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튀르키예 총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튀르키예 총선은 튀르키예 대국민의회 의원 600명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집권 여당인 정의개발당(AKP)과 민족주의자 운동당(MHP)의 연합인 '인민 동맹'이 과반 의석을 확보하며 승리했고, 공화인민당(CHP)이 제1야당이 되었다. 인민민주당(HDP)은 봉쇄 조항을 넘고 의회에 진출했다. 선거 결과는 득표율과 의석 점유율 간의 차이가 컸는데, 이는 돈트 방식의 선거 제도와 높은 봉쇄 조항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튀르키예 - 2018년 튀르키예 대통령 선거
2018년 튀르키예 대통령 선거는 2018년 6월 24일에 실시되었으며,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했지만, 정의개발당은 의회 과반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 - 2018년 튀르키예 - 2018년 앙카라 열차 충돌 사고
2018년 12월 13일 앙카라 마르샨디즈 역 부근에서 고속열차와 기관차가 충돌하여 9명이 사망하고 84명이 부상당했으며, 열차 탈선 및 육교 붕괴와 함께 열차 방호 장치 미설치 문제가 제기되어 관련자 체포 및 철도 안전 시스템 개선 논의를 낳았다. - 튀르키예의 총선거 - 2007년 튀르키예 총선
2007년 튀르키예 총선은 정의개발당이 승리하여 과반 의석을 확보했지만, 2002년 총선에 비해 의석 수가 감소했고, 공화인민당과 민족운동당도 원내 진출에 성공했다. - 튀르키예의 총선거 - 2015년 6월 튀르키예 총선
2015년 6월 7일에 실시된 튀르키예 대국민의회 의원 선거에서 집권 정의개발당(AKP)은 과반 의석 확보에 실패했으며, 쿠르드족 문제, 귈렌 운동 영향력, 경제 침체, 대통령제 논란 등의 쟁점과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및 10%의 높은 의회 기준선이 적용된 가운데 총 20개 정당이 참여하여 85개 선거구에서 의석을 놓고 경쟁했다. - 2018년 선거 - 2018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2018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는 자이르 보우소나루 후보가 페르난두 아다지 후보를 꺾고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으며,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 탄핵 이후의 정치적 혼란과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 등을 배경으로 치러졌다. - 2018년 선거 - 2018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2018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76.6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나, 일부 야당 지도자의 출마 제한과 크림반도 합병 문제로 유럽연합이 선거 결과를 인정하지 않아 논란이 있었다.
2018년 튀르키예 총선 | |
---|---|
선거 정보 | |
선거명 | 2018년 튀르키예 총선 |
국가 | 튀르키예 |
유형 | 의회 |
정당명 | no |
정당색 | 튀르키예 |
이전 선거 | 2015년 11월 튀르키예 총선 |
이전 선거 연도 | 2015년 11월 |
선거일 | 2018년 6월 24일 |
차기 선거 | 2023년 튀르키예 총선 |
차기 선거 연도 | 2023년 |
선출 의석 | 전 600석 |
과반 의석 | 301석 |
투표율 | 86.23% ([[파일:Increase2.svg|11px|alt=증가|link=]]) 1.05% |
지도 | |
![]() | |
정의개발당 | |
![]() | |
리더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
정당 | 정의개발당 |
선거 연합 | 인민 동맹 |
색 | 정의개발당 |
리더 취임 | 2017년 5월 21일 |
리더 선거구 | 불출마 |
이전 선거 결과 | 317석, 49.50% |
선거전 의석 | 316석 |
의석 | 295석 |
의석 증감 | ([[파일:Decrease2.svg|11px|alt=감소|link=]]) 21석 |
득표수 | 21,338,693 |
득표율 | 42.56% |
득표 증감 | ([[파일:Decrease2.svg|11px|alt=감소|link=]]) 6.94%p |
공화인민당 | |
리더 | 케말 클르치다롤루 |
정당 | 공화인민당 |
선거 연합 | 민족 동맹 |
색 | 공화인민당 |
리더 취임 | 2010년 5월 22일 |
리더 선거구 | 이즈미르 (II) |
이전 선거 결과 | 134석, 25.32% |
선거전 의석 | 131석 |
의석 | 146석 |
의석 증감 | ([[파일:Increase2.svg|11px|alt=증가|link=]]) 15석 |
득표수 | 11,354,190 |
득표율 | 22.65% |
득표 증감 | ([[파일:Decrease2.svg|11px|alt=감소|link=]]) 2.67% |
인민민주당 | |
![]() | |
리더 | 세자이 테멜리 페르빈 불단 |
정당 | 인민민주당 |
선거 연합 | - |
색 | 인민민주당 |
리더 취임 | 2018년 2월 11일 |
리더 선거구 | 반 주 이스탄불 주 (III) |
이전 선거 결과 | 59석, 10.76% |
선거전 의석 | 48석 |
의석 | 67석 |
의석 증감 | ([[파일:Increase2.svg|11px|alt=증가|link=]]) 19석 |
득표수 | 5,867,302 |
득표율 | 11.70% |
득표 증감 | ([[파일:Increase2.svg|11px|alt=증가|link=]]) 0.94% |
민족주의자 운동당 | |
![]() | |
리더 | 데블레트 바흐첼리 |
정당 | 민족운동당 |
선거 연합 | 인민 동맹 |
색 | 민족운동당 |
리더 취임 | 1997년 7월 6일 |
리더 선거구 | 오스마니예 |
이전 선거 결과 | 40석, 11.90% |
선거전 의석 | 35석 |
의석 | 49석 |
의석 증감 | ([[파일:Increase2.svg|11px|alt=증가|link=]]) 14석 |
득표수 | 5,565,331 |
득표율 | 11.10% |
득표 증감 | ([[파일:Decrease2.svg|11px|alt=감소|link=]]) 0.80% |
좋은당 | |
![]() | |
리더 | 메랄 악셰네르 |
정당 | 좋은당 |
선거 연합 | 민족 동맹 |
색 | 좋은당 |
리더 취임 | 2017년 10월 25일 |
리더 선거구 | 불출마 |
이전 선거 결과 | - |
선거전 의석 | 6석 |
의석 | 43석 |
의석 증감 | ([[파일:Increase2.svg|11px|alt=증가|link=]]) 37석 |
득표수 | 4,993,479 |
득표율 | 9.96% |
득표 증감 | ([[파일:Increase2.svg|11px|alt=증가|link=]]) 9.96% |
기타 | |
직책 | 의장 |
선거전 | 이스마일 카흐라만 |
선거전 정당 | 정의개발당 |
선거후 | 비날리 을드름 |
선거후 정당 | 정의개발당 |
2. 튀르키예의 선거 제도
튀르키예는 돈트 방식의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를 통해 대국민의회에 총 600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한다. 정당은 의회에 의원을 당선시키기 위해 전국 득표율 10% 이상을 얻어야 한다. 이는 한 정당이 특정 지역에서 최다 득표를 하더라도 전국적으로 낮은 득표율을 기록하면 의원을 배출하지 못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1]
의회 기준선은 무소속 후보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쿠르드 민족주의 성향 정치인들은 정당 소속 대신 무소속으로 출마하기도 한다.[1]
2. 1. 봉쇄 조항
튀르키예는 돈트 방식의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를 통해 대국민의회에 총 600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한다. 정당은 의회에 의원을 진출시키기 위해 전국 득표율의 10% 이상을 획득해야 한다. 특정 지역에서 최다 득표를 하더라도 전국 득표율이 10% 미만이면 의원을 배출할 수 없다.10% 봉쇄 조항은 야당 의원들의 면밀한 감시를 받는다. 10% 미만 득표 정당에 투표한 표는 사표가 되고, 전국 기준선을 넘은 정당들은 더 쉽게 의석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002년 총선에서 정의개발당은 34.28%의 득표율로 의석의 3분의 2를 차지했다.
무소속 후보에게는 봉쇄 조항이 적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남동부 지역에서 지지를 많이 받지만 전국 득표율 10%를 확보하지 못하는 쿠르드 민족주의 성향 정치인들은 정당 소속 대신 무소속으로 출마하기도 한다. 2007년과 2011년 총선에서 쿠르드계 민주사회당과 평화민주당이 무소속 후보를 낸 사례가 있다.
2. 2. 선거구
튀르키예는 총 85개의 선거구로 나뉘며, 각 선거구는 튀르키예 대국민의회에 특정한 수의 국회의원을 선출한다. 튀르키예 국회는 총 600석의 의원으로 구성되고, 선거구는 해당 지방의 인구수 비례에 따라 특정 의원수를 배분받는다. 튀르키예 최고 선거위원회는 선거 전에 각 선거구의 인구수를 검토하고, 조사한 유권자 수에 따라 해당 선거구의 의석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선거구의 명칭과 경계선은 모두 튀르키예의 81개 주와 일치한다. 다만, 이즈미르 주, 이스탄불 주, 앙카라 주, 부르사 주는 예외적으로 인구가 많아 여러 개의 선거구로 분할된다. 20명에서 31명의 의원을 선출하는 주는 두 개 선거구로, 32명 이상의 의원을 선출하는 주는 세 개 선거구로 분할된다. 따라서 이즈미르 주와 부르사 주는 두 개의 선거구로, 앙카라 주와 이스탄불 주는 세 개의 선거구로 분할된다.
선거구명 | 의원 수 | |
---|---|---|
아다나 주 | 15 | |
아디야만 주 | 5 | |
아피온카라히사르 주 | 6 | |
아리 주 | 4 | |
악사라이 주 | 4 | |
아마시아 주 | 3 | |
앙카라 주 | 36 | |
앙카라 주 (I) | 13 | |
앙카라 주 (II) | 11 | |
앙카라 주 (III) | 12 | |
안탈리아 주 | 16 | |
아르다한 주 | 2 | |
아르트빈 주 | 2 | |
아이딘 주 | 8 | |
발리케시르 주 | 9 | |
바르틴 주 | 2 | |
바트만 주 | 5 | |
바이부르트 주 | 1 | |
빌레지크 주 | 2 | |
빙괼 주 | 3 | |
비틀리스 주 | 3 | |
볼루 주 | 3 | |
부르두르 주 | 3 | |
부르사 주 | 20 | |
부르사 주 (I) | 10 | |
부르사 주 (II) | 10 | |
차나칼레 주 | 4 | |
창키리 주 | 2 | |
초룸 주 | 4 | |
데니즐리 주 | 8 | |
디야르바크르 주 | 12 | |
뒤즈제 주 | 3 | |
에디르네 주 | 3 | |
엘라즈으 주 | 5 | |
에르진잔 주 | 2 | |
에르주룸 주 | 6 | |
에스키셰히르 주 | 7 | |
가지안테프 주 | 14 | |
기레순 주 | 4 | |
귀뮈쉬하네 주 | 2 | |
학카리 주 | 3 | |
하타이 주 | 11 | |
이으드르 주 | 2 | |
이스파르타 주 | 4 | |
이스탄불 주 | 98 | |
이스탄불 주 (I) | 35 | |
이스탄불 주 (II) | 28 | |
이스탄불 주 (III) | 35 | |
이즈미르 주 | 28 | |
이즈미르 주 (I) | 14 | |
이즈미르 주 (II) | 14 | |
카흐라만마라쉬 주 | 8 | |
카르스 주 | 3 | |
카스타모누 주 | 3 | |
카라뷔크 주 | 3 | |
카라만 주 | 3 | |
카이세리 주 | 10 | |
킬리스 주 | 2 | |
크르클라렐리 주 | 3 | |
크르칼레 주 | 3 | |
크르셰히르 주 | 2 | |
코자엘리 주 | 13 | |
코니아 주 | 15 | |
퀴타히아 주 | 5 | |
말라티아 주 | 6 | |
마니사 주 | 10 | |
마르딘 주 | 6 | |
메르신 주 | 13 | |
무을라 주 | 7 | |
무슈 주 | 4 | |
네브셰히르 주 | 3 | |
니데 주 | 3 | |
오르두 주 | 6 | |
오스마니예 주 | 4 | |
리제 주 | 3 | |
사카리아 주 | 7 | |
삼순 주 | 9 | |
시이르트 주 | 3 | |
시노프 주 | 2 | |
시바스 주 | 5 | |
샨르우르파 주 | 14 | |
시으르나크 주 | 4 | |
테키르다 주 | 7 | |
토카트 주 | 5 | |
트라브존 주 | 6 | |
툰젤리 주 | 2 | |
우샤크 주 | 3 | |
반 주 | 8 | |
얄로바 주 | 3 | |
요즈가트 주 | 4 | |
종굴다크 주 | 5 | |
총합 | 600 |
2015년 11월 튀르키예 총선 이후 튀르키예 최고 선거위원회는 총 34개 선거구의 의원수를 조정했다. 앙카라 주의 2개 선거구는 3개 선거구로, 부르사 주 선거구는 2개 선거구로 분할되었다.
선거구 | ± | |
---|---|---|
아다나 주 | ||
아피온카라히사르 주 | 1 | |
악사라이 주 | 1 | |
앙카라 주 | 4 | |
앙카라 주 (I) | ||
앙카라 주 (II) | 3 | |
앙카라 주 (III) | ||
안탈리아 주 | 1 | |
아이딘 주 | 2 | |
발리케시르 주 | 1 | |
바트만 주 | 1 | |
바이부르트 주 | 1 | |
'''부르사 주 | 2 | |
부르사 주 (I) | ||
부르사 주 (II) | ||
데니즐리 주 | 1 | |
디야르바크르 주 | 1 | |
에디르네 주 | 1 | |
에르주룸 주 | 1 | |
에스키셰히르 주 | 1 | |
가지안테프 주 | 2 | |
하타이 주 | 1 | |
이스탄불 주 | 10 | |
이스탄불 주 (I) | 4 | |
이스탄불 주 (II) | 2 | |
이스탄불 주 (III) | 4 | |
이즈미르 주 | 2 | |
이즈미르 주 (I) | 1 | |
이즈미르 주 (II) | 1 | |
카라뷔크 주 | 1 | |
카라만 주 | 1 | |
카이세리 주 | 1 | |
코자엘리 주 | 2 | |
코니아 주 | 1 | |
퀴타히아 주 | 1 | |
마니사 주 | 1 | |
메르신 주 | 2 | |
무을라 주 | 1 | |
무슈 주 | 1 | |
오르두 주 | 1 | |
샨르우르파 주 | 2 | |
테키르다 주 | 1 | |
얄로바 주 | 1 |
2018년 6월 24일에 튀르키예에서 조기 총선이 실시되었다.
3. 2018년 튀르키예 총선
3. 1. 참여 정당
2018년 튀르키예 총선에는 8개 정당이 참여했다.[1][2] 각 정당은 투표용지에 다음과 같은 순서로 나타났다.
순서 | 선거 연합 | 정당 | 이데올로기 | 당수 |
---|---|---|---|---|
1 | 인민동맹 | 정의개발당 (AKP) | 사회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
2 | 인민동맹 | 민족주의자 운동당 (MHP) | 튀르키예 내셔널리즘, 사회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 데블레트 바흐첼리 |
3 | (없음) | 자유경우당 (HÜDAPAR) | 이슬람주의 | 제케리야 야페치올루 |
4 | (없음) | 애국당 (VATAN) | 과학적 사회주의, 케말주의, 좌익 국민주의 | 돌우 페린스크 |
5 | (없음) | 인민민주당 (HDP) | 세속주의, 민주사회주의, 소수 권리 | 페르빈 불단, 세자이 테멜리 |
6 | 국민동맹 | 공화인민당 (CHP) | 케말주의, 사회민주주의, 세속주의 | 케말 클르치다롤루 |
7 | 국민동맹 | 행복당 (SP) | 이슬람주의, 종교적 보수주의 | 테멜 카라모야일루 |
8 | 국민동맹 | 좋은당 (İYİ) | 자유보수주의, 케말주의, 튀르키예 내셔널리즘 | 메랄 악셰네르 |
정의개발당(AKP)과 민족주의자 운동당(MHP)은 '인민 동맹'을 결성했다. 공화인민당(CHP), 좋은당(İYİ), 행복당(SP)은 '국민 동맹'을 결성했다.[1][2]
3. 2. 선거 결과
정당 연합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의석수 | ±의석 | 의석율(%) | ||
---|---|---|---|---|---|---|---|---|---|
인민 동맹 | 정의개발당 | 21,335,579 | 42.56 | -6.94 | 295 | -22 | 49.17 | ||
민족운동당 | 5,564,517 | 11.10 | -0.80 | 49 | +9 | 8.17 | |||
인민 동맹 | 26,900,096 | 53.66 | -7.74 | 344 | -13 | 57.33 | |||
민족 동맹 | 공화인민당 | 11,348,899 | 22.64 | -2.68 | 146 | +12 | 24.33 | ||
좋은당 | 4,990,710 | 9.96 | New | 43 | New | 7.17 | |||
행복당 | 673,731 | 1.34 | +0.66 | 0 | ±0 | 0.00 | |||
민족 동맹 | 17,013,340 | 33.94 | +7.94 | 189 | +55 | 31.50 | |||
인민민주당 | 5,866,309 | 11.70 | +0.94 | 67 | +8 | 11.17 | |||
자유경우당 | 157,612 | 0.31 | +0.31 | 0 | ±0 | 0.00 | |||
애국당 | 117,779 | 0.23 | -0.02 | 0 | ±0 | 0.00 | |||
기타 | 75,283 | 0.15 | -1.44 | 0 | ±0 | 0.00 | |||
무효/기권 | 1,053,310 | – | – | – | – | – | |||
합계 | 51,183,729 | 100.00 | – | 600 | +50 | 100.00 | |||
유권자/투표율 | 59,354,840 | 86.23 | +1.05 | – | – | – |
2018년 튀르키예 총선에서 정의개발당(AKP)과 민족운동당(MHP)의 인민 동맹이 53.66%의 득표율로 승리하여 과반 의석을 확보했다. 공화인민당(CHP)은 22.64%를 득표하여 제1야당이 되었다. 인민민주당(HDP)은 11.70%를 득표하여 봉쇄 조항을 넘고 의회에 진출했다. 득표율과 의석 점유율 간의 차이가 큰 이유는 돈트 방식과 높은 봉쇄 조항 때문이다.
참조
[1]
웹인용
Muhalefetten ittifak adımı (CHP-İYİ Parti-Saadet Partisi ve Demokrat Parti anlaştı)
https://www.ntv.com.[...]
2018-05-02
[2]
웹인용
4 parti birleşti! Millet İttifakı geliyor
http://www.haberiniz[...]
2018-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