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0호대 증기 기관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810호대 증기 기관차는 일제강점기인 1935년과 1936년에 일본 기샤 세이조에서 제작되어 조선총독부 철도에 도입된 협궤 증기 기관차이다. 함경북도 지역의 철광석 수송을 위해 제작되었으며, 1935년에 810~813호, 1936년에 814~817호가 도입되었다. 함북선 운행 이후 표준궤 개궤에 따라 황해선, 수인선, 수려선 등지로 이동하여 운용되었다. 광복 이후에는 북한과 남한으로 분리되어 운용되었으며, 북한에서는 500호대로 분류되어 일부가 잔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증기 기관차 - 혀기형 증기 기관차
혀기형 증기 기관차는 대한민국에서 보존되었거나 과거에 존재했던 협궤 증기 기관차이며, 혀기11-13호는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영화에도 등장한다. - 대한민국의 증기 기관차 - 미카형 증기 기관차
미카형 증기 기관차는 조선총독부 철도국이 화물 수송 능력 증대를 위해 1910년대 말부터 도입한 증기 기관차로, 여러 모델이 생산되어 해방 후에도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대한민국의 철도 역사를 상징하는 유산으로 남아있다.
810호대 증기 기관차 | |
---|---|
기본 정보 | |
![]() | |
형식 | 증기 기관차 |
차륜 배열 | 2-8-0 |
제작사 | 기샤가이샤 |
제작 년도 | 1935년 ~ 1936년 |
총 생산량 | 8량 |
제원 | |
최고 속도 | 40 km/h |
운용 정보 | |
운영 기관 | 조선철도 대한민국 철도청 한국철도 |
기관차 등급 | 조선철도: 810 KSR: 500 KNR: ? |
차량 번호 | 조선철도: 810-817 |
인도 날짜 | 1935: 810-813 1936: 814-817 |
2. 일제강점기
1935년과 1936년 두 차례에 걸쳐 일본 기샤 세이조에서 810호대 증기 기관차를 제작하여 조선총독부 철도에 도입하였다. 이 기관차는 협궤 증기 기관차였다. 처음 네 대(810~813호)는 함북선에서 철광석 수송에 사용되었으며, 이후 황해선, 수인선, 수려선으로 이동되었다.[1] 1936년에 추가로 네 대(814~817호)가 도입되었다.[1][2]
2. 1. 초기 도입 및 운용
1935년 일본 기샤 세이조에서 조선총독부 철도를 위해 810호부터 813호까지 총 4량의 증기 기관차를 제작하였다.[1] 이 기관차들은 함북선에서 철광석 열차를 견인하는 데 사용되었다. 1940년 5월 1일, 함북선이 표준궤로 개궤되면서,[3] 이 기관차들은 황해선, 수인선, 수려선으로 이동하여 운용되었다.1936년에는 기샤 세이조에서 814호부터 817호까지 4량의 기관차를 추가로 납품하였다.[1][2]
2. 2. 추가 도입
1936년에 814호부터 817호까지 4량의 증기 기관차가 일본의 기샤 세이조에서 추가로 도입되었다.[1][2]원래 번호 | 제작사 | 연도 | 제작소 번호 | 전후 | 비고 |
---|---|---|---|---|---|
814 | 기샤 세이조(Kisha Seizō) | 1936 | 1413 | ? | |
815 | 기샤 세이조(Kisha Seizō) | 1936 | 1414 | KSR 505 | 2005년 운행[5] |
816 | 기샤 세이조(Kisha Seizō) | 1936 | 1415 | ? | |
817 | 기샤 세이조(Kisha Seizō) | 1936 | 1416 | KSR 507 |
광복과 분단 이후, 이 기관차들은 대한민국과 북한으로 나뉘어 각각 한국철도공사(Korail)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Korean State Railway)에서 운용되었다.[4]
3. 해방 이후
3. 1. 북한
광복과 분단 이후, 이 기관차들은 북한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와 대한민국의 한국철도공사로 나뉘었다. 북한에 남겨진 기관차들은 500호대로 분류되었으며, 2004년 기준으로 3대가 남아있었고, 그 중 1대는 운행이 가능했다.[4]
4. 상세 정보
810호대 증기 기관차의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원래 번호 | 제작사 | 연도 | 제작소 번호 | 전후 | 비고 |
---|---|---|---|---|---|
810 | 기샤제조 | 1935년 | 1340 | ? | |
811 | 기샤제조 | 1935년 | 1341 | ? | |
812 | 기샤제조 | 1935년 | 1342 | KSR 502 | |
813 | 기샤제조 | 1935년 | 1343 | ? | |
814 | 기샤제조 | 1936년 | 1413 | ? | |
815 | 기샤제조 | 1936년 | 1414 | KSR 505 | 2005년 운행[5] |
816 | 기샤제조 | 1936년 | 1415 | ? | |
817 | 기샤제조 | 1936년 | 1416 | KSR 507 |
하위 섹션에서 제작사별 정보를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제작사 정보를 기샤제조로 링크 처리하여 중복을 피했다.
4. 1. 제작사별 정보
원래 번호 | 제작사 | 연도 | 제작소 번호 | 전후 | 비고 |
---|---|---|---|---|---|
810 | 기샤제조 | 1935년 | 1340 | ? | |
811 | 기샤제조 | 1935년 | 1341 | ? | |
812 | 기샤제조 | 1935년 | 1342 | KSR 502 | |
813 | 기샤제조 | 1935년 | 1343 | ? | |
814 | 기샤제조 | 1936년 | 1413 | ? | |
815 | 기샤제조 | 1936년 | 1414 | KSR 505 | 2005년 운행[5] |
816 | 기샤제조 | 1936년 | 1415 | ? | |
817 | 기샤제조 | 1936년 | 1416 | KSR 507 |
참조
[1]
서적
汽車会社蒸気機関車製造史
Kōyūsha
1972
[2]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Korea Rolling Stock Technical Corp.
1999
[3]
간행물
朝鮮總督府官報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
1940-05-06
[4]
웹사이트
Reisebericht Nordkorea Oktober 2004
https://www.farrail.[...]
[5]
웹사이트
Nordkoreas Eisenbahn zur Baumblüte 2005
https://www.farrail.[...]
[6]
문서
공차중량
[7]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