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부는 개최국 프랑스를 포함한 12개국이 참가하며, 예선을 통해 본선 진출국이 결정되었다. 북중미,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남미 지역 예선을 거쳐 미국, 브라질, 콜롬비아, 캐나다, 뉴질랜드, 스페인, 독일,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나이지리아, 잠비아가 본선에 진출했다. 조 추첨을 통해 조별 리그가 진행되었으며, 각 조 1, 2위 팀과 조 3위 팀 중 상위 2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결선 토너먼트에서는 미국이 브라질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독일이 스페인을 꺾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 20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20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종목은 프랑스 7개 도시에서 7월 24일부터 8월 9일까지 16개국이 참가하여 FIFA가 임명한 심판진의 운영 하에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메달 경쟁을 펼치는 경기이며, 본선 조 추첨은 2024년 3월 20일에 진행되었고 각 팀은 18명의 선수 명단을 제출해야 한다. - 20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 20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선수 명단
- 2024년 여자 축구 - 2024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2024년 FIFA U-17 여자 월드컵은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개최되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을 차지한 17세 이하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 2024년 여자 축구 - 2024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2024년 FIFA U-20 여자 월드컵은 콜롬비아에서 개최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보고타, 메데인, 칼리에서 총 24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축구 비디오 지원 시스템이 처음 도입되었으며 공식 엠블럼은 카뇨 크리스탈레스 강에서 영감을 받았다. - 올림픽 여자 축구 -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2008년 하계 올림픽 여자 축구는 12개국이 참가하여 중국 5개 도시에서 진행되었으며, 각 대륙별 예선과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결과를 통해 본선 진출팀이 결정되었고, 미국이 브라질을 꺾고 금메달, 독일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여자 축구 -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2012년 하계 올림픽 여자 축구는 12개국이 참가하여 런던을 포함한 6개 도시에서 경기가 진행되었고, 미국이 일본을 꺾고 금메달, 캐나다가 프랑스를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이름 | 20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
개최국 | 프랑스 |
개최 기간 | 7월 25일 – 8월 10일 |
참가팀 | 12개 |
대륙 | 6 |
경기장 | 7 |
도시 | 7 |
결과 | |
우승 | 미국 |
우승 횟수 | 5 |
준우승 | 브라질 |
3위 | 독일 |
4위 | 스페인 |
통계 | |
경기 수 | 26 |
득점 수 | 76 |
관중 수 | 269379 |
최다 득점 선수 | 마리앙투아네트 카토토 (5골)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2020 |
다음 대회 | 2028 |
2. 예선
20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부 본선에는 개최국인 프랑스를 포함하여 총 12개국이 참가한다. 2022년 CONCACAF W 챔피언쉽에서 미국이, 2022년 코파아메리카 페메니나에서 브라질과 콜롬비아가 본선에 진출했다. 북중미 플레이오프를 통해 캐나다가 추가로 합류했다. 20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에서는 뉴질랜드가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2024년 UEFA 여자 네이션스리그 결선에서는 스페인과 독일이, 20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와 일본이 각각 본선에 진출했다. 20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는 나이지리아와 잠비아가 본선 진출 티켓을 획득하며 12개국의 본선 진출국이 모두 결정되었다.
본선 진출 방법 | 본선 진출 날짜 | 지역예선 개최지 | 배정 티켓 수 | 본선 진출 |
---|---|---|---|---|
개최국 | 2017년 9월 13일 | 자동본선진출 | 1 | |
2022년 CONCACAF W 챔피언쉽 | 2022년 7월 4-18일 | 멕시코 | 1 | |
2022년 코파아메리카 페메니나 | 2022년 7월 8-30일 | 콜롬비아 | 2 | |
북중미 플레이오프 | 2023년 9월 22-26일 | 자메이카 캐나다 | 1 | |
20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2024년 2월 7-19일 | 사모아 | 1 | |
2024년 UEFA 여자 네이션스리그 결선 | 2024년 2월 23-28일 | (다국적 개최) | 2 | |
20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 | 2024년 2월 24-28일 | (다국적 개최) | 2 | |
20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프리카 지역 예선 | 2024년 4월 5-9일 | (다국적 개최) | 2 | |
합계 | 12 |
조 추첨식은 2024년 3월 20일 프랑스 생드니 소재 펄스 빙딩에서 진행되었다. 시드 배정은 다음과 같은 원칙에 따라 배정되었다.
모든 시간은 프랑스 현지 시간(UTC+2)을 따름.
3. 조 편성
# 개최국인 프랑스는 자동으로 1그룹 배정과 함께 A조에 배정받는다.
# 2024년 3월 15일 FIFA 여자 랭킹 기준으로 배정한다.
# 같은 대륙의 국가들끼리는 같은 조에 편성될 수 없다.
4. 조별 리그
=== A조 ===순위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결과 1 3 3 0 0 5 2 +3 3 녹아웃 토너먼트 진출 2 3 2 0 1 6 5 +1 6 녹아웃 토너먼트 진출 3 3 1 0 2 4 4 0 3 와일드카드 4 3 0 0 3 2 6 -4 0 탈락
2024년 7월 27일, 캐나다는 공식 훈련장에서 불법 드론 간첩 행위에 대한 코칭 스태프의 개입으로 FIFA로부터 6점의 승점 감점 징계 처분을 받았다.[2] 이 결정은 7월 31일에 스포츠 중재 재판소에서 유지되었다.(항소 기각)[3]
2024년 7월 25일, 생테티엔의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에서 열린 캐나다와 뉴질랜드의 경기에서 캐나다가 2-1로 승리하였다.[4] 캐나다는 클로에 라카스와 에블린 비앙이 득점하였고, 뉴질랜드는 매켄지 베리가 득점하였다. 같은 날 리옹 (데신샤르피외)의 스타드 드 리옹에서 열린 프랑스와 콜롬비아의 경기에서는 프랑스가 3-2로 승리하였다. 프랑스는 마리앙투아네트 카토토와 켄자 달리가 득점하였고, 콜롬비아는 카탈리나 우스메와 마누엘라 파비가 득점하였다.
7월 28일, 리옹 (데신샤르피외)의 스타드 드 리옹에서 열린 뉴질랜드와 콜롬비아의 경기에서는 콜롬비아가 2-0으로 승리하였다. 콜롬비아는 마르셀라 레스트레포와 레이시 산토스가 득점하였다. 같은 날 생테티엔의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에서 열린 프랑스와 캐나다의 경기에서는 캐나다가 2-1로 승리하였다. 프랑스는 마리앙투아네트 카토토가 득점하였고, 캐나다는 제시 플레밍과 바네사 질이 득점하였다.
7월 31일, 리옹 (데신샤르피외)의 스타드 드 리옹에서 열린 뉴질랜드와 프랑스의 경기에서는 프랑스가 2-1로 승리하였다. 뉴질랜드는 케이트 테일러가 득점하였고, 프랑스는 마리앙투아네트 카토토가 2골을 기록하였다. 같은 날 니스의 스타드 드 니스에서 열린 콜롬비아와 캐나다의 경기에서는 캐나다가 1-0으로 승리하였다. 캐나다는 바네사 질이 득점하였다.
=== B조 ===
B조에서는 미국, 잠비아, 독일, 오스트레일리아가 경쟁을 벌였다. 미국은 3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독일은 2승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8강에 합류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1승 2패로 조 3위를 기록, 와일드카드 기회를 얻었지만 탈락했다. 잠비아는 3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순위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결과 1 3 3 0 0 9 2 +7 9 8강 진출 2 3 2 0 1 8 5 +3 6 8강 진출 3 3 1 0 2 7 10 -3 3 와일드카드 4 3 0 0 3 6 13 -7 0 탈락
7월 25일, 독일은 스타드 드 마르세유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3-0으로 이겼다. 같은 날, 미국은 스타드 드 니스에서 잠비아를 3-0으로 이겼다. 7월 28일, 오스트레일리아는 스타드 드 니스에서 잠비아를 6-5로 이겼다. 같은 날, 미국은 스타드 드 마르세유에서 독일을 4-1로 이겼다. 7월 31일, 오스트레일리아는 스타드 드 마르세유에서 미국에 1-2로 졌다. 같은 날, 잠비아는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에서 독일에 1-4로 졌다.
=== C조 ===
C조는 스페인, 일본, 브라질, 나이지리아로 구성되어 있다. 조별 리그 결과, 스페인이 3승(승점 9점)으로 1위, 일본이 2승 1패(승점 6점)로 2위를 차지하여 8강에 진출하였다. 브라질은 1승 2패(승점 3점)로 3위를 기록하며, 와일드카드 진출권을 획득하여 8강에 합류했다. 나이지리아는 3패(승점 0점)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순위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결과 1 3 3 0 0 5 1 +4 9 8강 진출 2 3 2 0 1 6 4 +2 6 8강 진출 3 3 1 0 2 2 4 -2 3 와일드카드, 8강 진출 4 3 0 0 3 1 5 -4 0 탈락
7월 25일, 스페인은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에서 열린 일본과의 경기에서 2-1로 승리했다. 같은 날, 브라질은 스타드 드 보르도에서 나이지리아를 1-0으로 꺾었다. 7월 28일, 브라질은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열린 일본과의 경기에서 1-2로 패배했다. 같은 날, 스페인은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에서 나이지리아를 1-0으로 이겼다. 7월 31일, 브라질은 스타드 드 보르도에서 스페인에게 0-2로 패배했다. 같은 날, 일본은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에서 나이지리아를 3-1로 제압했다.
===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
각 조 3위 팀 간의 순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조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A조 3 3 1 0 2 4 4 0 C조 3 3 1 0 2 2 4 -2 B조 3 3 1 0 2 7 10 -3
각 조 3위 팀 중 상위 2팀이 8강에 진출한다.
4. 1. A조
{{#invoke:Sports table|main|style=WDL
|class_rules=조별 리그 순위 결정 방식
|source=[https://www.fifa.com/en/tournaments/olympicgames/paris2024/womens/standings FIFA]
|team_order=FRA, CAN, COL, NZL
|update=complete
|win_FRA=2 |draw_FRA=0 |loss_FRA=1 |gf_FRA=6 |ga_FRA=5 |status_FRA=H
|win_COL=1 |draw_COL=0 |loss_COL=2 |gf_COL=4 |ga_COL=4
|win_CAN=3 |draw_CAN=0 |loss_CAN=0 |gf_CAN=5 |ga_CAN=2
|win_NZL=0 |draw_NZL=0 |loss_NZL=3 |gf_NZL=2 |ga_NZL=6
|adjust_points_CAN=-6
|hth_CAN=2024년 7월 27일, 캐나다는 공식 훈련장에서 불법 드론 간첩 행위에 대한 코칭 스태프의 개입으로 FIFA로부터 6점의 승점 감점 징계 처분을 받았다.[2] 이 결정은 7월 31일에 스포츠 중재 재판소에서 유지되었다.(항소 기각)[3]
|name_FRA=
|name_COL=
|name_CAN=
|name_NZL=
|res_col_header=Q
|result1=KO |result2=KO |result3=KO
|col_KO=green1 |text_KO=녹아웃 토너먼트 진출
|col_3rd=blue1 |text_3rd=와일드카드
}}
2024년 7월 25일, 생테티엔의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에서 열린 캐나다와 뉴질랜드의 경기에서 캐나다가 2-1로 승리하였다.[4] 캐나다는 클로에 라카스와 에블린 비앙이 득점하였고, 뉴질랜드는 매켄지 베리가 득점하였다. 같은 날 리옹 (데신샤르피외)의 스타드 드 리옹에서 열린 프랑스와 콜롬비아의 경기에서는 프랑스가 3-2로 승리하였다. 프랑스는 마리앙투아네트 카토토와 켄자 달리가 득점하였고, 콜롬비아는 카탈리나 우스메와 마누엘라 파비가 득점하였다.
7월 28일, 리옹 (데신샤르피외)의 스타드 드 리옹에서 열린 뉴질랜드와 콜롬비아의 경기에서는 콜롬비아가 2-0으로 승리하였다. 콜롬비아는 마르셀라 레스트레포와 레이시 산토스가 득점하였다. 같은 날 생테티엔의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에서 열린 프랑스와 캐나다의 경기에서는 캐나다가 2-1로 승리하였다. 프랑스는 마리앙투아네트 카토토가 득점하였고, 캐나다는 제시 플레밍과 바네사 질이 득점하였다.
7월 31일, 리옹 (데신샤르피외)의 스타드 드 리옹에서 열린 뉴질랜드와 프랑스의 경기에서는 프랑스가 2-1로 승리하였다. 뉴질랜드는 케이트 테일러가 득점하였고, 프랑스는 마리앙투아네트 카토토가 2골을 기록하였다. 같은 날 니스의 스타드 드 니스에서 열린 콜롬비아와 캐나다의 경기에서는 캐나다가 1-0으로 승리하였다. 캐나다는 바네사 질이 득점하였다.
4. 2. B조
B조에서는 미국, 잠비아, 독일, 오스트레일리아가 경쟁을 벌였다. 미국은 3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독일은 2승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8강에 합류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1승 2패로 조 3위를 기록, 와일드카드 기회를 얻었지만 탈락했다. 잠비아는 3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1 | 3 | 3 | 0 | 0 | 9 | 2 | +7 | 9 | 8강 진출 | |
2 | 3 | 2 | 0 | 1 | 8 | 5 | +3 | 6 | 8강 진출 | |
3 | 3 | 1 | 0 | 2 | 7 | 10 | -3 | 3 | 와일드카드 | |
4 | 3 | 0 | 0 | 3 | 6 | 13 | -7 | 0 | 탈락 |
7월 25일, 독일은 스타드 드 마르세유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3-0으로 이겼다. 같은 날, 미국은 스타드 드 니스에서 잠비아를 3-0으로 이겼다. 7월 28일, 오스트레일리아는 스타드 드 니스에서 잠비아를 6-5로 이겼다. 같은 날, 미국은 스타드 드 마르세유에서 독일을 4-1로 이겼다. 7월 31일, 오스트레일리아는 스타드 드 마르세유에서 미국에 1-2로 졌다. 같은 날, 잠비아는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에서 독일에 1-4로 졌다.
4. 3. C조
C조는 스페인, 일본, 브라질, 나이지리아로 구성되어 있다. 조별 리그 결과, 스페인이 3승(승점 9점)으로 1위, 일본이 2승 1패(승점 6점)로 2위를 차지하여 8강에 진출하였다. 브라질은 1승 2패(승점 3점)로 3위를 기록하며, 와일드카드 진출권을 획득하여 8강에 합류했다. 나이지리아는 3패(승점 0점)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7월 25일, 스페인은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에서 열린 일본과의 경기에서 2-1로 승리했다. 같은 날, 브라질은 스타드 드 보르도에서 나이지리아를 1-0으로 꺾었다. 7월 28일, 브라질은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열린 일본과의 경기에서 1-2로 패배했다. 같은 날, 스페인은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에서 나이지리아를 1-0으로 이겼다. 7월 31일, 브라질은 스타드 드 보르도에서 스페인에게 0-2로 패배했다. 같은 날, 일본은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에서 나이지리아를 3-1로 제압했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
1 | 3 | 3 | 0 | 0 | 5 | 1 | +4 | 9 | 8강 진출 | |
2 | 3 | 2 | 0 | 1 | 6 | 4 | +2 | 6 | 8강 진출 | |
3 | 3 | 1 | 0 | 2 | 2 | 4 | -2 | 3 | 와일드카드, 8강 진출 | |
4 | 3 | 0 | 0 | 3 | 1 | 5 | -4 | 0 | 탈락 |
4. 4.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각 조 3위 팀 간의 순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조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A조 | 3 | 1 | 0 | 2 | 4 | 4 | 0 | ||
C조 | 3 | 1 | 0 | 2 | 2 | 4 | -2 | ||
B조 | 3 | 1 | 0 | 2 | 7 | 10 | -3 |
각 조 3위 팀 중 상위 2팀이 8강에 진출한다.
5. 결선 토너먼트
2024년 8월 3일, 파르크 데 프랭스(파리)에서 열린 미국과 일본의 경기에서는 연장전 끝에 미국이 트리니티 로드먼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스타드 드 리옹(리옹 (데신샤르피외))에서 열린 스페인과 콜롬비아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스페인이 4-2로 승리했다.
스타드 드 마르세유(마르세유)에서 열린 캐나다와 독일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독일이 2-4로 승리했다.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낭트)에서 열린 프랑스와 브라질의 경기에서는 브라질이 가비 포르틸류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날짜 | 시간 | 팀 1 | 득점 |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
2024년 8월 3일 | 15:00 | 1 - 0 | 파르크 데 프랭스(파리) | 43,004명 | ||
2024년 8월 3일 | 17:00 | 2 - 2 (승부차기 4-2) | 스타드 드 리옹(리옹 (데신샤르피외)) | 10,335명 | ||
2024년 8월 3일 | 19:00 | 0 - 0 (승부차기 2-4) | 스타드 드 마르세유(마르세유) | 12,517명 | ||
2024년 8월 3일 | 21:00 | 0 - 1 |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낭트) | 33,280명 |
2024년 8월 6일 18:00, 리옹 (데신샤르피외)의 스타드 드 리옹에서 열린 미국과 독일의 경기에서는 연장전 끝에 소피아 스미스가 95분에 득점하여 1 - 0으로 미국이 승리하였다. 관중수는 11,716명이었으며, 주심은 모로코의 부슈라 카르부비였다.
같은 날 21:00, 마르세유의 스타드 드 마르세유에서 열린 브라질과 스페인의 경기에서는 브라질이 4-2로 승리하였다. 이 경기에서 브라질은 이레네 파레데스의 자책골, 가비 포르칠류, 아드리아나, 케롤린의 득점에 힘입어 승리했다. 스페인은 두다 상파이우의 자책골과 살마 파라유엘로의 득점으로 추격했으나, 경기를 뒤집지는 못했다. 관중수는 14,201명이었으며, 주심은 영국의 레베카 웰치였다.
2024년 8월 9일 15시(현지 시각)에 리옹 (데신샤르피외)스타드 드 리옹에서 열린 스페인과 독일의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독일이 줄리아 그빈의 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하였다. 심판은 멕시코의 카티아 가르시아가 맡았다.
2024년 8월 10일 17시, 파르크 데 프랭스(파리)에서 브라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과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간의 20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금메달 결정전 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에서 미국이 맬로리 스왠슨의 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 주심은 스웨덴의 테스 올로프손이 맡았다.
5. 1. 8강전
2024년 8월 3일, 파르크 데 프랭스(파리)에서 열린 미국과 일본의 경기에서는 연장전 끝에 미국이 트리니티 로드먼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스타드 드 리옹(리옹 (데신샤르피외))에서 열린 스페인과 콜롬비아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스페인이 4-2로 승리했다.스타드 드 마르세유(마르세유)에서 열린 캐나다와 독일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독일이 2-4로 승리했다.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낭트)에서 열린 프랑스와 브라질의 경기에서는 브라질이 가비 포르틸류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날짜 | 시간 | 팀 1 | 득점 |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
2024년 8월 3일 | 15:00 | 1 - 0 | 파르크 데 프랭스(파리) | 43,004명 | ||
2024년 8월 3일 | 17:00 | 2 - 2 (승부차기 4-2) | 스타드 드 리옹(리옹 (데신샤르피외)) | 10,335명 | ||
2024년 8월 3일 | 19:00 | 0 - 0 (승부차기 2-4) | 스타드 드 마르세유(마르세유) | 12,517명 | ||
2024년 8월 3일 | 21:00 | 0 - 1 |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낭트) | 33,280명 |
5. 2. 준결승전
18:00, 리옹 (데신샤르피외)의 스타드 드 리옹에서 열린 미국과 독일의 경기에서는 연장전 끝에 소피아 스미스가 95분에 득점하여 1 - 0으로 미국이 승리하였다. 관중수는 11,716명이었으며, 주심은 모로코의 부슈라 카르부비였다.같은 날 21:00, 마르세유의 스타드 드 마르세유에서 열린 브라질과 스페인의 경기에서는 브라질이 4-2로 승리하였다. 이 경기에서 브라질은 이레네 파레데스의 자책골, 가비 포르칠류, 아드리아나, 케롤린의 득점에 힘입어 승리했다. 스페인은 두다 상파이우의 자책골과 살마 파라유엘로의 득점으로 추격했으나, 경기를 뒤집지는 못했다. 관중수는 14,201명이었으며, 주심은 영국의 레베카 웰치였다.
5. 3. 동메달 결정전
wikitext2024년 8월 9일 15시(현지 시각)에 리옹 (데신샤르피외)스타드 드 리옹에서 열린 스페인과 독일의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독일이 줄리아 그빈의 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하였다. 심판은 멕시코의 카티아 가르시아가 맡았다.
5. 4. 금메달 결정전
템플릿과 시작 날짜 템플릿은 허용되지 않는 문법이므로 제거하고, 주어진 정보와 위키텍스트 문법을 사용하여 내용을 구성해야 합니다.2024년 8월 10일 17시, 파르크 데 프랭스(파리)에서 브라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과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간의 20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금메달 결정전 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에서 미국이 맬로리 스왠슨의 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 주심은 스웨덴의 테스 올로프손이 맡았다.
6. 우승
미국
5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