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9일 비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4월 9일 비극은 1989년 4월 9일 새벽, 소련군이 조지아 트빌리시에서 벌인 시위 진압 사건을 말한다.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독립을 요구하는 시위에 군대가 투입되어 시민 19명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 사건은 조지아의 반소련 투쟁을 격화시켰으며, 소련군 내에서 '트빌리시 증후군'이라는 현상을 낳았다. 이후 조지아는 1991년 국민투표를 통해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아의 정치적 억압 - 1956년 조지아 시위
1956년 조지아 시위는 흐루쇼프의 스탈린 격하 연설에 반발한 조지아인들이 스탈린 명예 회복과 흐루쇼프 퇴진을 요구하며 트빌리시를 중심으로 조지아 전역에서 벌인 시위로, 소련 정부의 무력 진압으로 많은 사상자와 체포자가 발생했으며 조지아 민족주의 부상과 독립 운동의 전환점이 되었다. - 1989년 조지아 - 조지아 내전
조지아 내전은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조지아의 독립 선언 이후 발생한 소수 민족 분리주의 운동과 대통령 축출, 러시아의 개입으로 인한 영토 분쟁으로,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적 어려움을 초래했다. - 1989년 조지아 - 압하지야 분쟁
압하지야 분쟁은 압하지야와 조지아 간의 복잡한 정치적, 군사적 갈등으로, 소비에트 시대부터 분리 독립 요구가 있었고, 1992년부터 1993년, 1998년, 2001년에 걸쳐 무력 충돌이 발생했으며,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으로 확대되어 현재까지 긴장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 소련의 학살 - 홀로도모르
홀로도모르는 1932~1933년 소련 우크라이나에서 발생한 대기근으로, 소련 정부의 곡물 징발 정책, 농업 집단화,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탄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인재이며, 집단 학살 논쟁이 존재하나 여러 국가와 국제기구에서 반인도적 범죄 또는 집단 학살로 인정하고 우크라이나에서 추모일로 기념한다. - 소련의 학살 - 1956년 조지아 시위
1956년 조지아 시위는 흐루쇼프의 스탈린 격하 연설에 반발한 조지아인들이 스탈린 명예 회복과 흐루쇼프 퇴진을 요구하며 트빌리시를 중심으로 조지아 전역에서 벌인 시위로, 소련 정부의 무력 진압으로 많은 사상자와 체포자가 발생했으며 조지아 민족주의 부상과 독립 운동의 전환점이 되었다.
4월 9일 비극 | |
---|---|
사건 개요 | |
명칭 | 4월 9일 비극 |
관련 분쟁 | 조지아-압하스 분쟁 동유럽 혁명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 |
![]() | |
발생일 | 1989년 4월 4일 – 1989년 4월 9일 |
위치 | 트빌리시,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
원인 | 정치적 억압 민족주의 감정 |
목표 | 시민 권리 조지아 독립 회복 압하스 분리주의 반대 |
방법 | 시위 행진 피케팅 거리 시위 깃발 흔들기 |
결과 | 최초의 복수 정당 선거, 공산주의 통치 종식 조지아 독립 회복 (국민투표) 조지아의 소련 가입을 불법 점령으로 인정 |
교전 세력 | |
교전 1 | 소비에트 연방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교전 2 | 국민 민주당 일리야 차브차바제 협회 |
지휘관 및 지도자 | |
소비에트 연방 | 미하일 고르바초프 이고르 로디오노프 준베르 파티아슈빌리 |
조지아 | 메라브 코스타바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 기오르기 찬투리아 기타 |
피해 규모 | |
사망자 | 21명 |
부상자 | 100명 이상 |
체포자 | 100명 이상 |
추가 정보 |
2. 역사적 배경
1980년대 후반, 소련 내 민족주의 운동이 강화되면서 조지아에서도 독립 요구가 거세졌다. 특히 압하지야 자치 공화국의 분리 독립 움직임은 조지아 민족주의자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으며, 소련 정부는 압하지야 문제를 이용하여 조지아의 독립 운동을 억제하려 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1989년 4월 4일, 수만 명의 조지아인들이 트빌리시의 루스타벨리 대로에 있는 그루지야 의회 건물 앞에 모여 시위를 벌였다. 메라브 코스타바,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 기오르기 찬투리아, 이라클리 바티아슈빌리, 이라클리 체레텔리 등이 이끈 독립 위원회는 평화적인 시위와 단식 투쟁을 조직하여 압하스 분리주의자 처벌과 조지아 독립 회복을 요구했다.[1]
그루지야 공산당 제1서기 줌베르 파티아슈빌리는 소련 지도부에 질서 회복과 통행 금지 시행을 위해 군대 파견을 요청했다.[1]
2. 1. 압하지야 분쟁
1988년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반소 운동이 활발해졌다. 1989년 3월 18일, 소위 리흐니 집회에서 수천 명의 압하스인들이 조지아로부터의 분리 독립과 1921~1931년의 연방 공화국 지위 회복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반소 단체들은 소련 정부가 친독립 운동을 방해하기 위해 압하스 분리주의를 이용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조지아 공화국 전역에서 당국의 허가 없이 일련의 집회들을 조직했다.[27]3. 시위 발생과 전개
1988년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반소비에트 운동이 활발해졌다. 트빌리시에서는 반소비에트 정치 조직들에 의한 다양한 시위와 집회가 있었다. 소련 정부와 조지아 민족주의자들 간의 충돌은 1989년 3월 18일 리흐니 집회 이후 심화되었다. 이 집회에서 수천 명의 압하스인들은 조지아로부터의 분리 독립과 1921~1931년의 연방 공화국 지위 회복을 요구했다. 반소비에트 단체들은 당국의 허가 없이 공화국 전역에서 일련의 집회들을 조직했고, 소비에트 정부는 친독립 운동을 방해하기 위해서 압하스의 분리주의를 이용했다고 주장했다.
1989년 4월 4일, 조지아의 항의 시위는 절정에 달했다. 수만 명의 조지아인들이 트빌리시의 루스타벨리 대로변에 있는 그루지야 의회 건물 앞에 모였다. 독립 위원회(메랍 코스타바,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 기오르기 찬투리아, 이라클리 바티아슈빌리, 이라클리 체레텔리 등)가 이끄는 시위대는 평화 시위와 단식 투쟁을 조직하여, 압하스 분리주의자들의 처벌과 조지아 독립 회복을 요구했다.[1]
지방 소비에트 당국은 수도의 상황에 대한 통제력을 잃었고 시위를 진압할 수 없었다. 그루지야 공산당 제1서기 줌베르 파티아슈빌리는 소련 지도부에 질서를 회복하고 통행 금지를 시행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해 줄 것을 요청했다.[1]
3. 1. 소련군의 개입
1989년 4월 8일 밤, 자캅카스 군관구 사령관 이고르 로디오노프 상급대장은 부대 동원을 명령했다. 소련군 공격 직전, 조지아 정교회 총대주교 일리야 2세는 시위대에 소련군 탱크가 나타나 위험하니 루스타벨리 대로와 정부 청사 근처에서 떠나라고 호소했다. 그러나 시위대는 총대주교의 호소에도 해산하지 않았다. 현지 조지아 민병대(경찰)는 작전 직전 무장 해제되었다.[1]4월 9일 오전 3시 45분, 이고르 로디오노프 장군 휘하의 소련군 병력 수송 장갑차와 군대가 시위 지역을 포위했다.[1] 로디오노프는 후에 조지아 무장 세력이 비무장 군인들을 돌, 쇠사슬, 쇠막대기로 공격했다고 주장했다.[2] 소련군은 로디오노프 장군에게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시위대를 해산하고 거리에서 몰아내라는 명령을 받았다.[3]
경찰봉과 삽(소련 특수부대의 선호 무기[4])으로 무장한 소련군은 루스타벨리 대로를 따라 시위대 쪽으로 진격했다.[1] 진격하면서 군인들은 삽으로 시위대를 공격해 크고 작은 부상을 입혔다.[3]
공격 희생자 중 한 명은 16세 소녀로, 도망치려다 정부 청사 계단 근처에서 쫓겨 머리와 가슴을 맞고 사망했다. 그녀는 공격받아 부상당한 어머니에 의해 현장에서 끌려나왔다. 이 폭력적인 공격은 길 건너편 건물 발코니에서 촬영되었고, 이후 아나톨리 소브차크의 '1989년 4월 9일 사건 조사 의회 위원회'에서 증거로 사용되었다. 소련군은 군중을 해산하기보다 개별 피해자를 쫓아갔다고 보고되었다.[5]
CN 가스와 CS 가스가 시위대에 사용되어[1] 구토, 호흡 곤란, 신경계 마비가 보고되었다.[6]
비무장 경찰관들은 당황한 시위대를 대피시키려 했지만, 야당 기자들이 비밀리에 촬영한 영상에는 병사들이 의사와 구조 요원들이 부상자를 돕는 것을 막고, 구급차조차 공격하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7] 한 젊은이가 막대기로 탱크를 때리는 모습은 조지아 반소련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8]
4. 유혈 진압 (4월 9일)
1989년 4월 8일 저녁, 자캅카스 군관구 사령관 이고르 로디오노프 상급대장은 부대에 동원을 명령했다. 소련군 공격 직전, 조지아 정교회 총대주교 일리야 2세는 시위대에 루스타벨리 대로와 정부 청사 근처에 소련군 전차가 나타나 위험하니 대로를 떠나라고 호소했으나, 시위대는 해산하지 않았다. 현지 조지아 민병 경찰 부대는 작전 직전 무장 해제되었다.[14]
4월 9일 오전 3시 45분, 이고르 로디오노프 사령관 휘하의 소련군 장갑 수송차와 병력이 시위 지역을 포위했다.[14] 로디오노프는 인터뷰에서 조지아 무장 집단이 비무장 병사를 돌, 금속 사슬, 몽둥이로 공격했다고 주장했다.[15] 그는 소련군에게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시위대를 해산하고 거리를 청소하라고 명령했다.[16]
이 사건으로 19명이 사망했는데, 대부분 여성이었다. 부검 결과, 사인은 신체 압박이나 화학 물질 흡입에 의한 질식이었다.[14] 4월 11일, 조지아 텔레비전은 사망한 여성들의 시신을 공개했는데, 얼굴을 알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심하게 손상되어 소련군의 잔혹성을 보여주었다. 소련 정부는 시위대가 서로 밟아 사망했다고 주장했지만,[21] 소련군이 좁은 통로를 제외한 출구를 봉쇄해 군중 압사가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다.[22]
4. 1. 진압 방식의 잔혹성
소련 파견대는 경찰봉과 야전삽 (소비에트 특수 부대가 선호하는 무기[27])으로 무장하고 루스타벨리 대로를 따라 시위대 쪽으로 전진했다.[27] 군인들은 전진하면서 시위대를 야전삽으로 공격하기 시작했고, 삽에 맞은 사람들은 작고도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29] 희생자들 중 한 명은 전진하는 군인들로부터 달아나려고 했지만 군인들이 쫓아와 때려서 머리와 흉부에 충격을 받고 정부 청사 계단 근처에서 맞아 죽은 16세의 소녀였다. 그 소녀는 그 자리에서 녹초가 되어 쓰러져 있었고 함께 있던 모친도 공격받아 부상당했다. 극도로 난폭한 공격은 대로 건너편 건물의 발코니에서 비디오에 녹화되었다. 그 영상은 솝차크의 ''1989년 4월 9일 사건 조사를 위한 의회 의원회'' 기간 동안에 증거 자료로 쓰였다.CN와 CS 가스가 시위에 사용되었고,[27] 그 가스들은 사람에게 구토, 호흡 곤란, 신경계의 급성 마비를 일으킨다고 보고됐다.[34] 비무장 경찰 장교들은 시위대에서 공황상태에 빠진 집단을 후송하려고 했다. 그러나, 그 장면이 담긴 영상은 반대파 언론인들에 의해 비밀에 붙여졌고, 반대파 언론들은 그 당시 군인들 중에는 부상당한 사람들을 응급처치하고 치료해 줄 수 있는 의무병과 군의관이 없었고, 사실상, 구급차들까지도 돌진하는 군인들에 의해 공격당했다고 보도했다.[35]
5. 사건 이후의 경과
4월 9일 비극 이후, 4월 10일 트빌리시를 비롯한 조지아 전역에서 항의 시위와 파업이 발생했고, 40일간의 애도 기간이 선포되었다. 사람들은 희생자들을 추모하며 사건 현장에 많은 꽃을 바쳤다. 비상사태가 선포되었지만, 시위는 계속되었다.[10]
이 사건으로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는 사임했다.
5. 1. 소련 정부의 대응
모스크바는 시위대가 먼저 공격했고 군인들은 시위대를 뿌리쳐야 했다고 주장했다.[10]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제1차 인민 대표 회의(1989년 5월~6월)에서 모든 책임을 부인했고, 군대에 책임을 전가했다. "친페레스트로이카" 보좌관 아나톨리 솝차크의 트빌리시 사건 조사 위원회의 판정 및 자유주의 소비에트 대중매체의 폭로는 1989년 12월 제2차 회의에서 보고되었고, 이 사건에 관계된 소비에트 강경론자들과 군사 지도자들을 당혹스럽게 했다.[6]
소련 정부의 공식 보고서는 시위대가 충돌을 일으켰다고 비난하며, 군인들이 몽둥이와 칼로 공격받았다고 주장했다.[10] 타스 통신은 군인들이 무기를 사용하지 말라는 명령을 따랐지만, 극단주의자들이 쇠붙이, 벽돌, 몽둥이로 그들을 공격했다고 보도했다. 타스 통신은 시위대가 민족 간의 갈등을 조장하고 조지아 정부를 전복하려 한다고 묘사했다. 소련 공산당 서기장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인명 피해에 대해 "무책임한 자들의 행동"을 비난했다. 그는 이 소요가 조지아 정부를 전복하고 조지아 내의 민족적 긴장을 조장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외무부 대변인은 충돌이 "우리의 새로운 개방 정책과 우리 사회 자체를 해치는 민주화를 악용하는 완고한 민족주의자, 극단주의자, 정치적 모험가"에 의해 촉발되었다고 말했다.[11][12]
5. 2. 진상 조사
소련 인민 대표 회의는 아나톨리 솝차크를 위원장으로 하는 1989년 4월 9일 트빌리시 사건에 대한 조사 위원회를 발족했다.[6] 위원회는 조사와 심문 후, 사망이 짓밟힌 결과라는 정부의 주장을 확인했지만, 시위대에 사용된 화학 물질도 또 다른 기여 요인임을 밝혔다.[6] 위원회는 시위대를 해산하려다 사망을 초래한 군대를 비난했다. 솝차크의 보고서는 시위대에 사용된 폭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시하고 4월 9일 사건에 책임이 있는 군 관계자에 대한 전면적인 기소를 권고했다.[6] 위원회의 보고서는 소련 내에서 민간 소요 시위를 상대로 군사력을 사용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6]소련 정부의 공식 보고서는 시위대가 충돌을 일으켰다고 비난하며, 군인들이 몽둥이와 칼로 공격을 받았다고 주장했다.[10] 타스 통신에 따르면, 군인들은 무기를 사용하지 말라는 명령을 따랐지만, 극단주의자들이 쇠붙이, 벽돌, 몽둥이로 그들을 공격했다. 타스 통신은 시위대가 민족 간의 갈등을 조장하고 조지아 정부를 전복하려 한다고 묘사했다.[11] 소련 공산당 서기장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인명 피해에 대해 "무책임한 자들의 행동"을 비난했다. 그는 이 소요가 조지아 정부를 전복하고 조지아 내의 민족적 긴장을 조장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소련 외무성 대변인은 충돌이 "우리의 새로운 개방 정책과 우리 사회 자체를 해치는 민주화를 악용하는 완고한 민족주의자, 극단주의자, 정치적 모험가"에 의해 촉발되었다고 말했다.[11][12]
6. 트빌리시 증후군
4월 9일 사건은 소련군 내부에서 상부의 명확한 지시 없이는 무력 사용을 꺼리는, 이른바 '트빌리시 증후군'을 야기했다. 이는 소련 지도부가 광장 정리를 명령한 것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 위원회 보고서와 셰바르드나제가 군을 비판한 것에서 비롯되었다.[13] '트빌리시 증후군'은 이후 몇 년 동안, 특히 바쿠와 빌뉴스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계기로 더욱 확산되었으며, 1991년 8월 쿠데타 당시 군인들이 시위 진압을 거부하게 된 원인 중 하나였다.[13]
7. 역사적 유산과 의의
4월 9일 비극은 조지아의 반소련 투쟁을 급진화시켰다. 사건 몇 달 후인 1989년 11월 17일~18일에 개최된 그루지야 SSR 최고회의에서는 소비에트 러시아에 의한 1921년 조지아 민주 공화국 병합을 공식적으로 비난했다.[26]
1991년 3월 31일, 국민투표에서 조지아인들은 압도적인 득표로 소련으로부터의 독립에 찬성했다. 투표율은 90.5%였으며, 약 99%가 독립을 지지했다. 비극 2주년인 1991년 4월 9일, 조지아 공화국 최고 평의회는 조지아의 주권과 소련으로부터의 독립을 선포했다.
4월 9일 사건은 '트빌리시 증후군'을 낳았다. 이 증후군은 군 장교와 병사들이 상부의 명확한 책임 없이는 어떠한 전술적 결정도 내리거나 명령에 복종하는 것조차 꺼리는 현상이었다. 이는 소련 지도부가 광장 정리를 명령한 것에 대한 책임을 거부하고, 위원회 보고서와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의 군에 대한 비판 때문에 발생했다. '트빌리시 증후군'은 리투아니아 SSR 빌뉴스에서의 피의 일요일 사건과 아제르바이잔 SSR 바쿠에서의 검은 1월 사건 이후에도 계속 확산되어 1991년 8월 폭동 당시 병사들이 시위 저지를 거부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26]
2004년 11월 23일, 루스타벨리 대로에서 탄압이 일어났던 장소에 비극의 희생자들을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다.
8. 기념 사업
2004년 11월 23일, 루스타벨리 대로에서 4월 9일 비극의 희생자들을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다.[13]
매년 4월 9일, 조지아에서는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행사가 열린다.
참조
[1]
웹사이트
ЗАКЛЮЧЕНИЕ Комиссии Съезда народных депутатов СССР по расследованию событий, имевших место в г. Тбилиси 9 апреля 1989 года
http://sobchak.org/r[...]
2019-04-09
[2]
웹사이트
Военная библиотека Федоровых
http://www.warlib.ru[...]
2019-04-09
[3]
서적
New Nations Rising: The Fall of the Soviets and the Challenge of Independence
[4]
웹사이트
Spetsnaz
http://militera.lib.[...]
Hamish Hamilton Ltd
1987
[5]
Youtube
Documentary Film - The April 9, 1989 Tragedy
[6]
논문
Nationalist Violence and the State: Political Authority and Contentious Repertoires in the Former USSR
1998-07
[7]
서적
Defending the Border: Identity, Religion, And Modernity in the Republic of Georgia (Culture and Society After Socialism)
[8]
서적
Georgia: In the Mountains of Poetry
[9]
서적
The Transition to National Armies in the Former Soviet Republics, 1988-2005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10]
웹사이트
Journal of Conflict Studies
https://journals.lib[...]
2019-04-20
[11]
뉴스
Associated Press, Toronto Star
1989-04-13
[12]
뉴스
Gorbachev Sends Aide to Calm Soviet Georgia
https://www.latimes.[...]
2019-04-20
[13]
서적
The Transition to National Armies in the Former Soviet Republics, 1988-2005
Routledge
2013
[14]
웹사이트
ЗАКЛЮЧЕНИЕ Комиссии Съезда народных депутатов СССР по расследованию событий, имевших место в г. Тбилиси 9 апреля 1989 года
http://sobchak.org/r[...]
2019-04-09
[15]
웹사이트
Военная библиотека Федоровых
http://www.warlib.ru[...]
2019-04-09
[16]
서적
New Nations Rising: The Fall of the Soviets and the Challenge of Independence
[17]
웹사이트
Spetsnaz
http://militera.lib.[...]
Hamish Hamilton Ltd
1987
[18]
Youtube
Documentary Film - The April 9, 1989 Tragedy
[19]
논문
Nationalist Violence and the State: Political Authority and Contentious Repertoires in the Former USSR
1998-07
[20]
서적
Defending the Border: Identity, Religion, And Modernity in the Republic of Georgia (Culture and Society After Socialism)
[21]
서적
Georgia: In the Mountains of Poetry
[22]
서적
The Transition to National Armies in the Former Soviet Republics, 1988-2005
Routledge
2013
[23]
웹사이트
Journal of Conflict Studies
https://journals.lib[...]
2019-04-20
[24]
뉴스
Associated Press, Toronto Star
1989-04-13
[25]
뉴스
Gorbachev Sends Aide to Calm Soviet Georgia
https://www.latimes.[...]
2019-04-20
[26]
서적
The Transition to National Armies in the Former Soviet Republics, 1988-2005
Routledge
2013
[27]
웹인용
Report of the Sobchak's commission of inquiry (in Russian)
http://sobchak.org/r[...]
2010-08-31
[28]
웹사이트
Interview with Igor Rodionov
http://www.warlib.ru[...]
[29]
서적
New Nations Rising: The Fall of the Soviets and the Challenge of Independence
[30]
웹사이트
Spetsnaz
http://militera.lib.[...]
Hamish Hamilton Ltd
1987
[31]
웹사이트
Conflict Studies Journal at the University of New Brunswick
http://www.lib.unb.c[...]
[32]
뉴스
Associated Press, Toronto Star
1989-04-13
[33]
뉴스
Los Angeles Times, April 11, 1989
http://articles.lati[...]
[34]
논문
Nationalist Violence and the State: Political Authority and Contentious Repertoires in the Former USSR
1998-07
[35]
서적
Defending the Border: Identity, Religion, And Modernity in the Republic of Georgia (Culture and Society After Socialism)
[36]
서적
Georgia: In the Mountains of Poet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