 예선
2018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1차 예선은 FIFA 랭킹이 낮은 OFC 소속 4개국이 참가하여 통가에서 단일 풀 리그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1위 팀인 사모아는 2016년 OFC 네이션스컵에 진출하여 월드컵 예선 2라운드 진출 자격을 얻었다. -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는 아시아, 북중미카리브, 남미, 오세아니아의 대표팀들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월드컵 본선 진출 티켓을 놓고 경쟁한 결과, 오스트레일리아와 페루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 2018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2018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3차 예선
2018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3차 예선은 2016년 OFC 네이션스컵 상위 6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최종 예선을 거쳐 뉴질랜드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2018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2018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1차 예선
2018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1차 예선은 FIFA 랭킹이 낮은 OFC 소속 4개국이 참가하여 통가에서 단일 풀 리그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1위 팀인 사모아는 2016년 OFC 네이션스컵에 진출하여 월드컵 예선 2라운드 진출 자격을 얻었다.
2016년 OFC 네이션스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OFC 네이션스컵 |
연도 | 2016 |
개최국 | 파푸아뉴기니 |
개최 기간 | 2016년 5월 28일 – 6월 11일 |
참가 팀 수 | 8 |
참가 연맹 수 | 1 |
개최 도시 수 | 1 |
경기장 수 | 1 |
우승 횟수 | 5 |
총 경기 수 | 15 |
총 득점 수 | 48 |
총 관중 수 | 34,713 |
득점왕 | 레이먼드 구넴바 |
득점 | 5골 |
최우수 선수 | 데이비드 무타 |
최우수 골키퍼 | 스테판 마리노비치 |
이전 시즌 | 2012 |
다음 시즌 | 2024 |
관련 정보 | |
참고 자료 | 파푸아뉴기니에 대한 권위 있는 명예 |
피파 월드컵 | 피파 월드컵 연맹 슬롯 현재 할당 유지 |
예선전 방식 개요 | 예선전 방식 개요 |
예비 추첨 절차 | 예비 추첨 절차 개요 |
이전 대회 우승 | 타히티, 2012년 오세아니아 네이션스컵 우승 |
관련 기사 | 파푸아뉴기니, 영광스러운 개최국 선정 |
관련 기사 2 | 뉴질랜드 우승 |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016년 OFC 네이션스컵은 파푸아뉴기니의 수도 포트모르즈비에 위치한 서 존 가이즈 스타디움에서 모든 경기가 진행되었다.[11] 당초 타히티, 피지, 파푸아뉴기니, 뉴질랜드가 유치 의사를 밝혔으나,[11] 최종적으로 파푸아뉴기니가 단독 유치 신청을 하여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6][1]
경기장 | 도시 | 수용 인원 |
---|---|---|
서 존 가이즈 스타디움 | 포트모르즈비 | 15,000 |
2016년 OFC 네이션스컵에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에 소속된 11개 FIFA 회원국 중 8개국이 참가했다.[7][9] 2018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1차 예선을 겸하여 진행된 예선에는 FIFA 랭킹 하위 4개 팀이 참가했으며, 사모아가 예선을 통과했다.[9]
3. 참가국
FIFA 랭킹 상위 7개 팀은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3. 1. 본선 진출국
팀 | 예선 참가 방식 | 예선 통과일 | 결승전 출전 횟수 | 최근 출전 | 역대 최고 성적 | 대회 시작 시점 FIFA 랭킹[8] |
---|---|---|---|---|---|---|
피지 | 자동 진출 | 2014년 3월 29일 | 8회 | 2012 | 3위 (1998, 2008) | 183 |
누벨칼레도니 | 자동 진출 | 2014년 3월 29일 | 6회 | 2012 | 2위 (2008, 2012) | 191 |
뉴질랜드 | 자동 진출 | 2014년 3월 29일 | 10회 | 2012 | 우승 (1973, 1998, 2002, 2008) | 161 |
파푸아뉴기니 | 자동 진출 | 2014년 3월 29일 | 4회 | 2012 | 1라운드 (1980, 2002, 2012) | 198 |
솔로몬 제도 | 자동 진출 | 2014년 3월 29일 | 7회 | 2012 | 2위 (2004) | 192 |
타히티 | 자동 진출 | 2014년 3월 29일 | 9회 | 2012 | 우승 (2012) | 196 |
바누아투 | 자동 진출 | 2014년 3월 29일 | 9회 | 2012 | 4위 (1973, 2000, 2002, 2008) | 181 |
사모아 | 예선 승리 | 2015년 9월 4일 | 2회 | 2012 | 1라운드 (2012) | 170 |
4. 시드 배정
시드 배정은 2015년 7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다.[13]
포트 1 | 포트 2 |
---|---|
5. 대회 방식
2016년 OFC 네이션스컵은 2018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2차 예선을 겸하여 진행되었다. 8개 팀은 4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렀다. 각 조 상위 3팀은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3차 예선에 진출했고,[23] 각 조 상위 2팀은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여 우승팀을 가렸다.[23]
결선 토너먼트는 준결승전과 결승전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두 단판 승부로 진행되었다. 정규 시간 내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결정했다.[9]
이 대회는 당초 예정되었던 방식[26]에서 변경되었다.
6. 조별 리그
2016년 OFC 네이션스컵의 조별 리그는 2016년 5월 28일부터 6월 5일까지 진행되었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10) 기준이다.
조 추첨은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조 추첨의 일환으로 2015년 7월 25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진행되었다.[13][14] 시드 배정은 2015년 7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다.[13][15] 8개 팀은 두 개의 포트로 나뉘어 각 조에 1번 포트에서 두 팀, 2번 포트에서 두 팀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1번 포트 | 2번 포트 |
---|---|
각 조의 경기 일정은 각 팀의 추첨 순위에 따라 결정되었다. 조별 리그 상위 2팀은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하며, 상위 3팀은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3차 예선에 진출한다.
색상 및 표시 기준 | |
---|---|
style="background:#ccffcc; width:30px;"| | 준결승 및 월드컵 최종 예선에 진출한 2팀 |
style="background:#ffffcc; width:30px;"| | 준결승에는 진출하지 못했으나, 월드컵 최종 예선에는 진출한 조 3위 팀 |
style="background:#ffcccc; width:30px;"| | 준결승 및 월드컵 최종 예선에서 탈락한 팀 |
리그 방식에서 각 조의 순위는 다음 기준에 따라 결정되었다.[16]
1. 승점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
2. 총 골득실
3. 총 득점
4. 동률 팀 간 경기 승점
5. 동률 팀 간 경기 골득실
6. 동률 팀 간 경기 득점
7. 동률 팀 간 경기 원정 득점 (홈 앤 어웨이 방식 리그에서 두 팀만 동률인 경우)
8. 페어플레이 점수
- 첫 번째 경고: -1점
- 간접 퇴장(두 번째 경고): -3점
- 직접 퇴장: -4점
- 경고와 직접 퇴장: -5점
9. FIFA 조직위원회의 추첨
6. 1. A조
A조의 경기는 2016년 5월 29일부터 6월 5일까지 진행되었다. 조 추첨은 2015년 7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진행되었다.[31]포트 1 | 포트 2 |
---|---|
- 2016년 5월 29일 16:00, 파푸아뉴기니 1 - 1 뉴칼레도니아 (서 존 가이즈 스타디움, 포트모르즈비)
- * 세미
- * 사이코
- 2016년 5월 29일 19:00, 타히티 4 - 0 사모아 (서 존 가이즈 스타디움, 포트모르즈비)
- * T. 테하우
- * 총 후에
- * A. 테하우
- 2016년 6월 1일 16:00, 파푸아뉴기니 2 - 2 타히티 (서 존 가이즈 스타디움, 포트모르즈비)
- * 구넴바
- * A. 테하우
- * T. 테하우
- 2016년 6월 1일 19:00, 뉴칼레도니아 7 - 0 사모아 (서 존 가이즈 스타디움, 포트모르즈비)
- * 카야라
- * 네미아
- * 제울라
- * 와드리아코
- * 섹솜
- * 다히테
- 2016년 6월 5일 16:00, 파푸아뉴기니 8 - 0 사모아 (서 존 가이즈 스타디움, 포트모르즈비)
- * 포스터
- * 구넴바
- * 다비냐바
- * 우파이가
- 2016년 6월 5일 19:00, 타히티 1 - 1 뉴칼레도니아 (서 존 가이즈 스타디움, 포트모르즈비)
- * T. 테하우
- * 카이
6. 2. B조
'''B조'''는 2016년 OFC 네이션스컵의 조별 리그 B조이다. B조는 파푸아뉴기니, 뉴칼레도니아, 타히티, 사모아로 구성되었다. 경기는 2016년 5월 29일부터 6월 5일까지 진행되었다.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1]
7. 결선 토너먼트
2016년 OFC 네이션스컵의 결선 토너먼트는 조별 리그를 통과한 팀들이 참가하여 정규 시간 내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모든 경기는 현지 시간 (UTC+10)을 기준으로 진행되었다.
B조에서는 뉴질랜드가 3승으로 1위를 차지했고, 솔로몬 제도가 1승 2패로 2위를 차지하여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각 팀 간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팀 | 뉴질랜드 | 솔로몬 제도 | 피지 | 바누아투 | |
---|---|---|---|---|---|
홈 | style="text-align:right"| | X | |||
style="text-align:right"| | X | ||||
style="text-align:right"| | X | ||||
style="text-align:right"| | X |
colspan="9"| | ||||||||
---|---|---|---|---|---|---|---|---|
순위 | 팀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비고 | |
1 | colspan="2" | | 3 | 0 | 0 | 9 | 1 | 준결승 진출 | |
2 | colspan="2" | | 1 | 0 | 2 | 1 | 2 | ||
3 | colspan="2" | | 1 | 0 | 2 | 4 | 6 | ||
4 | colspan="2" | | 1 | 0 | 2 | 3 | 8 |
7. 1. 준결승전
2016년 6월 8일에 준결승전 두 경기가 열렸다. 첫 경기는 뉴질랜드와 뉴칼레도니아의 경기로, 크리스 우드가 49분에 골을 넣어 뉴질랜드가 1-0으로 승리했다.[1] 이 경기는 포트모르즈비의 서 존 가이즈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관중은 1,379명이 입장했다. 주심은 타히티 출신의 압델카데르 지투니였다.두 번째 경기는 파푸아뉴기니와 솔로몬 제도의 경기로, 파푸아뉴기니가 2-1로 승리했다.[2] 포스터가 38분에, 다비냐바가 82분에 각각 파푸아뉴기니의 골을 넣었고, 솔로몬 제도의 몰레아는 40분에 골을 기록했다. 이 경기는 포트모르즈비의 서 존 가이즈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관중은 3,548명이 입장했다. 주심은 뉴질랜드 출신의 매슈 콩거였다.
7. 2. 결승전
2016년 OFC 네이션스컵 결승전은 2016년 6월 11일 포트모르즈비의 서 존 기즈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뉴질랜드와 파푸아뉴기니가 맞붙었다. 양 팀은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겼고, 승부차기에서 뉴질랜드가 파푸아뉴기니를 4-2로 이겼다.[1]뉴질랜드는 로리 패런, 마이클 매클린치, 모세스 다이어, 마르코 로하스가 승부차기에 성공했고, 제레미 브로키는 실축했다.[1] 파푸아뉴기니는 토미 세미, 포스터가 성공했고, 코리아크 우파이가, 레이몬드 구넨바는 실축했다.[1]
8. 우승국
2016년 OFC 네이션스컵 우승 |
---|
뉴질랜드 |
5번째 우승 |
9. 최종 순위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1 | 뉴질랜드 | 5 | 4 | 1 | 0 | 10 | 1 | +9 | 13 |
2 | 파푸아뉴기니 | 5 | 2 | 3 | 0 | 13 | 4 | +9 | 11 |
3 | 누벨칼레도니 | 4 | 1 | 2 | 1 | 9 | 3 | +6 | 5 |
4 | 솔로몬 제도 | 4 | 1 | 0 | 3 | 2 | 4 | -2 | 3 |
5 | 타히티 | 3 | 1 | 2 | 0 | 7 | 3 | +4 | 5 |
6 | 피지 | 3 | 1 | 0 | 2 | 4 | 6 | -2 | 3 |
7 | 바누아투 | 3 | 1 | 0 | 2 | 3 | 8 | -5 | 3 |
8 | 사모아 | 3 | 0 | 0 | 3 | 0 | 19 | -19 | 0 |
10. 수상
골든볼(최우수 선수)은 데이비드 무타(David Muta)가 수상했고, 골든부츠(최다 득점 선수)는 레이몬드 구넨바(Raymond Gunemba)가 수상했다.[17][21] 골든글러브(최우수 골키퍼)는 스테판 마리노비치(Stefan Marinovic)가 수상했다.[17][21] 페어플레이상은 뉴칼레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이 수상했다.[17]
상 | 선수 | 팀 |
---|---|---|
골든볼 (최우수 선수) | 데이비드 무타(David Muta) | |
골든부츠 (최다 득점 선수) | 레이몬드 구넨바(Raymond Gunemba) | |
골든글러브 (최우수 골키퍼) | 스테판 마리노비치(Stefan Marinovic) | |
페어플레이상 | 뉴칼레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
11. 득점 선수
순위 | 선수 | 득점 |
---|---|---|
1 | 레이먼드 구넴바|Raymond Gunemba영어 | 5 |
2 | 테아오누이 테하우|Teaonui Tehau영어 | 4 |
2 | 크리스 우드 | 4 |
4 | 로이 크리슈나 | 3 |
4 | 나이절 다비냐바|Nigel Dabinyaba영어 | 3 |
4 | 마이클 포스터 | 3 |
7 | 로이 카야라|Roy Kayara영어 | 2 |
7 | 로리 팰런 | 2 |
7 | 알뱅 테하우|Alvin Tehau영어 | 2 |
10 | 사무엘라 카우토가|Samuela Kautoga영어 | 1 |
10 | 조에리스 섹솜|Joerisse Cexome프랑스어 | 1 |
10 | 제페르송 다이테|Jefferson Dahite프랑스어 | 1 |
10 | 베르트랑 카이 | 1 |
10 | 케빈 네미아|Kevin Nemia프랑스어 | 1 |
10 | 장-필립 사이코|Jean-Philippe Saïko프랑스어 | 1 |
10 | 장-브리스 와드리아코|Jean-Brice Wadriako프랑스어 | 1 |
10 | 세자르 제울라|César Zeoula프랑스어 | 1 |
10 | 루크 애덤스 | 1 |
10 | 코스타 바바루지스 | 1 |
10 | 마이클 맥글린치 | 1 |
10 | 테미스토클리스 지모풀로스|Themistoklis Tzimopoulos영어 | 1 |
10 | 토미 세미|Tommy Semmy영어 | 1 |
10 | 코리악 우파이가|Koriak Upaiga영어 | 1 |
10 | 제리 동가 | 1 |
10 | 저드 몰레아|Judd Molea영어 | 1 |
10 | 시티비 총 후에|Steevy Chong Hue프랑스어 | 1 |
10 | 도미니크 프레드|Dominique Fred영어 | 1 |
10 | 브리앙 칼탁 | 1 |
10 | 페네디 마사우바칼로|Fenedy Masauvakalo영어 | 1 |
12. 기타
2016년 OFC 네이션스컵 중계 방송사는 다음과 같다.[18]
국가 | 방송사 |
---|---|
OFC | OFC TV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폭스 스포츠 |
남아시아 | 스타 스포츠 |
유럽 | 유로스포츠 |
호주 | SBS[19] |
피지 | FBC TV[20] |
타히티 | 타히티 누이 TV[19] |
누벨칼레도니 | 누벨칼레도니 1re[19] |
뉴질랜드 | 스카이 스포츠[19] |
파푸아뉴기니 | EM TV[19] |
사모아 | TV1 사모아[19] |
솔로몬 제도 | 텔레콤 텔레비전[19] |
바누아투 | 텔레비전 블롱 바누아투[19] |
12. 1. 팀 득점 기록
12. 2. 팀 실점 기록
참조
[1]
웹사이트
Prestigious honour for Papua New Guinea
http://www.oceaniafo[...]
Oceania Football Confederation
2015-10-29
[2]
웹사이트
Current allocation of FIFA World Cup confederation slots maintained
https://www.fifa.com[...]
FIFA.com
2015-05-30
[3]
웹사이트
Preliminary competition format outlined
http://www.oceaniafo[...]
Oceania Football Confederation
2015-07-10
[4]
웹사이트
Preliminary Draw procedures outlined
https://www.fifa.com[...]
FIFA.com
2015-07-09
[5]
뉴스
Tahiti wins 2012 Oceania Nations Cup
http://www.goal.com/[...]
[6]
웹사이트
Stakeholders confident moving forward
http://www.oceaniafo[...]
Oceania Football Confederation
2015-10-16
[7]
웹사이트
Road to Russia with new milestone
https://www.fifa.com[...]
FIFA.com
2015-01-15
[8]
웹사이트
FIFA Men's Ranking – May 2016 (OFC)
https://www.fifa.com[...]
FIFA.com
2016-05-05
[9]
웹사이트
OFC Executive Committee decisions
http://www.oceaniafo[...]
OFC
[10]
웹사이트
OFC Executive Committee outcomes
http://www.oceaniafo[...]
Oceania Football Confederation
2014-10-20
[11]
뉴스
Football: Heat goes on NZ after switch
http://www.nzherald.[...]
2015-04-12
[12]
웹사이트
Officials confirmed for OFC Nations Cup
http://www.refereein[...]
2016-05-15
[13]
웹사이트
Draw Procedures – Oceanian Zone
http://resources.fif[...]
FIFA.com
[14]
웹사이트
World Cup path laid out for Oceania
http://www.oceaniafo[...]
OFC
2015-07-26
[15]
웹사이트
FIFA Men's Ranking – July 2015 (OFC)
https://www.fifa.com[...]
FIFA.com
2015-07-09
[16]
웹사이트
Regulations – 2018 FIFA World Cup Russia
http://resources.fif[...]
FIFA.com
[17]
웹사이트
New Zealand triumphant
http://www.oceaniafo[...]
Oceania Football Confederation
2016-06-11
[18]
웹사이트
OFC Nations Cup Live Streaming
http://www.oceaniafo[...]
oceaniafootball.com
[19]
웹사이트
OFC Nations Cup Programme by OFC Football
https://issuu.com/of[...]
oceaniafootball.com
[20]
웹사이트
High hopes for OFC Nations Cup
http://www.fbc.com.f[...]
fbc.com.fj
[21]
웹사이트
New Zealand triumphant
http://www.oceaniafo[...]
OFC
2016-06-11
[22]
웹사이트
Prestigious honour for Papua New Guinea
http://www.oceaniafo[...]
오세아니아サッカー連盟
2015-10-30
[23]
웹사이트
OFC Executive Committee outcomes
http://www.oceaniafo[...]
오세아니아サッカー連盟
2014-10-20
[24]
웹사이트
Preliminary Draw procedures outlined
http://www.fifa.com/[...]
fifa.com
2015-07-09
[25]
웹사이트
Draw Procedures – Oceanian Zone
http://resources.fif[...]
FIFA.com
[26]
웹사이트
OFC Executive Committee outcomes
http://www.oceaniafo[...]
오세아니아サッカー連盟
2014-10-20
[27]
웹사이트
OFC Executive Committee decisions
http://www.oceaniafo[...]
Oceania Football Confederation
2014-04-23
[28]
웹사이트
Preliminary competition format outlined
http://www.oceaniafo[...]
Oceania Football Confederation
2015-07-10
[29]
웹사이트
Calendar of Events 2015
http://www.oceaniafo[...]
Oceania Football Confederation
[30]
웹사이트
Stage 1 draw revealed
http://www.oceaniafo[...]
OFC
2015-07-30
[31]
웹사이트
FIFA Men's Ranking – July 2015 (OFC)
http://www.fifa.com/[...]
FIFA
2015-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