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미터 속사권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5미터 속사권총은 25m 거리에 위치한 5개의 표적에 제한 시간 안에 5발씩 사격하는 사격 종목이다. 1896년 하계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8초, 6초, 4초의 시간 제한으로 각 2회씩 총 60발을 사격하여 최대 600점까지 획득할 수 있다. 주요 대회에서는 상위 6명의 선수가 결선에 진출하여 4초 시리즈 4회를 진행하며, 2014년 김준홍, 2022년 이건혁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식 사격 - ISSF 세계 사격 선수권 대회
ISSF 세계 사격 선수권 대회는 국제 사격 연맹이 주관하는 사격 대회로, 소총, 권총, 런닝 타겟, 샷건 등 다양한 종목에서 개인 및 단체전으로 진행되며, 1897년 프랑스 리옹에서 처음 개최되어 매년 열리고 있다. - 국제식 사격 - 10미터 공기소총
10미터 공기 소총은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4.5mm 구경의 공기 소총으로 10m 거리의 표적을 사격하는 경기이며, 본선과 결선을 거쳐 소수점 단위까지 채점되는 결선 사격을 통해 순위를 결정하고, 시대에 따라 규칙과 장비가 변화해왔다. - 올림픽에 관한 - 양궁
양궁은 활과 화살로 표적을 맞히는 스포츠로, 선사 시대부터 무기로 사용되다가 1538년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국제 대회에서 경기가 열린다. - 올림픽에 관한 - 스톡홀름
스톡홀름은 발트해와 멜라렌호 사이에 위치한 스웨덴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며, 14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정치, 문화, 경제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유럽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 중 하나이다.
25미터 속사권총 | |
---|---|
25미터 속사권총 | |
![]() | |
일반 정보 | |
사격 횟수 (남자) | 2×30 + 40 |
올림픽 (남자) | 1896년부터 |
세계 선수권 대회 (남자) | 1933년부터 |
약칭 (남자) | RFP |
2. 경기 방식
25m 속사권총 경기는 25m 거리에 있는 5개의 표적에 제한 시간 안에 5발씩 사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각 표적에 5발의 탄환을 발사하는 것을 '시리즈'라고 한다. 시리즈는 8초, 6초, 4초의 세 가지 시간 제한으로 구성되며, 한 스테이지는 각 유형별로 두 시리즈씩, 총 6개의 시리즈로 구성된다. 전체 경기는 두 개의 스테이지, 즉 총 60발을 사격하여 예선을 치른다.[1]
주요 대회에서는 예선 상위 6명의 선수가 결선에 진출한다. 결선은 4초 시리즈 4회로 진행되며, 9.7점 이상을 득점해야 명중으로 인정된다. 예선과 결선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하며, 동점일 경우 추가 4초 시리즈를 사격하여 순위를 가린다.[1]
과거에는 90도 회전하는 종이 표적을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녹색과 적색 표시등으로 사격 시간의 시작과 종료를 알리고 늦은 사격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전자 장치로 대체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표적 시스템은 주로 국제 대회에서 사용된다.[1]
ISSF 권총 종목과 마찬가지로, 25m 속사권총 경기 역시 한 손으로만 사격해야 한다. 표적이 나타나거나 녹색 표시등이 켜지면, 참가자는 45도 각도의 시작 자세에서 팔을 들어 올려 5발을 사격해야 하며, 늦게 사격하면 실점으로 처리된다.[1]
2. 1. 표적
표적은 동심원 모양으로 점수가 매겨지며, 가장 안쪽의 10점 구역 지름은 10cm이다.3. 역사
25미터 속사권총은 1896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1] 초기에는 다양한 구경과 사격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ISSF 규정에 따라 통일되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이후 ISSF는 25미터 속사권총 규격을 개정하였다.[1]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랄프 슈만이 뛰어난 활약을 보였고, 대한민국 선수들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3. 1. 올림픽 및 세계 선수권 대회 주요 기록
랄프 슈만은 올림픽에서 금메달 3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개인 2회 우승하는 등 25미터 속사권총 종목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 대한민국의 김준홍은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이건혁은 202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각각 금메달을 획득했다.3. 1. 1. 세계 선수권 대회 (남자)
리 위에홍루 지밍
장 주에밍
막심 호로디네츠
파블로 코로스티로프
데니스 쿠슈니로프
김서준
이재균
이건혁
왕 신지에
리 위에홍
류 양판
플로리안 페터
올리버 가이스
크리스티안 라이츠
송종호
이건혁
김서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