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WBSC 프리미어 1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4년 WBSC 프리미어 12는 세계 야구 소프트볼 연맹(WBSC) 랭킹 1위부터 12위까지의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국제 야구 대회이다. 멕시코, 중화 타이베이, 일본에서 예선 라운드가, 일본 도쿄 돔에서 슈퍼 라운드 및 결선 토너먼트가 개최되었다. 결선 토너먼트 결과, 중화 타이베이가 일본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미국이 3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WBSC 프리미어 12 - 2015년 WBSC 프리미어 12
2015년 WBSC 프리미어 12는 세계 야구 소프트볼 연맹이 주최하고 일본과 중화민국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하고 김현수가 MVP를 수상했다. - WBSC 프리미어 12 - 2019년 WBSC 프리미어 12
2019년 WBSC 프리미어 12는 WBSC 주최로 중화민국, 대한민국, 멕시코, 일본에서 개최된 국제 야구 대회로, 상위 12개국이 참가하여 일본이 우승했으며 2020년 도쿄 올림픽 출전권이 걸려 있었다. - 멕시코에서 개최된 야구 대회 -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은 16개국이 참가하여 더블 엘리미네이션과 싱글 엘리미네이션 방식을 거쳐 일본이 우승, 대한민국이 준우승을 차지한 국제 야구 대회이다. - 멕시코에서 개최된 야구 대회 - 2019년 WBSC 프리미어 12
2019년 WBSC 프리미어 12는 WBSC 주최로 중화민국, 대한민국, 멕시코, 일본에서 개최된 국제 야구 대회로, 상위 12개국이 참가하여 일본이 우승했으며 2020년 도쿄 올림픽 출전권이 걸려 있었다. - 2024년 야구 - 2024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
2024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은 2023년 7월에 일정이 발표되어 각 팀이 162경기를 치렀으며, 서울, 멕시코시티, 런던, 산토도밍고에서 월드 투어 경기가 개최되었고, 로스앤젤레스 다저스가 뉴욕 양키스를 꺾고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했다. - 2024년 야구 - 2024년 KBO 리그
2024년 KBO 리그는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리그의 43번째 시즌으로, 감독 교체, ABS 도입, 베이스 크기 확대 등의 변화와 FA 계약 및 트레이드를 통한 선수 이동, 류현진 복귀와 이정후 메이저 리그 진출 등의 이슈가 있었으며 KIA 타이거즈가 정규 시즌 우승을 차지했다.
2024년 WBSC 프리미어 12 | |
---|---|
대회 정보 | |
이름 | 2024년 프리미어 12 |
다른 이름 | 2024 WBSC Premier 12 |
개최국 | |
개최 기간 | 2024년 11월 10일 ~ 11월 24일 |
참가국 | 12 |
대륙 | 4 |
경기장 | 6 |
도시 | 6 |
결과 | |
우승 횟수 | 1 |
통계 | |
총 경기수 | 32 |
총 관중수 | 357,525 |
경기당 관중수 | 11,173 |
관련 정보 | |
이전 대회 | 2019 |
2. 참가 국가
WBSC 월드 랭킹 상위 12개 팀이 2024년 WBSC 프리미어 12에 참가한다. 대한민국은 2015년 초대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 1. 참가국 목록
세계야구소프트볼 총연맹(WBSC)에서 발표하는 WBSC 월드 랭킹 1위부터 12위까지 참가할 수 있다. (2018년 12월 랭킹 기준)WBSC 랭킹 | 팀 | 소속 | 출전 횟수 | 최고 성적 |
---|---|---|---|---|
1 | align=left| | BFA | 2회 | 우승 (2019) |
2 | align=left| | COPABE | 2회 | 준우승 (2015) |
3 | align=left| | BFA | 2회 | 우승 (2015) |
4 | align=left| | BFA | 2회 | 9위 (2015) |
5 | align=left| | COPABE | 2회 | 6위 (2015) |
6 | align=left| | COPABE | 2회 | 3위 (2019) |
7 | align=left| | BCO | 첫 진출 | 없음 |
8 | align=left| | CEB | 2회 | 7위 (2015) |
9 | align=left| | COPABE | 2회 | 10위 (2015) |
10 | align=left| | COPABE | 2회 | 5위 (2015) |
11 | align=left| | COPABE | 2회 | 8위 (2015) |
12 | align=left| | COPABE | 2회 | 11위 (2015) |
3. 개최 도시 및 경기장
조 도시 경기장 수용 인원 A조 과달라하라 에스타디오 파나메리카노 16,000명 A조 테픽 콜로소 델 파시피코 9,480명 B조 타이베이 타이베이 돔 40,000명 B조 타이베이 톈무 야구장 10,500명 B조 나고야 나고야 돔 20,000명 슈퍼 라운드 및 결선 토너먼트 도쿄 도쿄 돔 45,600명
3. 1. A조
순위 | 팀 | 승 | 패 | 승률 | 비고 | |||||
---|---|---|---|---|---|---|---|---|---|---|
1 | 4 | 1 | 0.800 | 4강 진출 | ||||||
2 | 3 | 2 | 0.600 | 승자승에서 파나마에 앞서 조 2위로 4강 진출 | ||||||
3 | align="left" | | 3 | 2 | 0.600 | 승자승에서 미국에게 뒤져 조 3위로 탈락 | |||||
4 | align="left" | | 2 | 3 | 0.400 | 승자승에서 네덜란드에 앞서 조 4위 | |||||
5 | align="left" | | 2 | 3 | 0.400 | 승자승에서 멕시코보다 뒤져 조 5위 | |||||
6 | align="left" | | 1 | 4 | 0.200 | 최하위 탈락 확정 |
날짜 | 현지시각 | 원정 | 스코어 | 홈 | 경기장 | 경기시간 | 관중 | 비고 | |
---|---|---|---|---|---|---|---|---|---|
11월 10일 | 04:00 | align="right" | | 8 | 9 | align="left" | | 파나메리카 | |||
08:00 | align="right" | | 1 | 0 | align="left" | | 산타테레시 | ||||
11:00 | align="right" | | 8 | 4 | align="left" | | 파나메리카 | ||||
11월 11일 | 04:00 | align="right" | | 2 | 4 | align="left" | | 파나메리카 | |||
08:00 | align="right" | | 2 | 12 | align="left" | | 산타테레시 | ||||
11:00 | align="right" | | 7 | 5 | align="left" | | 파나메리카 | ||||
11월 12일 | 11:00 | align="right" | | 3 | 2 | align="left" | | 파나메리카 | |||
11:00 | align="right" | | 3 | 5 | align="left" | | 산타테레시 | ||||
11월 13일 | 11:00 | align="right" | | 20 | 8 | align="left" | | 파나메리카 | |||
11:00 | align="right" | | 3 | 9 | align="left" | | 산타테레시 | ||||
11월 14일 | 04:00 | align="right" | | 2 | 5 | align="left" | | 파나메리카 | |||
11:00 | align="right" | | 8 | 6 | align="left" | | 산타테레시 | ||||
11월 15일 | 04:00 | align="right" | | 0 | 11 | align="left" | | 파나메리카 | |||
11:00 | align="right" | | 3 | 4 | align="left" | | 산타테레시 | ||||
11:00 | align="right" | | 12 | 2 | align="left" | | 파나메리카 |
3. 2. B조
순위 | 팀 | 승 | 패 | 승률 | 승자승 | 득점 | 공격 이닝 | 실점 | 수비 이닝 | 팀 퀄리티밸런스 (TQB) |
---|---|---|---|---|---|---|---|---|---|---|
1 | 日本|일본일본어 | 5 | 0 | 1.000 | 조 1위로 4강 진출 | |||||
2 | 中華臺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4 | 1 | 0.800 | 조 2위로 4강 진출 | |||||
3 | 대한민국한국어 | 3 | 2 | 0.600 | 최종전 승리했으나 일본과 대만의 승점에서 밀려 탈락 | |||||
4 |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 | 1 | 4 | 0.200 | 1-1 | 17 | 8 | 17 | 4 | 0.458 |
5 | República Dominicana|도미니카 공화국es | 1 | 4 | 0.200 | 1-1 | 18 | 6 | 17 | 6 | -0.07 |
6 | Cuba|쿠바es | 1 | 4 | 0.200 | 1-1 | 17 | 5 | 18 | 9 | -0.385 |
날짜 | 현지시각 | 원정 | 스코어 | 홈 | 경기장 | 경기시간 | 관중 | 비고 | |
---|---|---|---|---|---|---|---|---|---|
11월 13일 | 19:00 |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 | 3 | 9 | 日本|일본일본어 | 나고야돔 | |||
19:30 | República Dominicana|도미니카 공화국es | 6 | 1 | Cuba|쿠바es | 톈무 야구장 | ||||
19:30 | 대한민국한국어 | 3 | 6 | 中華臺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타이베이돔 | 대한민국의 3득점 홈런은 오심 | |||
11월 14일 | 19:00 | Cuba|쿠바es | 4 | 8 | 대한민국한국어 | 톈무 야구장 | |||
19:30 | 中華臺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2 | 1 | República Dominicana|도미니카 공화국es | 타이베이 돔 | ||||
11월 15일 | 19:00 | República Dominicana|도미니카 공화국es | 0 | 5 |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 | 톈무 야구장 | |||
19:30 | 대한민국한국어 | 3 | 6 | 日本|일본일본어 | 타이베이 돔 | ||||
11월 16일 | 13:00 |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 | 3 | 4 | Cuba|쿠바es | 톈무 야구장 | |||
19:00 | 日本|일본일본어 | 3 | 1 | 中華臺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타이베이 돔 | ||||
19:30 | República Dominicana|도미니카 공화국es | 6 | 9 | 대한민국한국어 | 톈무 야구장 | ||||
11월 17일 | 19:00 | Cuba|쿠바es | 6 | 7 | 日本|일본일본어 | 톈무 야구장 | |||
19:30 | 中華臺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11 | 3 |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 | 타이베이 돔 | ||||
11월 18일 | 13:00 |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 | 2 | 5 | 대한민국한국어 | 톈무 야구장 | |||
19:00 | 日本|일본일본어 | 11 | 3 | República Dominicana|도미니카 공화국es | 톈무 야구장 | ||||
19:30 | Cuba|쿠바es | 0 | 2 | 中華臺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타이베이 돔 |
4. 대회 규정
- 경기당 투수는 최소 3명의 타자를 상대해야 한다. 단, 투수가 3명의 타자를 상대하기 전에 이닝이 종료될 경우에는 예외이다.
- 연장전은 10회부터 타이브레이커 제도로 진행되며, 주자를 1, 2루에 두고 시작한다.
- 5회 이후 15점 차 이상, 7회 이후 10점 차 이상일 경우 콜드게임이 선언된다. 단, 결승전에서는 콜드게임이 적용되지 않는다.
- 선수 명단은 28명으로 구성되며, 이 중 투수는 최소 11명 이상 포함되어야 한다.
- 공식 개막전 1일 전까지 선수 명단 변경이 가능하다. 부상 선수가 발생할 경우, 예비 엔트리 50인 내에서 교체할 수 있다.
- 도핑 테스트가 진행될 예정이다.
- 심판은 총 12명이 배정되며, 중립국 심판으로 구성된다.
- 비디오 판독은 심판의 판정에 이의가 있을 경우, 경기당 2번까지 요청할 수 있다. 단, 8강 토너먼트부터는 경기당 3번까지 요청할 수 있다.
4. 1. 순위 결정 방식
- 1. 승률
- 2. 승자승
- 3. 승자승으로 가려지지 않을 경우 해당 팀들간의 경기 지표를 통해 순위를 결정한다.
- * 3-1. TQB (팀 퀄리티 밸런스) = (득점/공격 이닝) - (실점/수비 이닝)
- * 3-2. ER-TQB (자책점-팀 퀄리티 밸런스) = (자책 득점/공격 이닝) - (자책 실점/수비 이닝)
- * 3-3. 팀 타율
- 4. 모두 팀 타율까지 동률일 경우, 추첨을 한다.
5. 오프닝 라운드
2024년 WBSC 프리미어 12 오프닝 라운드는 A조와 B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 상위 2팀이 슈퍼 라운드에 진출했다. A조에서는 '''''' 팀과 '''''' 팀이, B조에서는 일본과 중화 타이베이가 슈퍼 라운드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B조 3위로 오프닝 라운드에서 탈락했다.
5. 1. A조
순위 | 팀 | 승 | 패 | 승률 | 승자승 | 득점 | 공격 이닝 | 실점 | 수비 이닝 | 팀 퀄리티밸런스 (TQB) | |
---|---|---|---|---|---|---|---|---|---|---|---|
1 | 4 | 1 | 0.800 | 4강 진출 | |||||||
2 | 3 | 2 | 0.600 | 1-0 | 승자승에서 파나마에 앞서 조 2위로 4강 진출 | ||||||
3 | align="left" | | 3 | 2 | 0.600 | 0-1 | 승자승에서 미국에게 뒤져 조 3위로 탈락 | |||||
4 | align="left" | | 2 | 3 | 0.400 | 1-0 | 승자승에서 네덜란드에 앞서 조 4위 | |||||
5 | align="left" | | 2 | 3 | 0.400 | 0-1 | 승자승에서 멕시코보다 뒤져 조 5위 | |||||
6 | align="left" | | 1 | 4 | 0.200 | 최하위 탈락 확정 |
날짜 | 현지시각 | 원정 | 스코어 | 홈 | 경기장 | 경기시간 | 관중 | 비고 | |
---|---|---|---|---|---|---|---|---|---|
11월 10일 | 04:00 | align="right" | | 8 | 9 | align="left" | | 파나메리카 | |||
08:00 | align="right" | | 1 | 0 | align="left" | | 산타테레시 | ||||
11:00 | align="right" | | 8 | 4 | align="left" | | 파나메리카 | ||||
11월 11일 | 04:00 | align="right" | | 2 | 4 | align="left" | | 파나메리카 | |||
08:00 | align="right" | | 2 | 12 | align="left" | | 산타테레시 | ||||
11:00 | align="right" | | 7 | 5 | align="left" | | 파나메리카 | ||||
11월 12일 | 11:00 | align="right" | | 3 | 2 | align="left" | | 파나메리카 | |||
11:00 | align="right" | | 3 | 5 | align="left" | | 산타테레시 | ||||
11월 13일 | 11:00 | align="right" | | 20 | 8 | align="left" | | 파나메리카 | |||
11:00 | align="right" | | 3 | 9 | align="left" | | 산타테레시 | ||||
11월 14일 | 04:00 | align="right" | | 2 | 5 | align="left" | | 파나메리카 | |||
11:00 | align="right" | | 8 | 6 | align="left" | | 산타테레시 | ||||
11월 15일 | 04:00 | align="right" | | 0 | 11 | align="left" | | 파나메리카 | |||
11:00 | align="right" | | 3 | 4 | align="left" | | 산타테레시 | ||||
11:00 | align="right" | | 12 | 2 | align="left" | | 파나메리카 |
5. 2. B조
순위 | 팀 | 승 | 패 | 승률 | 승자승 | 득점 | 공격 이닝 | 실점 | 수비 이닝 | 팀 퀄리티밸런스 (TQB) |
---|---|---|---|---|---|---|---|---|---|---|
1 | 일본 | 5 | 0 | 1.000 | 조 1위로 4강 진출 | |||||
2 | 중화 타이베이 | 4 | 1 | 0.800 | 조 2위로 4강 진출 | |||||
3 | 대한민국 | 3 | 2 | 0.600 | 최종전 승리했으나 일본과 대만의 승점에서 밀려 탈락 | |||||
4 | 오스트레일리아 | 1 | 4 | 0.200 | 1-1 | 17 | 8 | 17 | 4 | 0.458 |
5 | 도미니카 공화국 | 1 | 4 | 0.200 | 1-1 | 18 | 6 | 17 | 6 | -0.07 |
6 | 쿠바 | 1 | 4 | 0.200 | 1-1 | 17 | 5 | 18 | 9 | -0.385 |
날짜 | 현지시각 | 원정 | 스코어 | 홈 | 경기장 | 경기시간 | 관중 | 비고 | |
---|---|---|---|---|---|---|---|---|---|
11월 13일 | 19:00 | 오스트레일리아 | 3 | 9 | 일본 | 나고야돔 | |||
19:30 | 도미니카 공화국 | 6 | 1 | 쿠바 | 톈무 야구장 | ||||
19:30 | 대한민국 | 3 | 6 | 중화 타이베이 | 타이베이돔 | 대한민국의 3득점 홈런은 오심 | |||
11월 14일 | 19:00 | 쿠바 | 4 | 8 | 대한민국 | 톈무 야구장 | |||
19:30 | 중화 타이베이 | 2 | 1 | 도미니카 공화국 | 타이베이 돔 | ||||
11월 15일 | 19:00 | 도미니카 공화국 | 0 | 5 | 오스트레일리아 | 톈무 야구장 | |||
19:30 | 대한민국 | 3 | 6 | 일본 | 타이베이 돔 | ||||
11월 16일 | 13:00 | 오스트레일리아 | 3 | 4 | 쿠바 | 톈무 야구장 | |||
19:00 | 일본 | 3 | 1 | 중화 타이베이 | 타이베이 돔 | ||||
19:30 | 도미니카 공화국 | 6 | 9 | 대한민국 | 톈무 야구장 | ||||
11월 17일 | 19:00 | 쿠바 | 6 | 7 | 일본 | 톈무 야구장 | |||
19:30 | 중화 타이베이 | 11 | 3 | 오스트레일리아 | 타이베이 돔 | ||||
11월 18일 | 13:00 | 오스트레일리아 | 2 | 5 | 대한민국 | 톈무 야구장 | |||
19:00 | 일본 | 11 | 3 | 도미니카 공화국 | 톈무 야구장 | ||||
19:30 | 쿠바 | 0 | 2 | 중화 타이베이 | 타이베이 돔 |
6. 결선 토너먼트
2024년 WBSC 프리미어 12의 결선 토너먼트는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으로 구성된다. 준결승전은 도쿄돔에서 2024년 11월 21일부터 23일까지 진행되었다. 3·4위전은 11월 24일 12시에 슈퍼 라운드 3위 베네수엘라와 4위 미국의 경기로 치러졌으며, 미국이 베네수엘라를 6:1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결승전은 11월 24일 19시에 도쿄돔에서 열려 슈퍼 라운드 2위팀이 슈퍼 라운드 1위팀을 4:0으로 이겼다.
6. 1. 준결승전
준결승전은 4강전으로도 불리며, 도쿄돔에서 2024년 11월 21일부터 23일까지 진행되었다.날짜 | 현지시각 | 4강 | 스코어 | 4강 | 경기장 | |
---|---|---|---|---|---|---|
11월 21일 | 12:00 | 0 | 2 | 도쿄돔 | ||
11월 21일 | 19:00 | 1 | 9 | 도쿄돔 | ||
11월 22일 | 12:00 | 6 | 9 | 도쿄돔 | ||
11월 22일 | 19:00 | 8 | 2 | 도쿄돔 | ||
11월 23일 | 12:00 | 6 | 5 | 도쿄돔 | ||
11월 23일 | 19:00 | 6 | 9 | 도쿄돔 |
순위 | 팀 | 승 | 패 | 승률 | 승자승 | 득점 | 공격 이닝 | 실점 | 수비 이닝 | 팀 퀄리티밸런스 (득점/공격이닝)-(실점/수비이닝) |
---|---|---|---|---|---|---|---|---|---|---|
1 | 3 | 0 | 1.000 | |||||||
2 | 1 | 2 | 0.333 | 1-1 | 8 | 18 | 4 | 17 | 0.416 | |
3 | 1 | 2 | 0.333 | 1-1 | 7 | 17 | 6 | 18 | 0.139 | |
4 | 1 | 2 | 0.333 | 1-1 | 8 | 18 | 13 | 18 | -0.555 |
6. 2. 3·4위전
2024년 WBSC 프리미어 12의 3·4위전은 11월 24일 12시에 슈퍼 라운드 3위 베네수엘라와 4위 미국의 경기로 치러졌다. 경기 결과 미국이 베네수엘라를 6:1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6. 3. 결승전
날짜 | 현지시각 | 슈퍼 라운드 2위 | 스코어 | 슈퍼 라운드 1위 | 경기장 | 경기시간 | 관중 | 비고 | |
---|---|---|---|---|---|---|---|---|---|
11월 24일 | 19:00 | align=right | | 4 | 0 | align=left | | 도쿄돔 | 3:00 | 44,960 |
7. 최종 순위
순위 | 팀 | 경기 수 | 승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 | 중화 타이베이 | 9 | 6 | 3 | |||
2 | 일본 | 9 | 8 | 1 | |||
3 | 미국 | 8 | 4 | 4 | |||
4 | 베네수엘라 | 8 | 4 | 4 | |||
5 | 대한민국 | 5 | 3 | 2 | 28 | 24 | 0.584 |
6 | 파나마 | 5 | 3 | 2 | 22 | 25 | -0.336 |
7 | 네덜란드 | 5 | 2 | 3 | 23 | 34 | -1.49 |
8 | 멕시코 | 5 | 2 | 3 | 37 | 47 | -1.54 |
9 | 쿠바 | 5 | 1 | 4 | 15 | 26 | -1.403 |
10 | 도미니카 공화국 | 5 | 1 | 4 | 15 | 28 | -1.529 |
11 | 오스트레일리아 | 5 | 1 | 4 | 16 | 29 | -1.626 |
12 | 푸에르토리코 | 5 | 1 | 4 | 19 | 36 | -2.015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