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AFC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4 AFC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요코하마 F. 마리노스와 알아인 FC의 맞대결로, 두 팀 모두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요코하마 F. 마리노스는 동아시아, 알아인 FC는 서아시아 소속으로, 요코하마는 1990년 이후, 알아인은 2003, 2005, 2016년에 이어 네 번째 결승 진출이었다. 1차전은 요코하마에서 2-1로 요코하마가 승리했으나, 2차전에서 알아인이 5-1로 승리하며 합산 점수 6-3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아인 FC 경기 - 2018년 FIFA 클럽 월드컵 결승전
2018년 FIFA 클럽 월드컵 결승전은 레알 마드리드가 알아인을 4-1로 꺾고 우승하며 최다 우승 및 최다 연속 우승 기록을 경신한 경기이다.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경기 - 1992 아시안 컵위너스컵 결승전
1992 아시안 컵위너스컵 결승전은 닛산과 알나스르의 대결로, 1차전은 1-1 무승부, 2차전에서 닛산이 5-0으로 승리하여 닛산이 우승을 차지했다.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경기 - 1993 아시안 컵위너스컵 결승전
1993년 아시안 컵위너스컵 결승전은 요코하마 F. 마리노스와 페르세폴리스 FC의 1, 2차전 대결로, 요코하마 마리노스가 최종 2차전에서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 2024년 5월 - 강원도 인제 훈련병 사망 사건
2024년 5월 강원도 인제에서 발생한 훈련병 사망 사건은 규정 및 절차 위반 정황으로 군사경찰 수사 후 강원특별자치도경찰청으로 이첩되어 중대장 등 간부들이 조사받고 있으며, 육군은 관련 지침 위반으로 중대장과 부중대장을 직무 배제했고 훈련병은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 2024년 5월 - 2024년 AFC U-23 아시안컵
2024년 AFC U-23 아시안컵은 카타르에서 개최된 23세 이하 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로, 일본이 우승, 우즈베키스탄이 준우승, 이라크가 3위를 차지했으며, 세 팀은 2024년 파리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2024 AFC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 |
---|---|
경기 정보 | |
대회 | 2023-24년 AFC 챔피언스리그 |
경기 명칭 | AFC 챔피언스리그 2024 결승전 |
경기 결과 | |
1차전 결과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 - 1 알아인 |
2차전 결과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1 - 5 알아인 |
총 득점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3 - 6 알아인 |
최종 결과 | 알아인 우승 |
1차전 | |
경기 날짜 | 2024년 5월 11일 |
경기 장소 | 요코하마 국제 종합 경기장 |
도시 | 일본 요코하마 |
관중수 | 53,704명 |
최우수 선수 | 와타나베 고타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주심 | 살만 아흐마드 파라히 (카타르) |
2차전 | |
경기 날짜 | 2024년 5월 25일 |
경기 장소 | 하자 빈 자예드 스타디움 |
도시 |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
관중수 | 24,826명 |
최우수 선수 | 수피안 라히미 (알아인) |
주심 | 일기즈 탄타셰프 (우즈베키스탄) |
참가팀 | |
팀 1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팀 2 | 알아인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2022 |
다음 대회 | 2025 |
2. 진출팀
2024 AFC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양 결승 진출자의 홈에서 펼쳐지는 2경기를 홈 앤드 어웨이 형식으로 진행된다. AFC는 7년 연속으로 이 방식을 채택했다.[1] 이번 대회의 결승전은 전 대회와 마찬가지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개최된다. 1차전은 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홈구장인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 (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고호쿠구)[2], 2차전은 알 아인의 홈구장인 하자 빈 자예드 스타디움 (아부다비알아인)에서 각각 개최된다.
2024 AFC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 진출한 두 팀인 요코하마 F. 마리노스(일본)와 알아인 FC(아랍에미리트)의 결승전까지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승전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1, 2차전으로 진행되었다. 1, 2차전 합계 점수가 동점일 경우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통해 우승팀을 결정한다.[3]
이번 결승전은 아시아 정상에 도전하는 요코하마 F. 마리노스와 2016년 대회 이후 7시즌 만에 결승에 진출하여 2002-03 시즌 이후 우승을 노리는 알아인의 대결이다.[6]
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해리 큐얼 감독과 알아인의 에르난 크레스포 감독은 선수 시절 5번 맞붙은 경험이 있다. 특히 UEFA 챔피언스 리그 2004-05 결승(일명 "이스탄불의 기적")에서는 해리 큐얼이 리버풀 소속으로, 에르난 크레스포가 AC 밀란 소속으로 선발 출전하여, 두 감독의 인연이 화제가 되었다.[7]
3. 경기 장소
4. 결승전까지의 경기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olspan=4| 요코하마 F. 마리노스
!라운드
!colspan=4| 알아인
|-bgcolor=#c1e0ff
|상대
|colspan=3|결과
|조별 리그
|상대
|colspan=3|결과
|-
|align=left| 인천 유나이티드
|colspan=3|2–4 (H)
|bgcolor=#c1e0ff|경기일 1
|align=left| 파흐타코르
|colspan=3|3–0 (A)
|-
|align=left| 산둥 타이산
|colspan=3|1–0 (A)
|bgcolor=#c1e0ff|경기일 2
|align=left| 아할
|colspan=3|4–2 (H)
|-
|align=left| 카야 일로일로
|colspan=3|3–0 (H)
|bgcolor=#c1e0ff|경기일 3
|align=left| 알파이하
|colspan=3|4–1 (H)
|-
|align=left| 카야 일로일로
|colspan=3|2–1 (A)
|bgcolor=#c1e0ff|경기일 4
|align=left| 알파이하
|colspan=3|3–2 (A)
|-
|align=left| 인천 유나이티드
|colspan=3|1–2 (A)
|bgcolor=#c1e0ff|경기일 5
|align=left| 파흐타코르
|colspan=3|1–3 (H)
|-
|align=left| 산둥 타이산
|colspan=3|3–0 (H)
|bgcolor=#c1e0ff|경기일 6
|align=left| 아할
|colspan=3|2-1 (A)
|-
|colspan=4 align=center valign=top|'''G조 1위'''1 요코하마 F. 마리노스 6 4 0 2 12
|bgcolor=#c1e0ff|조 최종 순위
|colspan=4 align=center valign=top|'''A조 1위'''1 알아인 6 5 0 1 15
|-bgcolor=#c1e0ff
|상대
|결과
|1차전
|2차전
|결선 토너먼트
|상대
|결과
|1차전
|2차전
|-
|align=left| 방콕 유나이티드
|3 - 2 (연장)
|2 - 2 (A)
|1 - 0 (H)
|bgcolor=#c1e0ff|16강전
|align=left| 나사프
|2 - 1
|0 - 0 (A)
|2 - 1 (H)
|-
|align=left| 산둥 타이산
|3 - 1
|2 - 1 (A)
|1 - 0 (H)
|bgcolor=#c1e0ff|8강전
|align=left| 알나스르
|4 - 4 (연장, 승부차기 3-1)
|1 - 0 (H)
|3 - 4 (A)
|-
|align=left| 울산 현대
|3 - 3 (연장, 승부차기 5-4)
|0 - 1 (A)
|3 - 2 (H)
|bgcolor=#c1e0ff|준결승전
|align=left| 알힐랄
|5 - 4
|4 - 2 (H)
|1 - 2 (A)
|}
참고: (H)는 홈 경기, (A)는 원정 경기를 의미하며, 모든 결과에서 결승 진출팀의 점수가 먼저 표기된다.
5. 경기 결과
1차전에서 요코하마 F. 마리노스는 우에나카 아사히와 와타나베 코타의 골로 2-1 역전승을 거두었다. 2차전에서는 알아인이 수피안 라히미의 두 골과 카쿠, 라바의 골을 묶어 5-1로 크게 이겼다.
결과적으로 1, 2차전 합계 6-3으로 알아인이 2024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차지했다.[3]
5. 1. 1차전
결승전은 2차전으로 진행되었다. 2차전 합계 점수가 동점일 경우, 연장전과 필요하다면 승부차기를 통해 우승팀을 결정한다.[3]
1차전에서 양 팀은 직전 국내 리그에서 대부분의 선수를 교체하여 출전시켰다. 초반부터 볼 점유율을 높여 요코하마 F. 마리노스가 주도권을 잡으려 했지만, 전반 12분 알 아인의 수피안 라히미가 박용우의 패스를 받아 빠른 발로 에두아르도를 제치고 포프 윌리엄과 1대1 상황을 만들었다. 슛은 포프 윌리엄에게 막혔지만, 흘러나온 볼을 Mohammed Abbas (Emirati footballer)|무함마드 아바스영어가 밀어 넣어, 원정팀 알 아인이 선제골을 기록했다.[8]
이후 요코하마 F. 마리노스는 다시 볼을 점유하며 공격했고, 27분에는 나가토 가쓰야의 슛이 칼리드 에이사에게 막혔다.[9] 반대로 30분에는 카쿠의 패스를 받은 Matías Palacios|마티아스 팔라시오스영어가 골망을 흔들었지만 VAR 개입으로 오프사이드 판정을 받았다.[8] 전반은 0-1로 알 아인이 리드한 채 마무리되었다.
후반에도 알 아인이 역습 기회를 잡았고, 카쿠의 패스를 받은 수피안 라히미와 다시 1대1 상황이 연출되었지만, 나가토 가쓰야가 블록하여 위기를 넘겼다.[8] 요코하마 F. 마리노스는 60분(후반 15분)에 와타나베 고타와 미야이치 료를 투입하여 상황을 타개하려 했다. 72분(후반 27분), 안데르송 로페스의 우측 전개에서 얀 마테우스가 중앙으로 크로스를 올렸고, 이를 중앙에서 쇄도하던 우에나카 아사히가 헤딩으로 연결하여 골을 넣으며, 요코하마 F. 마리노스가 동점을 만들었다.[8][9]
요코하마 F. 마리노스는 85분(후반 40분) 코너킥 상황에서 얀 마테우스의 크로스를 미야이치 료가 발리슛으로 연결했고, 중앙에서 대기하던 와타나베 고타가 이를 골로 연결했다. 처음에는 오프사이드 판정이 나왔지만, VAR 개입 결과 골로 인정되어, 요코하마 F. 마리노스가 역전에 성공했다.[8][9]
5. 1. 1. 상세 정보 (1차전)
2024년 5월 11일, 요코하마 F. 마리노스와 알아인의 2024 AFC 챔피언스리그 결승 1차전 경기가 요코하마의 요코하마 국제 종합 경기장에서 열렸다.
양 팀은 직전 국내 리그 경기에서 대부분의 주전 선수들에게 휴식을 부여하며 결승전에 대비했다. 경기 초반, 요코하마 F. 마리노스는 높은 점유율을 바탕으로 경기를 주도하려 했으나, 전반 12분 알아인의 수피안 라히미가 빠른 발을 이용해 요코하마의 수비수 에두아르두를 제치고 골키퍼와 1대1 상황을 만들었다. 첫 슈팅은 포프 윌리엄에게 막혔지만, 흘러나온 공을 무함마드 아바스가 밀어 넣으며 알아인이 선제골을 기록했다.[8]
이후 요코하마는 계속해서 공격을 시도했고, 27분 나가토 가쓰야의 슈팅이 칼리드 에이사 골키퍼에게 막혔다.[9] 30분에는 알아인의 카쿠의 패스를 받은 마티아스 팔라시오스가 골망을 흔들었지만, VAR 판독 결과 오프사이드로 판정되었다.[8] 전반전은 알아인이 1-0으로 앞선 채 마무리되었다.
후반전에도 알아인의 역습이 이어졌다. 카쿠의 패스를 받은 수피안 라히미가 다시 한번 골키퍼와 1대1 기회를 맞았으나, 나가토 가쓰야가 막아내며 위기를 넘겼다.[8] 요코하마는 후반 15분 와타나베 고타와 미야이치 료를 투입하며 변화를 꾀했다.
후반 27분, 안데르송 로페스의 패스를 받은 얀 마테우스가 올린 크로스를 우에나카 아사히가 헤딩으로 연결하며 요코하마가 동점을 만들었다.[8][9]
기세를 올린 요코하마는 후반 40분, 코너킥 상황에서 얀 마테우스의 크로스를 미야이치 료가 발리슛으로 연결했고, 와타나베 고타가 이를 골로 마무리 지었다. 처음에는 오프사이드가 선언되었으나, VAR 판독 결과 득점으로 인정되며 요코하마가 역전에 성공했다.[8][9] 결국 요코하마가 2-1 승리를 거두며 결승 1차전을 마무리했다.
경기 정보 | |
---|---|
맨 오브 더 매치 | 와타나베 고타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부심 | 람잔 알나에미, 마지드 알샴마리 (카타르) |
대기심 | 모함메드 알샴마리 (대한민국) |
VAR | 카미스 알마리 (카타르) |
AVAR | 압둘라 알마리 (카타르) |
경기 규정 | * 정규시간 90분 * 교체 선수 10명 중 5명 (최대 3회, 하프타임 교체 제외)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알아인 | ||||||
---|---|---|---|---|---|---|---|
포지션 | 등번호 | 선수 | 비고 | 포지션 | 등번호 | 선수 | 비고 |
GK | 42 | 포프 윌리엄 | GK | 17 | 칼리드 에이사 | ||
RB | 27 | 마쓰바라 겐 | RB | 70 | Abdoul Karim Traoré | ||
CB | 4 | 하타나카 신노스케 | CB | 16 | 칼리드 알하셰미 | ||
CB | 5 | 에두아르두 | 37' | CB | 3 | Kouame Autonne | |
LB | 2 | 나가토 가쓰야 | 90+3' | LB | 11 | 반다르 알아흐바비 (주장) | |
CM | 14 | 우에나카 아사히 | 75', 77' | CM | 8 | Mohammed Abbas | 90+4' |
CM | 8 | 기다 다쿠야 (주장) | 61' | CM | 5 | 박용우 | 90+5' |
CM | 29 | 남태희 | 77' | CM | 6 | 야히아 나데르 | |
RF | 20 | 얀 마테우스 | RF | 10 | 알레한드로 로메로 | ||
CF | 11 | 안데르송 로페스 | CF | 21 | 수피안 라히미 | ||
LF | 7 | 에우베르 | 61' | LF | 20 | 마티아스 팔라시오스 | |
교체 선수 | 교체 선수 | ||||||
GK | 21 | 이이쿠라 히로키 | GK | 1 | 모함메드 아보 산다 | ||
GK | 31 | 시라사카 후마 | GK | 12 | Sultan Al-Mantheri | ||
DF | 16 | 가토 렌 | DF | 4 | Mohammed Ali Shaker | ||
DF | 24 | 가토 히지리 | DF | 40 | Khaled Ali Al Baloushi | ||
DF | 39 | 와타나베 다이키 | 37' | DF | 44 | 사에드 주마 | |
MF | 6 | 와타나베 고타 | 61' | DF | 66 | Mansour Al-Shamsi | |
MF | 17 | 이노우에 겐타 | MF | 13 | 아흐메드 바르만 | ||
MF | 18 | 미즈누마 고타 | MF | 18 | Khalid Al-Balochi | ||
MF | 28 | 야마네 리쿠 | 77' | MF | 22 | Falah Waleed | |
MF | 35 | 사카키바라 게이고 | 77' | MF | 27 | Sultan Al-Shamsi | 90+4' |
MF | 47 | 야마무라 가즈야 | MF | 30 | Hazem Mohammad | ||
FW | 23 | 미야이치 료 | 61' |
5. 2. 2차전
2차전은 2024년 5월 25일에 알아인의 홈구장인 하자 빈 자예드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었다. 알아인이 요코하마를 5-1로 꺾고, 합계 6-3으로 우승을 차지했다.[3]알아인의 수피안 라히미는 전반 8분 만에 선제골을 넣었고, 33분에는 카쿠가 페널티킥으로 추가 득점을 기록했다. 요코하마는 40분에 얀 마테우스가 만회골을 넣었지만, 전반 추가 시간에 골키퍼 윌리엄 포프가 퇴장당하면서 수적 열세에 놓이게 되었다. 후반전에는 알아인이 수적 우위를 바탕으로 경기를 주도하여 수피안 라히미가 후반 22분에 추가골을, 후반 추가 시간에는 라바가 두 골을 더 넣어 5-1 대승을 이끌었다.
5. 2. 1. 상세 정보 (2차전)
2차전은 2024년 5월 25일, 알아인의 홈구장인 하자 빈 자예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경기 결과는 5-1로 알아인이 크게 승리하였다.[3]{| class="wikitable"
|-
! width="40%" | 알아인
! width="40%"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
선수 | 포지션 | 등번호 |
---|---|---|
칼리드 에이사 | 골키퍼 | 17 |
반다르 알-아브바비 (주장) | 오른쪽 풀백 | 11 |
칼리드 알-하셰미 | 센터백 | 16 |
쿠아메 오톤 | 센터백 | 3 |
사이드 주마 | 레프트 백 | 44 |
야히아 나데르 | 중앙 미드필더 | 6 |
박용우 | 중앙 미드필더 | 5 |
무함마드 아바스 | 중앙 미드필더 | 8 |
카쿠 | 공격형 미드필더 | 10 |
마티아스 팔라시오스 | 공격수 | 20 |
수피안 라히미 | 공격수 | 21 |
교체 선수 | ||
무함마드 아보 산다 | 골키퍼 | 1 |
술탄 알-만테리 | 골키퍼 | 12 |
무함마드 알리 샤케르 | 수비수 | 4 |
칼리드 알리 알-발루시 | 수비수 | 40 |
만수르 알-샴시 | 수비수 | 66 |
아흐메드 바르만 | 미드필더 | 13 |
칼리드 알-발로치 | 미드필더 | 18 |
팔라 왈리드 | 미드필더 | 22 |
술탄 알-샴시 | 미드필더 | 27 |
하젬 모하마드 | 미드필더 | 30 |
코조 라바 | 공격수 | 9 |
감독 | ||
에르난 크레스포 |
|
선수 | 포지션 | 등번호 |
---|---|---|
윌리엄 팝 | 골키퍼 | 42 |
마츠바라 겐 | 오른쪽 풀백 | 27 |
타쿠미 카미지마 | 센터백 | 15 |
신노스케 하타나카 | 센터백 | 4 |
가츠야 나가토 | 레프트 백 | 2 |
키타 타쿠야 (주장) | 중앙 미드필더 | 8 |
와타나베 코타 | 중앙 미드필더 | 6 |
얀 마테우스 | 오른쪽 윙 | 20 |
우에나카 아사히 | 공격형 미드필더 | 14 |
엘베르 | 왼쪽 윙 | 7 |
안데르송 로페스 | 공격수 | 11 |
교체 선수 | ||
이쿠라 히로키 | 골키퍼 | 21 |
시라스카 후마 | 골키퍼 | 31 |
에두아르두 | 수비수 | 5 |
가토 렌 | 수비수 | 16 |
가토 히지리 | 수비수 | 24 |
이노우에 켄타 | 미드필더 | 17 |
미즈누마 코타 | 미드필더 | 18 |
야마네 리쿠 | 미드필더 | 28 |
사카키바라 케이고 | 미드필더 | 35 |
아마노 준 | 미드필더 | 40 |
야마무라 카즈야 | 미드필더 | 47 |
미야이치 료 | 공격수 | 23 |
감독 | ||
해리 큐얼 |
|}
참조
[1]
웹사이트
Yokohama F. Marinos do it the hard way but they are finally in an AFC Champions League final
https://www.espn.com[...]
2024-04-24
[2]
웹사이트
Al Ain seal Asian Champions League final berth despite Al Hilal loss
https://www.reuters.[...]
2024-04-23
[3]
웹사이트
AFC Champions League 2023–24 Competition Regulations
https://assets.the-a[...]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24-05-04
[4]
웹사이트
10人で奇跡起こした横浜FM、0-1→3-1→3-3大激闘の末にPK戦でクラブ史上初のACL決勝進出!!
https://web.gekisaka[...]
2024-04-24
[5]
웹사이트
【ACL】横浜が初の決勝進出!前半で退場出すも死闘の末にPK戦制す/蔚山戦詳細
https://www.nikkansp[...]
2024-04-24
[6]
웹사이트
アル・アインがACL決勝へ アル・ヒラル下す
https://www.afpbb.co[...]
2024-04-24
[7]
웹사이트
“イスタンブールの奇跡”から19年…キューウェル監督とクレスポ監督がアジアの頂点をかけて激突へ
https://www.soccer-k[...]
2024-04-25
[8]
웹사이트
横浜FMが初のACL制覇に王手!! 植中&渡辺弾で終盤逆転劇、1点リードで敵地UAEでの最終決戦へ
https://web.gekisaka[...]
2024-05-11
[9]
웹사이트
横浜F・マリノスがアジア制覇に王手! ACL決勝第1戦は渡辺皓太の終盤逆転弾でアル・アインに先勝
https://www.goal.com[...]
2024-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