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K리그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7년 K리그2는 10개 팀이 참가하여 진행되었으며, 1위 팀은 K리그1으로 자동 승격되고, 2위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경남 FC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마르쿠스 비니시우스 아마랄 아우베스(경남 FC)가 최우수 선수상과 득점왕을, 장혁진(안산 그리너스)이 도움상을, 김종부(경남 FC)가 감독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리그 챌린지 시즌 - 2013년 K리그2
2013년 K리그2는 2013년 3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상주 상무가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강원 FC를 꺾고 K리그 클래식으로 승격했고, 이근호는 득점왕과 MVP를, 염기훈은 도움상을 수상했다. - K리그 챌린지 시즌 - 2014년 K리그2
2014년 K리그2는 10개 팀이 참가하여 대전 시티즌의 우승과 광주 FC의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한 승격, 그리고 아드리아누의 득점왕과 최진호의 도움왕 수상 등이 주요 특징이다. - 2017 축구 리그 - J2리그 2017
J2리그 2017은 22개 팀이 참가한 일본 프로 축구 2부 리그로, 쇼난 벨마레와 V-파렌 나가사키가 1, 2위를 차지하여 J1리그로 승격하고 나고야 그램퍼스가 승격 플레이오프를 통해 추가 승격했으며, 더스파구사쓰 군마는 최하위를 기록하며 J3리그로 강등되었다. - 2017 축구 리그 - J3리그 2017
J3리그 2017은 17개 팀이 참가한 일본 프로 축구 리그 J3리그의 시즌으로, 블라우블리츠 아키타가 우승하고 도치기 SC가 2위를 차지하여 J2리그로 승격했다. - K리그 시즌 - K리그2
K리그2는 2012년 K리그 분할 시스템 도입으로 출범한 대한민국의 2부 프로 축구 리그로, 초기에는 K리그 챌린지로 불렸으나 2018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K리그1 승격팀을 결정하고 단일 리그 방식을 유지하며, 2025년부터 외국인 선수 등록 규정 변경 및 홈그로운 선수, U-22 출전 의무 규정이 도입될 예정이다. - K리그 시즌 - 1985년 K리그
1985년 K리그는 8개 팀이 참가하여 럭키금성 황소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한문배가 MVP, 삐야퐁 푸온이 득점왕과 도움왕을, 이흥실이 신인상을, 박세학이 감독상을, 김현태가 최우수 골키퍼상을 수상했다. 
| 2017년 K리그2 | |
|---|---|
| 대회 정보 | |
| 대회 | KEB 하나은행 K리그 챌린지 | 
| 시즌 | 2017년 | 
![]()  | |
| 시즌 결과 | |
| 우승 | 경남 FC (1회 우승) | 
| 승격 | 경남 FC | 
| 최우수 선수 | 마르카오 | 
| 득점왕 | 마르카오 (22골) | 
| 시즌 통계 | |
| 경기 수 | 180 | 
| 총 득점 | 454 | 
| 경기당 평균 득점 | 2.52 | 
| 최다 점수차 승리 (홈) | 부천 6–2 안양 (2017년 6월 19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원정) | 대전 1–4 성남 (2017년 8월 27일)  안양 1–4 경남 (2017년 9월 2일)  | 
| 최다 득점 경기 | 부천 6–2 안양 (2017년 6월 19일) | 
| 최다 관중 | 10,683명  안양 1–4 경남 (2017년 9월 2일)  | 
| 평균 관중 | 2,324명 | 
| 시즌 정보 | |
| 이전 시즌 | 2016년 | 
| 다음 시즌 | 2018년 | 
2. 운영 방식
1위 팀은 K리그 클래식으로 자동 승격되며, 3위 팀과 4위 팀 간의 단판 승부에서 이긴 팀이 2위 팀과 단판 승부를 벌이는 플레이오프가 진행된다. 이 때 전후반 90분 내에 승부가 나지 않을 경우 정규 리그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한 팀의 승리로 처리된다. 플레이오프에서 이긴 팀은 K리그 클래식 11위 팀과 11월에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를 한다. 
3. 참가 구단
2017 시즌에는 총 10개 팀이 참가한다. K리그 클래식 2016에서 강등된 수원 FC와 성남 FC가 참가하며, 신규 창단된 안산 그리너스가 합류한다. 반면 고양 자이크로와 충주 험멜은 참가를 철회했다.클럽 지난 시즌 순위 첫 리그 참가 총 시즌 연고지 홈구장 수용좌석 경남 FC 8위 2015 3 경남 창원축구센터 15,116 대전 시티즌 7위 2014 3 대전 대전월드컵경기장 40,535 부산 아이파크 5위 2016 2 부산 부산구덕운동장 11,808 부천 FC 1995 3위 2013 5 부천 부천종합운동장 35,456 서울 이랜드 FC 6위 2015 3 서울 서울종합운동장 5,216 성남 FC  
K리그 클래식 11위 2017 1 성남 탄천종합운동장 16,146 수원 FC 파일:Arrowdownred.png K리그 클래식 12위 2013 4 수원 수원종합운동장 11,808 아산 무궁화 신생팀 2017 1 아산 이순신종합운동장 19,283 안산 그리너스 FC 신생팀 2017 1 안산 안산와~스타디움 35,000 FC 안양 9위 2013 5 안양 안양종합운동장 17,143 
3. 1. 구단 개요
2017 시즌에는 총 10개 팀이 참가한다. K리그 클래식 2016에서 강등된 수원 FC와 성남 FC가 참가하며, 신규 창단된 안산 그리너스가 합류한다. 반면 고양 자이크로와 충주 험멜은 참가를 철회했다.
| 클럽 | 지난 시즌 순위 | 첫 리그 참가 | 총 시즌 | 연고지 | 홈구장 | 수용좌석 | 
|---|---|---|---|---|---|---|
| 경남 FC | 8위 | 2015 | 3 | 경남 | 창원축구센터 | 15,116 | 
| 대전 시티즌 | 7위 | 2014 | 3 | 대전 | 대전월드컵경기장 | 40,535 | 
| 부산 아이파크 | 5위 | 2016 | 2 | 부산 | 부산구덕운동장 | 11,808 | 
| 부천 FC 1995 | 3위 | 2013 | 5 | 부천 | 부천종합운동장 | 35,456 | 
| 서울 이랜드 FC | 6위 | 2015 | 3 | 서울 | 서울종합운동장 | 5,216 | 
| 성남 FC ]] | K리그 클래식 11위 | 2017 | 1 | 성남 | 탄천종합운동장 | 16,146 | 
| 수원 FC 파일:Arrowdownred.png | K리그 클래식 12위 | 2013 | 4 | 수원 | 수원종합운동장 | 11,808 | 
| 아산 무궁화 | 신생팀 | 2017 | 1 | 아산 | 이순신종합운동장 | 19,283 | 
| 안산 그리너스 FC | 신생팀 | 2017 | 1 | 안산 | 안산와~스타디움 | 35,000 | 
| FC 안양 | 9위 | 2013 | 5 | 안양 | 안양종합운동장 | 17,143 | 
3. 2. 감독, 주장, 유니폼 스폰서
wikitable| 클럽 | 감독 | 킷 스폰서 | 메인 스폰서 | 주장 | 
|---|---|---|---|---|
| 경남 FC | 김종부 | 험멜 | 경상남도 | 배기종 | 
| 대전 시티즌 | 김종현 (대행) | 아스토레 | 대전광역시, KEB하나은행 | 김진규 | 
| 부천 FC 1995 | 정갑석 | 아스토레 | KEB하나은행 | 문기한 | 
| 서울 이랜드 FC | 김병수 | 뉴발란스 | NC백화점 | 김영광 | 
| 성남 FC | 박경훈 | 엄브로 | 롤링 주빌리 | 배승진 | 
| 수원 FC | 김대의 | 험멜 | 수원시 | 서동현 | 
| 부산 아이파크 | 이승엽 (대행) | 아디다스 | 현대산업개발 | 박준태 | 
| 아산 무궁화 | 송선호 | 푸마 | 아산시 | 김은선 | 
| 안산 그리너스 FC | 이흥실 | 켈미 | 스포빌 | 박한수 | 
| FC 안양 | 김종필 | 아스토레 | 안양시 | 김태호 | 
참고: 국기는 FIFA 자격 규칙에 따라 국가대표팀을 나타냅니다. 선수들은 FIFA에 속하지 않는 국적을 두 개 이상 가질 수 있습니다.
3. 3. 감독 변화
2017 시즌 중 감독 변화는 다음과 같다.| 구단 | 전임 감독 | 형태 | 일자 | 당시 순위 | 신임 감독 | 일자 | |
|---|---|---|---|---|---|---|---|
| 대전 시티즌 | 최문식/崔文植한국어 | 사임 | 2016년 10월 30일 | 비시즌 | 이영익/李榮益한국어 | 2016년 11월 9일 | |
| 아산 무궁화 축구단 | 이흥실/李興實한국어 | 계약 해지 | 2016년 10월 31일 | 비시즌 | 송선호/宋善浩한국어 | 2016년 12월 8일 | |
| 부산 아이파크 | 최영준 (1965년)/崔榮俊한국어 | 사임 | 2016년 11월 4일 | 비시즌 | 조진호 (축구인)/趙眞浩한국어 | 2016년 11월 25일 | |
| 부천 FC 1995 | 송선호/宋善浩한국어 | 계약 해지 | 2016년 11월 9일 | 비시즌 | 정갑석/鄭甲錫한국어 | 2016년 12월 8일 | |
| 성남 FC | 변성환/邊成煥한국어(대행) | 복직 | 2016년 11월 20일 | 비시즌 | 박경훈/朴慶勳한국어 | 2016년 12월 1일 | |
| FC 안양 | 이영민 (축구인)/李榮敏한국어 | 계약 해지 | 2016년 11월 22일 | 비시즌 | 김종필 (1955년)/金鍾弼한국어 | 2016년 11월 23일 | |
| 서울 이랜드 | 박건하/朴建夏한국어 | 사임 | 2017년 1월 9일 | 비시즌 | 김병수 (축구인)/金炳洙한국어 | 2017년 1월 9일 | |
| 수원 FC | 조덕제 (1965년)/趙德濟한국어 | 사임 | 2017년 8월 26일 | 7 | 조종화/趙宗化한국어(대행) | 2017년 8월 26일 | |
| 대전 시티즌 | 이영익/李榮益한국어 | 사임 | 2017년 8월 31일 | 10 | 김종현 (1973년)/金鍾現한국어(대행) | 2017년 8월 31일 | |
| 부산 아이파크 | 조진호 (축구인)/趙眞浩한국어 | 사망 | 2017년 10월 10일 | 2 | 이승엽 (축구인)/李承燁한국어(대행) | 2017년 10월 10일 | |
| 수원 FC | 조종화/趙宗化한국어(대행) | 계약 해지 | 2017년 10월 12일 | 7 | 김대의/金大儀한국어 | 2017년 10월 12일 | |
K리그 클래식에서 강등된 수원 FC와 성남 FC는 각각 조덕제, 변성환 감독 대행 체제에서 시즌을 시작했다. K리그 클래식으로 승격한 대구 FC와 강원 FC는 각각 손현준, 최윤겸 감독 체제로 운영되었다. 신규 참가팀 안산 그리너스는 이흥실 감독을 선임했으나, 시즌 전 계약 해지하고 송선호 감독을 새로 선임했다. 참가를 철회한 고양 자이크로와 충주 험멜은 감독 변동 사항이 없다.
3. 4. 외국인 선수
2017년 K리그2 각 구단은 AFC 소속 국가 선수 1명을 포함하여 최대 4명의 외국인 선수를 보유할 수 있었다. 각 팀은 경기마다 최대 4명의 외국인 선수를 출전시킬 수 있었다.| 클럽 | 기간 | 선수 1 | 선수 2 | 선수 3 | 아시아 선수 | 
|---|---|---|---|---|---|
| 경남 FC | 상반기 | 이반/이반 헤르체그hr | 말컹/마르쿠스 비니시우스 아마라우 아우베스pt | 알레스 브루누/알레스 브루누 지 소자 시우바pt | rowspan="2"| | 
| 하반기 | |||||
| 대전 시티즌 | 상반기 | 크리스찬/크리스티안 더널라케ro | 레반/레반 셴겔리아ka | 페드루/페드루 엔히키 올리베이라pt-TL | |
| 하반기 | 브루누/브루누 칸타냐지pt | ||||
| 부산 아이파크 | 상반기 | 다니/다니 모라이스pt | 호물로/호물루 조제 파셰쿠 다 시우바pt | 루키안/루키앙 아라우주 지 아우메이다pt | 야스다/야스다 미치히로일본어 | 
| 하반기 | 레오 미네이루/레오 미네이루pt | ||||
| 부천 FC 1995 | 상반기 | 바그닝요/바그네르 다 시우바 소우자pt | 닐손주니어/니우송 히카르두 다 시우바 주니오르pt | 하리스/하리스 하르바bs | 바호디르/바호디르 파르다예프uz | 
| 하반기 | 호드리고/호드리구 파라냐pt | ||||
| 서울 이랜드 FC | 상반기 | 다니에우/다니에우 로비뉴pt | 야구/야구 모레이라 시우바pt | 아츠키/와다 아쓰키일본어 | |
| 하반기 | 알렉스/웨즐레이 알레스 마이올리누pt | 토모키/와다 도모키일본어 | |||
| 성남 FC | 상반기 | 마린/마린 오르슐리치hr | 파울루/파울루 세르지우 루이스 지 소자pt | 다닐루/다닐루 네쿠pt | 다리오/다리오 비도시치en-AU | 
| 하반기 | 필리프/필리프 흘로호우스키sk | 다리우/다리우 프레데리쿠 다 시우바pt | |||
| 수원 FC | 상반기 | 블라단/블라단 아지치me | 브루스/브루스 지테en-AU | 하이메/하이메 가빌란es | 레이어/에이드리언 레이어en-AU | 
| 하반기 | 카르모나/페드루 카르모나 다 시우바 네투pt | ||||
| 안산 그리너스 FC | 상반기 | 루카/루카 로트코비치me | 라울/라울 타라고나es | 윌리앙/윌리앙 엔히키pt | 바호디르/바호디르 나시모프uz | 
| 하반기 | |||||
| FC 안양 | 상반기 | 쿠아쿠/오빈 쿠아쿠프랑스어 | 알렉스/웨즐레이 알레스 마이올리누pt | 조시에우/조시에우 아우베스 지 올리베이라pt | rowspan="2"| | 
| 하반기 | 루키안/루키앙 아라우주 지 아우메이다pt | ||||
4. 시즌 순위
wikitable
| 순위 | 구단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결과 | 
|---|---|---|---|---|---|---|---|---|---|---|
| 1 | 경남 FC | 36 | 24 | 7 | 5 | 69 | 36 | +33 | 79 | K리그1 2018로 승격 | 
| 2 | 부산 아이파크 | 36 | 19 | 11 | 6 | 52 | 30 | +22 | 68 | 플레이오프 진출 | 
| 3 | 아산 무궁화 | 36 | 15 | 9 | 12 | 44 | 37 | +7 | 54 | 준플레이오프 진출 | 
| 4 | 성남 FC | 36 | 13 | 14 | 9 | 38 | 30 | +8 | 53 | 준플레이오프 진출 | 
| 5 | 부천 FC 1995 | 36 | 15 | 7 | 14 | 50 | 46 | +4 | 52 | |
| 6 | 수원 FC | 36 | 11 | 12 | 13 | 42 | 48 | -6 | 45 | |
| 7 | FC 안양 | 36 | 10 | 9 | 17 | 40 | 58 | -18 | 39 | |
| 8 | 서울 이랜드 | 36 | 7 | 14 | 15 | 42 | 55 | -13 | 35 | |
| 9 | 안산 그리너스 | 36 | 7 | 12 | 17 | 36 | 54 | -18 | 33 | |
| 10 | 대전 시티즌 | 36 | 6 | 11 | 19 | 41 | 60 | -19 | 29 | 
2017년 10월 29일 최종전까지 치른 경기를 대상으로 함. 출처: [http://www.kleague.com/kr/sub.asp?avan=1004020000 K리그 공식 웹사이트]
정규 리그 순위 결정 방식은 아래와 같다.
- 첫째: 승점이 높은 팀
 - 둘째: 득점이 많은 팀
 - 셋째: 골득실차가 큰 팀
 - 넷째: 승리한 경기가 많은 팀
 - 다섯째: 승리한 경기에서 득점이 많은 팀
 
4. 1. 정규시즌 순위
| 순위 | 구단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결과 | 
|---|---|---|---|---|---|---|---|---|---|---|
| 1 | 경남 FC | 36 | 24 | 7 | 5 | 69 | 36 | +33 | 79 | K리그1 2018로 승격 | 
| 2 | 부산 아이파크 | 36 | 19 | 11 | 6 | 52 | 30 | +22 | 68 | 플레이오프 진출 | 
| 3 | 아산 무궁화 | 36 | 15 | 9 | 12 | 44 | 37 | +7 | 54 | 준플레이오프 진출 | 
| 4 | 성남 FC | 36 | 13 | 14 | 9 | 38 | 30 | +8 | 53 | 준플레이오프 진출 | 
| 5 | 부천 FC 1995 | 36 | 15 | 7 | 14 | 50 | 46 | +4 | 52 | |
| 6 | 수원 FC | 36 | 11 | 12 | 13 | 42 | 48 | -6 | 45 | |
| 7 | FC 안양 | 36 | 10 | 9 | 17 | 40 | 58 | -18 | 39 | |
| 8 | 서울 이랜드 | 36 | 7 | 14 | 15 | 42 | 55 | -13 | 35 | |
| 9 | 안산 그리너스 | 36 | 7 | 12 | 17 | 36 | 54 | -18 | 33 | |
| 10 | 대전 시티즌 | 36 | 6 | 11 | 19 | 41 | 60 | -19 | 29 | 
2017년 10월 29일 최종전까지 치른 경기를 대상으로 함. 출처: [http://www.kleague.com/kr/sub.asp?avan=1004020000 K리그 공식 웹사이트]
정규 리그 순위 결정 방식은 아래와 같다.
- 첫째: 승점이 높은 팀
 - 둘째: 득점이 많은 팀
 - 셋째: 골득실차가 큰 팀
 - 넷째: 승리한 경기가 많은 팀
 - 다섯째: 승리한 경기에서 득점이 많은 팀
 
4. 2. 라운드별 순위
2017년 K리그2의 라운드별 순위는 다음과 같다.|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
- 마지막 업데이트: 2017년 10월 29일
 - 자료: K리그
 
: 범례
| | 선두 | 
| |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 | 
5. 경기 결과
5. 1. 정규시즌 (1~18 라운드)
2017년 K리그2 1~18라운드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남 FC | 대전 시티즌 | 부산 아이파크 | 부천 FC | 서울 이랜드 | 성남 FC | 수원 FC | 아산 무궁화 | 안산 그리너스 | FC 안양 | |
|---|---|---|---|---|---|---|---|---|---|---|
| 경남 FC | 2-1 | 1-0 | 2-1 | 0-2 | 1-1 | 0-1 | 1-0 | 3-0 | 2-1 | |
| 대전 시티즌 | 0-2 | 2-3 | 0-1 | 2-1 | 1-1 | 4-3 | 1-1 | 1-2 | 0-2 | |
| 부산 아이파크 | 1-1 | 2-1 | 1-0 | 2-1 | 1-2 | 4-3 | 1-1 | 3-1 | 1-1 | |
| 부천 FC | 2-2 | 1-1 | 1-0 | 2-1 | 0-2 | 0-1 | 1-2 | 2-0 | 6-2 | |
| 서울 이랜드 | 0-1 | 3-3 | 2-3 | 4-1 | 0-0 | 0-0 | 1-1 | 1-0 | 2-2 | |
| 성남 FC | 1-2 | 1-0 | 0-1 | 1-2 | 0-2 | 0-1 | 1-0 | 0-0 | 0-0 | |
| 수원 FC | 1-1 | 3-1 | 1-0 | 1-0 | 2-2 | 0-1 | 0-2 | 0-4 | 3-3 | |
| 아산 무궁화 | 1-1 | 3-1 | 0-2 | 2-1 | 1-0 | 1-1 | 1-0 | 1-0 | 4-0 | |
| 안산 그리너스 | 3-3 | 2-1 | 0-3 | 2-4 | 1-2 | 0-1 | 3-3 | 2-1 | 1-0 | |
| FC 안양 | 1-2 | 3-2 | 0-1 | 3-1 | 2-0 | 2-0 | 1-2 | 0-2 | 2-1 | 
5. 2. 정규시즌 (19~36 라운드)
2017년 K리그2 19~36라운드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산 그리너스 | FC 안양 | 아산 무궁화 | 부천 FC 1995 | 부산 아이파크 | 대전 시티즌 | 경남 FC | 성남 FC | 서울 이랜드 | 수원 FC | |
|---|---|---|---|---|---|---|---|---|---|---|
| 안산 그리너스 | 2–2 | 0–1 | 0–2 | 0–1 | 1–1 | 1–0 | 1–1 | 1–1 | 0–0 | |
| FC 안양 | 2–0 | 1–3 | 1–3 | 1–2 | 0–0 | 1–4 | 1–3 | 2–0 | 4–0 | |
| 아산 무궁화 | 0–0 | 2–0 | 1–1 | 0–1 | 1–2 | 2–3 | 0–2 | 2–0 | 2–1 | |
| 부천 FC 1995 | 1–1 | 0–0 | 3–0 | 0–2 | 1–0 | 2–4 | 3–2 | 1–0 | 0–1 | |
| 부산 아이파크 | 3–0 | 0–0 | 1–1 | 1–0 | 4–2 | 1–2 | 0–0 | 2–1 | 2–2 | |
| 대전 시티즌 | 1–1 | 2–0 | 1–1 | 0–1 | 0–0 | 2–1 | 1–4 | 0–1 | 2–0 | |
| 경남 FC | 3–1 | 0–1 | 3–1 | 2–1 | 2–0 | 4–2 | 1–0 | 2–1 | 2–2 | |
| 성남 FC | 1–0 | 1–0 | 1–0 | 1–1 | 1–1 | 1–1 | 1–3 | 2–2 | 3–0 | |
| 서울 이랜드 | 3–3 | 2–3 | 3–2 | 2–2 | 2–2 | 0–0 | 1–0 | 1–1 | 0–0 | |
| 수원 FC | 0–2 | 4–0 | 0–1 | 1–2 | 0–1 | 3–2 | 2–1 | 0–0 | 3–1 | 
6. 포스트시즌
3위 팀과 4위 팀은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2위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준플레이오프과 플레이오프는 리그 순위가 높은 팀의 홈 경기장에서 단판 승부로 치르며, 90분 내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리그 순위가 높은 팀을 승리 팀으로 처리한다.
;준플레이오프
2017년 11월 15일 19시 이순신종합운동장에서 2017년 K리그2 준플레이오프가 열렸으며, 아산 무궁화가 성남 FC를 1-0으로 꺾었다. 아산 무궁화의 정성민이 후반 65분에 결승골을 기록하였다. 이날 경기의 관중 수는 3,840명이었고, 주심은 김종혁이었다.
;플레이오프
2017년 11월 18일 15시 구덕종합운동장에서 2017년 K리그2 준플레이오프가 열렸으며, 부산 아이파크가 아산 무궁화를 3-0으로 꺾었다. 부산 아이파크의 이정협이 전반 33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이동준이 후반 81분과 추가시간 94분에 연속골을 기록하며 승리하였다. 이날 경기의 관중 수는 2,710명이었다.
;승강 플레이오프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2017은 K리그 챌린지 2017 플레이오프 우승팀과 K리그 클래식 2017 11위 팀 간에 치러졌다. 1차전은 2017년 11월 22일 부산 아이파크의 홈구장인 구덕운동장에서 열렸으며, 상주 상무가 여름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2차전은 2017년 11월 26일 상주시민운동장에서 열렸고, 부산 아이파크가 호물로의 페널티킥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연장전까지 1-1 접전 끝에, 상주 상무가 승부차기에서 5-4로 승리하여 K리그 클래식 잔류를 확정지었다.
6. 1. 준플레이오프
2017년 11월 15일 19시 이순신종합운동장에서 2017년 K리그2 준플레이오프가 열렸으며, 아산 무궁화가 성남 FC를 1-0으로 꺾었다. 아산 무궁화의 정성민이 후반 65분에 결승골을 기록하였다. 이날 경기의 관중 수는 3,840명이었고, 주심은 김종혁이었다.6. 1. 1. 플레이오프
2017년 11월 18일 15시 구덕종합운동장에서 2017년 K리그2 준플레이오프가 열렸으며, 부산 아이파크가 아산 무궁화를 3-0으로 꺾었다. 부산 아이파크의 이정협이 전반 33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이동준이 후반 81분과 추가시간 94분에 연속골을 기록하며 승리하였다. 이날 경기의 관중 수는 2,710명이었다.```wikitable
6. 2. 승강 플레이오프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2017은 K리그 챌린지 2017 플레이오프 우승팀과 K리그 클래식 2017 11위 팀 간에 치러졌다. 1차전은 2017년 11월 22일 부산 아이파크의 홈구장인 구덕운동장에서 열렸으며, 상주 상무가 여름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2차전은 2017년 11월 26일 상주시민운동장에서 열렸고, 부산 아이파크가 호물로의 페널티킥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연장전까지 1-1 접전 끝에, 상주 상무가 승부차기에서 5-4로 승리하여 K리그 클래식 잔류를 확정지었다.7. 우승 구단
8. 시즌 통계
8. 1. 개인 기록
| 순위 | 선수 | 클럽 | 골 | 
|---|---|---|---|
| 1 | 마르쿠스 비니시우스 아마랄 아우베스/Marcos Vinícius Amaral Alvespt (마르캉) | 경남 FC | 22 | 
| 2 | 라울 타라고나/Raúl Tarragonaes (라울) | 안산 그리너스 FC | 15 | 
| 3 | 바그네르 다 시우바 소우자/Wagner da Silva Souzapt (와귀니뉴) | 부천 FC 1995 | 12 | 
| 4 | 정원진 | 경남 FC | 10 | 
| 5 | 고경민 | 부산 아이파크 | 9 | 
| 이정협 | 부산 아이파크 | ||
| 크리스티안 더널라케/Cristian Dănălachero (크리스찬) | 대전 시티즌 | ||
| 박성호 | 성남 FC | ||
| 진창수 | 부천 FC 1995 | ||
| 10 | 백성동 | 수원 FC | 8 | 
| 정재희 | FC 안양 | 
| 순위 | 선수 | 클럽 | 도움 | 
|---|---|---|---|
| 1 | 장혁진 | 안산 그리너스 FC | 13 | 
| 2 | 정원진 | 경남 FC | 10 | 
| 3 | 알렉스 브루노/Alex Bruno de Souza Silvapt | 경남 FC | 8 | 
| 김신 | 부천 FC 1995 | ||
| 5 | 와다 아쓰키/和田 篤紀일본어 | 서울 이랜드 FC | 7 | 
| 6 | 호물루/Rômulo José Pacheco da Silvapt | 부산 아이파크 | 6 | 
| 이호석 | 대전 시티즌 | ||
| 김신 | 부천 FC 1995 | ||
| 9 | 김봉래 | 수원 FC | 5 | 
| 이주용 | 아산 무궁화 FC | ||
| 정재희 | FC 안양 | 
8. 1. 1. 득점
| 순위 | 이름 | 클럽 | 득점 | 경기 | 
|---|---|---|---|---|
| 1 | 마르쿠스 비니시우스 아마라우 아우베스/Marcos Vinícius Amaral Alvespt (말컹) | 경남 | 22 | 32 | 
| 2 | 라울 타라고나/Raúl Tarragonaes (라울) | 안산 | 15 | 31 | 
| 3 | 바그네르 다 시우바 소우자/Wagner da Silva Souzapt (바그닝요) | 부천 | 12 | 28 | 
| 4 | 정원진 | 경남 | 10 | 34 | 
| 5 | 고경민 | 부산 | 9 | 17 | 
| 6 | 이정협 | 부산 | 9 | 25 | 
| 7 | 크리스티안 더널라케/Cristian Dănălachero (크리스찬) | 대전 | 9 | 25 | 
| 8 | 박성호 | 성남 | 9 | 30 | 
| 9 | 진창수 | 부천 | 9 | 35 | 
| 10 | 백성동 | 수원F | 8 | 32 | 
| 11 | 정재희 | 안양 | 8 | 35 | 
8. 1. 2. 도움
| 순위 | 이름 | 클럽 | 도움 | 경기 | 
|---|---|---|---|---|
| 1 | 장혁진 | 안산 | 13 | 33 | 
| 2 | 정원진 | 경남 | 10 | 34 | 
| 3 | 알렉스 브루노/Alex Bruno de Souza Silvapt | 경남 | 8 | 32 | 
| 4 | 문기한 | 부천 | 8 | 33 | 
| 5 | 와다 아쓰키/和田 篤紀일본어 | 서울 | 7 | 32 | 
| 순위 | 선수 | 클럽 | 도움 | 
|---|---|---|---|
| 1 | 장혁진 | 안산 그리너스 | 13 | 
| 2 | 정원진 | 경남 FC | 10 | 
| 3 | 알렉스 브루노/Alex Bruno de Souza Silvapt | 경남 FC | 8 | 
| 김신 | 부천 FC 1995 | ||
| 5 | 와다 아쓰키/和田 篤紀일본어 | 서울 이랜드 FC | 7 | 
| 6 | 호물루/Rômulo José Pacheco da Silvapt | 부산 아이파크 | 6 | 
| 이호석 | 대전 시티즌 | ||
| 김신 | 부천 FC 1995 | ||
| 9 | 김봉래 | 수원 FC | 5 | 
| 이주용 | 아산 무궁화 | ||
| 정재희 | FC 안양 | 
- 최종 업데이트: 2017년 3월 5일 ([https://web.archive.org/web/20200504223248/http://www.kleague.com/ K리그 클래식 공식 홈페이지])
 - 득점/도움 수가 같을 경우 경기 수가 적은 선수가, 경기 수도 같을 경우 교체 횟수가 많은 선수가 윗 순위가 된다.
 
8. 1. 3. 해트트릭
요약(summary) 및 원본 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어, '2017년 K리그2'의 '해트트릭'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8. 1. 4. 무실점경기
2017년 K리그2 시즌에는 무실점 경기에 대한 기록은 없다.8. 2. 팀 기록
8. 3. 관중 기록
무료 입장 관중은 집계되지 않았다.| 구단 | 경기수 | 최다 관중 | 최소 관중 | 평균 관중 | 누적 관중 | 
|---|---|---|---|---|---|
| FC 안양 | 18 | 10,683 | 1,360 | 3,338 | 60,078 | 
| 성남 FC | 18 | 6,700 | 1,410 | 2,802 | 50,427 | 
| 안산 그리너스 | 18 | 8,405 | 915 | 2,702 | 48,635 | 
| 부산 아이파크 | 18 | 6,337 | 1,024 | 2,406 | 43,302 | 
| 경남 FC | 18 | 7,278 | 713 | 2,182 | 39,273 | 
| 대전 시티즌 | 18 | 5,136 | 1,032 | 2,155 | 38,787 | 
| 수원 FC | 18 | 8,455 | 711 | 2,148 | 38,655 | 
| 아산 무궁화 | 18 | 7,933 | 726 | 1,955 | 35,188 | 
| 부천 FC 1995 | 18 | 7,209 | 0 | 1,947 | 35,047 | 
| 서울 이랜드 | 18 | 4,531 | 631 | 1,611 | 28,996 | 
| 총합 | 10,683 | 0 | 2,324 | 418,388 | 
8. 3. 1. 구단별 관중 기록
wikitext| 구단 | 경기수 | 최다 관중 | 최소 관중 | 평균 관중 | 누적 관중 | 전년 대비 | 
|---|---|---|---|---|---|---|
| 경남 FC | 18 | 7,278 | 713 | 2,182 | 39,282 | |
| 대전 시티즌 | 18 | 5,136 | 1,032 | 2,164 | 38,944 | |
| 부산 아이파크 | 18 | 6,337 | 1,024 | 2,406 | 43,302 | |
| 부천 FC 1995 | 18 | 7,209 | 26[2] | 2,055 | 36,985 | |
| 서울 이랜드 | 18 | 4,531 | 631 | 1,611 | 28,996 | |
| 성남 FC | 18 | 6,700 | 1,410 | 2,802 | 50,427 | † | 
| 수원 FC | 18 | 8,455 | 711 | 2,147 | 38,652 | † | 
| 아산 무궁화 | 18 | 7,933 | 726 | 1,955 | 35,188 | |
| 안산 그리너스 | 18 | 8,406 | 915 | 2,702 | 48,636 | |
| FC 안양 | 18 | 10,683 | 1,360 | 3,339 | 60,098 | |
| 종합 | 180 | 10,683 | 26 | 2,336 | 420,510 | †† | 
† 전년도에는 K리그 클래식 소속이었음; †† 2016시즌 평균관중수 1,506명 기준
무료 입장 관중은 집계되지 않았다.
9. 수상
2017년 K리그2 시상식은 2017년 11월 20일에 열렸다.[1]
- 골키퍼: 이범수 (경남 FC)
 - 수비수: 최재수(경남 FC), 이반(경남 FC), 박지수(경남 FC), 우주성(경남 FC)
 - 미드필더: 정원진(경남 FC), 황인범(대전 시티즌), 문기한(부천 FC 1995), 배기종(경남 FC)
 - 공격수: 말컹(경남 FC), 이정협(부산 아이파크)
 
| 포지션 | 선수 | 클럽 | 
|---|---|---|
| 골키퍼 | 이범수 | 경남 FC | 
| 수비수 | 최재수 | 경남 FC | 
| 박지수 | 경남 FC | |
| 이반 헤르체그 | 경남 FC | |
| 우주성 | 경남 FC | |
| 미드필더 | 정원진 | 경남 FC | 
| 황인범 | 대전 시티즌 | |
| 문기한 | 부천 FC 1995 | |
| 배기종 | 경남 FC | |
| 공격수 | 마르캉 | 경남 FC | 
| 이정협 | 부산 아이파크 | 
| 부문 | 수상자 | 클럽 | 
|---|---|---|
| 최우수선수상 | 말컹/Marcos Vinícius Amaral Alvespt | 경남 FC | 
| 득점상 | 말컹/Marcos Vinícius Amaral Alvespt | 경남 FC | 
| 도움상 | 장혁진 | 안산 그리너스 | 
| 감독상 | 김종부 | 경남 FC | 
| 라운드 | 선수 | 클럽 | 
|---|---|---|
| 1 | 이정협 | 부산 아이파크 | 
| 2 | 허범산 | 부산 아이파크 | 
| 3 | 김은선 | 아산 무궁화 | 
| 4 | 조석재 | FC 안양 | 
| 5 | 김민균 | FC 안양 | 
| 6 | 이정협 | 부산 아이파크 | 
| 7 | 정재희 | FC 안양 | 
| 8 | 김민균 | FC 안양 | 
| 9 | 이승현 | 수원 FC | 
| 10 | 김민균 | FC 안양 | 
| 11 | 라울 타라고나/라울 타라고나URU | 안산 그리너스 | 
| 12 | 마르캉/마르쿠스 비니시우스 아마랄 아우베스BRA | 경남 FC | 
| 13 | 마르캉/마르쿠스 비니시우스 아마랄 아우베스BRA | 경남 FC | 
| 14 | 임상협 | 부산 아이파크 | 
| 15 | 이규성 | 부산 아이파크 | 
| 16 | 크리스티안 더널라케/크리스티안 더널라케ROU | 대전 시티즌 | 
| 17 | 김신 | 부천 FC 1995 | 
| 18 | 대니 모라이스/대니 모라이스BRA | 부산 아이파크 | 
| 19 | 백성동 | 수원 FC | 
| 20 | 이승현 | 수원 FC | 
| 21 | 고명석 | 부천 FC 1995 | 
| 22 | 김동찬 | 성남 FC | 
| 23 | 황인범 | 대전 시티즌 | 
| 24 | 정원진 | 경남 FC | 
| 25 | 마르캉/마르쿠스 비니시우스 아마랄 아우베스BRA | 경남 FC | 
| 26 | 최오백 | 서울 이랜드 | 
| 27 | 최오백 | 서울 이랜드 | 
| 28 | 고경민 | 부산 아이파크 | 
| 29 | 김찬희 | 대전 시티즌 | 
| 30 | 김현 | 아산 무궁화 | 
| 31 | 마르캉/마르쿠스 비니시우스 아마랄 아우베스BRA | 경남 FC | 
| 32 | 김경민 | 부산 아이파크 | 
| 33 | 마르캉/마르쿠스 비니시우스 아마랄 아우베스BRA | 경남 FC | 
| 34 | 류원우 | 부천 FC 1995 | 
| 35 | 정현철 | 경남 FC | 
| 36 | 백성동 | 수원 FC | 
9. 1. 베스트 11
- 골키퍼: 이범수 (경남 FC)
 - 수비수: 최재수(경남 FC), 이반(경남 FC), 박지수(경남 FC), 우주성(경남 FC)
 - 미드필더: 정원진(경남 FC), 황인범(대전 시티즌), 문기한(부천 FC 1995), 배기종(경남 FC)
 - 공격수: 말컹(경남 FC), 이정협(부산 아이파크)
 
| 포지션 | 선수 | 클럽 | 
|---|---|---|
| 골키퍼 | 이범수 | 경남 FC | 
| 수비수 | 최재수 | 경남 FC | 
| 박지수 | 경남 FC | |
| 이반 헤르체그 | 경남 FC | |
| 우주성 | 경남 FC | |
| 미드필더 | 정원진 | 경남 FC | 
| 황인범 | 대전 시티즌 | |
| 문기한 | 부천 FC 1995 | |
| 배기종 | 경남 FC | |
| 공격수 | 마르캉 | 경남 FC | 
| 이정협 | 부산 아이파크 | 
9. 2. 부문별 수상자
| 부문 | 수상자 | 클럽 | 
|---|---|---|
| 최우수선수상 | 말컹/Marcos Vinícius Amaral Alvespt | 경남 FC | 
| 득점상 | 말컹/Marcos Vinícius Amaral Alvespt | 경남 FC | 
| 도움상 | 장혁진 | 안산 그리너스 | 
| 감독상 | 김종부 | 경남 FC | 
9. 3. 라운드별 MVP
| 라운드 | 선수 | 클럽 | 
|---|---|---|
| 1 | 이정협 | 부산 아이파크 | 
| 2 | 허범산 | 부산 아이파크 | 
| 3 | 김은선 | 아산 무궁화 | 
| 4 | 조석재 | FC 안양 | 
| 5 | 김민균 | FC 안양 | 
| 6 | 이정협 | 부산 아이파크 | 
| 7 | 정재희 | FC 안양 | 
| 8 | 김민균 | FC 안양 | 
| 9 | 이승현 | 수원 FC | 
| 10 | 김민균 | FC 안양 | 
| 11 | 라울 타라고나/라울 타라고나URU | 안산 그리너스 | 
| 12 | 마르캉/마르쿠스 비니시우스 아마랄 아우베스BRA | 경남 FC | 
| 13 | 마르캉/마르쿠스 비니시우스 아마랄 아우베스BRA | 경남 FC | 
| 14 | 임상협 | 부산 아이파크 | 
| 15 | 이규성 | 부산 아이파크 | 
| 16 | 크리스티안 더널라케/크리스티안 더널라케ROU | 대전 시티즌 | 
| 17 | 김신 | 부천 FC 1995 | 
| 18 | 대니 모라이스/대니 모라이스BRA | 부산 아이파크 | 
| 19 | 백성동 | 수원 FC | 
| 20 | 이승현 | 수원 FC | 
| 21 | 고명석 | 부천 FC 1995 | 
| 22 | 김동찬 | 성남 FC | 
| 23 | 황인범 | 대전 시티즌 | 
| 24 | 정원진 | 경남 FC | 
| 25 | 마르캉/마르쿠스 비니시우스 아마랄 아우베스BRA | 경남 FC | 
| 26 | 최오백 | 서울 이랜드 | 
| 27 | 최오백 | 서울 이랜드 | 
| 28 | 고경민 | 부산 아이파크 | 
| 29 | 김찬희 | 대전 시티즌 | 
| 30 | 김현 | 아산 무궁화 | 
| 31 | 마르캉/마르쿠스 비니시우스 아마랄 아우베스BRA | 경남 FC | 
| 32 | 김경민 | 부산 아이파크 | 
| 33 | 마르캉/마르쿠스 비니시우스 아마랄 아우베스BRA | 경남 FC | 
| 34 | 류원우 | 부천 FC 1995 | 
| 35 | 정현철 | 경남 FC | 
| 36 | 백성동 | 수원 FC | 
참조
[1] 
웹사이트
 
[K리그 어워즈] 챌린지는 경남 천하! MVP 말컹-감독상 김종부 (챌린지 종합)
 
https://sports.news.[...] 
InterFootball
 
2017-11-20
 
[2] 
문서
 
2017년 8월 19일 부천 서포터 헤르메스의 난동으로 9월 3일 아산전 홈경기에 한해 무관중 징계를 받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