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3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673년은 당나라 함형 4년, 신라 문무왕 13년 등에 해당하며, 앵글로색슨 공주 에셀드리드가 엘리 수도원을 세우고, 캔터베리 대주교 타르수스의 테오도어가 허트퍼드 공의회를 소집하는 등 사건이 있었다. 덴무 천황이 일본의 국화의 자리에 올랐고, 신라는 나당 전쟁에서 당나라의 공격을 방어하며 한반도 내 영향력을 확대하려 노력했다. 또한 신라의 명장 김유신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673년 | |
---|---|
673년 | |
달력 | |
율리우스력 | 673년 |
로마 숫자 | DCLXXIII |
연대 | |
7세기 | 70년대 |
주요 사건 | |
3월 27일 | 교황 마르티노 1세 사망 |
테오도리코 3세 | 프랑크 왕국의 왕이 됨 |
가르멜로 | 이탈리아의 가르멜로에서 지진 발생 |
당나라 | 당나라, 신라에 사신을 보내 김인문을 개부의동삼사로 임명 |
신라 | 문무왕, 김인문을 개부의동삼사로 임명 |
일본 | 덴무 천황이 즉위 |
탄생 | |
빌리브로르드 | 프리지아의 선교사 (638년생으로 추정) |
루이 4세 | 프랑크 왕국의 왕 (카롤링거 왕조) (654년생으로 추정) |
사망 | |
교황 마르티노 1세 | (정확한 날짜 미상) |
클로타르 3세 | 프랑크 왕국의 왕 |
2. 연호
3. 기년
4. 사건
- 봄 - 16년간 통치한 클로타르 3세가 사망한다. 그는 네우스트리아와 부르고뉴 왕이었으나, 궁재였던 에브로앵의 꼭두각시였다. 생드니 바실리카에 매장되었고, 동생 테우데리크 3세가 왕위를 계승한다. 부르고뉴 귀족들은 레오데가르 주교와 알자스 공작 아달리히의 지휘 아래 힐데리크 2세를 네우스트리아와 부르고뉴의 왕으로 초청한다.[1] 힐데리크 2세는 테우데리크의 왕국을 침략하여 동생을 몰아내고 프랑크 왕국의 유일한 왕이 된다.
- 9월 3일 - 밤바 왕이 님의 총독이자 왕위 경쟁자였던 힐데리크의 반란을 진압한다. 반란 지도자들을 체포하여 재판에 회부하고, 그들의 죄에 대한 벌로 두피를 벗긴 후 종신형에 처한다.
- 서리의 프리슈월드 왕이 머시아의 지배 아래 번영하였다. 그의 딸 오스기스와 에섹스의 시게어 왕의 결혼은 결렬된다. 오스기스는 종교 생활을 원하여 에섹스 궁정을 떠나 노퍽의 노스 엘름햄의 베드위누스 주교의 보호를 받는다.
- 달리아타 왕국(스코틀랜드)의 도망가르트 막 도나일 왕이 죽고, 조카 마엘 두인 막 코나일이 계승한다. 그는 아마도 봉건 영주인 노섬브리아의 에크프리트 왕에게 복종했을 것이다.
- 7월 4일 – 켄트의 에크베르트 1세 왕이 약 9년의 통치 후 사망한다. 동생 흘로세어가 왕위를 계승한다.
- 앵글로색슨 공주 에셀드리드가 동앵글리아로 돌아와 엘리 수도원(케임브리지셔)을 세운다. 같은 시기에 그녀의 이름을 딴 작은 여자 수도원이 스토우 그린에도 세워진다.
- 캔터베리 대주교 타르수스의 테오도어가 소집한 허트퍼드 공의회가 열린다. 이 공의회는 영국 교회를 위한 교회법규들을 제정한다.
- 5월 5일(덴무 천황 2년 4월 14일) - 오오쿠니 누나가 천황의 명으로 도메세의 사이구에 들어갔다.
- 5월 21일(덴무 천황 2년 5월 1일) - 관리 등용 제도에 관한 칙령을 내려 재능 있는 자를 적절한 곳에 배치하도록 명령하였다.
4. 1. 한국
원본 소스에 673년 한국과 관련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작성할 내용이 없다.4. 2. 동아시아
- 간지: 계유
- 일본
- * 덴무 천황 2년
- * 황기 1333년
- 중국
- * 당 : 함형 4년
- 조선
- * 신라 : 문무왕 13년
- * 단기 3006년
- 3월 20일 - 덴무 천황이 아스카의 기요미하라 궁에서 일본의 국화의 자리에 올랐다.
- 5월 5일(덴무 천황 2년 4월 14일) - 오오쿠니 누나가 천황의 명으로 도메세의 사이구에 들어갔다.
- 5월 21일(덴무 천황 2년 5월 1일) - 관리 등용 제도에 관한 칙령을 내려 재능 있는 자를 적절한 곳에 배치하도록 명령하였다.
4. 3. 서양
- 봄 — 16년간 통치한 클로타르 3세가 사망한다. 그는 네우스트리아와 부르고뉴 왕이었으나, 네우스트리아의 궁재였던 에브로앵의 꼭두각시였다. 그는 생드니 바실리카에 매장되었고, 그의 동생 테우데리크 3세가 왕위를 계승한다.
- 부르고뉴 귀족들은 주교 레오데가르와 알자스 공작 아달리히의 지휘 아래 힐데리크 2세를 네우스트리아와 부르고뉴의 왕으로 초청한다.[1] 그는 테우데리크의 왕국을 침략하여 그의 동생을 몰아내고, 프랑크 왕국의 유일한 왕이 된다.
- 9월 3일 — 밤바 왕이 님의 총독이자 왕위를 다툰 경쟁자 힐데리크의 반란을 진압한다. 그는 반란 지도자들을 체포하여 재판에 회부하고, 그들의 죄에 대한 벌로 두피를 벗긴 후 종신형에 처한다.
- 서리의 프리슈월드 왕이 머시아의 지배 아래 번영하였다. 그의 딸 오스기스와 에섹스의 시게어 왕의 결혼은 결렬된다. 그녀는 종교 생활을 원하여 에섹스 궁정을 떠나 노퍽의 노스 엘름햄의 베드위누스 주교의 보호를 받는다.
- 달리아타 왕국(스코틀랜드)의 도망가르트 막 도나일 왕이 죽고, 그의 조카인 마엘 두인 막 코나일이 계승한다. 그는 아마도 그의 봉건 영주인 노섬브리아의 에크프리트 왕에게 복종했을 것이다.
- 7월 4일 – 켄트의 에크베르트 1세 왕이 약 9년의 통치 후 사망한다. 그의 동생인 흘로세어가 그를 계승한다.
- 앵글로색슨 공주인 에셀드리드가 동앵글리아로 돌아와 엘리 수도원(케임브리지셔)을 세운다. 같은 시기에 그녀의 이름을 딴 작은 여자 수도원이 스토우 그린에도 세워진다.
- 캔터베리 대주교 타르수스의 테오도어가 소집한 허트퍼드 공의회가 열린다. 이 공의회는 영국 교회를 위한 교회법규들을 제정한다.
5. 문화
無|무중국어
6. 탄생
7. 사망
- 7월 4일 - 에그베르흐트, 켄트 왕국의 왕
- 아길베르트 - 앵글로색슨 주교 (추정 날짜)
- 클로타르 3세 - 네우스트리아와 부르고뉴 왕국의 왕 (652년생)
- 도망가르트 막 도나일 - 달리아타 (스코틀랜드)의 왕
- 레마클루스 - 프랑크족 선교사 (추정 날짜)
- 연립본 - 당나라의 화가이자 관리
- 지야드 이븐 아비 수피얀 - 무슬림 장군
- 8월 18일 - 김유신
7. 1. 한국
7. 2. 동아시아
8월 18일 - 신라의 명장 김유신이 향년 79세로 사망했다.[1]7. 3. 서양
- 에델버그, 웨섹스의 왕비 (추정 날짜)
- 베다, 앵글로색슨 신학자이자 역사가 (또는 672년)
- 크롤랜드의 구슬락, 앵글로색슨 수도자 (사망 714년)
- 페가, 앵글로색슨 은둔자 (추정 날짜)
- 7월 4일 – 에그베르흐트, 켄트 왕국의 왕
- 아길베르트, 앵글로색슨 주교 (추정 날짜)
- 클로타르 3세, 네우스트리아와 부르고뉴 왕국의 왕 (생년 652년)
- 도망가르트 막 도나일, 달리아타 (스코틀랜드)의 왕
- 레마클루스, 프랑크족 선교사 (추정 날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