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2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은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 소속 국가들의 예선 과정을 설명한다. 6장의 본선 직행 티켓과 2장의 대륙간 플레이오프 티켓이 걸려 있으며, 개최국인 미국, 캐나다, 멕시코는 자동 출전 자격을 얻어 예선에 참여하지 않는다. 예선은 1차, 2차, 3차 예선으로 진행되며, 1차 예선은 FIFA 랭킹 하위 4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2차 예선은 30개 팀이 5팀씩 6개 조로 풀 리그를 거쳐, 3차 예선은 12개 팀이 4팀씩 3개 조로 더블 풀 리그를 치른다. 각 조 1위는 본선에 직행하고, 2위 팀 중 상위 2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2. 진행 방식

2017년 5월 9일, FIFA 평의회2026년 FIFA 월드컵의 출전권 배분을 승인했는데, 여기에는 북중미카리브 지역에 6개의 직행 티켓과 2개의 대륙간 플레이오프 티켓이 포함되었다.[13] 그러나 이전 월드컵의 형식과 달리, 개최국에게는 전용 티켓이 주어지지 않으며, 자동 출전 자격을 얻는 개최국의 티켓은 해당 연맹의 몫에서 차감된다.[13] 2018년 6월 13일, CONCACAF 소속 3개국(캐나다, 멕시코, 미국)이 제68회 FIFA 총회에서 2026년 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14]

2023년 2월 14일, FIFA 평의회는 세 개최국 (미국, 캐나다, 멕시코)모두에게 자동 출전권을 부여했으며, 북중미카리브 예선을 통해 결정될 3개의 직행 티켓과 2개의 대륙간 플레이오프 티켓이 남게 되었다.[15] 2023년 2월 28일,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은 2026년 월드컵 예선 방식을 발표했다.[16]


  • '''1차 예선''': 2023년 11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29위에서 32위에 해당하는 북중미카리브 팀 4팀이 두 개의 대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두 경기의 승자는 2차 예선으로 진출한다.
  • '''2차 예선''': 1차 예선의 두 승자와 2023년 11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1위에서 28위에 해당하는 북중미카리브 팀 30팀이 5팀씩 6개 조로 편성된다. 각 조는 단일 풀 리그 경기를 치르며 (홈 2경기, 원정 2경기), 각 조 1위와 2위는 3차 예선에 진출한다.
  • '''3차 예선''': 2차 예선에서 진출한 12팀은 4팀씩 3개 조로 편성된다. 각 조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더블 풀 리그 경기를 치르며, 각 조 1위는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다. 2위 팀 중 상위 2개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3. 참가국

202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에는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회원국 중 캐나다, 멕시코, 미국 3개국을 제외한 32개국이 참가한다.[5] 이 3개국은 공동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본선 진출권을 얻어 예선에 참가하지 않는다.[5]

2023년 11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6], 최하위 4개 팀(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앵귈라)은 1차 예선부터 참가하며, 나머지 28개 팀은 2차 예선부터 참가한다.[5]

2차 예선 진출팀은 다음과 같다:

2라운드 포트 12라운드 포트 22라운드 포트 3



|-

! 2라운드 포트 4

! 2라운드 포트 5

!

|- style="vertical-align:top"

|


  • (171)
  • (173)
  • (174)
  • (176)
  • (178)
  • (180)

|

  • (182)
  • (193)
  • (197)
  • (202)

|}

|}

4. 일정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은 2020년 8월 18일에 수정된 월드컵 북중미 전체 예선을 발표했고 FIFA가 승인하였다.[4] CONCACAF 예선 일정은 다음과 같다.[4][7][12]

단계경기일FIFA 국제경기일
1차예선1차전2024년 3월 22일
2차전2024년 3월 26일
2차예선윈도우 12024년 6월 3-11일
윈도우 22025년 6월 2-10일
3차예선경기일 12025년 9월 1-9일
경기일 2
경기일 32025년 10월 6-14일
경기일 4
경기일 52025년 11월 10-18일
경기일 6


5. 1차 예선

1차 예선은 2023년 12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 회원국 중 최하위 4개 팀(29위~32위)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4] 29위 팀은 32위 팀과, 30위 팀은 31위 팀과 맞붙는 방식으로 대진이 미리 결정되었다.[4]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1 - 1
(승부차기 4 - 3)
0 - 01 - 1[4]
1 - 1
(승부차기 2 - 4)
1 - 10 - 0[4]



이에 따라 앵귈라영국령 버진아일랜드가 1차 예선을 통과하여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4]

6. 2차 예선

2차 예선은 상위 28개국들과 1차 예선 승자 2개국들, 통합 30개국들이 각조당 5팀씩 6개 조를 이루어 싱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2번은 홈 경기로, 2번은 원정 경기로 치르게 된다. 각 조 1위 팀들과 각 조 2위팀들은 3차 예선에 진출한다.

조 추첨은 2024년 1월 25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진행되었다.[8]

2023년 12월 FIFA 랭킹 상위 28개 CONCACAF 팀이 2라운드에 진출했으며, 1라운드 승리팀 2팀이 합류했다. 팀들은 5팀씩 6개 조로 편성되어 단일 풀 리그 경기를 치른다(홈 2경기, 원정 2경기). 6개 조 1위 팀과 6개 조 2위 팀은 3라운드로 진출한다.[4]

각 조 상위 2개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한다.

'''A조'''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온두라스220061+563차 예선 진출
2쿠바210133033차 예선 진출
3버뮤다201113-21탈락
4케이맨 제도201113-21탈락
5앤티가 바부다200215-40탈락




1. 승점(승리시 3점, 무승부시 1점, 패배시 0점)순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2. 승점이 같으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순위를 결정한다:

1. 전체 경기 골득실차

2. 전체 경기 다득점

3. 승점이 같은 팀간 경기 승점

4. 승점이 같은 팀간 경기 골득실차

5. 승점이 같은 팀간 경기 다득점

6. 승점이 같은 팀간 경기 원정 다득점

7. 페어플레이 점수 (경고 1점, 2회경고누적퇴장 3점, 즉시퇴장 4점, 경고후즉시퇴장 5점)

8. 추첨


'''B조'''

순위경기승점
1퀴라소220051+46
2트리니다드 토바고211093+64
3세인트키츠 네비스210132+13
4그레나다201135-21
5바하마2002110-90



'''C조'''

경기승점결과
퀴라소000000003차 예선과 아시안컵 플레이오프 진출
과테말라000000003차 예선 진출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00000000아시안컵 3차 예선 진출
영국령 버진아일랜드00000000탈락
쿠바00000000탈락



'''D조'''

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니카라과220090+963차 예선 진출
2가이아나210144033차 예선 진출
3파나마220051+46
4몬트세랫200227-50
5벨리즈200219-80



'''E조'''

순위국가경기승점
1과테말라220090+96
2자메이카220042+26
3도미니카 공화국210131+23
4도미니카 연방200225-30
5영국령 버진아일랜드2002010-100



'''F조'''

경기승점
수리남431091+810
퀴라소4211102+87
세인트키츠 네비스420284+46
바베이도스41215505
앵귈라4004020-200


6. 1. A조

순위비고
1온두라스220061+56
2쿠바21013303
3버뮤다201113-21
4케이맨 제도201113-21
5앤티가 바부다200215-40




1. 승점(승리시 3점, 무승부시 1점, 패배시 0점)순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2. 승점이 같으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순위를 결정한다:

1. 전체 경기 골득실차

2. 전체 경기 다득점

3. 승점이 같은 팀간 경기 승점

4. 승점이 같은 팀간 경기 골득실차

5. 승점이 같은 팀간 경기 다득점

6. 승점이 같은 팀간 경기 원정 다득점

7. 페어플레이 점수 (경고 1점, 2회경고누적퇴장 3점, 즉시퇴장 4점, 경고후즉시퇴장 5점)

8. 추첨




분류:2026년 FIFA 월드컵 예선


6. 2. B조

wikitable

202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2차 예선 B조
순위경기승점
1220051+46
2211093+64
3210132+13
4201135-21
52002110-90





'''범례''':

  • width=16 style="background-color:#ccffcc" | 최종 예선 진출
  • width=16 style="background-color:#ffffcc" | 플레이오프 진출



202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2차 예선 B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2024년 6월 5일: 2 - 2
  • 2024년 6월 5일: 4 - 1
  • 2024년 6월 8일: 0 - 7
  • 2024년 6월 8일: 1 - 0
  • 2024년 6월 11일: 대
  • 2025년 6월 6일: 대
  • 2025년 6월 6일: 대
  • 2025년 6월 10일: 대
  • 2025년 6월 10일: 대

6. 3. C조

wikitable

경기승점결과
000000003차 예선과 아시안컵 플레이오프 진출
000000003차 예선 진출
00000000아시안컵 3차 예선 진출
00000000탈락
00000000탈락





'''진한 글씨'''는 다음 라운드 진출이 확정된 팀이다.





2024년 6월 5일부터 2024년 6월 11일까지 1, 2차전 경기가 진행될 예정이다.


6. 4. D조

1220090+963차 예선 진출
2210144033차 예선 진출
3220051+46
4200227-50
5200219-80





니카라과 v



{{축구 경기

|날짜 = 2024년 6월 8일 (2024-06-08)

|시간 = 19:00 UTC-6

|팀1 =

|점수 = 4 – 0

|팀2 =

|보고서 = [https://www.fifa.com/fifaplus/en/match-centre/match/521/28826/28831/400037637]

|골1 = 마타

|골2 = 몬테스

|골3 = 바레라

|경기장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데 푸트볼 (마나과)

|관중 = 8,881

|심판 = 오샹 네이션 (자메이카)

}}



가이아나 v



{{축구 경기

|날짜 = 2024년 6월 11일 (2024-06-11)

|시간 = 17:00 UTC-4

|팀1 =

|점수 = 3 – 1

|팀2 =

|보고서 = [https://www.fifa.com/fifaplus/en/match-centre/match/521/28826/28831/400037638]

|골1 = 웰시먼

|골2 = 그로스먼

|골3 = 글래스고

|골4 =

|경기장 = 그랜드 앙스 국제 경기장 (세인트조지스, 그레나다)

|관중 = 50

|심판 = 세르히오 레이나 (과테말라)

}}



몬트세랫 v



{{축구 경기

|날짜 = 2024년 6월 9일 (2024-06-09)

|시간 = 21:00 UTC-6

|팀1 =

|점수 = 1 – 3

|팀2 =

|보고서 = [https://www.fifa.com/fifaplus/en/match-centre/match/521/28826/28831/400037639]

|골1 = 테일러

|골2 = 게레로

|골3 = 론돈

|골4 = 카라스키야

|경기장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데 푸트볼 (마나과, 니카라과)

|관중 = 3,331

|심판 = 이스마엘 코르네호 (엘살바도르)

}}



벨리즈 v



{{축구 경기

|날짜 = 2024년 6월 5일 (2024-06-05)

|시간 = 18:00 UTC-4

|팀1 =

|점수 = 0 – 4

|팀2 =

|보고서 = [https://www.fifa.com/fifaplus/en/match-centre/match/521/28826/28831/400037640]

|골1 = 세르세뇨

|골2 = 트레민

|골3 = 메디나

|골4 = 몰리나

|경기장 = FFB 경기장 (벨모판)

|관중 =

|심판 = 나탈리 사이먼 (미국)

}}



파나마 v



{{축구 경기

|날짜 = 2024년 6월 6일 (2024-06-06)

|시간 = 20:30 UTC-5

|팀1 =

|점수 = 2 – 0

|팀2 =

|보고서 = [https://www.fifa.com/fifaplus/en/match-centre/match/521/28826/28831/400037635]

|골1 = 게레로

|골2 = 무리요

|경기장 = 에스타디오 로멜 페르난데스 (파나마시티)

|관중 =

|심판 = 후안 가브리엘 칼데론 (코스타리카)

}}



202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D조는 202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2차 예선의 D조이다.


6. 5. E조

순위국가경기승점
1 과테말라220090+96
2 자메이카220042+26
3 도미니카 공화국210131+23
4 도미니카 연방200225-30
5 영국령 버진아일랜드2002010-100



202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E조에서는 과테말라, 자메이카,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연방, 영국령 버진아일랜드가 경쟁을 펼치고 있다. 현재 과테말라와 자메이카가 각각 2승으로 선두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도미니카 공화국이 1승 1패로 그 뒤를 쫓고 있다. 도미니카 연방과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는 아직 승리를 기록하지 못하고 있다.

6. 6. F조

F조에서는 수리남, 퀴라소, 세인트키츠 네비스, 앵귈라, 바베이도스가 경기를 치렀다. 각 팀별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리남||}}|수리남''' || 4 || 3 || 1 || 0 || 9 || 1 || +8 || 10

|-

| '''|}}|퀴라소||}}|퀴라소''' || 4 || 2 || 1 || 1 || 10 || 2 || +8 || 7

|-

| |}}|세인트키츠 네비스||}}|세인트키츠 네비스 || 4 || 2 || 0 || 2 || 8 || 4 || +4 || 6

|-

| |}}|바베이도스||}}|바베이도스 || 4 || 1 || 2 || 1 || 5 || 5 || 0 || 5

|-

| |}}|앵귈라||}}|앵귈라 || 4 || 0 || 0 || 4 || 0 || 20 || -20 || 0

|}

7. 3차 예선

2차 예선에서 올라온 12개 팀이 각 조당 4팀씩 3개 조를 이루어 홈앤드어웨이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각 조 1위 팀들 3팀들이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며, 각 조 2위 팀들 중 상위 2팀들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4] 최종전 종료 시점의 최상위 국가가 2026 FIFA 월드컵 본선의 출전권을 획득한다.

7. 1. A조

경기승점
'''|}
202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3차 예선 A조
width="30" |경기결과
1A10000000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2A20000000와일드카드에 기반한 잠재적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가능.
3A30000000
4A40000000
2025년 9월 A조 경기
colspan="10" style="text-align:center" |
colspan="10" style="text-align:center" |
colspan="10" style="text-align:center" |
colspan="10" style="text-align:center" |
colspan="10" style="text-align:center" |
colspan="10" style="text-align:center" |
colspan="10" style="text-align:center" |
colspan="10" style="text-align:center" |
colspan="10" style="text-align:center" |
colspan="10" style="text-align:center" |
colspan="10" style="text-align:center" |
colspan="10" style="text-align:center" |


7. 2. B조

경기승점비고
B100000000}}
B200000000}}
B300000000}}
B400000000}}



B조의 경기는 2025년 9월에 시작될 예정이다. 각 팀의 경기 결과는 아직 미정이다.

7. 3. C조

경기승점비고
CC100000000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와일드카드에 기반한 잠재적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가능.
CC200000000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와일드카드에 기반한 잠재적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가능.
CC300000000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와일드카드에 기반한 잠재적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가능.
CC400000000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와일드카드에 기반한 잠재적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가능.



C조의 경기들은 2025년 9월에 시작될 예정이다. 각 조 1위팀은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며, 각 조 2위팀 중 상위 2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가능성이 있다.

7. 4. 각 조 2위 팀 순위

진출승점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A조A조 2위0000000
B조B조 2위0000000
C조C조 2위0000000



각 조 2위팀 간의 순위 결정 방식은 승점 동률 시 순위 결정 방식에 따른다.

8. 대륙간 플레이오프

대륙간 플레이오프에는 AFC, CAF, CONMEBOL, OFC에서 각 1팀씩, 그리고 3차 예선에서 최고의 성적을 거둔 2위 팀들이 참가한다. 이 팀들은 FIFA 남자 랭킹에 따라 순위가 매겨진다.[9] 랭킹이 낮은 4개 팀은 단판 토너먼트 방식으로 두 경기를 치러 승자를 가린다.[9] 이 경기들의 승자는 랭킹이 가장 높은 두 팀과 또 다른 단판 토너먼트 경기를 치르며, 여기서 이기는 팀이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다.[9]

9. 본선 진출팀

2026년 FIFA 월드컵에 북중미카리브 대표로 출전하는 팀은 다음과 같다.

국가대표팀조별 순위본선 진출 확정일FIFA 월드컵 출전 횟수
캐나다공동 개최국2023년 2월 14일2 (1986년, 2022년)
멕시코공동 개최국2023년 2월 14일17 (1930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8년, 1986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2022년)
미국공동 개최국2023년 2월 14일11 (1930년, 1934년, 1950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22년)
3차 예선 A조 1위2025년 11월
3차 예선 B조 1위2025년 11월
3차 예선 C조 1위2025년 11월



참조

[1] 웹사이트 FIFA Council prepares Congress, takes key decisions for the future of the FIFA World Cup https://www.fifa.com[...] FIFA 2023-02-28
[2] 웹사이트 North America to host 2026 World Cup after winning vote over Morocco – as it happened https://www.theguard[...] 2018-06-13
[3] 뉴스 FIFA Council highlights record breaking revenue in football https://www.fifa.com[...] FIFA 2023-02-14
[4] 웹사이트 CONCACAF announces formats for men's national team competitions for the 2023–2026 cycle https://www.concacaf[...] CONCACAF 2023-02-28
[5] 웹사이트 Draw Procedures for the CONCACAF Preliminary Draw for the FIFA World Cup 26 https://digitalhub.f[...] FIFA 2024-01-29
[6] 웹사이트 FIFA Men's Ranking – December 2023 https://www.fifa.com[...] FIFA 2023-12-21
[7] 웹사이트 Men's International Match Calendar 2023–2030 https://digitalhub.f[...] FIFA 2023-04-09
[8] 웹사이트 Draw reveals groups for second round of Concacaf World Cup Qualifiers https://www.concacaf[...] CONCACAF 2024-01-26
[9] 웹사이트 Bureau of the Council recommends slot allocation for the 2026 FIFA World Cup https://www.fifa.com[...] FIFA 2023-05-22
[10] 웹사이트 FIFAワールドカップ2026:開催国、開催都市、日程、その他 https://www.fifa.com[...] 2024-01-24
[11] 웹사이트 Concacaf announces formats for men’s national team competitions for the 2023-2026 cycle https://www.concacaf[...] CONCACAF 2023-10-08
[12] 웹사이트 Men's International Match Calendar 2023–2030 https://digitalhub.f[...] FIFA 2024-01-24
[13] 웹인용 FIFA Council prepares Congress, takes key decisions for the future of the FIFA World Cup https://www.fifa.com[...] FIFA 2023-02-28
[14] 웹인용 North America to host 2026 World Cup after winning vote over Morocco – as it happened https://www.theguard[...] 2018-06-13
[15] 뉴스 FIFA Council highlights record breaking revenue in football https://www.fifa.com[...] FIFA 2023-02-14
[16] 웹인용 CONCACAF announces formats for men’s national team competitions for the 2023–2026 cycle https://www.concacaf[...] CONCACAF 2023-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