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봉쇄 조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봉쇄조항은 비례대표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소수 정당의 의회 진입을 제한하거나 정당 연합을 유도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 조항은 득표율 또는 득표수를 기준으로 일정 기준에 미달하는 정당의 의회 진출을 막아 의회 민주주의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지만, 소수자의 정치 참여를 저해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봉쇄조항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각국의 정치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봉쇄조항은 의석 배분, 연정 구성, 유권자의 투표 행태, 무효표 발생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과도한 봉쇄조항은 위헌 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거 제도 - 소선거구제
    소선거구제는 한 선거구에서 최다 득표자 1인을 당선시키는 방식으로, 정국 안정 등의 장점이 있으나 사표 발생, 지역주의 심화 등의 단점도 나타나며, 대한민국에서 선거제도 개혁 논의가 진행된다.
  • 선거 제도 - 다수대표제
    다수 대표제는 선거에서 다수 또는 과반수를 얻은 후보나 정당이 모든 의석을 차지하는 선거 제도로, 승자 독식의 원칙을 따르며, 신속한 상황 대처와 행정부-입법부 간 대립 감소에 기여하지만 소수 정당 의견 반영이 어렵고 사표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 선거에 관한 - 김웅 (정치인)
    법조인 출신 김웅은 검사로 활동하다 검경 수사권 조정에 반대하며 사직 후 새로운보수당에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 제21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 현재는 법무법인 남당 변호사로 활동하고 《검사내전》을 저술했다.
  • 선거에 관한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2012년 4월 11일에 실시되었으며, 새누리당이 152석을 얻어 과반 의석을 확보했고, 야권연대, 선거구 조정, 투표율 54.3% 등의 특징을 보였다.
봉쇄 조항
지도
개요
정의선거에서 의석을 얻기 위해 정당이나 후보자가 충족해야 하는 최소 득표율
목적소규모 정당의 의회 진출 제한
정치 시스템 안정화
과도한 다당제 방지
다른 용어봉쇄 조항
진입 장벽
최소 득표율
유형
법적 임계값법률 또는 헌법에 명시된 임계값
나라마다 다름
자연적 임계값선거 시스템에 따라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임계값
예: 비례대표제의 경우, 의석 할당 방식에 따라 결정
임계값 수준
낮은 임계값1% ~ 3%
소규모 정당의 의회 진출 가능
중간 임계값3% ~ 5%
일정 규모의 지지를 받는 정당만 의회 진출 가능
높은 임계값5% 이상
주요 정당 위주로 의회 구성
국가별 임계값 (일부)
독일5%
대한민국지역구: 유효투표 총수의 1/20 이상
비례대표: 3%
이스라엘3.25%
터키7%
태국정당 명부 투표 5%
폴란드5%
러시아5%
우크라이나5%
프랑스5%
스웨덴4%
덴마크2%
예외 및 특별 규정
소수 민족소수 민족 보호를 위해 낮은 임계값 적용 또는 면제
지역 정당특정 지역에서 높은 지지율을 얻는 정당에 대한 특별 규정
비판
소규모 정당소규모 정당의 의회 진출 방해
유권자 사표낮은 득표율의 정당에 투표한 유권자의 표가 사표가 될 수 있음
대표성 왜곡유권자의 의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음
기타
관련 용어비례대표제
선거 제도
정당

2. 봉쇄조항의 개념과 목적

비례대표제는 정당의 지지율을 의석에 직접 반영하여 사표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이상적인 선거제도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소수 정당의 난립을 초래할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실제로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 독일의 라이히스타크는 완전 비례대표제를 채택하여 심각한 소수 정당 난립(다극 다당제)을 경험했고, 이는 바이마르 공화국의 정권 기반을 약화시켜 나치의 등장을 초래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서는 정치 제도의 안정을 위해 봉쇄조항을 도입하였고, 1949년 8월 제1회 연방의회 선거부터 적용되었다.

봉쇄조항은 소수 정당의 의회 진입을 억제하거나, 정당 연합을 유도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는 급진파의 의회 진출을 막아 선거 제도와 의회 민주주의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득표율(또는 득표수) 제한 외에도, 블록 할당이나 정당이 획득해야 하는 최저 의석 수를 설정하는 방법, 당선되는 정당의 수에 정수를 설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봉쇄조항은 소수 민족 등 소수자의 정치 참여를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러한 이유로 독일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소수 민족 정당에게는 봉쇄조항을 적용하지 않는 예외 규정을 두기도 한다.

2. 1. 대표성을 잃는 표 (사표)

봉쇄 조항에 미달하는 득표는 의석 배분에 반영되지 않아 사표가 되며, 이는 다른 정당의 의석 비율을 왜곡할 수 있다.[78] 예를 들어 1995년 러시아 의회 선거에서는 5% 미만의 정당을 제외하는 기준치 때문에 45%가 넘는 표가 사표가 되었다.[78] 1998년 러시아 헌법재판소는 봉쇄 조항의 사용 제한을 고려하여 합법적인 것으로 판결했다.[78]

의석 점유율과 득표율 간의 비례성은 갤러거 지수로 측정할 수 있으며, 무효표의 수는 입법부에 있는 어떤 정당도 대표하지 않는 유권자의 총수를 측정하는 기준이다.[76][77]

터키는 다른 어떤 나라보다 훨씬 높은 10%의 봉쇄 조항을 가지고 있었는데,[79] 2002년 터키 총선에서는 무려 45%의 표가 기준치에 도달하지 못해 의회에서 대표되지 못했다.[80] 1999년에 의석을 얻은 모든 정당은 기준치를 넘지 못했고, 이로 인해 정의개발당이 의석의 66%를 차지했다.

2006년 우크라이나 의회 선거에서는 3%의 기준치가 있었는데, 유권자의 22%가 소수 후보에게 투표하여 사실상 참정권 박탈을 당했다. 2007년 우크라이나 의회 선거에서는 소수 정당을 지지하는 유권자가 줄어들어 참정권 박탈을 당한 유권자의 총 비율이 약 12%로 감소했다.

2020년 슬로바키아 총선에서는 유효표의 28.47%가 대표성을 얻지 못했다.[81] 2021년 체코 총선에서는 유권자의 19.76%가 대표되지 못했다.[82] 2022년 슬로베니아 총선에서는 4%의 기준치에 도달하지 못한 정당에 24%의 표가 갔다.

선거 기준치는 1인 1투표제와 유사한 스포일러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데, 기준치에 도달하지 못한 소수 정당이 유사한 이념을 가진 다른 정당의 표를 빼앗는 것이다.

때때로 선거 기준치는 비례 대표제가 막으려는 결과인 득표율 과반수 없이 의석 과반수를 차지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예를 들어, 터키의 AKP는 3번의 연속 선거(2002년, 2007년, 2011년)에서 50% 미만의 득표율로 의석 과반수를 차지했다. 독일의 2013년 독일 연방 선거에서는 5% 기준치를 충족하지 못한 정당에 15.7%가 투표했다.

반대로, 순위 투표제를 사용하는 선거는 각 유권자의 완전한 순위 선호도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기 양도식 투표는 기준치 미만의 후보에 대한 1순위 선호도를 재분배한다. 소수 정당은 투표 전에 지지자들에게 어떻게 표를 이전하고 싶은지 알릴 수 있다.

2. 2. 다단계 봉쇄조항

과거 대한민국에서는 지역구 선거에서 유효 투표 총수의 3% 이상 5% 미만을 득표한 정당에 대하여 비례대표 의석 1석을 배분하도록 한 적이 있었다. 현재는 이러한 조항이 폐지되었다.

3. 봉쇄조항의 역사적 배경

3. 1. 독일의 사례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완전 비례대표제로 인한 정당 난립과 정치 불안정은 나치즘 등장의 한 원인이 되었다.[8]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은 정치 안정을 위해 봉쇄조항을 도입했다. 독일의 병립대표제는 연방 선거에서 연방의회(Bundestag)의 완전한 비례 대표를 위해 정당 명부 투표의 5%라는 기준을 적용한다.[8] 하지만 이는 엄격한 진입 장벽이 아니다. 선거구에서 승리한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기준을 통과하지 못했더라도 해당 의석을 가질 자격이 있으며, 등록된 소수 민족을 대표하는 정당은 기준 없이 전국적으로 최소 득표율을 얻으면 비례 대표를 받는다.[8] 2021년 선거에서 남슐레스비히 유권자 협회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덴마크계와 프리스인계 소수 민족을 위한 등록된 정당으로 전국 투표율 0.1%만으로 연방의회에 진출했다.[8] 5% 기준은 모든 주 선거에도 적용되지만, 유럽 의회 선거에는 기준이 없다.

독일 선거법에는 또한 선거 기준을 통과하지 못했더라도 최소 3개의 선거구에서 승리한 정당에게 비례 대표 의석을 부여하는 '그룬트만다츠클라우젤'('기본 의석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9] 이 조항은 지역적 영향력을 가진 정당에게 유리하도록 고안되었다.[9] 이 조항은 1994년 사회민주당과 2021년 좌파당(Die Linke) 선거에서 발효되었다.[9][10] 이 조항은 연방의회의 규모를 줄이기 위한 2023년 법률에 의해 폐지되었으나, 좌파당과 기독교사회연합의 항의 후, 연방헌법재판소는 예외 없는 기준은 위헌이라고 판결하고 2025년 연방 선거를 위해 기본 의석 조항을 임시로 재도입했다.[10]

4. 봉쇄조항에 대한 여러 제안

유럽평의회 의회는 의회 선거에서 봉쇄조항을 3%를 넘지 않도록 권고한다.[4] 단기이양식 투표(STV)의 경우, 존 M. 케어리(John M. Carey)와 사이먼 힉스(Simon Hix)는 약 10% 이상의 득표율을 가진 정당에 대한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거구에서 약 6개 이상의 선거구 규모(district magnitude)를 권장한다.[5][6] 정당에 대한 지지는 유권자 전체에 걸쳐 균질하지 않으므로, 전체 투표의 10%를 차지하는 정당은 다른 선거구에서는 그렇지 않더라도 적어도 하나의 선거구에서는 문턱을 쉽게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늘날 사용되는 대부분의 STV 시스템은 대부분의 의원 선출에 필요한 투표 수를 드룹 할당량(Droop quota)으로 설정하는데, 6인 선거구에서는 선거구에서 행사된 투표의 14%이다. 케어리와 힉스는 선거구 규모를 6개 이상으로 늘리면 선거구의 자연적 문턱이 소폭으로만 낮아지고, 그 폭도 점점 줄어든다는 점을 지적한다.[6]

5. 각국의 봉쇄조항

일부 국가는 연립 정당과 무소속 후보, 그리고 특정 수의 지역구 의석 확보에 대한 추가 규정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세계 각국은 자국의 정치 상황에 맞춰 다양한 형태의 봉쇄조항을 운영하고 있다.

폴란드의 세임(Sejm), 리투아니아의 세이마스(Seimas), 독일의 연방의회(Bundestag), 카자흐스탄의 마질리스(Mäjilis) 및 뉴질랜드의 하원의 진입 장벽은 5%이다 (폴란드의 경우, 두 개 이상의 정당이 공동 선거 명부(electoral list)를 제출하는 연합의 경우 추가로 8%, 리투아니아의 경우 연합의 경우 추가로 7%).[19] 그러나 뉴질랜드에서는 정당이 직접 선출된 의석을 확보할 경우 진입 장벽이 적용되지 않는다.

이스라엘의 크네셋(Knesset)의 진입 장벽은 3.25%이며 (1992년 이전에는 1%, 1992년부터 2003년까지는 1.5%, 2003년부터 2014년까지는 2%였음),[19] 터키 의회는 7%이다. 폴란드에서는 소수 민족 정당은 의회 진입을 위한 진입 장벽을 충족할 필요가 없으므로 세임에 소규모 독일계 소수 민족 대표가 종종 있다. 루마니아에서는 소수 민족 정당에 대해 부의원회에 출마하는 국가 정당과는 다른 진입 장벽이 적용된다.

핀란드, 나미비아,[7] 북마케도니아, 포르투갈,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같이 법적 진입 장벽이 없는 비례 대표제를 채택한 국가들도 있다.

다음 표는 주요국의 의회에서 적용되는 의석 배분 하한선(의회 진입 장벽)에 대한 설명이다.

의석 배분 하한선
득표율
국가의회비고
| 10%터키대국민의회※무소속 후보는 전국 단위가 아닌 선거구별로 10% 조항이 적용됨.
| 7%러시아러시아 하원7% 이상의 득표를 얻은 정당의 득표 총합이 60% 미만인 경우, 7% 미만의 정당에도 의석이 배분됨[84].
rowspan=13|5%프랑스유럽 의회
크로아티아사보르
유럽 의회
사보르는 소수 민족 조항 규정 있음[85].
라트비아사에이마
유럽 의회
사에이마와 유럽 의회 모두 5%의 기준 적용.
리투아니아세이마스
유럽 의회
세이마스 비례 대표 선거구는 5%이지만, 정당 연합에는 7%의 기준이 적용됨.
알제리국민의회
체코하원
유럽 의회
2개 정당으로 구성된 연합은 10% 이상, 3개 정당 연합은 15% 이상, 4개 이상 정당 연합은 20% 이상[86].
슬로바키아국민회의※
유럽 의회
2~3개 정당으로 구성된 연합은 7%, 4개 이상 정당 연합은 10%[87]
독일연방의회1차 투표(선거구 후보 투표)에서 3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 및 소수 민족을 대표하는 정당에는 5% 조항이 적용되지 않음.
뉴질랜드뉴질랜드 의회※하나 이상의 선거구에서 당선자를 낸 정당에는 의석 배분 하한선이 적용되지 않음.
헝가리국회※
유럽 의회
2개 정당으로 구성된 연합은 10%, 3개 이상 정당 연합은 15%
벨기에하원브뤼셀-할레-빌보르트, 루뱅 및 브라방-왈롱 3개 선거구에는 의석 배분 하한선이 적용되지 않음[88].
폴란드세임
유럽 의회
정당 연합은 8%, 소수 민족을 대표하는 정당에는 의석 배분 하한선이 적용되지 않음.
루마니아하원
유럽 의회
정당 연합은 2개 정당일 경우 8%, 3개 이상 정당은 1%씩 추가하여 최대 10% 이상[89].
rowspan=6|4%인도네시아국민회의
이탈리아하원
유럽 의회
정당 연합은 10% 이상(그리고 소속 정당 중 하나가 전국에서 2% 이상 득표). 소수 언어를 대표하는 정당은 각 선거구에서 20% 이상 득표하면 의석 배분 하한선이 적용되지 않음.
오스트리아
국회
유럽 의회
슬로베니아
국회
스웨덴리크스다그※
유럽 의회
각 선거구에서 12% 이상 득표한 정당은 의석 배분 하한선 대상에서 제외됨.
노르웨이스토팅※
rowspan=5|3%스페인하원전국 단위가 아닌 선거구별로 의석 배분 하한선이 설정됨.
그리스그리스 의회※
유럽 의회
독일유럽 의회2009년 유럽 의회 의원 선거까지는 5%였으나, 2014년 유럽 의회 의원 선거부터 3%로 낮추기로 결정됨. 하지만 독일 연방헌법재판소가 3% 이상의 의석 배분 하한선은 위헌이라고 판결하여 의석 배분 하한선 자체가 폐지될 가능성이 있음[90].
아르헨티나국회
대한민국국회지역구에서 5석 이상을 얻은 정당에는 의석 배분 하한선이 적용되지 않음.
rowspan=2|2%덴마크국회※2% (덴마크 본토)
이스라엘크네세트
| 0.67%네덜란드상원
| 1헤어 기준브라질하원



:출처[91][92] [93]

:※ 표시는 단원제 의회

5. 1.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대한민국은 국회 의석 배분을 위해 정당 득표율 3% 또는 지역구 5석 이상 획득해야 한다는 봉쇄조항을 적용하고 있다.[21] 지방의회 선거에서는 10%의 봉쇄조항이 적용된다.[22] 뉴질랜드는 정당 득표율 5%를 봉쇄조항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1개 이상의 지역구에서 당선자를 낸 정당에는 적용되지 않는다.[20]

이스라엘은 3.25%의 봉쇄조항을 적용하고 있으며,[19] 이는 1992년 이전 1%, 1992년부터 2003년까지 1.5%, 2003년부터 2014년까지 2%로 점진적으로 상향 조정된 결과이다. 인도네시아는 국민회의 의석 배분을 위해 4%의 봉쇄조항을 적용한다.[18] 터키는 대국민의회에 10%의 높은 봉쇄조항을 적용하고 있지만, 무소속 후보에게는 전국 단위가 아닌 선거구별로 10% 조항이 적용된다.

5. 2. 유럽

유럽에서는 여러 국가가 다양한 형태의 봉쇄 조항을 운영하고 있다.

독일은 정당 득표율 5%의 봉쇄 조항(5% 저지 조항)을 적용하지만,[8] 소수 민족 정당 및 3개 이상 지역구 당선 정당에는 예외를 둔다.[9] 이 조항은 지역적 영향력을 가진 정당에게 유리하게 작용한다.[10]

스웨덴은 전국 득표율 4% 또는 선거구 득표율 12%의 봉쇄 조항을 적용한다.[11] 2022년 선거 기준으로 12% 규칙에 따라 당선된 사람은 없다.

폴란드는 정당 5%(정당 연합 8%, 소수 민족 정당 제외)의 봉쇄 조항을 적용한다.[26]

러시아는 5%의 봉쇄 조항을 적용한다.[84]

노르웨이는 전국 득표율 4% 봉쇄 조항을 적용하지만, 지역구 의석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슬로베니아는 1992년과 1996년 총선에서 의회 진입 문턱이 3석(약 3.2%)이었으나, 2000년에 4%로 상향 조정되었다.

나라봉쇄 조항그 외의 유형
정당 득표율 5% (5% 저지 조항 참조)소수 민족 대표 정당: 0%
유럽 의회 선거: 0%
4% (보상 의석에 한함)
5%정당 연합: 8% (유럽 의회 선거에는 적용되지 않음)
소수 민족 대표 정당: 0%
5%
국가 범위: 4%
선거구 범위: 12%


5. 3. 아메리카

아르헨티나는 등록 유권자의 3%를 봉쇄 조항으로 적용하며[46], 예비선거에서는 유효 투표의 1.5%를 봉쇄 조항으로 적용한다.[46] 브라질은 하원 의석 배분을 위한 봉쇄 조항은 없지만, 2018년 선거구 수준에서 2% 또는 9개 주에서 11명의 대의원에 대한 재정 기여 기준이 적용되었으며,[49][50][51] 2026년에는 2.5%, 2030년에는 3%로 증가할 예정이다. 콜롬비아는 3%의 봉쇄 조항을 적용한다.[93] 멕시코 또한 3%의 봉쇄조항을 적용한다.[93] 페루는 5%의 봉쇄조항을 적용한다.[52] 우루과이는 하원의 경우 1%, 상원의 경우 3%의 봉쇄조항을 적용한다.[93]

5. 4. 아프리카

모잠비크는 5%의 봉쇄조항을 적용한다.[14] 부룬디는 2%의 봉쇄조항을 적용한다.[13]

6. 봉쇄조항과 법적 문제

봉쇄조항은 소수 정당의 정치 참여를 제한하여 위헌 논란이 있을 수 있다.[53] 독일 연방헌법재판소는 2011년과 2014년에 한 사람, 한 표 원칙에 근거하여 유럽 의회 선거에서 봉쇄조항을 위헌으로 판결했다.[53]

2004년 유럽평의회 의회 의장단은 터키의 10% 봉쇄조항이 과도하다고 선언하고 터키에 봉쇄조항을 낮추도록 요청했다.[54] 2007년 1월 30일 유럽인권재판소는 터키에 부과된 10% 봉쇄조항이 자유 선거권(유럽인권조약(ECHR) 제1의정서 제3조)을 위반하지 않는다고 판결했지만, 재판소는 동일한 기준이 다른 국가에 부과될 경우 조약을 위반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는 최근 수십 년간 불안정한 정치 상황을 안정시키기 위한 조치였다.[55][56][57]

7. 자연적 봉쇄조항

법적인 봉쇄조항 외에도, 선거구의 의석 수, 의석 할당 방식 등에 따라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숨겨진' 봉쇄조항이 존재한다.[58][59] 어떤 정당이 의석을 확보할 수 있음을 보장하는 득표 수는 (\frac{\mbox{총 득표 수}}{\mbox{의석 수}+1} + \varepsilon)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여기서 ε는 가능한 가장 작은 득표 수이다. 즉, 4석이 걸린 선거구에서는 20%를 약간 넘는 득표율이 의석 확보를 보장한다. 더 유리한 상황에서는 더 적은 득표율로도 의석을 얻을 수 있다.[58]

2019년 4월 스페인 총선에서 선거구별 의석 수


자연적 의석 확보 기준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선거구에서 채워야 할 의석 수이다.[59] 다른 요소로는 의석 할당 방식(생트라귀, 도르트, 또는 헤어), 출마 정당 수, 의회 규모가 있다. 일반적으로 선거구가 작을수록 의석을 얻는 데 필요한 득표율이 높아지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59] 하한선(대표성 기준 또는 가장 유리한 상황에서 정당이 의석을 얻을 수 있게 하는 득표율)은 계산하기가 더 어렵다. 앞서 언급한 요소 외에도 소규모 정당에 대한 득표 수가 중요하다. 의석을 얻지 못한 정당에 대한 득표 수가 많을수록 의석을 얻는 데 필요한 득표율이 낮아진다.[58]

일부 선거에서는 자연적 의석 확보 기준이 법적 기준보다 높을 수 있다. 스페인의 경우, 법적 기준은 유효표(무효표 포함)의 3%이며, 대부분의 선거구는 10명 미만의 의원을 배출하며, 소리아 선거구의 경우 2명에 불과하다. 이러한 효과의 또 다른 예는 유럽 의회 선거이다. 키프로스 EU 선거구의 법적 기준은 1.8%이며,[60] 이는 3.6%인 국가 선거 기준을 명시적으로 대체한다.[61] 키프로스는 6명의 MEPs만 배출하기 때문에 자연적 의석 확보 기준이 높아진다.

다른 예는 다음과 같다.

  • 리투아니아 EU 선거구 (2004년): LLRA–KŠS–LRS는 5%의 기준에도 불구하고 68937/1284050*100%를 득표했다.[63]
  • 오스트리아 EU 선거구 (2009년): BZÖ는 4%의 기준에도 불구하고 4.6%를 득표했다.[64]; 에발트 슈타들러(BZÖ)가 MEP가 되었다.[65]
  • 크로아티아 EU 선거구 (2014년): 크로아티아를 위한 동맹은 5%의 기준에도 불구하고 6.88%를 득표했다.[66]
  • 라트비아 EU 선거구 (2019년): ZZS은 5%의 기준에도 불구하고 5.34%를 득표했다.[67]
  • 크로아티아 EU 선거구 (2024년): "페어 플레이 리스트 9"는 5%의 기준에도 불구하고 5.54%를 득표했다.[69] 2019년에 그 전신인 암스테르담 연합은 5.19%로 MEP를 배출했다.[71]
  • 리투아니아 EU 선거구 (2024년): LRP은 5%의 기준에도 불구하고 5.15%를 득표했다.[72]

8. 봉쇄조항의 영향과 사례

봉쇄조항은 의회의 권력 지수를 변화시키고, 연정 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극단적인 사례는 2002년 터키 총선 이후 터키에서 발생했는데, 550명의 현직 국회의원 중 거의 아무도 재선되지 않았다. 이는 터키 정치의 기반을 뒤흔든 엄청난 변화였다. 1999년에 의석을 확보했던 정당 중 어느 누구도 다시 의석을 확보하지 못했다. DYP은 9.55%의 득표율을, MHP은 8.34%의 득표율을, GP은 7.25%의 득표율을, DEHAP은 6.23%의 득표율을, ANAP은 5.13%의 득표율을, SP은 2.48%의 득표율을, DSP는 1.22%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무효표의 총합은 전례 없는 46.33%(14,545,438표)에 달했다.[75] 그 결과, 에르도안의 AKP가 득표율 34.28%로 의석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며 집권했고, 야당은 단 하나(1999년에는 의석 확보에 실패했던 CHP)와 무소속 9명만이 의회에 진출했다.

혼합형 비례대표제(1949년부터 독일, 1993년부터 뉴질랜드에서 사용)에서 자주 추가되는 조항으로 인해 다른 극적인 사건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제도에서는 정당 명부에 대한 의석 배분 기준에 예외 조항이 있는데, 이는 3개(독일) 또는 1개(뉴질랜드)의 소선거구에서 승리한 정당에게 적용된다. 정당 명부 득표는 각 정당에 필요한 국회의원 수를 계산하는 데 도움이 된다. 주요 정당은 소수 연합 정당이 기준을 넘길 수 있도록, 그들이 하나 또는 몇 개의 선거구에서 승리하도록 도울 수 있다.


  • 2008년 뉴질랜드 총선: 뉴질랜드제일당은 명부 득표율이 4.07%에 불과하여(따라서 의회에 진출하지 못했지만), ACT 뉴질랜드는 명부 득표율 3.65%를 기록했지만, 당 대표가 선거구 의석(엡섬)을 차지하여 명부 의석(4석)을 확보했다. 2011년 선거에서 국민당과 ACT의 대표들은 언론 앞에서 암묵적인 연합을 홍보하기 위해 함께 차를 마셨다(차 테이프 스캔들 참조). 승리 후 국민당은 ACT와 신뢰 및 공급 협정을 체결하여 뉴질랜드 제5차 국민 정부를 구성했다.
  • 독일에서는 포스트 공산주의 정당인 PDS와 그 후신인 좌파당이 종종 5% 의석 배분 기준을 맴돌았다. 1994년에는 정당 명부 득표율이 4.4%에 불과했지만, 동베를린에서 4개의 선거구를 승리하여 30명의 국회의원을 확보했다. 2002년에는 정당 명부 득표율이 4.0%에 그쳤고, 2개의 선거구만 승리하여 비례대표제에서 제외되었다. 이로 인해 좌파 연립 정부가 턱걸이로 승리하고 게르하르트 슈뢰더의 2기 정부가 탄생했는데, 이는 PDS가 제3의 선거구에서 승리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2021년에는 정당 명부 득표율이 4.9%에 그쳤지만, 최소 3개의 선거구(베를린-리히텐베르크, 베를린-트레프토우-쾨페니크, 라이프치히 II)에서 승리하여 39명의 국회의원을 확보했다.


한 정당이 의석 배분 기준에 미달하면, 그 당의 후보들이 직위를 박탈당하고 유권자들의 대표성이 저해될 뿐만 아니라, 의회의 권력 지수도 변화하여 연정 구성에 극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슬로바키아, 2002년. 진정한 슬로바키아 민족당(PSNS)은 슬로바키아 민족당(SNS)에서 분당되었고, 민주주의를 위한 운동(HZD)은 이전에 가장 큰 세력이었던 인민당 – 민주 슬로바키아를 위한 운동에서 분당되었다. 이들 모두 5% 의석 배분 기준을 넘지 못했는데, PSNS는 3.65%, SNS는 3.33%, HZD는 3.26%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43% 미만의 득표율을 가진 우파 연정이 가능해졌다.
  • 노르웨이, 2009년. 자유당은 의석 조정을 위한 4% 의석 배분 기준에 미달하는 3.9%의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여전히 2석을 확보했다. 따라서 우익 야당이 여당 연립 정부보다 더 많은 표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유당이 의석 배분 기준을 간신히 충족하지 못함으로써 여당 연정이 집권을 유지했다. 자유당은 다음 선거에서 5.2%의 득표율로 의석 배분 기준을 넘었다.
  • 2013년 독일 연방 선거에서 1949년부터 의회에 진출했던 FDP는 정당 명부 득표율이 4.8%에 그쳤고, 단일 선거구에서 승리하지 못하여 완전히 의회에서 제외되었다. 이와 함께 우익 유럽 회의주의 정당인 AfD(4.7%)가 실패하면서, 중도우파의 득표율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CDU/CSU는 단 5석 차이로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했다) 좌파가 의회에서 과반수를 차지했다. 결과적으로 메르켈의 CDU/CSU는 SPD대연정을 구성했다.
  • 폴란드, 2015년. 연합좌파는 다당 연합의 8% 의석 배분 기준에 미달하는 7.55%를 기록했다. 또한, KORWiN은 5% 의석 배분 기준을 간신히 놓친 4.76%를 기록했다. 이로 인해 승리한 PiS가 37%의 득표율로 의석 과반수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는 좌파 정당이 대표되지 않은 최초의 의회였다.
  • 이스라엘, 2019년 4월. 우익에서 극우까지의 시오니즘을 대표하고 네타냐후를 지지하는 3개의 명부 중 우익 정부가 3.25%로 높인 의석 배분 기준을 넘은 것은 단 하나뿐이었다. 우익 정당 연합이 3.70%를 기록했지만, 미래 총리 베넷의 새로운 우파는 3.22%로 간신히 실패했고, 제후트는 2.74%에 그쳐 네타냐후의 과반수 확보 가능성을 무산시키고 9월 조기 총선으로 이어졌다.
  • 체코, 2021년. 프리사하(4.68%), ČSSD(4.65%), KSČM(3.60%) 모두 5% 의석 배분 기준을 넘지 못하여 스폴루와 PaS의 연정이 가능해졌다. 또한 이는 1992년 이후 ČSSD와 KSČM 모두 의회에 진출하지 못한 첫 번째 사례였다.


선거 방지 조항은 득표율과 의석 배분의 관계에 다수 대표제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방지 조항이 있으면 스포일러 효과나 전략적 투표가 발생할 수 있다.

8. 1. 극적인 손실 사례

2002년 터키 총선에서는 46.33%의 표가 봉쇄조항에 미달하여 의석 배분에 반영되지 못했다.[75] 1995년 러시아 의회 선거에서는 45% 이상의 표가 봉쇄조항에 미달했다.[75] 2020년 슬로바키아 총선에서 진보 슬로바키아-시민 민주주의 연합은 0.04% 차이로 봉쇄조항을 넘지 못했다.[75]

1990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서독의 녹색당은 동·서독에 별도로 적용된 의회 진입 문턱(정당 득표율 기준)을 넘지 못했다. 서독의 녹색당은 동독 녹색당을 흡수한 "동맹 90"이 서독의 "녹색당"과 별도로 출마했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이용할 수 없었다. 두 당이 함께했더라면 5.0%의 의회 진입 문턱을 간신히 넘었을 것이다(서독: 4.8%, 동독: 6.2%).[75] 서독의 녹색당은 1994년에 연방의회에 복귀했다.

이스라엘에서는 1992년 총선에서 극우 정당인 티히야(부흥)는 1.2%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스스로 1.5%로 상향 조정한 의회 진입 문턱에 미치지 못했다.

불가리아에서는 소위 "블루 파티" 또는 "도시 우파"로 불리는 정당들이 선거 연합의 구성에 따라 의회 진입 문턱을 넘나들었다.

슬로바키아에서는 2010년 총선에서 헝가리계 공동체당과 민중당-민주 슬로바키아 운동이, 2016년 총선에서는 기독교민주당이 봉쇄조항을 넘지 못했다.

리투아니아에서는 2020년 총선에서 리투아니아 폴란드인 선거 행동 – 기독교 가정 연합이 정당 명부 투표에서 4.80%만 득표하여 봉쇄조항을 넘지 못했다.

스페인 마드리드에서는 2021년 마드리드 지방 선거에서 자유주의 정당 시우다다노스가 3.54%로 급락하여 5%의 의회 진입 문턱에 근접하지 못했다.

슬로베니아에서는 2022년 슬로베니아 총선에서 슬로베니아 연금 수령자 민주당이 0.62%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1996년 이후 처음으로 4%의 의회 진입 문턱을 넘지 못했다.

독일에서는 2022년 자를란트 주 선거에서 녹색당/동맹 90이 의회 진출에 23표(0.005%) 부족했고, 좌파당은 서독에서 유일한 강세 지역에서 12.8%에서 2.6%로 떨어져 의회 진입 문턱을 넘지 못했다.

이스라엘에서는 2022년 총선에서 메레츠가 3.16%로 떨어져 처음으로 의회 진입 문턱을 넘지 못했다.

8. 2. 봉쇄조항으로 인한 연합

슬로바키아에서는 1998년 선거에서 25%의 봉쇄조항 때문에 슬로바키아 민주연합이 정당으로 출마했다. 터키에서는 2007년과 2011년 선거에서 DTP/BDP가 이끄는 천 개의 희망 후보와 노동, 민주주의, 자유 연합이 10% 기준치를 넘지 못하고 각각 3.81%(2007년)와 5.67%(2011년)의 득표율을 얻었지만,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22석과 36석을 얻었다.

8. 3. 무효표의 수

봉쇄조항은 기준치에 미달하는 표를 무효표로 만들어, 의석 배분 결과를 왜곡할 수 있다.[76] 무효표는 유권자의 행동과 실질적인 선거 기준치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77]

뉴질랜드의 경우 무효표의 수는 선거마다 달라지는데, 2005년 뉴질랜드 총선에서는 1% 이상을 득표한 모든 정당이 뉴질랜드의 선거 기준치(최소 1석 확보) 때문에 의석을 얻어 다른 해에 비해 무효표가 훨씬 적었다.[76][77] 1995년 러시아 의회 선거에서는 5% 미만의 정당을 제외하는 기준치 때문에 45%가 넘는 표가 기준치에 도달하지 못한 정당으로 갔다.[78] 1998년 러시아 헌법재판소는 기준치의 사용 제한을 고려하여 기준치를 합법적인 것으로 판결했다.[78]

터키는 다른 어떤 나라보다 훨씬 높은 10%의 기준치를 가지고 있었는데, 2002년 선거에서는 무려 45%의 표가 기준치에 도달하지 못한 정당에 투표되어 의회에서 대표되지 못했다.[79][80] 2006년 우크라이나 의회 선거에서는 3%의 기준치로 인해 유권자의 22%가 참정권을 박탈당했고, 2007년 의회 선거에서는 약 12%로 감소했다.

불가리아에서는 1991년과 2013년 선거에서 대표성을 얻지 못할 정당에 유권자의 24%가 투표했다. 2020년 슬로바키아 총선에서는 유효표의 28.47%가,[81] 2021년 체코 총선에서는 유권자의 19.76%가 대표되지 못했다.[82] 2022년 슬로베니아 총선에서는 24%의 표가 4%의 기준치에 도달하지 못했다.

필리핀은 하원 의석 287석 중 20%만이 부문별 대표를 위해 경합하는 상황에서, 2%의 기준치의 영향은 많은 정당이 선거에 참여하기 때문에 더욱 커진다. 2007년에는 2%의 기준치가 변경되어 무효표 비율이 21%로 약간 감소했지만, 2010년에는 참여 정당 수가 증가하면서 다시 29%로 증가했다.

선거 기준치는 1인 1투표제와 유사한 스포일러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데, 기준치에 도달하지 못한 소수 정당이 유사한 이념을 가진 다른 정당의 표를 빼앗는 것이다. 때때로 선거 기준치는 비례 대표제가 막으려는 결과인 득표율 과반수 없이 의석 과반수를 차지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예를 들어, 터키의 AKP는 3번의 연속 선거(2002년, 2007년, 2011년)에서 50% 미만의 득표율로 의석 과반수를 차지했다. 독일의 2013년 선거에서는 5% 기준치를 충족하지 못한 정당에 15.7%가 투표했다.

반대로, 순위 투표제를 사용하는 선거는 각 유권자의 완전한 순위 선호도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기 양도식 투표는 기준치 미만의 후보에 대한 1순위 선호도를 재분배한다. 순위 투표제는 호주와 아일랜드에서 널리 사용된다.[83]

9. 봉쇄조항과 전략적 투표

봉쇄조항은 득표율과 의석 배분의 관계에 다수 대표제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봉쇄조항이 있으면 스포일러 효과나 전략적 투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소수 정당의 악순환을 초래하고, 양당제 심화 및 온건 정당의 쇠퇴를 야기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Electoral system design: the new international IDEA handbook International Institute for Democracy and Electoral Assistance
[2] 서적 Electoral Systems and Party Systems: A Study of Twenty-Seven Democracies, 1945–1990 Oxford University Press
[3] 논문 Entry barriers in politics http://www.jstor.org[...]
[4] 간행물 Resolution 1547 (2007), para. 58 http://assembly.coe.[...] Council of Europe
[5] 서적 The Electoral Sweet Spot
[6] 학술지 The Electoral Sweet Spot: Low-Magnitude Proportional Electoral Systems http://eprints.lse.a[...] 2011
[7] 웹사이트 Namibia | Election Passport http://www.electionp[...]
[8] 웹사이트 Germany passes law to shrink its XXL parliament https://www.dw.com/e[...] Deutsche Welle
[9] 뉴스 Was das neue Wahlrecht vorsieht https://www.tagessch[...] 2023-03-17
[10] 웹사이트 Bundesverfassungsgericht kippt das neue Wahlrecht in Teilen https://www.tagessch[...]
[11] 웹사이트 Distribution of seats https://val.se/servi[...] 2021-03-29
[12] 보고서 Benin Country Report 2022 https://bti-project.[...] Bertelsmann Stiftung
[13] 웹사이트 Electoral system http://www.ipu.org/p[...] IPU
[14] 웹사이트 Electoral system http://www.ipu.org/p[...] IPU
[15] 웹사이트 Electoral system http://www.ipu.org/p[...] Inter-Parliamentary Union
[16] 웹사이트 Fourth amendment to the Law on Election of the National Parliament. Article 13.2 http://www.cne.tl/wp[...]
[17] 블로그 PN APROVA BAREIRA ELEISAUN PARLAMENTAR 4% http://timoragora.bl[...] Timor Agora 2017-02-13
[18] 웹사이트 New election bill, new hope for democracy http://www.thejakart[...]
[19] 웹사이트 Electoral Threshold https://main.knesset[...]
[20] 웹사이트 What is MMP? https://elections.nz[...] Electoral Commission
[21] 웹사이트 Election Districts and Representation System https://www.nec.go.k[...]
[22] 웹사이트 Local Council Elections https://www.nec.go.k[...]
[23] 웹사이트 Legislative Yuan Elections – Central Election Commission https://web.archive.[...]
[24] 웹사이트 Tajikistan ruling party to win polls, initial count shows https://www.dw.com/e[...] Deutsche Welle
[25] 웹사이트 Thailand's New Electoral System https://www.thaidata[...] 2019-03-21
[26] 웹사이트 The Electoral Code of the Republic of Albania http://www.cec.org.a[...]
[27] 웹사이트 PRINCIPALITY OF ANDORRA PARLIAMENTARY ELECTIONS 7 April 2019 ODIHR Needs Assessment Mission Report https://www.osce.org[...] OSCE 2020-02-19
[28] 웹사이트 Folketingsvalgloven https://www.retsinfo[...]
[29] 서적 Political parties and electoral change https://archive.org/[...] SAGE Publications
[30] 웹사이트 Projet de loi relatif à l'élection des représentants au Parlement européen (INTX1733528L) https://www.legifran[...] Légifrance 2018-01-03
[31] 웹사이트 Les municipales, une élection pour profs de maths https://www.slate.fr[...] Slate FR 2014-03-30
[32] 웹사이트 Quel est le mode de scrutin pour les élections municipales dans les communes de 1 000 habitants et plus ? https://www.vie-publ[...] Vie Publique 2021-02-09
[33] 웹사이트 Election code of Georgia https://matsne.gov.g[...] 2021-12-27
[34] 법률 Election to Altthingi Law, Act no. 24/2000, Article 108 http://eng.innanriki[...]
[35] 웹사이트 Election Profile http://www.electiong[...] IFES
[36] 웹사이트 Montenegro Parliamentary Elections 2016: OSCE/ODIHR Election Observation Mission Final Report https://www.osce.org[...] OSCE 2016
[37] 웹사이트 Who can vote and for whom? How the Dutch electoral system works https://www.dutchnew[...] 2017-01-30
[38] 웹사이트 Election result https://www.houseofr[...] 2024-06-19
[39] 웹사이트 OSCE report on 2019 parliamentary elections https://www.osce.org[...]
[40] 웹사이트 Parliament agrees to 3% electoral threshold https://www.serbianm[...] 2020-02-10
[41] 웹사이트 REPUBLIC OF SERBIA PARLIAMENTARY ELECTIONS Spring 2020 ODIHR Needs Assessment Mission Report https://www.osce.org[...] OSCE
[42] 법률 Slovak law number 180/2014 § 66 https://www.zakonypr[...]
[43] 웹사이트 Turkey lowers national threshold to 7% with new election law https://www.dailysab[...] 2022-03-31
[44] 웹사이트 Electoral Code becomes effective in Ukraine https://en.interfax.[...]
[45] 웹사이트 The European Parliament: electoral procedures https://www.europarl[...]
[46] 법률 Código Electoral Nacional, Article 160 http://infoleg.gov.a[...]
[47] 웹사이트 New rule complicates distribution of vacancies of Deputies https://www.poder360[...] 2022-05-03
[48] 법률 Brazil Law No. 14,211 http://www.planalto.[...] 2021-10-01
[49] 뉴스 Eleições deste ano trazem cláusulas de desempenho para candidatos e partidos https://www.camara.l[...] 2018-06-30
[50] 뉴스 Sem votação mínima, 14 partidos ficarão sem recursos públicos https://noticias.r7.[...] 2018-10-09
[51] 뉴스 Com dura cláusula de barreira, metade das siglas corre risco de acabar https://www.otempo.c[...] 2021-07-12
[52] 웹사이트 Peru's small political parties scramble to survive http://perureports.c[...] 2016-04
[53] 웹사이트 Karlsruhe vs. EU electoral reform could go into the third round https://www.euractiv[...] EURACTIV MEDIA NETWORK BV. 2022-05-18
[54] 웹사이트 Council of Europe Resolution 1380 https://pace.coe.int[...] Parliamentary Assembly of the Council of Europe 2004-06-22
[55] 뉴스 European court rules election threshold not violation http://www.hurriyetd[...] Turkish Daily News 2007-01-31
[56] 법률 Yumak and Sadak v. Turkey
[57] 웹사이트 Negating Pluralist Democracy: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Forgets the Rights of the Electors https://www.webcitat[...]
[58] 웹사이트 Report on Thresholds and other features of electoral systems which bar parties from access to Parliament (II) http://www.venice.co[...] 2010
[59] 웹사이트 Report on Thresholds and other features of electoral systems which bar parties from access to Parliament http://www.venice.co[...] 2008
[60] 법률 The 2004 Law on the Election of Members of the European Parliament (10(I)/2004) http://www.cylaw.org[...] 2004
[61] 법률 The Election of Members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Law of 1979 (72/1979) http://www.cylaw.org[...] 1979
[62] 웹사이트 Cyprus News Agency: News in English, 04-06-13 http://www.hri.org/n[...] 2013-06-04
[63] 웹사이트 Elections to the European Parliament, 13 June 2004 https://www.vrk.lt/s[...] 2004-06-18
[64] 웹사이트 Österreich, Endergebnis (inklusive aller Wahlkartenergebnisse) http://wahl09.bmi.gv[...]
[65] 법률 117. Federal Law on the Election of Members of the European Parliament to be sent by Austria https://www.ris.bka.[...] 1996
[66] 웹사이트 IZBORI ČLANOVA U EUROPSKI PARLAMENT IZ REPUBLIKE HRVATSKE https://www.izbori.h[...] 2014-06-09
[67] 웹사이트 Eiropas Parlamenta vēlēšanas 2019 https://epv2019.cvk.[...]
[68] 법률 Election to the European Parliament Law https://likumi.lv/ta[...] 2019
[69] 웹사이트 REZULTATE IZBORA ČLANOVA U EUROPSKI PARLAMENT IZ REPUBLIKE HRVATSKE PROVEDENIH 9. LIPNJA 2024. GODINE https://www.izbori.h[...] 2024-06-10
[70] 웹사이트 The European Elections of May 2019 https://www.europarl[...] 2020-07
[71] 웹사이트 REZULTATE IZBORA ČLANOVA U EUROPSKI PARLAMENT IZ REPUBLIKE HRVATSKE PROVEDENIH 26. SVIBNJA 2019. GODINE https://www.izbori.h[...] 2019-05-27
[72] 웹사이트 2024 m. birželio 9 d. rinkimai į Europos Parlamentą https://www.vrk.lt/2[...] 2024-06-15
[73] 웹사이트 Prowestliche Parteien sind Bulgariens große Wahlverlierer https://www.weser-ku[...] 2017-03-28
[74] 웹사이트 Bulgaria election: All you need to know about country's fourth vote in just 18 months Access to the comments https://www.euronews[...] 2022-10-02
[75] 웹사이트 Results 2022 Saarland state election https://wahlergebnis[...] German State Statistical Officer
[76] 웹사이트 2020 GENERAL ELECTION – OFFICIAL RESULTS AND STATISTICS https://electionresu[...] Electoral Commission 2020-11-30
[77] 논문 The Choice of Electoral Systems in Electoral Autocracies
[78]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Конституционного Суда РФ от 17 ноября 1998 г. № 26-П – см. пкт. 8 http://www.law.edu.r[...]
[79] 웹사이트 Why Is Turkey Bogged Down? http://www.turkishpo[...] Turkish Policy
[80] 웹사이트 Negating Pluralist Democracy: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Forgets the Rights of the Electors https://www.webcitat[...]
[81] 웹사이트 Results 2020 Slovak parliamentary election https://volby.statis[...] Statistical Office of the Slovak Republic
[82] 웹사이트 Results 2021 Czech legislative election https://www.volby.cz[...] Czech Statistical Office
[83] 웹사이트 Single Transferable Vote http://www.electoral[...] Electoral Reform Society
[84] 서적 諸外国の下院の選挙制度
[85] 웹사이트 議会選挙(県院を除く) - 2011年以降(現行) http://src-h.slav.ho[...] 北海道大学スラブ研究センター 2013-02-25
[86] 서적 レファレンス
[87] 서적
[88] 서적
[89] 웹사이트 ルーマニア下院選挙制度(2008年以降) http://src-h.slav.ho[...]
[90] 뉴스 Kippt die Drei-Prozent-Hürde? http://www.tagesscha[...] 2014-02-26
[91] 논문 諸外国の下院の選挙制度(資料) https://dl.ndl.go.jp[...] 東京 : 国立国会図書館 2006-12
[92] 웹사이트 イスラーム地域研究「中東・イスラーム諸国の民主化」 http://www.l.u-tokyo[...]
[93] 웹사이트 中東欧・旧ソ連諸国の選挙データ http://src-h.slav.ho[...] 北大スラブ研究センタ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